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형유산 지식백과(무형문화지식연구원)
태조 - 철종 1대 태조(1392년~) 2대 정종(1399년~) 3대 태종(1401년~) 4대 세종(1418년~) 5대 문종(1450년~) 6대 단종(1452년~) 7대 세조(1455년~) 8대 예종(1468년~) 9대 성종(1469년~) 10대 연산군(1494년~) 11대 중종(1506년~) 12대 인종(1545년~) 13대 명종(1545년~) 14대 선조(1567년)선조수정(1567년~) 15대 광해군중초본(1608년~)광해군정초본(1608년~) 16대 인조(1623년~) 17대 효종(1649년~) 18대 현종(1659년~)현종개수(1659년~) 19대 숙종(1674년~)숙종보궐정오(1674년~) 20대 경종(1720년~)경종수정(1720년~) 21대 영조(1724년~) 22대 정조(1776년~) 23대 순조(1800년~) 24대 헌종(1834년~) 25대 철종(1849년~) 고종 - 순종 26대 고종(1863년~) 27대 순종(1907년~) 순종부록(1910년~) http://sillok.history.go.kr/main/main.do
http://hidream.or.kr/dongeuibogam/index.html - 한글 동의 보감 -음양오행 -사상의학 -장부학 -쑥뜸과 부항 -지압과 경락 -수지침요령 -민간요법과 질병기초 -한방약초의 종류와 효능 -한방식품의 종류와 효능 -한방약차 -한방약술 -암에 도움되는 약초 -건강 상식 -건강정보자료 -한방처방전 -민간약상식 -향약집성방과 향약본초 -1000가지 일반 요리법
보통 우리 아이들이 키가 작다고 생각하면 주로 유전적인 요인이 있지 않을까 많이 생각하십니다. 엄마 혹은 아빠를 닮았기 때문에 작다고 생각하신다면 이는 큰 오산이 될 수 있습니다. 사실 키작은 아이는 단 한가지 문제가 아닌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해 문제가 발생하는 것인데요. 오늘은 ‘키작은 아이 무엇이 문제일까요?’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키가 작은 이유 1. 유전적인 요인 앞서 말한 유전적인 요인은 실제 원인의 30% 정도에만 해당합니다. 즉 나머지 70%의 역량은 부모의 관심과 아이의 습관, 후천적인 요인들로 인해서 충분히 변화될 수 있다는 뜻이지요. 때문에 우리아이가 키가 작다면 유전적인 요인을 탓할 것이 아니라 키가 크는데 있어서 방해가 되는 요인이 있는 것은 아닌지 확인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2. 습관 ‘일찍 자고 일찍 일어나는 것’이야말로 키가 크기 위한 진리입니다. 밤 10시에서 2시 사이 성장호르몬의 분비가 가장 왕성한 시간대이기 때문이지요. 요즘 아이들은 과도한 학업량으로 늦게 자고 일찍 일어나 학교에서 조는 시간이 많은데요. 밤시간대만큼은 푹 잘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3. 균형잡힌 영양상태 아이의 영양상태에 따라서 평균 키가 5cm 가량 차이 난다고 합니다. 그만큼 타고나는 것 이상으로 균형잡힌 식사는 중요하다는 것인데요. 영양상태가 불균형하면 아이가 자랄 수 있는 역량보다 더 작게 자라게 됩니다. 환경호르몬이 많이 들어있는 음식은 성장에 장애가 될 수 있으니 되도록 소화가 잘 되는 영양풍부한 음식으로 준비해주세요 4. 운동부족 잠을 잘 자는 것 외에 운동이 부족해도 성장장애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키 작은 아이가 고민이시라면 꾸준한 운동을 통해 신진대사 능력이 좋아질 수 있도록 해주시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특히 농구처럼 몸을 뻗을 수 있는 운동을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요즘은 키가 작은 아이들로 고민이신 부모님들이 많습니다. 워낙 외모가 중시되는 풍토에서 키는 빼놓을 수 없는 조건 중 하나이기 때문인데요. 각종 한의원 프로그램에는 아이의 성장을 돕도록 오장육부의 신진대사가 잘 이루어질 수 있는 프로그램들이 마련되어 있습니다. 또한 특히 아이가 부족한 부분의 영양상태를 균형있게 맞춰주기 때문에 키가 자라는데 도움을 주는 선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몸이 근본적으로 튼튼해 질 수 있도록 도와주기 때문에 아이의 건강을 위해서도 의미있는 시간이 되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키 작은 아이 무엇이 문제일까요?’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모두 충분한 부모님의 관심과 아이의 습관으로 형성될 수 있는 조건들이니만큼 가정에서도 아이의 키에 한결 더 관심을 가져주신다면 아이의 키도 한뼘 더 무럭무럭 자랄 수 있을 것입니다.
