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형유산 지식백과(무형문화지식연구원)
태조 - 철종 1대 태조(1392년~) 2대 정종(1399년~) 3대 태종(1401년~) 4대 세종(1418년~) 5대 문종(1450년~) 6대 단종(1452년~) 7대 세조(1455년~) 8대 예종(1468년~) 9대 성종(1469년~) 10대 연산군(1494년~) 11대 중종(1506년~) 12대 인종(1545년~) 13대 명종(1545년~) 14대 선조(1567년)선조수정(1567년~) 15대 광해군중초본(1608년~)광해군정초본(1608년~) 16대 인조(1623년~) 17대 효종(1649년~) 18대 현종(1659년~)현종개수(1659년~) 19대 숙종(1674년~)숙종보궐정오(1674년~) 20대 경종(1720년~)경종수정(1720년~) 21대 영조(1724년~) 22대 정조(1776년~) 23대 순조(1800년~) 24대 헌종(1834년~) 25대 철종(1849년~) 고종 - 순종 26대 고종(1863년~) 27대 순종(1907년~) 순종부록(1910년~) http://sillok.history.go.kr/main/main.do
http://hidream.or.kr/dongeuibogam/index.html - 한글 동의 보감 -음양오행 -사상의학 -장부학 -쑥뜸과 부항 -지압과 경락 -수지침요령 -민간요법과 질병기초 -한방약초의 종류와 효능 -한방식품의 종류와 효능 -한방약차 -한방약술 -암에 도움되는 약초 -건강 상식 -건강정보자료 -한방처방전 -민간약상식 -향약집성방과 향약본초 -1000가지 일반 요리법
보통 우리 아이들이 키가 작다고 생각하면 주로 유전적인 요인이 있지 않을까 많이 생각하십니다. 엄마 혹은 아빠를 닮았기 때문에 작다고 생각하신다면 이는 큰 오산이 될 수 있습니다. 사실 키작은 아이는 단 한가지 문제가 아닌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해 문제가 발생하는 것인데요. 오늘은 ‘키작은 아이 무엇이 문제일까요?’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키가 작은 이유 1. 유전적인 요인 앞서 말한 유전적인 요인은 실제 원인의 30% 정도에만 해당합니다. 즉 나머지 70%의 역량은 부모의 관심과 아이의 습관, 후천적인 요인들로 인해서 충분히 변화될 수 있다는 뜻이지요. 때문에 우리아이가 키가 작다면 유전적인 요인을 탓할 것이 아니라 키가 크는데 있어서 방해가 되는 요인이 있는 것은 아닌지 확인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2. 습관 ‘일찍 자고 일찍 일어나는 것’이야말로 키가 크기 위한 진리입니다. 밤 10시에서 2시 사이 성장호르몬의 분비가 가장 왕성한 시간대이기 때문이지요. 요즘 아이들은 과도한 학업량으로 늦게 자고 일찍 일어나 학교에서 조는 시간이 많은데요. 밤시간대만큼은 푹 잘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3. 균형잡힌 영양상태 아이의 영양상태에 따라서 평균 키가 5cm 가량 차이 난다고 합니다. 그만큼 타고나는 것 이상으로 균형잡힌 식사는 중요하다는 것인데요. 영양상태가 불균형하면 아이가 자랄 수 있는 역량보다 더 작게 자라게 됩니다. 환경호르몬이 많이 들어있는 음식은 성장에 장애가 될 수 있으니 되도록 소화가 잘 되는 영양풍부한 음식으로 준비해주세요 4. 운동부족 잠을 잘 자는 것 외에 운동이 부족해도 성장장애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키 작은 아이가 고민이시라면 꾸준한 운동을 통해 신진대사 능력이 좋아질 수 있도록 해주시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특히 농구처럼 몸을 뻗을 수 있는 운동을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요즘은 키가 작은 아이들로 고민이신 부모님들이 많습니다. 워낙 외모가 중시되는 풍토에서 키는 빼놓을 수 없는 조건 중 하나이기 때문인데요. 각종 한의원 프로그램에는 아이의 성장을 돕도록 오장육부의 신진대사가 잘 이루어질 수 있는 프로그램들이 마련되어 있습니다. 또한 특히 아이가 부족한 부분의 영양상태를 균형있게 맞춰주기 때문에 키가 자라는데 도움을 주는 선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몸이 근본적으로 튼튼해 질 수 있도록 도와주기 때문에 아이의 건강을 위해서도 의미있는 시간이 되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키 작은 아이 무엇이 문제일까요?’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모두 충분한 부모님의 관심과 아이의 습관으로 형성될 수 있는 조건들이니만큼 가정에서도 아이의 키에 한결 더 관심을 가져주신다면 아이의 키도 한뼘 더 무럭무럭 자랄 수 있을 것입니다.
