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래
가물치
가지
간재미
갈근
갈치
감자
감태
감초
감홍로주
강활
강황
게장
고구마
고등어
고본
고사리
고슴도치
고추
고추장
곤쟁이
골풀
곰취
곱돌
과루인
곶감
과메기
곽향
광어
구기자
구리
국수
국화차
굴비
금불초
기장
김치
꼬막
꼴뚜기
꽃게
꿀풀
나물
나전칠기
낙죽장도
낙지
냉이
노루
녹두
녹용
녹차
농어
뇌록
누치
느룹나무
느타리버섯
다시마
다람쥐
다래
다슬기
닥나무
단감
단목
달래
담비
담쟁이
당귀
대게
대구
대나무
대발
대추
더덕
더덕주
도라지
도루묵
도마뱀
도미
도자기
돈육
돈차
돌미역
돔배기
동래파전
동백기름
동충하초
돚자리
돼지
된장
두꺼비
두릅
두충
딸기
들기름
마늘
마뿌리
만화석
막걸리
망둥어
매생이
매실
맥문동
맨드라미
머루
머루주
메밀차
멸치
명란젓
명설차
명태
모과
모란
모래무지
모시
모자
목기
목화
무명
무우
문배주
문어
미나리
미역
민속주
민어
밀랍
박하
방풍
백랍
백련잎차
백렴
백미
백반
백부자
백조어
백하수오
백합
밴댕이
뱅어
벼루
병어
법주
보골지
보리
복령
복분자
복숭아
복어
부들
부자
부채
부추
붉나무
붕어
비빔밥
비자
뽕나무
사과
사슴
산나물
산삼
삼림욕
산수유
살구
삼릉
삼배
삼치
상합
상황버섯
새우
새우젓
생강
석결명
석곡
석류
석영
석이버섯
석청
석창포
소금
소라
소주
속새
송어
송이버섯
송화가루
수달
수박
수정
숙주
순채
숭어
승검초
식해
안동포
안식향
앵두
야콘
야콘잎차
약쑥
양귀비
어란
어리굴젓
어육장
엄나무
연밥
연어
연엽주
열목어
염전
엽삭젓
오가피
오미자
오곡
오골계
오정주
오죽
오징어
옥돔
옥로주
옹기
옻칠
왕골
용문석
우무
우황
울금
웅어
위어
유기
유자
유자차
유황
육포
은어
은행
이강주
이스라지
익모초
인삼
인삼주
잉어
자단향
자두
자라
자라돔
자연동
자하젓
작설차
작약
장군풀
장아찌
전모
전복
전어
전어젓
전통주
젓갈
젓새우
정어리
조개
조기
조홍시
좁쌀
종어
종이
주꾸미
죽렴장
죽로차
죽순
죽순채
죽염멸치
죽엽청주
죽피
죽합
준치
중국차
지라돔
지치
질경이
찐빵
참가사리
참게
참기름
참죽나물
참외
찹쌀
창출
천궁
천남성
천문동
청각
청국장
청란석
청목향
청자
초콜릿
초피나무
초하주
추성주
취나물
치자
칠선주
콩잎
토마토
토끼
토사자
토주
토파즈
토하젓
파전
패랭이
편두
포도
포도주
표고버섯
표범
하늘타리
학슬
한과
한라봉
한우
한지
해구신
해달
해삼
해파리
해홍나물
향나무
호도
호로파
호두
홍삼
홍삼절편
홍시
홍어
홍주
홍합
화개차
화문석
황기
황률
황벽나무
황어
황옥
황진이주
황태
회양목
후박
후추
흑돼지
흑염소
흑한우
로그인 l 회원가입

