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래
가물치
가지
간재미
갈근
갈치
감자
감태
감초
감홍로주
강활
강황
게장
고구마
고등어
고본
고사리
고슴도치
고추
고추장
곤쟁이
골풀
곰취
곱돌
과루인
곶감
과메기
곽향
광어
구기자
구리
국수
국화차
굴비
금불초
기장
김치
꼬막
꼴뚜기
꽃게
꿀풀
나물
나전칠기
낙죽장도
낙지
냉이
노루
녹두
녹용
녹차
농어
뇌록
누치
느룹나무
느타리버섯
다시마
다람쥐
다래
다슬기
닥나무
단감
단목
달래
담비
담쟁이
당귀
대게
대구
대나무
대발
대추
더덕
더덕주
도라지
도루묵
도마뱀
도미
도자기
돈육
돈차
돌미역
돔배기
동래파전
동백기름
동충하초
돚자리
돼지
된장
두꺼비
두릅
두충
딸기
들기름
마늘
마뿌리
만화석
막걸리
망둥어
매생이
매실
맥문동
맨드라미
머루
머루주
메밀차
멸치
명란젓
명설차
명태
모과
모란
모래무지
모시
모자
목기
목화
무명
무우
문배주
문어
미나리
미역
민속주
민어
밀랍
박하
방풍
백랍
백련잎차
백렴
백미
백반
백부자
백조어
백하수오
백합
밴댕이
뱅어
벼루
병어
법주
보골지
보리
복령
복분자
복숭아
복어
부들
부자
부채
부추
붉나무
붕어
비빔밥
비자
뽕나무
사과
사슴
산나물
산삼
삼림욕
산수유
살구
삼릉
삼배
삼치
상합
상황버섯
새우
새우젓
생강
석결명
석곡
석류
석영
석이버섯
석청
석창포
소금
소라
소주
속새
송어
송이버섯
송화가루
수달
수박
수정
숙주
순채
숭어
승검초
식해
안동포
안식향
앵두
야콘
야콘잎차
약쑥
양귀비
어란
어리굴젓
어육장
엄나무
연밥
연어
연엽주
열목어
염전
엽삭젓
오가피
오미자
오곡
오골계
오정주
오죽
오징어
옥돔
옥로주
옹기
옻칠
왕골
용문석
우무
우황
울금
웅어
위어
유기
유자
유자차
유황
육포
은어
은행
이강주
이스라지
익모초
인삼
인삼주
잉어
자단향
자두
자라
자라돔
자연동
자하젓
작설차
작약
장군풀
장아찌
전모
전복
전어
전어젓
전통주
젓갈
젓새우
정어리
조개
조기
조홍시
좁쌀
종어
종이
주꾸미
죽렴장
죽로차
죽순
죽순채
죽염멸치
죽엽청주
죽피
죽합
준치
중국차
지라돔
지치
질경이
찐빵
참가사리
참게
참기름
참죽나물
참외
찹쌀
창출
천궁
천남성
천문동
청각
청국장
청란석
청목향
청자
초콜릿
초피나무
초하주
추성주
취나물
치자
칠선주
콩잎
토마토
토끼
토사자
토주
토파즈
토하젓
파전
패랭이
편두
포도
포도주
표고버섯
표범
하늘타리
학슬
한과
한라봉
한우
한지
해구신
해달
해삼
해파리
해홍나물
향나무
호도
호로파
호두
홍삼
홍삼절편
홍시
홍어
홍주
홍합
화개차
화문석
황기
황률
황벽나무
황어
황옥
황진이주
황태
회양목
후박
후추
흑돼지
흑염소
흑한우
로그인 l 회원가입

임자도전장포새우젓 1.jpg
 
 
주목 받는 전통혼례! 그 속에 담긴 의미는?
15-08-14 12:53
결혼 시즌이 다가옵니다. 서로 다른 환경에서 살아온 남녀가 만나 평생을 함께할 것을 약속하는 결혼은 살면서 겪는 가장 큰 행사입니다. 누구나 꿈꾸는 결혼식 모습이 하나쯤 있을 텐데요. 여러분의 상상 속 결혼은 어떤 모습인가요?

964744.jpg
 
 


전통혼례는 그 동안 번거로운 절차와 까다로운 예의를 갖춰야 했던 탓에 외면 받아왔습니다. 그 대신 비교적 간소하게 진행할 수 있는 서구식 결혼문화가 많은 인기를 받아왔죠. 하지만 천편일률적인 결혼식, 시간에 쫓긴 진행 등으로 결혼식의 의미가 점차 퇴색되며 우리의 전통혼례가 다시금 주목 받고 있습니다.

