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래
가물치
가지
간재미
갈근
갈치
감자
감태
감초
감홍로주
강활
강황
게장
고구마
고등어
고본
고사리
고슴도치
고추
고추장
곤쟁이
골풀
곰취
곱돌
과루인
곶감
과메기
곽향
광어
구기자
구리
국수
국화차
굴비
금불초
기장
김치
꼬막
꼴뚜기
꽃게
꿀풀
나물
나전칠기
낙죽장도
낙지
냉이
노루
녹두
녹용
녹차
농어
뇌록
누치
느룹나무
느타리버섯
다시마
다람쥐
다래
다슬기
닥나무
단감
단목
달래
담비
담쟁이
당귀
대게
대구
대나무
대발
대추
더덕
더덕주
도라지
도루묵
도마뱀
도미
도자기
돈육
돈차
돌미역
돔배기
동래파전
동백기름
동충하초
돚자리
돼지
된장
두꺼비
두릅
두충
딸기
들기름
마늘
마뿌리
만화석
막걸리
망둥어
매생이
매실
맥문동
맨드라미
머루
머루주
메밀차
멸치
명란젓
명설차
명태
모과
모란
모래무지
모시
모자
목기
목화
무명
무우
문배주
문어
미나리
미역
민속주
민어
밀랍
박하
방풍
백랍
백련잎차
백렴
백미
백반
백부자
백조어
백하수오
백합
밴댕이
뱅어
벼루
병어
법주
보골지
보리
복령
복분자
복숭아
복어
부들
부자
부채
부추
붉나무
붕어
비빔밥
비자
뽕나무
사과
사슴
산나물
산삼
삼림욕
산수유
살구
삼릉
삼배
삼치
상합
상황버섯
새우
새우젓
생강
석결명
석곡
석류
석영
석이버섯
석청
석창포
소금
소라
소주
속새
송어
송이버섯
송화가루
수달
수박
수정
숙주
순채
숭어
승검초
식해
안동포
안식향
앵두
야콘
야콘잎차
약쑥
양귀비
어란
어리굴젓
어육장
엄나무
연밥
연어
연엽주
열목어
염전
엽삭젓
오가피
오미자
오곡
오골계
오정주
오죽
오징어
옥돔
옥로주
옹기
옻칠
왕골
용문석
우무
우황
울금
웅어
위어
유기
유자
유자차
유황
육포
은어
은행
이강주
이스라지
익모초
인삼
인삼주
잉어
자단향
자두
자라
자라돔
자연동
자하젓
작설차
작약
장군풀
장아찌
전모
전복
전어
전어젓
전통주
젓갈
젓새우
정어리
조개
조기
조홍시
좁쌀
종어
종이
주꾸미
죽렴장
죽로차
죽순
죽순채
죽염멸치
죽엽청주
죽피
죽합
준치
중국차
지라돔
지치
질경이
찐빵
참가사리
참게
참기름
참죽나물
참외
찹쌀
창출
천궁
천남성
천문동
청각
청국장
청란석
청목향
청자
초콜릿
초피나무
초하주
추성주
취나물
치자
칠선주
콩잎
토마토
토끼
토사자
토주
토파즈
토하젓
파전
패랭이
편두
포도
포도주
표고버섯
표범
하늘타리
학슬
한과
한라봉
한우
한지
해구신
해달
해삼
해파리
해홍나물
향나무
호도
호로파
호두
홍삼
홍삼절편
홍시
홍어
홍주
홍합
화개차
화문석
황기
황률
황벽나무
황어
황옥
황진이주
황태
회양목
후박
후추
흑돼지
흑염소
흑한우
로그인 l 회원가입

신청하기

  • 강진간재미

    강진 간재미는 동의보감에는 공어를 한글로는 ‘가오리’라고 표기하고 먹으면 유익한데 꼬리에는 대독(大毒)이 있다고 하였다.   증보산림경제 增補山林經濟에 의하면, 봄에 진달래가 필 때는 홍어를 먹어서는 안 된다고 하였으며, 뜨거운 물로 점액을 씻어내고 조각으로 잘라 감장즙(甘醬汁)에 쪄서 먹는다고 조리방법을 설명하고 있다. 