신청하기

  • 보성왕골

    보성 왕골 왕골[莞草] 은 경상도(榮川郡, 永川郡, 醴泉郡, 상주목, 선산도호부, 안동대도호부, 용궁현, 청송도호부, 풍기군) 전라도(함평현, 보성군) 충청도(홍주목) 평안도(박천군, 안주목)에서 진상하였다는 기록이 신증동국여지승람에 기록되어있다.   관련문헌 북송(北宋)의 서긍(徐兢)은 고려도경 高麗圖經에서 “정교한 것은 침상과 평상에 깔고 거친 것은 땅에 까는데, 매우 부드러워 접거나 굽혀도 상하지 않는다. 검고 흰색이 서로 섞여서 무늬를 이루고 청자색 테가 둘렸다. 더구나 침상에 까는 자리는 매우 우수하여 놀랍기만 하다.”는 극찬을 늘어놓았다. 화문석의 수요는 조선시대에 이르러 급증하였으며, 특히 외국인의 애호열은 더욱 높아졌다. 임원경제지에 인용된 금화경독기(金華耕讀記)에는 “영남의 안동 예안 사람들이 오채용문석을 잘 만들어 공물로 바친다. 서울의 지체 높은 가정이나 사랑에서는 해서•배천•연안의 것을 제일로 쳤으며, 경기 교동(喬桐 : 강화도 서북쪽 섬) 것은 버금간다.”고 하였다. 신라시대에 이미 화문석의 생산을 담당하였던 관청이 있었다. 통문관지 通文館志에 따르면 한 번의 동지사행(冬至使行) 때 중국에 보낸 화문석이 124장에 달하였으며, 우리나라에 오는 관리들에게도 적지 않은 양을 선사하였다. 화문석의 조달을 담당한 기관은 장흥고(長興庫)로서, 이곳에서는 각 지방으로부터 필요한 수량을 거두어들였다. 삼국사기 직관조(職官條)에 석전(席典)으로 불리던 부서가 경덕왕 때 봉좌국(奉坐局)으로 바뀌었으며 뒤에 다시 석전으로 개칭되었다는 기록이 보인다. 고려에 들어와 화문석은 외국에까지 널리 알려졌으며 인삼과 더불어 중요한 수출품 내지 선사품이 되었다. 고려초에 요나라에 보낸 특산품 가운데 용무늬를 넣은 화문석(龍鬚草地席)이 들어 있으며, 송나라 사람들도 고려의 화문석을 매우 탐내었다고 한다.   진상품 관련이야기 화문석은 예로부터 용수초지석•오채용문석(五彩龍紋席)•용문염석(龍紋簾席)• 오조용문석(五爪龍紋席)•만화석(滿花席)•각색세화석(各色細花席)•채화석(彩花席)•잡채화석(雜彩花席)•황화석(黃花席)•화석(花席) 등 여러 가지로 불렸다. 용수초지석이라는 이름은 왕골이 용의 수염처럼 생긴 데에서 왔다. 오채용문석•용문염석•오조용석은 용모양의 무늬를 넣어 짠 데서 왔다. 오채용문석은 다섯 가지 색으로 짠 용무늬 꽃자리이고, 오조용문석은 다섯 개의 발톱이 달린 용무늬 꽃자리라는 뜻이다. 이러한 것들은 극상품이어서 앞에서 말한 대로 왕실에서 중국에 보내는 선물용으로 생산되었다. 용문염석은 용무늬 발로서 역시 궁중에서 썼으리라고 짐작된다.   상품정보 왕굴•완초(莞草)라고도 하며, 학명은 Cyperusexaltatus var. iwasakii T. KOYAMA이다. 왕골은 열대지방에서는 숙근성(宿根性)이나, 온대지방에서는 1년생 내지 2년생 초본식물이다. 원래부터 물기를 좋아하기 때문에 언제나 논에서 재배한다. 왕골은 줄기를 피부(皮部)와 수부(髓部)로 분리하여 건조시킨다. 실 모양으로 가늘게 쪼개어 말린 것으로는 돗자리 •방석 •여름베개 •모자 •발 •핸드백 •담뱃갑 등의 수공예품을 만들며, 굵게 수부를 붙여 쪼갠 조피(粗皮)는 신 •슬리퍼 •바구니 등을 만든다. 왕골속은 비교적 질겨서 끈을 꼬아 마사(麻絲) 대신 쓰며 잎은 새끼를 꼬거나 누엣자리 •깔개 등을 만드는 데 사용한다. 왕골은 한국 특유의 공예작물로서 그 생산도 한국에 한정되어 있는 실정인데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 각지에서 재배한다. 특히 인천 강화, 경상북도 선산, 전라북도 남원 등에서 왕골 생산과 수공예품 가공을 많이 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강화의 화문석과 남원의 용문석은 돗자리로서 유명하다.   잎 : 줄기 밑 부분에 나며 길이는 줄기의 길이 정도이고 기부는 잎집으로 줄기를 싸며 가장자리가 깔깔하고 뒷면의 중앙맥이 뚜렷하다. 열매 : 수과는 타원형이며 길이 1mm정도로서 연한 볏짚색이고 3개의 능선이 있다. 꽃 : 화경은 높이 60-200cm이며 화경의 1/4-2/5가 엽초로 싸인다. 꽃은 9~10월에 피며 포는 4-5개로서 잎같고 화서보다 훨씬 길다. 가지는 5-10개로서 긴 것은 길이가 20cm에 달하며 다시 갈라져서 산형으로 퍼져 1-5개의 화수로 갈라진다. 화수는 원주형이고 길이 2-4cm, 지름 1-1.3cm로서 소수가 다소 성글게 달리며 황록색이다.      소수는 비스듬히 퍼지고 길이 5-7mm로서 10-20개의 꽃이 달리며 인편은 난형이고 길이 1.7-2mm로서 뒷면의 능선은 녹색이며 끝이 뾰족하고 젖혀진다. 암술대는 수과보다  2배 정도 길고 끝이 3개로 갈라진다. 줄기 : 높이 80~150cm이고, 굵고 둔하게 세모지다. 분포 : 전국 각처에서 재배하며, 야생하기도 한다. 형태 : 1년초 내지 2년초 크기 : 화경(花莖)의 높이 60-200cm. 생육환경 : 논이나 습지에서 재배한다. 결실기 : 10월 이용방안 : 화경을 돗자리나 기타 세공품 원료로 쓰인다.   용도 왕골은 쪼갠 줄기를 건조하여 자리•방석•모자 등을 만들고, 속은 건조하여 신•바구니•노끈 등을 만든다. 그리고 줄기뿐만 아니라 잎도 제지원료로 사용한다. 특히, 강화도의 화문석은 민속공예품으로 유명하다.   관련근거 및 출처 두산백과, 한국화재식물도감,『공예작물학』(손응룡, 상지문화사, 1969),『작물학개요』(조재영 외, 향문사, 1983) ,(문화콘텐츠닷컴 (문화원형백과 조선시대 대하소설),『인간문화재』(이용해, 어문각, 1963), 『한국민속대관』 5(고려대학교민족문화연구소, 1982)  

