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래
가물치
가지
간재미
갈근
갈치
감자
감태
감초
감홍로주
강활
강황
게장
고구마
고등어
고본
고사리
고슴도치
고추
고추장
곤쟁이
골풀
곰취
곱돌
과루인
곶감
과메기
곽향
광어
구기자
구리
국수
국화차
굴비
금불초
기장
김치
꼬막
꼴뚜기
꽃게
꿀풀
나물
나전칠기
낙죽장도
낙지
냉이
노루
녹두
녹용
녹차
농어
뇌록
누치
느룹나무
느타리버섯
다시마
다람쥐
다래
다슬기
닥나무
단감
단목
달래
담비
담쟁이
당귀
대게
대구
대나무
대발
대추
더덕
더덕주
도라지
도루묵
도마뱀
도미
도자기
돈육
돈차
돌미역
돔배기
동래파전
동백기름
동충하초
돚자리
돼지
된장
두꺼비
두릅
두충
딸기
들기름
마늘
마뿌리
만화석
막걸리
망둥어
매생이
매실
맥문동
맨드라미
머루
머루주
메밀차
멸치
명란젓
명설차
명태
모과
모란
모래무지
모시
모자
목기
목화
무명
무우
문배주
문어
미나리
미역
민속주
민어
밀랍
박하
방풍
백랍
백련잎차
백렴
백미
백반
백부자
백조어
백하수오
백합
밴댕이
뱅어
벼루
병어
법주
보골지
보리
복령
복분자
복숭아
복어
부들
부자
부채
부추
붉나무
붕어
비빔밥
비자
뽕나무
사과
사슴
산나물
산삼
삼림욕
산수유
살구
삼릉
삼배
삼치
상합
상황버섯
새우
새우젓
생강
석결명
석곡
석류
석영
석이버섯
석청
석창포
소금
소라
소주
속새
송어
송이버섯
송화가루
수달
수박
수정
숙주
순채
숭어
승검초
식해
안동포
안식향
앵두
야콘
야콘잎차
약쑥
양귀비
어란
어리굴젓
어육장
엄나무
연밥
연어
연엽주
열목어
염전
엽삭젓
오가피
오미자
오곡
오골계
오정주
오죽
오징어
옥돔
옥로주
옹기
옻칠
왕골
용문석
우무
우황
울금
웅어
위어
유기
유자
유자차
유황
육포
은어
은행
이강주
이스라지
익모초
인삼
인삼주
잉어
자단향
자두
자라
자라돔
자연동
자하젓
작설차
작약
장군풀
장아찌
전모
전복
전어
전어젓
전통주
젓갈
젓새우
정어리
조개
조기
조홍시
좁쌀
종어
종이
주꾸미
죽렴장
죽로차
죽순
죽순채
죽염멸치
죽엽청주
죽피
죽합
준치
중국차
지라돔
지치
질경이
찐빵
참가사리
참게
참기름
참죽나물
참외
찹쌀
창출
천궁
천남성
천문동
청각
청국장
청란석
청목향
청자
초콜릿
초피나무
초하주
추성주
취나물
치자
칠선주
콩잎
토마토
토끼
토사자
토주
토파즈
토하젓
파전
패랭이
편두
포도
포도주
표고버섯
표범
하늘타리
학슬
한과
한라봉
한우
한지
해구신
해달
해삼
해파리
해홍나물
향나무
호도
호로파
호두
홍삼
홍삼절편
홍시
홍어
홍주
홍합
화개차
화문석
황기
황률
황벽나무
황어
황옥
황진이주
황태
회양목
후박
후추
흑돼지
흑염소
흑한우
로그인 l 회원가입

e8ccf7afdd6c52258b6fbe6c00a9fd6a_1443601259_4273.jpg
 
 모시풀,쐐기풀,왕모시풀, 왜모시풀, 섬모시풀, 모시풀(남모시풀), 저마엽, 저마화개모시풀,좀모시풀, 저마피, 저마근, 긴잎모시풀, 좀깨잎나무(새끼거북꼬리), 거북꼬리, 풀거북꼬리가
 

