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형유산 지식백과(무형문화지식연구원)
태조 - 철종 1대 태조(1392년~) 2대 정종(1399년~) 3대 태종(1401년~) 4대 세종(1418년~) 5대 문종(1450년~) 6대 단종(1452년~) 7대 세조(1455년~) 8대 예종(1468년~) 9대 성종(1469년~) 10대 연산군(1494년~) 11대 중종(1506년~) 12대 인종(1545년~) 13대 명종(1545년~) 14대 선조(1567년)선조수정(1567년~) 15대 광해군중초본(1608년~)광해군정초본(1608년~) 16대 인조(1623년~) 17대 효종(1649년~) 18대 현종(1659년~)현종개수(1659년~) 19대 숙종(1674년~)숙종보궐정오(1674년~) 20대 경종(1720년~)경종수정(1720년~) 21대 영조(1724년~) 22대 정조(1776년~) 23대 순조(1800년~) 24대 헌종(1834년~) 25대 철종(1849년~) 고종 - 순종 26대 고종(1863년~) 27대 순종(1907년~) 순종부록(1910년~) http://sillok.history.go.kr/main/main.do
http://hidream.or.kr/dongeuibogam/index.html - 한글 동의 보감 -음양오행 -사상의학 -장부학 -쑥뜸과 부항 -지압과 경락 -수지침요령 -민간요법과 질병기초 -한방약초의 종류와 효능 -한방식품의 종류와 효능 -한방약차 -한방약술 -암에 도움되는 약초 -건강 상식 -건강정보자료 -한방처방전 -민간약상식 -향약집성방과 향약본초 -1000가지 일반 요리법
보통 우리 아이들이 키가 작다고 생각하면 주로 유전적인 요인이 있지 않을까 많이 생각하십니다. 엄마 혹은 아빠를 닮았기 때문에 작다고 생각하신다면 이는 큰 오산이 될 수 있습니다. 사실 키작은 아이는 단 한가지 문제가 아닌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해 문제가 발생하는 것인데요. 오늘은 ‘키작은 아이 무엇이 문제일까요?’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키가 작은 이유 1. 유전적인 요인 앞서 말한 유전적인 요인은 실제 원인의 30% 정도에만 해당합니다. 즉 나머지 70%의 역량은 부모의 관심과 아이의 습관, 후천적인 요인들로 인해서 충분히 변화될 수 있다는 뜻이지요. 때문에 우리아이가 키가 작다면 유전적인 요인을 탓할 것이 아니라 키가 크는데 있어서 방해가 되는 요인이 있는 것은 아닌지 확인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2. 습관 ‘일찍 자고 일찍 일어나는 것’이야말로 키가 크기 위한 진리입니다. 밤 10시에서 2시 사이 성장호르몬의 분비가 가장 왕성한 시간대이기 때문이지요. 요즘 아이들은 과도한 학업량으로 늦게 자고 일찍 일어나 학교에서 조는 시간이 많은데요. 밤시간대만큼은 푹 잘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3. 균형잡힌 영양상태 아이의 영양상태에 따라서 평균 키가 5cm 가량 차이 난다고 합니다. 그만큼 타고나는 것 이상으로 균형잡힌 식사는 중요하다는 것인데요. 영양상태가 불균형하면 아이가 자랄 수 있는 역량보다 더 작게 자라게 됩니다. 환경호르몬이 많이 들어있는 음식은 성장에 장애가 될 수 있으니 되도록 소화가 잘 되는 영양풍부한 음식으로 준비해주세요 4. 운동부족 잠을 잘 자는 것 외에 운동이 부족해도 성장장애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키 작은 아이가 고민이시라면 꾸준한 운동을 통해 신진대사 능력이 좋아질 수 있도록 해주시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특히 농구처럼 몸을 뻗을 수 있는 운동을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요즘은 키가 작은 아이들로 고민이신 부모님들이 많습니다. 워낙 외모가 중시되는 풍토에서 키는 빼놓을 수 없는 조건 중 하나이기 때문인데요. 각종 한의원 프로그램에는 아이의 성장을 돕도록 오장육부의 신진대사가 잘 이루어질 수 있는 프로그램들이 마련되어 있습니다. 또한 특히 아이가 부족한 부분의 영양상태를 균형있게 맞춰주기 때문에 키가 자라는데 도움을 주는 선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몸이 근본적으로 튼튼해 질 수 있도록 도와주기 때문에 아이의 건강을 위해서도 의미있는 시간이 되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키 작은 아이 무엇이 문제일까요?’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모두 충분한 부모님의 관심과 아이의 습관으로 형성될 수 있는 조건들이니만큼 가정에서도 아이의 키에 한결 더 관심을 가져주신다면 아이의 키도 한뼘 더 무럭무럭 자랄 수 있을 것입니다.