모래무지는 하천 중하류의 모래가 깔린 바닥에 살며, 모래 속에 파고드는 습성이 있다. 물속에 사는 곤충과 작은 동물을 먹는다. 알을 낳는 시기는 5~6월이다. 몸은 길고 원통형이며 뒤쪽으로 갈수록 차츰 가늘어진다. 머리는 길고 뾰족하며, 주둥이는 길고 그 밑에 입이 있다. 입은 작고 말굽 모양이며, 윗입술과 아랫입술에는 피질 소돌기로 덮여 있다. 눈은 머리 옆면 가운데보다 뒤쪽에 있다. 1쌍의 수염은 그 길이가 눈 지름과 거의 같다. 몸통 옆면 가운데에는 6~7개의 큰 검은색 반점이 거의 같은 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다. 학명은 Pseudogobio esocinus TEMMINCK et SCHLEGEL. 이다. 영문명: Goby minnow 몸길이: 15~30cm 방언: 모래무치, 모잼이 몸이 가늘고 긴 원통형으로서 홀쭉하다. 몸의 뒤쪽은 뾰죽하고 꼬리자루[尾柄]는 측편(側扁)하며, 주둥이는 길고 종편(縱扁)하다. 입은 작고 밑쪽에 붙었다. 입술은 넓으며, 유두상(乳頭狀)의 작은 돌기가 밀생한다. 구각부에 한 쌍의 긴 입수염이 있다. 몸빛은 바탕이 담황색인데, 등쪽은 짙고 배쪽으로 갈수록 연하다. 등 언저리는 철색(鐵色)이고 머리에는 검고 작은 점이 산재한다. 비늘의 둘레는 담흑색이고 흑점이 있어 흑색 종선상(縱線狀) 반문을 이루고 있다. 지느러미는 담등색(淡橙色)이고 지느러미가시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흑색 점상(點狀)의 반문이 있다. 몸길이는 10∼20㎝가 보통이나 25㎝ 정도에 달하는 것도 있다. 형태/색깔 몸은 길며 원통형이고 몸 뒷부분은 가늘다. 주둥이는 뾰족하고 길며 입은 주둥이 밑에있다. 입술은 돌기로 덮여 있고, 입수염은 1쌍이다. 눈은 머리 윗부분에 나 있다. 옆줄은 뚜렷하며, 몸 색깔은 전체적으로 회갈색이며 배쪽은 은갈색이다. 몸 가운데와 등에 큰 검은색 반점이 6~7개 있고, 몸 전체에 작은 반점이 흩어져 있다. 뒷지느러미를 제외한 각 지느러미에 검은색 줄무늬가 있다. 생활: 물이 깨끗하고 바닥에 모래가 깔린 하천의 중.상류 바닥에 산다. 먹이: 모래 속 곤충과 소형 동물을 걸러 먹는다. 분포: 서해와 남해로 흐르는 하천에 분포하며, 중국과 일본에도 분포한다. 특징 모래무지는 물이 깨끗하고 모래가 깔린 하천의 중.상류 바닥에 산다. 번식기는 5~7월로 모래에 알을 낳고 모래로 덮는다. 수온이 21도에서 6일이면 몸 길이가 4mm인 새끼가 태어난다. 입으로 모래를 빨아들여서 먹이를 섭취하고 모래는 분리하여 아가미 밖으로 내보낸다. 이 과정에서 모래가 깨끗해지므로 '바닥 청소부' 라는 별명이 있다. 위협을 느끼면 모래를 파고 들어가 숨는다. 버들매치, 두우쟁이 등과 생김새는 비슷하지만 주둥이가 더 길고 뾰족하다. 모래가 있는곳에 많이 살았지만 사람들이 강에서 모래를 퍼내는 바람에 서식지가 줄어들었고, 바닥이 자갈과 펄인 곳까지 밀려나고 점차 그 수도 줄어들고 있다. 진상관련 근거 모래무지는 경상남도(거제시,남해군,사천시,진해시,창원시,하동군), 충청남도(태안군)에서 진상하였다는 기록이 신증동국여지승람에 기록되어있다. 문헌 기록 모래무지는 영조 때에 편찬된 읍지(邑誌)들의 물산조(物産條)에 실려 있다. ≪재물보 才物譜≫에는 모래무지를 사어(鯊魚)라고 하고 “큰 것은 길이가 4, 5촌이고 몸이 둥글고 드렁허리를 닮았다. 사구(沙溝) 속에 살고 모래를 불고 놀며 모래를 빨며 먹는다.”고 하였다. 그리고 그 별명을 타어(駝魚)·취사어·사구어·사온(沙鰮)·아랑어(阿浪魚)라고 하였다. 또 “이른봄에 얼음이 녹으면 물을 거슬러 올라오는데, 유영하는 것이 지둔하여 사람을 보면 곧 주둥이로 사니(沙泥) 속에 파고 들어가므로 우리 나라 사람은 이를 사매어(沙埋魚)라고도 한다. 