모시풀은 쐐기풀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모시풀속에는 열대에 약 100종이 있으며 우리 나라에는 약 8종이 분포되어 있는데, 왕모시풀, 왜모시풀, 섬모시풀, 모시풀(남모시풀), 개모시풀(좀모시풀), 긴잎모시풀, 좀깨잎나무(새끼거북꼬리), 거북꼬리, 풀거북꼬리가 자라고 있으며 바위모시속에 바위모시(비양목)이 자라고 있다. 모시풀은 다년생 숙근초로서 한번 파종하면 다음해부터 수확할 수 있는데 1년에 2~3번 벨 수 있고 음력 4월말, 6월말, 8월말 세 번이며 10년간 그 포기에서 수확이 가능하다고 알려져 있다. 쐐기풀과에는 섬유 원료 식물이 많다.  모시풀(저마)줄기의 껍질 섬유는 길고 질기며 물에 젖어도 튼튼하다.모시풀의 뿌리를 저마근(苧麻根), 껍질을 저마피(苧麻皮), 잎을 저마엽(苧麻葉), 꽃을 저마화(苧麻花)도 약용한다.
 
저마근[苧麻根: 모시풀 뿌리]
채취: 겨울, 봄에 파내어 지상경과 흙을 제거한 후 햇볕에 말린다.
성분: 뿌리에는 phenol류, triterpenes(혹은 sterol), chlorogenic acid가 들어 있다. 전초와 종자에는 hydrocyanic acid가 들어 있다
 
모시풀 뿌리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
1, 오림(五淋: 석림(石淋), 기림(氣淋), 고림(膏淋), 노림(勞淋), 열림(熱淋)=외대비요(外臺秘要) 제 27권) 모시풀뿌리 2개를 부수어 물 한 사발반을 넣고 반 사발이 되게 달여 수시로 복용한다. [두문방(斗門方)]
 
2, 혈림(血淋), 제복(臍腹) 및 음경삽통(陰莖澀痛)
모시풀뿌리 10개를 짓찧어서 물을 넣고 반으로 줄어들 때까지 달인 다음 찌꺼기를 버리고 2회에 나누어 복용하며 10리를 걸을 정도의 시간이 지나면 다시 복용한다. [태평성혜방(太平聖惠方)]
 
3, 소변이 잘 나오지 않는 증상
① 모시풀뿌리를 씻은 다음 갈아서 명주천에 펴 발라 하복부에서 음부까지 붙인다. [적원방(摘元方)]
② 모시풀뿌리 19g, 합분(蛤粉) 19g을 곱게 가루내어 체로 쳐서 산제로 하여 새로 길은 물로 개어서 빈속에 7.5g을 복용한다. [태평성혜방(太平聖惠方)]
 
4, 토혈이 멎지 않는 증상
모시풀뿌리, 인삼, 백악(白堊: 백토), 합분(蛤粉: 조개껍질가루) 각 1푼을 찧어서 체로 쳐서 가루로 만들어 1회 1전비(錢匕)를 찹쌀 미음으로 수시로 복용한다. [성제총록(聖濟總錄), 저근산(苧根散)]
 
5, 장풍(腸風)
모시풀뿌리 12g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절강민간초약(浙江民間草藥)]
 
6, 습관성 유산
모시풀 마른 뿌리 37.5g, 연자(蓮子) 20g, 회산약(懷山藥) 20g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복건중초약(福建中草藥)]
 
7, 임신 태동기에 참기 힘든 복통과 함께 교상(膠狀) 혹은 소두즙상(小豆汁상)의 황즙(黃汁)이 갑자기 나오는 증상 모시풀뿌리의 검은 껍질을 벗겨 버리고 2되를 썰어 은(銀) 1덩어리와 9되의 물을 넣어 4되가 될 때까지 달인다. 1회에 그 탕액 1되와 술 반 되를 넣고 1되가 될 때까지 달여 그것을 2회에 나누어 복용한다. 은(銀)을 사용하지 않는다. [매사집험방(梅師集驗方)]
 
8, 혈열(血熱)에 의한 자궁출혈
모시풀 말린 뿌리 37.5g을 물로 달여 복용한다. [복건중초약(福建中草藥)]
 
9, 천식
모시풀뿌리와 설탕을 넣고 충분히 달여 수시로 씹어 복용한다. [의학정전(醫學正傳)]
 