세종실록지리지·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홍어가 여러 지방에서 산출되는 것으로 되어 있고 ≪여지도서≫및 조선 말기에 편찬된 읍지에서도 가올어가 보인다. 세종실록지리지에서는 경기도의 남양도호부·부평도호부 충청도의 비인현을 비롯한 몇몇 지방에서 산출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자산어보에서는 분어(鲼魚)에 속하는 어류를 ① 분어, 속명 홍어(洪魚), ② 소분(小鲼), 속명 발급어(發及魚), ③ 수분(瘦鲼), 속명 간잠(間簪), ④ 청분(靑鲼), 속명 청가오(靑加五), ⑤ 흑분(黑鲼), 속명 묵가오(墨加五), ⑥ 황분(黃鲼), 속명 황가오(黃加五), ⑦ 나분(螺鲼), 속명 나가오(螺加五), ⑧ 응분(鷹鲼), 속명 매가오(每加五) 등으로 분류하였다. 성호사설에는 전분(鱄鲼)을 가올어라 하고, “공(  )과 서로 비슷하지만 맛이 이것만 못하고, 꼬리 끝에 독기가 심한 가시가 있어 사람을 쏘며, 그 꼬리를 잘라 나무뿌리에 꽂아두면 시들지 않는 나무가 없다.”라고 하였다. 우해이어보 牛海異魚譜에는 청가오리라는 것이 기재되어 있는데, “가오리류 중 가장 큰 것으로 길이가 1척 반, 넓이가 2장(丈)으로서 말 한 마리에 실을 만하며, 또 등이 짙은 청색으로서 맛이 좋다.”라고 하였다. 여기에서 말하는 청가오리는 청달내가오리로서 제주도에서 많이 나는 것이다. 임원십육지 林園十六志에는 해요어(海碧魚)를 한글로 ‘가오리’라 하고 홍어(洪魚)를 한글로 ‘무럼생선’이라고 기록하고 있고 홍어는 국을 끓여도 좋고 구워도 좋은데 우리 나라 사람들은 이를 도미 등과 함께 즐겨 먹는다고 하였다. 『 한국수산지 韓國水産誌에서는 우리 나라 사람들은 가오리를 명태와 조기 다음으로 좋아하는 고기로 취급하고 이를 상식한다고 하였다.   생활 민속적 관련사항 간재미를 막걸리로 씻어내면 살이 더 쫄깃쫄깃해지는데 이는 막걸리 속의 알코올과 유기산이 간재미의 단백질을 응고시켜 살이 꼬들꼬들하고 풀어지지 않게 하기 때문이다. 식초를 사용해도 같은 효과를 볼 수 있다.   상품정보 간재미는 연골어류 중에서 몸이 편평하고 가슴지느러미가 수평으로 넓고 꼬리는 가늘고 길며 눈이 등 쪽에 있는 물고기의 총칭이다. 간재미는 지역에 따라 가오리(stingray)라고도 부른다. 홍어보다 맛이 부드러우며 주로 전남 진도 근해에서 많이 잡히는데, 서촌에서 나는 것이 가장 맛이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살이 붉은색을 띠며 맛이 있어서 날것으로 회를 만들어 먹거나 찜으로 이용한다. 톡 쏘는 특유의 향으로 미식가들에게 인기 있는 간재미는 쫄깃쫄깃하고 단단하여 입이 즐거워지는 식재료이다.   간재미는 노랑가오리의 전남 방언이며 지역에 따라 노랑가부리, 딱장가오리, 창가오리로 불린다. 홍어와 비슷하게 생긴 연골어류로 몸이 편평하고 가슴지느러미가 수평으로 넓으며 꼬리는 가늘고 길며 눈은 등쪽에 있다. 홍어보다 맛이 부드러우며 주로 전남 진도 근해에서 많이 잡히는데, 서촌에서 나는 것이 가장 맛이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살이 붉은색을 띠며 맛이 있어서 날것으로 회를 만들어 먹거나 찜으로 이용한다.   