  • 안동왕골, 화문석, 용수초지석·오채용문석(五彩龍紋席)·용문염석(龍紋簾席)

    안동 왕골 조선에서는 왕골 생산지로 안동의 예안을 손꼽았다. 북송(北宋)의 서긍(徐兢)은 고려도경 高麗圖經에서 “정교한 것은 침상과 평상에 깔고 거친 것은 땅에 까는데, 매우 부드러워 접거나 굽혀도 상하지 않는다. 검고 흰색이 서로 섞여서 무늬를 이루고 청자색 테가 둘렸다. 더구나 침상에 까는 자리는 매우 우수하여 놀랍기만 하다.”는 극찬을 늘어놓았다. 화문석의 수요는 조선시대에 이르러 급증하였으며, 특히 외국인의 애호열은 더욱 높아졌다. 임원경제지에 인용된 금화경독기(金華耕讀記)에는 “영남의 안동 예안 사람들이 오채용문석을 잘 만들어 공물로 바친다. 서울의 지체 높은 가정이나 사랑에서는 해서·배천·연안의 것을 제일로 쳤으며, 경기 교동(喬桐 : 강화도 서북쪽 섬) 것은 버금간다.”고 하였다. 신라시대에 이미 화문석의 생산을 담당하였던 관청이 있었다. 통문관지 通文館志에 따르면 한 번의 동지사행(冬至使行) 때 중국에 보낸 화문석이 124장에 달하였으며, 우리나라에 오는 관리들에게도 적지 않은 양을 선사하였다. 화문석의 조달을 담당한 기관은 장흥고(長興庫)로서, 이곳에서는 각 지방으로부터 필요한 수량을 거두어들였다. 삼국사기 직관조(職官條)에 석전(席典)으로 불리던 부서가 경덕왕 때 봉좌국(奉坐局)으로 바뀌었으며 뒤에 다시 석전으로 개칭되었다는 기록이 보인다. 고려에 들어와 화문석은 외국에까지 널리 알려졌으며 인삼과 더불어 중요한 수출품 내지 선사품이 되었다. 고려초에 요나라에 보낸 특산품 가운데 용무늬를 넣은 화문석(龍鬚草地席)이 들어 있으며, 송나라 사람들도 고려의 화문석을 매우 탐내었다고 한다. 왕골[莞草] 은 경상도(榮川郡, 永川郡, 醴泉郡, 상주목, 선산도호부, 안동대도호부, 용궁현, 청송도호부, 풍기군) 전라도(함평현, 보성군) 충청도(홍주목) 평안도(박천군, 안주목)에서 진상하였다는 기록이 신증동국여지승람에 기록되어있다.   진상품 관련이야기 화문석은 예로부터 용수초지석·오채용문석(五彩龍紋席)·용문염석(龍紋簾席)· 오조용문석(五爪龍紋席)·만화석(滿花席)·각색세화석(各色細花席)·채화석(彩花席)·잡채화석(雜彩花席)·황화석(黃花席)·화석(花席) 등 여러 가지로 불렸다. 용수초지석이라는 이름은 왕골이 용의 수염처럼 생긴 데에서 왔다. 오채용문석·용문염석·오조용석은 용모양의 무늬를 넣어 짠 데서 왔다. 오채용문석은 다섯 가지 색으로 짠 용무늬 꽃자리이고, 오조용문석은 다섯 개의 발톱이 달린 용무늬 꽃자리라는 뜻이다. 이러한 것들은 극상품이어서 앞에서 말한 대로 왕실에서 중국에 보내는 선물용으로 생산되었다. 용문염석은 용무늬 발로서 역시 궁중에서 썼으리라고 짐작된다.   상품정보 왕굴·완초(莞草)라고도 하며, 학명은 Cyperusexaltatus var. iwasakii T. KOYAMA이다. 왕골은 열대지방에서는 숙근성(宿根性)이나, 온대지방에서는 1년생 내지 2년생 초본식물이다. 