10, 담효해수(痰哮咳嗽)
모시풀뿌리를 약성이 남을 정도로 센 불에서 태워 가루내어 12~20g을 생두부에 묻혀 복용한다. 낫지 않으면 살코기 비계 2~3조각에 묻혀 복용해도 된다. [의학정전(醫學正典)]
 
11, 백단(白丹)
모시풀뿌리 1.8kg에 소두(小豆) 4되를 물 2말로 달여 매일 3~4회 몸을 씻는다. [비급방(備急方)]
 
12, 옹저가 등이나 유방에 생겨 약간 붉어진 증세
모시풀뿌리를 찧어서 여러 번 갈아 붙인다. [매사집험방(梅師集驗方)]
 
13, 타박상, 염좌
대즉어(大鯽魚) 1마리, 독핵비조(獨核肥皂) 1개, 호초(胡椒) 7알, 황치자(黃梔子) 9개, 묵은 생강 1조각, 총두(葱頭) 3개, 들 모시풀뿌리 1개, 건면(乾麵) 한줌, 향조(香槽) 1덩어리에 소주를 적당히 넣고 찧어 진흙 모양으로 만든 다음 볶아서 뜨겁게 하여 환부에 펴 바르고 헝겊으로 꼭 덮어 두면 이튿날에는 환부가 퍼렇게 된다. [본초강목습유(本草綱目拾遺)]
 
14, 타박상
들모시풀뿌리 37.5g을 찧어서 좋은 술로 달여 복용하되 가능한 취할 때까지 마신다. [백초경(百草經)]
 
15, 뱀에 물린 상처
신선한 모시풀뿌리를 찧어 상처에 덮어 씌우듯이 바른다. [절강민간초약(浙江民間草藥)]
 
16, 달과 물고기의 뼈가 목에 걸린 증상
모시풀뿌리를 찧은 즙을 숟가락으로 목구멍에 흘려 넣는다. [담야옹시험방(談野翁試驗方)]
 
저마피[苧麻皮: 모시풀 껍질]
성미: 1, <득배본초>: "맛은 달고 성질은 차다."
2, <본초재신>: "맛이 달며 성질은 약간 차고 독이 없다."
약효와 주치: 번열을 제거하고 소변을 통하게 한다. 어혈을 제거하고 지혈시킨다. 어열(瘀熱), 심번(心煩), 요폐, 항문의 부종과 동통, 상처의 출혈을 치료한다.
1, <득배본초>: "해산 전후의 심번(心煩), 유행성 열병을 치료하며 소변을 통하게 하고 어혈을 제거한다."
2, <본초재신>: "소변 불통, 담효해수(痰哮咳嗽), 항문의 부종과 동통, 탈항이 들어가지 않는 증상, 혈림(血淋)을 치료한다."
사용법 및 사용량: 내복시 하루 6~12g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외용시 찧어서 환부에 바른다.
 
저마엽[苧麻葉: 모시풀 잎]
성분: 잎에는 플라보노이드(flavonoid)가 함유되어 있으며 그 중 rutin 함량이 0.1%이다. 마른 잎에는 글루타민산이 1.74% 함유되어 있다.
약리작용: 함유되어 있는 플라보노이드는 수렴 작용을 하며 용혈 실험에서는 음성을 나타낸다.
성미: <본초강목>: "맛은 달며 성질은 차고 독이 없다."
약효와 주치: 피를 서늘하게 하고 지혈하며 어혈을 제거한다. 객혈, 토혈, 혈림(血淋), 요혈, 항문의 부종과 동통, 적백 대하, 타박상에 의한 어혈, 외상 출혈, 급성 유선염, 단독을 치료한다.
1,<본초강목>: "금창과 절상으로 인한 출혈, 어혈을 치료한다."
2, <현대실용중약>: "뿌리,잎을 같이 쓰면 급성 임질, 요도염 출혈, 항문의 부종과 동통, 탈항이 들어가지 않는 증상, 부인의 자궁염이나 적백 대하를 치료한다."
3, <소의, 중초약수책>: "지혈, 소염, 해독하며 각혈, 토혈, 월경 과다를 치료한다. 상처의 출혈, 뱀이나 벌레에 물린 상처, 옹종, 단독도 치료한다."
사용법 및 사용량: 내복시 19~37.5g을 물로 달여서 복용하거나 가루내건 짓찧어 즙을 내어 복용한다. 외용시 가루내어 붙이거나 산포한다.
 