전통혼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조금 더 자세히 전통혼례를 알고 싶어하는 사람들의 수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우리의 전통혼례에는 작은 행동 하나하나, 모두 의미가 깃든 것들인데요. 오늘은 전통혼례를 더욱 의미 있게 만들어주는 결혼식의 상징물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전통혼례는 혼례청을 올리는 사물놀이를 시작으로 신랑신부가 가마를 타고 입장하는 전안례와 대례, 신랑신부가 서로 절하는 교배례, 기러기 전달, 닭 날리기, 민요한마당 등 다양한 순서로 진행되고, 하객들까지 식에 참여하며 흥겨운 분위기로 결혼을 축하해주는데요. 결혼의 본래 의미를 살리면서도 하객들이 직접 예식에 참여할 수 있어 요즘에는 젊은 세대뿐 아니라 외국인들에게까지 전통혼례가 인기를 끌고 있죠.


 
<전통혼례에서 꼭 만날 수 있는 기러기!>

우리나라의 전통혼례에는 많은 상징들이 사용됩니다. 신랑은 결혼식을 치르기 위해 신부 집에 들어가면서 차려진 상 위에 가지고 간 기러기목 오리과에 속하는 원앙를 올려두죠. 이 원앙은 나무로 만든 것인데, 암수가 정답게 살다가 홀로 되면 먼저 간 다른 짝을 위해 평생 혼자 살면서 새끼를 키운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이러한 원앙의 품성을 닮고 싶은 마음에 나무로 만든 원앙을 올리는 것으로 짐작됩니다.

전통혼례가 진행되면, 신랑신부가 마주앉은 사이에 잘 차려진 상이 놓여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상 위에 올라가는 여러 가지 음식과 물건들은 매우 중요한 결혼의 상징물들인데요. 상 위에 올라가는 암수의 닭 중 암탉은 다산을 나타내고, 수탉은 처자식을 부양한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수탉이 눈을 부라리고 홰를 쳐서 적을 물리치듯, 아내와 자식들을 보호하겠다는 다짐이 들어있는 것이죠.


대추와 밤 또한 중요한 상징입니다. 대추는 불로장생(不老長生)을 의미하고, 밤은 아들을 많이 낳으라는 표시이죠. 상에 올라가는 명태는 사악한 기운을 물리치는 수호물의 역할을 합니다. 소나무와 대나무는 물론이고 동백나무, 대추나무, 복숭아나무 등도 볼 수 있는데, 사시사철 푸르른 소나무는 부부의 변치 않는 마음을 의미합니다. 대나무는 곧고 강인한 지조, 과실이 풍성하게 열리는 동백나무와 대추나무, 복숭아나무 등은 다산성을 상징합니다.



서구식 결혼문화에서도 볼 수 있는 우리 전통혼례의 모습이 바로 ‘폐백’입니다. 신부가 신랑을 따라 시집에서 새로운 삶을 시작할 때 거치는 절차가 폐백인데요. 요즘은 결혼식이 끝나고 신랑신부의 부모와 친척들에게 인사를 하는 절차로 폐백을 의미하지만, 원칙적으론 결혼을 하고 나서 신랑의 집에서 첫날을 지낸 후 새벽에 시부모에게 하는 매우 중요한 인사가 폐백입니다.

이때 시어머니는 대추와 밤을 두 손 가득 집어 신부의 치마로 던집니다. 이러한 행동은 대추와 밤이 다산의 상징이며, 과실 중에서도 높은 위치에 있기 때문에 자식들이 부귀영화를 누리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는 것입니다. 오늘날은 단지 결혼식의 한 절차로 기쁨을 표시하지만, 이 속에는 다른 뜻도 담겨 있다는 사실! 알고 있었나요?


대추와 밤을 나타내는 한자는 조(棗)와 율(栗)! 그런데 이 같은 발음은 전혀 다른 뜻을 가진 동일한 발음과 연결됩니다. 대추의 조는 ‘일찍(早)’의 의미, 밤의 율은 ‘전율(慄)’이란 의미와 연결되죠. 그래서 대추와 밤을 던져주는 시어머니는 다산의 의미 이외에도 “일찍 일어나서 일하고, 두렵고 떨리는 마음으로 경건하게 항상 시집식구들을 공경하거라”라는 마음을 담아 던졌다고 합니다. 다행히도(?) 오늘날은 이러한 의미를 아는 사람이 거의 없다고 하죠.

어떠셨나요? 전통혼례 속 숨겨진 의미들, 작은 것 하나에도 우리 조상들의 지혜와 마음이 담겨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또한 임산물 속에 담긴 뜻도 다시 한 번 되새겨 볼 수 있었는데요. 우리 전통과 임산물에 조금 더 관심을 가져 봐야겠습니다. 
                                                                                                               출처: 한국임업진흥원블로그
   

                                      크기변환_13333.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