가래
가물치
가지
간재미
갈근
갈치
감자
감태
감초
감홍로주
강활
강황
게장
고구마
고등어
고본
고사리
고슴도치
고추
고추장
곤쟁이
골풀
곰취
곱돌
과루인
곶감
과메기
곽향
광어
구기자
구리
국수
국화차
굴비
금불초
기장
김치
꼬막
꼴뚜기
꽃게
꿀풀
나물
나전칠기
낙죽장도
낙지
냉이
노루
녹두
녹용
녹차
농어
뇌록
누치
느룹나무
느타리버섯
다시마
다람쥐
다래
다슬기
닥나무
단감
단목
달래
담비
담쟁이
당귀
대게
대구
대나무
대발
대추
더덕
더덕주
도라지
도루묵
도마뱀
도미
도자기
돈육
돈차
돌미역
돔배기
동래파전
동백기름
동충하초
돚자리
돼지
된장
두꺼비
두릅
두충
딸기
들기름
마늘
마뿌리
만화석
막걸리
망둥어
매생이
매실
맥문동
맨드라미
머루
머루주
메밀차
멸치
명란젓
명설차
명태
모과
모란
모래무지
모시
모자
목기
목화
무명
무우
문배주
문어
미나리
미역
민속주
민어
밀랍
박하
방풍
백랍
백련잎차
백렴
백미
백반
백부자
백조어
백하수오
백합
밴댕이
뱅어
벼루
병어
법주
보골지
보리
복령
복분자
복숭아
복어
부들
부자
부채
부추
붉나무
붕어
비빔밥
비자
뽕나무
사과
사슴
산나물
산삼
삼림욕
산수유
살구
삼릉
삼배
삼치
상합
상황버섯
새우
새우젓
생강
석결명
석곡
석류
석영
석이버섯
석청
석창포
소금
소라
소주
속새
송어
송이버섯
송화가루
수달
수박
수정
숙주
순채
숭어
승검초
식해
안동포
안식향
앵두
야콘
야콘잎차
약쑥
양귀비
어란
어리굴젓
어육장
엄나무
연밥
연어
연엽주
열목어
염전
엽삭젓
오가피
오미자
오곡
오골계
오정주
오죽
오징어
옥돔
옥로주
옹기
옻칠
왕골
용문석
우무
우황
울금
웅어
위어
유기
유자
유자차
유황
육포
은어
은행
이강주
이스라지
익모초
인삼
인삼주
잉어
자단향
자두
자라
자라돔
자연동
자하젓
작설차
작약
장군풀
장아찌
전모
전복
전어
전어젓
전통주
젓갈
젓새우
정어리
조개
조기
조홍시
좁쌀
종어
종이
주꾸미
죽렴장
죽로차
죽순
죽순채
죽염멸치
죽엽청주
죽피
죽합
준치
중국차
지라돔
지치
질경이
찐빵
참가사리
참게
참기름
참죽나물
참외
찹쌀
창출
천궁
천남성
천문동
청각
청국장
청란석
청목향
청자
초콜릿
초피나무
초하주
추성주
취나물
치자
칠선주
콩잎
토마토
토끼
토사자
토주
토파즈
토하젓
파전
패랭이
편두
포도
포도주
표고버섯
표범
하늘타리
학슬
한과
한라봉
한우
한지
해구신
해달
해삼
해파리
해홍나물
향나무
호도
호로파
호두
홍삼
홍삼절편
홍시
홍어
홍주
홍합
화개차
화문석
황기
황률
황벽나무
황어
황옥
황진이주
황태
회양목
후박
후추
흑돼지
흑염소
흑한우
로그인 l 회원가입


 
6201374eb8d072c1c58f17174e771a15_1519807770_929.jpg
 
 
 
고려 말에서 조선 초기의 도승인 무학대사에 관한 설화. 무학(無學)대사설화
15-10-23 21:45
이완근과 이학준의 희망의 문학
 

  고려 말에서 조선 초기의 도승인 무학대사에 관한 설화. 순오지≫·≪지봉유설≫·≪연려실기술이성계(李成桂)의 꿈 해몽에 관련된 단편적인 일화가 전한다. 구전설화는 전국적으로 전승되고 있다. 설화의 내용은 출생담, 출가담, 이성계와의 관련담으로 분류할 수 있다.