담양 죽렴장 『추성지(秋成誌)』에 의하면 16세기 후반에 건립된 죽헌(竹軒)이란 정자의 기둥, 들보, 서까래가 모두 대로 되었다고 기록하고 있는데 이것으로 당시에 지어진 많은 건물들에도 대발이 사용되고 있었음을 유추해 볼 수 있다. 대발의 길이는 보통 6척이고 외창은 3척, 쌍창은 4척 5촌의 너비이다. 담양죽렴장 상품정보 죽렴장은 대나무를 재료로 대발 만드는 기술을 가진 장인이다. 대발은 보통 길이가 6자인데 외창은 3자(90cm), 쌍창은 4자 5치의 너비이다. 종류는 조렴하지 않은 대를 사용하는 쪽발, 들깨기름과 활달을 배합해 발살에 물을 들여 엮어 윤기가 많은 가마발, 대의 겉부분[竹皮]을 발살로 한 겉세렴, 대의 속살을 발살로 한 속세렴, 거북의 등에 있는 6각 무늬인 귀갑문을 배열하는 귀문렴, 그리고 김을 만들 때 쓰는 김, 붓을 보관할 때 쓰는 붓발이 있다. 대발의 재료는 보통 2∼3년생 분죽과 왕죽을 이용하는데 왕죽은 일하기 쉬우며 때깔이 좋다고 한다. 채취는 물기가 빠지는 10월 중순∼1월 중순에 한다. 대를 엮는데 명주실과 무명실이 필요하며 고들개(고름돌)와 발걸이도 있어야 한다. 만드는 도구로는 큰칼․작은칼․대통․조렴(조름)띠․조렴돌․발목틀․집게․줄․가위․발틀이다. 만드는 과정은 채취한 2∼3년생 대를 순색이 되도록 음지에서 말린 뒤 절단․쪽살내기․마디 훑음질․잔살내기․조름질․엮음질의 순서로 한다. 특히 조름(조렴)질이 중요한데 가늘게 쪼갠 발살을 조름쇠 구멍을 통과시켜 가늘고 둥글게 만든다. 한쪽을 집게로 잡아 조름질을 하는데 조름쇠에 여러 가지 크기의 구멍이 있어 용도에 따라 골라 사용한다. 3회 조름질한 것(세벌조름)이 제일 가늘며, 가늘수록 상품에 사용된다. 죽렴은 담양 일원에서 만들어 졌다. 기능보유자 박성춘 장인(匠人)은 선대부터 가업으로 전승하였고 아버지 박상언(1917~1987)을 이어 전통 기능을 이어 가고 있다. 발이란 갈대 또는 가늘게 쪼갠 대나무를 실로 엮어서 만든 가리개로 해를 가리거나 실내의 장식등에 사용된다. 담양의 대발은 이 지역을 중심으로 죽세공이 발달한 점이나, 16세기 후반에 건립된 죽헌이란 정자의 기둥, 들보, 서까래가 모두 대로 되었다는 『추성지』의 기록으로 미루어 이들 건물에도 대발이 사용되었음을 추정해 볼 수 있다. 대발은 보통 길이가 6척인데 외창은 3척, 쌍창은 4척5촌의 너비이다. 종류는 ①조렴하지 않은 대를 그대로 사용하는 쪽 발 ②들깨기름과 활달을 배합해 발살에 물을 들여 엮어 윤기 가 많은 가마발 ③대의 겉부분을 발살로 한 겉세렴(죽피렴) ④속세렴(내죽렴) ⑤거북의 등모양 6각 무늬(귀갑문)을 배열 하는 보통귀문겸 ⑥보통조각렴 ⑦장조각렴 ⑧족자발 ⑨김발 ⑩붓발 ⑪병풍발 대발은 보통 2~3년생 분죽과 왕죽을 이용하는데 왕죽은 일하기 쉬우며 뗏갈이 좋다고 한다. 채취는 물기가 빠지는 10월 중순~1월 중순에 하는 것이 좋다. 이들을 엮는데 명주실, 무명 실이 필요하며 고들개(고름돌) 발걸이 등도 있어야 한다. 공구로는 큰칼, 작은칼, 대통, 조렴(조름)띠, 조렴돌, 발목틀, 집 게, 줄, 가위, 발틀 등이다. 공정은 채취한2~3년생 대를 저장하여 순색이 되도록 음건한 뒤 절단, 쪽살내기, 마디훑음질, 잔살내기, 조름질, 엮음질의 순서로 제작한다. 특히 중요한 공정은 조름질(조렴질)인데 가 늘게 쪼갠 발살을 조름쇠 구명을 통과시켜 가늘고 둥글게 만 든다. 한쪽을 집게로 잡아 조름질을 하는데 조름쇠에 여러가 지 크기의 구멍이 있어 용도에 따라 골라 사용한다. 3회 조름질한 견(세벌조름)이 제일 가늘며, 가늘수록 상품에 사용된다. 죽렴의 원래 제작지는 담양 대덕면 용산리였다고 하며 김병 권(1857~1900), 창평면 장화리의 이달수(1891~1961), 광덕리의 조병권, 오길수, 봉산면 주곡리 송산마을의 김두옥 (1905~1982) 박상언(1917~1987, 박성춘의 부)등이 유명했다고 한다. 기능보유자 박성춘의 선대는 남원에서 살았고 고조 채례(1819~1844) 때에 창평 삼천리로 입촌한 뒤 다시 조부 백 현(1980~1918)대에 1920년께 송산에 정착하였다. 죽렴장 ・ 전남무형문화재 제23호(1990. 2. 4. 지정) ・ 전승지 : 담양군 봉산면 기곡리 ・ 기능보유자 : 박성춘(朴成春, 1938년생) 관련근거 및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두산백과 ,한국의 박물관, 1999.5.1, 문예마당
담양 죽렴장 『추성지(秋成誌)』에 의하면 16세기 후반에 건립된 죽헌(竹軒)이란 정자의 기둥, 들보, 서까래가 모두 대로 되었다고 기록하고 있는데 이것으로 당시에 지어진 많은 건물들에도 대발이 사용되고 있었음을 유추해 볼 수 있다. 대발의 길이는 보통 6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