원래부터 물기를 좋아하기 때문에 언제나 논에서 재배한다. 왕골은 줄기를 피부(皮部)와 수부(髓部)로 분리하여 건조시킨다. 실 모양으로 가늘게 쪼개어 말린 것으로는 돗자리 ·방석 ·여름베개 ·모자 ·발 ·핸드백 ·담뱃갑 등의 수공예품을 만들며, 굵게 수부를 붙여 쪼갠 조피(粗皮)는 신 ·슬리퍼 ·바구니 등을 만든다. 왕골속은 비교적 질겨서 끈을 꼬아 마사(麻絲) 대신 쓰며 잎은 새끼를 꼬거나 누엣자리 ·깔개 등을 만드는 데 사용한다. 왕골은 한국 특유의 공예작물로서 그 생산도 한국에 한정되어 있는 실정인데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 각지에서 재배한다. 특히 인천 강화, 경상북도 선산, 전라북도 남원 등에서 왕골 생산과 수공예품 가공을 많이 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강화의 화문석과 남원의 용문석은 돗자리로서 유명하다. 잎 : 줄기 밑 부분에 나며 길이는 줄기의 길이 정도이고 기부는 잎집으로 줄기를 싸며        가장자리가 깔깔하고 뒷면의 중앙맥이 뚜렷하다. 열매 : 수과는 타원형이며 길이 1mm정도로서 연한 볏짚색이고 3개의 능선이 있다. 꽃 : 화경은 높이 60-200cm이며 화경의 1/4-2/5가 엽초로 싸인다. 꽃은 9~10월에 피며 포는 4-5개로서 잎같고 화서보다 훨씬 길다. 가지는 5-10개로서 긴 것은 길이가          20cm에 달하며 다시 갈라져서 산형으로 퍼져 1-5개의 화수로 갈라진다. 화수는           원주형이고 길이 2-4cm, 지름 1-1.3cm로서 소수가 다소 성글게 달리며 황록색이다.      소수는 비스듬히 퍼지고 길이 5-7mm로서 10-20개의 꽃이 달리며 인편은 난형이고       길이 1.7-2mm로서 뒷면의 능선은 녹색이며 끝이 뾰족하고 젖혀진다. 암술대는 수과보다    2배 정도 길고 끝이 3개로 갈라진다. 줄기 : 높이 80~150cm이고, 굵고 둔하게 세모지다. 분포 : 전국 각처에서 재배하며, 야생하기도 한다. 형태 : 1년초 내지 2년초 크기 : 화경(花莖)의 높이 60-200cm. 생육환경 : 논이나 습지에서 재배한다. 결실기 : 10월 이용방안 : 화경을 돗자리나 기타 세공품 원료로 쓰인다.   용도 왕골은 쪼갠 줄기를 건조하여 자리·방석·모자 등을 만들고, 속은 건조하여 신·바구니·노끈 등을 만든다. 그리고 줄기뿐만 아니라 잎도 제지원료로 사용한다. 특히, 강화도의 화문석은 민속공예품으로 유명하다.   관련근거 및 출처 두산백과,한국화재식물도감,『공예작물학』(손응룡, 상지문화사, 1969),『작물학개요』(조재영 외, 향문사, 1983) ,(문화콘텐츠닷컴 (문화원형백과 조선시대 대하소설),『인간문화재』(이용해, 어문각, 1963),『한국민속대관』 5(고려대학교민족문화연구소, 1982)

진상품 이야기 더보기

웹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