출생 설화는 무학의 어머니가 빨래를 하러 갔다가 물에 떠내려오는 오이를 먹고 처녀로서 아이를 잉태하여 낳게 되자, 그 부모가 아비 없는 아이라고 내다 버렸는데 학이 날개로 보호하여 구출되었다는 것이다.
출가 이유에 대한 이야기는 여러 가지이나, 출가 이후 동자승 시절에 있었다는 해인사 화재 진압 일화는 공통적으로 나타난다. 무학이 상추를 씻으러 냇가에 갔다가 해인사에 불이 난 것을 알고 물을 뿌려 불을 껐는데, 그 사실을 의심한 스님이 직접 해인사에 가서 그것을 확인하였다는 이야기이다.

그러나 민간에 가장 잘 알려진 무학대사설화는 이성계를 만나 조선왕조의 창업에 관여하게 된 이성계 관련 설화이다. 여기에는
석왕사유래담무학을 꾸짖어 깨우쳐 준 농부가 대표적인 유형으로 꼽힌다.
석왕사유래담순오지≫·≪지봉유설≫·≪연려실기술
에 실려 있으며 구전설화로도 전해지는데, 이성계가 등극하기 전에 꾸었다는 꿈을 왕이 될 것이라고 해몽하였다 하여 지어진 절에 관한 이야기이다.
이에 못지 않게 잘 알려진 것이
무학을 꾸짖어 깨우쳐 준 농부 이야기이다.
 
이태조가 서울을 옮기기 위하여 무학에게 도읍 터를 구해 달라고 부탁하였다. 무학이 한양 땅을 도읍 터로 정한 뒤 대궐을 지으려고 여러 번 시도하였으나 번번이 허물어지고 말았다.
상심한 무학이 어느 곳을 지나는데, 어떤 노인이 논을 갈면서 소를 나무라기를,
이랴, 이 무학이보다 미련한 놈의 소!
라고 하였다.
놀란 무학이 노인에게 까닭을 물었더니,
한양 땅이 (鶴)터인데 등에 무거운 짐을 실었으니 학이 날개를 칠 것 아니냐. 그러니까 궁궐이 무너진다. 성부터 쌓으면 학의 날개가 눌려져 꼼짝 못하므로 대궐이 무너지지 않는다.라고 하였다. 무학이 그 말대로 하니 대궐이 완공되었다. 그 노인은 삼각산 산신령이었다고도 한다.

이 유형은 무학이 도읍 터를 정하기 위하여 방황하고 있는데 어떤 노인이
십 리만 더 들어가라.고 해서 가 보았더니 좋은 터를 발견하였다고 하는, 왕십리유래담으로 변이되어 있기도 하다.
무학대사의 출생담은 영웅의 일대기에서 보편적으로 나타나는 비정상적인 잉태와 기아(棄兒) 및 원조자에 의한 구출 동기와 일치한다. 이러한 요소는
도선(道詵)과 범일(梵日
)의 출생담과 유사한 것으로, 해인사 화재 진압 설화와 함께 그의 비범성을 드러내기 위한 것이다.
무학대사설화
중 가장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이성계와 관련된 설화이다. 이러한 설화는 조선조 창업을 천명(天命)에 의해 이룩한 정당한 것으로 부각시키려는 조선 왕조 지배층의 의도를 보여주는 것으로, 사회적 의미를 지닌 것이다.

참고문헌 旬五志, 芝峯類說, 燃藜室記述, 韓國民間傳說集(崔常壽, 通文館, 1958), 韓國口碑文學大系(韓國精神文化硏究院, 19801986).
자료출처: http://www.seelotus.com
 
   
                                             크기변환_13333.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