저마화[苧麻花: 모시풀 꽃]
1, <의림찬요>: "이것을 복용하면 심화(心火)를 발끔히 제거하고 장위(腸胃)를 이롭게 하며 어혈을 제거한다."
2, <생초약수책>: "마진(麻疹)을 치료한다."
열을 내리고 해독하며 출혈을 멈추고 어혈을 없앤다. 또 소변이 잘 나오게 하고 태아를 안정시킨다. 소염작용도 나타낸다. 열이 나면서 갈증이 있는 데, 소변불통, 혈림, 토혈, 장출혈, 대하, 태동불안(胎動不安), 단독, 부스럼, 탈항, 뱀에 물린데 등에 쓴다. 기관지염, 요도염에도 쓸 수 있다. 하루 5~15g을 물로 달여서 먹는다. 외용약으로 쓸 때는 달인 물로 씻거나 짓찧어 붙인다.]

모시풀 줄기 및 껍질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
1, 금인상(金刃傷: 쇠칼날에 베인 상처)
들모시풀 지상부를 그늘에서 말려 잘 주물러 백색 부분을 제거하고 찧어서 상처에 붙이면 곧 지혈되고 화농하지도 않는다. [구생고해(救生苦海)]
 
모시풀 잎으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
1, 여러 가지 상처로 인해 어혈이 없어지지 않는 증상
5~6월에 채취한 들모시풀잎, 소엽(蘇葉)을 찧어서 상처에 바른다. 어혈이 뱃속에 있을 때는 물을 넣어 짜낸 즙을 복용한다. 가을과 겨울에 사용할 때는 마른 잎도 쓸 수 있다. [영류검방(永類鈐方)]
2, 금창(金瘡), 절상(折傷)
5월에 채취한 모시풀잎에 석회를 섞어 경단을 만들고 햇볕에 말린 후 가루내어 바른다. [본초강목(本草綱目)]
3, 외상 출혈
모시풀잎, 지의모(地衣毛)를 햇볕에 말려 가루내어 외용한다. [단방험방조사선편(單方驗方調査選編)]
4, 초기 급성 유선염
모시풀의 신선한 잎과 구채(韮菜: 부추뿌리)의 뿌리, 귤나무의 잎을 술지게미와 함께 찧어서 환부에 붙인다. [복건중초약(福建中草藥)]
 
모시풀 꽃으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
1, 심화(心火)제거, 장위(腸胃)이롭게 하는데, 어혈 제거
모시풀꽃 6~12g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의림찬요(醫林纂要)]

 
저마(苧麻)
저마(苧麻)의 성분에 대한 연구에서 caffeic acid가 뚜렷한 지혈 작용을 한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인공적으로 합성한 '혈응산아민(血凝酸아민: caffeic acid diethylamine)' 7mg/Kg을 토끼에게 정맥 주사하고 10mg/20g을 마우스의 복강에 주사한 결과 응고 시간 및 출혈 시간이 모두 현저히 단축되었다. '혈응산아민(血凝酸아민)'은 in vitro에서는 피브린의 용해에 저항하는 작용은 없었으나 코발트 60을 조사(照射)한 마우스에 대해서는 백세포 및 혈소판이 현저히 증가되었다. 내복하면 흡수되기 쉽고 배출은 아주 빠르다.
 
독성: '혈응산아민(血凝酸아민)'의 독성은 매우 적다. 마우스 복강 주사의 급성 LD50은 1583±80mg/Kg이며 토끼에게 정맥 주사해도 혈압, 호흡에 영향이 없으며 정맥 주사를 연속 10일 실시해도 심전도 및 간장, 신장 기능 모두에 변화가 없었다.
법제: 찌꺼기를 제거한 다음 크기의 대소를 분류하여 물에 담가 깨끗이 씻고 건져내어 충분히 적신 후 썰어서 햇볕에 말린다.

1, <명의별록>: "성질이 차다."
2, <약성론>: "맛은 달고 성질은 평하다."
3, <일화자제가본초>: "맛은 달며 성질은 냉하고 독이 없다."
4, <절강민간초약>: "맛은 시며 성질은 차고 독이 없다."
5, <득배본초>: "족궐음경(足厥陰經)의 혈분(血分)에 들어간다."
6, <본초촬요>: "수족태양경(手足太陽經)에 들어간다."
 