제철: 7월 1일 ~ 8월 31일 구입요령: 가오리는 수입산과 구별해야 하는데 국산은 등이 황갈색이며 수입은 담황색이다. 국산은 배가 흰색인데 수입은 검정색이과, 국산은 꼬리가 가늘고 길며 수입산은 꼬리가 통통하고 짧다. 보관온도: 0℃~5℃ 보관일: 5일 보관법: 잘 다듬어진 가오리는 냉장보관한 후 되도록이면 빨리 먹도록 한다.   손질법 가오리는 양 날개, 몸통을 3등분으로 자른 후 껍질을 벗겨 결대로 채 썬다. 그런 다음 흐르는 물에 깨끗이 씻는다.   섭취방법 체내에 요소가 많기 때문에 죽은 후 단시간 내에 요소가 분해되어 암모니아로 되므로 악취가 나는 경우가 있으며, 특히 여름에 맛이 좋고 찜이나 튀김으로 이용된다.   궁합음식 (가오리는 특유의 향이 있어 찜요리시 생강을 첨가하면 냄새를 어느 정도 잡을 수 있다.)   [용도] 간재미 요리는 사시사철 맛볼 수 있지만 간재미의 산란기인 겨울철에 맛이 가장 좋다. 일반적으로 싱싱한 간재미는 포를 떠서 회로 먹기도 하고, 잘 말려서 굽거나 찌기도 한다.   [현황] 간재미는 우리나라 서해안에서 주로 잡히는데 최서 남단에 위치하고 있는 진도 근해에서도 많이 잡힌다. 특히 진도읍 청룡리 서촌에서 나는 것이 제일 맛이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간재미탕 된장을 푼 물이나 멸치장국국물에 간재미를 양념하여 끓인 탕을 말한다.방법 1 : 된장을 푼 쌀뜨물에 무를 넣고 끓으면 손질한 간재미, 양파, 고춧가루, 다진 마늘을 넣고 끓이다가 들깻가루를 넣고 먹기 전에 송송 썬 대파를 얹는다.방법 2 : 시루에 찐 간재미를 끓는 멸치장국국물에 넣고 미나리와 다진 붉은 고추ㆍ파ㆍ마늘을 넣고 끓인 후 소금으로 간을 한다.   강진 간재미의 효능 성인병예방 (가오리의 살과 간에는 고도의 불포화 지방산인 EPA, DHA가 풍부하여 어린이 성장발육 및 성인병 예방에 좋다.) 일반 성분으로는 단백질이 17~22%로 많고, 지방은 0.7% 이하로 아주 적다. 회분은 2~3%인데 이 중에서도 칼슘의 함량이 특히 높다. 단백질, 칼슘 등 영양이 풍부하고 연골어류에 많은 콜라겐은 관절염, 류머티스, 신경통을 예방하는 효능이 뛰어나다. 일이 잘 안풀리고 꼬일 때 신경은 날카로워지고 입은 까칠해 진다. 입맛을 잃어버렸으니 기력이 떨어지고 힘도 없을 때 특효약! 신경성으로 잠을 못자거나 스트레스가 많은 직장인에게도 매우 좋은 음식이다.   기타 수분이 많고 단백질이 풍부하며 지질이 적은 저칼로리 생선으로 다이어트에 좋다.   관련근거 및 출처 ≪동의보감≫,≪증보산림경제 增補山林經濟≫,≪세종실록≫,≪신증동국여지승람≫,≪세종실록≫, ≪자산어보≫,≪성호사설≫,≪우해이어보 牛海異魚譜≫,≪임원십육지 林園十六志≫, ≪한국수산지 韓國水産誌≫ ,두산백과, 쿡tv,여지도서,동의보감,증보산림경제,임원십육지(林園十六志), 한국수산지 제1집(농상공부, 1908), 한국어도보(韓國魚圖譜)(정문기, 일지사, 1977),

진상품 이야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