계간에 있는 것은 모래를 밟아 이를 잡고, 강호에 있는 것은 그물로 잡는다.”라고 하였다. 난호어목지 蘭湖漁牧志와 임원경제지에는 사(鯊)를 한글로 각각 ‘모래마자’·‘모리모자’라고 쓰고 있으며, 이를 설명하여 “계간(溪澗)과 강호(江湖)에 모두 있는데 비늘이 잘고 황백색이며 등에는 흑반문(黑斑文)이 있다. 꼬리는 모지라졌고 갈라져 있지 않다. 지느러미가 억세어 사람을 쏜다. 큰 것의 길이가 5촌에 못 미친다. 대체로 물고기 중에서는 작은 것이다.”라고 하였다. 임원경제지 전어지(佃漁志)에는 모래무지 어획법으로서 답사취어법(踏沙取魚法)이라는 것을 소개하고 있다. 모래무지는 동작이 나는 것처럼 빠른데, 이를 손뼉을 쳐 소리를 내면서 쫓으면 지쳐서 사니 속에 숨는다. 이때 발로 밟아 잡는다는 것이다. 얕은 강물의 모래 위를 거닐면 모래무지가 밟히는 일이 더러 있다. 살은 백색이고 맛이 있다. 몸은 원통형으로 길고 몸 뒤쪽으로 갈수록 점차 가늘어진다. 머리와 주둥이가 길며 입은 머리의 아래쪽으로 향해있다. 입의 아래턱이 위턱보다 짧으며 한 쌍의 수염이 있다. 비늘이 큰 편이며 옆줄의 비늘 수가 40~44개이다. 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는 거의 정삼각형의 모양을 띤다. 몸의 옆에는 8~9개 정도의 커다란 검은 반점이 있으며 반점의 경계는 뚜렷하지 않다. 강의 모래바닥 근처에서 먹이를 찾아 다니며 물 속에 사는 수서곤충이나 작은 동물을 잡아먹는다. 먹이를 먹을 때에는 바닥에 있는 모래와 함께 먹이를 삼켰다가 모래만 아가미구멍으로 내보낸다. 산란기가 되면 알을 모래나 자갈 바닥에 낳는다. 알은 6~7일 뒤에 부화하며 1년 만에 6~7cm 정도로 자라고, 3년이 지나면 15cm 정도까지 성장한다. 우리나라의 서해나 남해 쪽으로 흐르는 강에 많은 수가 살고 있어서 간단한 지렁이 낚시 등으로도 쉽게 잡을 수 있다. 식용으로도 사용하는데 주로 소금구이나 양념을 듬뿍 해서 탕을 끓여 먹기도 한다. 모래에 숨는 특징과 더불어 관상용으로의 가치를 인정 받아 수조와 같은 인공적 환경에서 키우기도 한다. 수질오염에 민감한 편이어서 주로 깨끗한 물에서 살고 있다. 모래나 작은 돌에 붙은 유기물을 걸러서 먹는 습성이 있어서 물의 정화작용을 돕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생태 낙동강에서 압록강에 이르는 사이의 여러 하천에 많이 분포하고 일본에도 분포한다. 하천 중류의 모래바닥이나 자갈이 깔린 강바닥에 붙어서 산다. 때로는 모래 속으로 파고 들어가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먹이를 찾을 때는 몸을 밑바닥에 스치면서 헤엄쳐 다닌다. 산란기는 5, 6월경이다. 먹이는 주로 수서(水棲) 곤충류이다. 그 유충을 모래와 함께 입 속에 넣은 뒤 모래는 새파(鰓耙)구멍을 통해 밖으로 내보낸다. 모래무지를 취사어(吹沙魚)라고도 하는 것은 이 때문이다. 참고문헌 재물보(才物譜), 난호어목지(蘭湖漁牧志),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 한국어도보(정문기, 일지사, 1977),(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국립중앙과학관 - 어류정보, 국립중앙과학관), (두산백과), 신증동국여지승람
모래무지는 하천 중하류의 모래가 깔린 바닥에 살며, 모래 속에 파고드는 습성이 있다. 물속에 사는 곤충과 작은 동물을 먹는다. 알을 낳는 시기는 5~6월이다. 몸은 길고 원통형이며 뒤쪽으로 갈수록 차츰 가늘어진다. 머리는 길고 뾰족하며, 주둥이는 길고 그 밑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