약효와 주치: 열을 내리고 지혈하며 해독하고 어혈을 제거하는 효능이 있다. 열병, 대갈(大渴), 대광(大狂), 혈림(血淋), 융폐(癃閉), 토혈, 하혈, 적백 대하, 단독(丹毒), 옹종, 타박상, 뱀이나 벌레에 물린 상처를 치료한다.
 
1, <명의별록>: "소아의 적단(赤丹)을 주로 치료한다. 즙으로 갈증을 치료하며 안태(安胎)한다."
2, <일화자제가본초>: "심격열(心膈熱), 누태하혈(漏胎下血), 산전 산후 심번민(心煩悶), 유행성 열질(熱疾), 대갈대광(大渴大狂), 암독전(罯毒箭), 뱀이나 벌레에 물린 상처를 치료한다."
3, <본초도경>: "백단(白丹)을 치료한다. 진하게 달여 하루에 3~4번씩 달인 물로 몸을 씻는다."
4, <본초비요>: "음을 보양하고 어혈을 제거하며 열을 내리고 마른 것을 촉촉하게 한다. 옹저, 등에 생기는 종기, 금창, 절상, 닭뼌 생선 가시가 목에 걸린 증상을 치료한다."
5, <본초강목습유>: "모든 독을 치료하며 혈액 순환을 촉진시키고 지혈, 발산, 지갈(止渴)하고 태(胎)를안정시킨다. 소아의 단독에 바르고 고창(蠱脹)을 통하게 하며 붕루(崩漏), 백탁(白濁),, 활정(滑精), 치통, 후폐(喉閉), 뼈가 목에 걸린 증상, 산기(疝氣), 화단(火丹), 절독(癤毒), 말벌, 독사에 물린 상처와 발배(發背), 정창(疔瘡), 타박상을 치료한다."
6, <분류초약성>: "도상, 타박상을 치료하며 붙이면 근골이 재결합된다. 광견에 물린 상처도 치료한다."
7, <현대실용약>: "뿌리와 잎을 함께 사용하여 항문 부종 및 동통에 쓰며 탈항이 들어가지 않는 증상을 치료한다."
8, <절강중약수책>: "옻이 오른데, 홍종(紅腫: 피부가 붉게 부어오르는 것)을 치료한다."
9, <남영시약물지>: "소아의 마진과 외상으로 인한 출혈과 부종 및 동통을 치료한다."
 
사용법 및 사용량: 내복시 6~20g을 물로 달이거나 찧어 즙을 내어 복용한다. 외용시 찧어서 바르거나 달인 물로 씻는다.
주의사항: 배합과 금기: <본초경소(本草經疏)>: "위가 약하거나 설사하는 사람 또는 혈열(血熱)에 의한 병이 아닌 사람은 복용해서는 안 된다."
 
 
모시관련 설화
모시는 옛날에는 굵은 모시로 배의 돛대용으로 귀히 쓰였다고 전해지며 옛날에 민간에서는 흉년이 들었을 때 모시잎을 쪄서 허기를 면하는 구황식물로 전해져 오고 있다. 연한 모시잎과 줄기를 말려서 떡을 해서 먹으면 그 맛이 일품이다. 또한 음력 5월 5일 단오날에 모시 잎을 따서 그늘에서 말린 뒤 가루로 만들어 먹거나 밀가루와 짓이겨 경단(團子)을 만들어 놓고 먹으면 다친사람, 멍든 데, 내출혈 등에 좋다고 전해져 오고 있다.
모시풀 잎을 말려 임산부가 베는 베게 속을 하면 산후의 출혈을 막아준다고 믿는 민속도 있었고 또 갓 해산한 부인의 배 위에다 모시풀 잎을 올려 놓기만 해도 피가 멎고 복통이 멎는다고 한다. 또 누에에게 물려 두에독이 살에 스민 데에도 모시풀을 즙을 내어 마시면 해독되어 낫는다고 한다. 그리고 모시와 누에는 상극으로 알려져 누에 치는 잠실 옆에 모시풀을 심으면 전혀 누에가 되지 않는다고 알려져 금기시 하는 경향이 있다.
 
로고_임금님진상품_카페용150.jpg
 

 

   

                                            크기변환_13333.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