백단향(白檀香)과 자단향(紫檀香) 일반적으로 흔히 백단향과 자단향은 약재의 겉표면이 흰색과 자색의 차이가 있을 뿐 단향(檀香)이라는 이름이 같아 색깔이 다른 같은 종류의 약이라고 생각하고 있다.그러나 백단향과 자단향은 본초학적으로 성미와 효능이 전혀 다를 뿐 아니라 식물분류학적으로도 다른 식물이다. 백단향은 단향과(Santalum album L.)에 속하는 식물로 두 가지 종류가 있다.질이 비교적 딱딱하고 색이 엷은 것을 백단향, 색이 짙고 맛이 진한 것은 황(黃)단향이라 부르는데 이 둘은 같은 것으로 보면 된다.이 약은 성미가 신온(辛溫)하고 이기(理氣), 산한(散寒), 지통(止痛)하는 효능을 갖고 있다.① 임상응용에 있어서는 한응기체(寒凝氣滯)하여 발생하는 위(胃)나 복부(腹部)의 동통이나 또는 토사곽란에 의한 복통(腹痛), 산통(疝痛)에 쓰며 식욕부진에도 이용한다.② 기체혈어(氣滯血瘀)에 의한 협심증(狹心症)에 쓴다. 자단향은 식물학적으로 두과(荳科)에 속하는 Pterocar indicus willd에 속하는 일명 두침향(두沈香)이라고도 한다.이 약은 성미가 함(鹹), 양(凉)한 약으로 냉혈(冷血), 지혈(止血), 해독(解毒), 소종(消腫), 지통(止痛)하는 효능이 있다. 그러므로 창상출혈(創傷出血)이나 옹종창독(癰腫瘡毒)에 내복 또는 외용으로 쓴다. 이 두 약은 모두 열대지역에 자생하는 식물로서 특히 동남아지역 중 대만, 인도,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중국의 남쪽 광동, 광서, 운남 지역에서 나는 식물로 우리나라에는 없는 식물이다.그러나 동의보감 본초 부분에 자단향이 우리나라 강원도에 많이 자생하고 있다고 속방에 기록되어 있다.신씨본초학에도 자단향을 향나무(sabina chinensis(L) Antoine)로 기록하고 있다. 아마도 향나무의 재질에 빛과 향이 비슷하기 때문에 대용으로 쓰는 경우가 많았던 것으로 이해된다.향나무는 거풍(祛風), 산한(散寒)하고 활혈(活血), 해독(解毒)하는 효능이 있으며, 풍한(風寒)에 의한 감모(感冒)인 경우에 전탕(煎湯)하여 복용하거나 풍습관절동통(風濕關節疼痛)에 전탕하여 훈세(熏洗)하고 옹종(癰腫) 초기에 경결동통(硬結疼痛)에 외용하기도 한다. 이 약은 중국에서는 측백나무과의 원백(圓柏, Sabina chinensis(L) Antoine)이라고 하여 성미가 신온(辛溫)하고 독성을 약간 갖고 있는 약으로 자단향의 성미가 한랭(寒冷) 무독(無毒)한 경우와는 정반대의 성미를 갖고 있으므로 대용약으로 이용하는 것은 잘못된 사실이라고 볼 수 있다.실제 우리나라에서 중국의 백단향과 자단향을 같이 배합하여 궁중 비방으로 많이 이용하였던 처방이 있다.전근대 농경시대는 위생시설이 없었던 관계로 상한 음식이나 찬 음식을 먹고 체하게 되면 곽란이나 관격이 발생하여 위급한 상황에 처했을 때 상비약으로 손쉽게 환약을 빚어 복용하였던 처방이 곧, 천금광제환(千金廣濟丸)과 입효제중단(立效濟衆丹)이다.전자는 자단향과 백단향을 같이 배합하여 썼고 후자는 자단향만이 들어있다. 예부터 수입 고가약이기 때문에 궁중 내국에서만 이용하였던 것이 차츰 무역이 원활해지면서 대중화됨에 따라 방약합편에서도 이 처방을 이용하게 되었다고 생각된다. 단향은 향기가 청아하고 불에 태우면 향기가 더욱 진하게 나타난다. 이 약은 30~40년 된 나무를 잘라 심재를 쓰는데 특히 수지가 많이 들어있는 것을 단향니(檀香泥)라고 하여 위가 한하여 발생한 기통(氣痛)이나 칠정간울에도 효과가 좋으며, 단향나무 심재를 잘게 썰어 증류기에 넣고 증류하여 향유(香油)를 얻어 의료용으로 쓴다.중국 약재 시장에는 다양한 제품으로 만들어 판매하고 있다. 특히, 단향나무의 뿌리는 심재보다 향기가 더욱 짙으며 향료, 약품, 불상조각, 세공제품 그리고 고급 향재료로 쓰인다.자단향(紫檀香) 라틴명: Pterocarpi Lignum 약재의 효능: 화혈(和血) (혈(血)의 운행을 조화롭게 하는 효능임) 소종(消腫): (옹저(癰疽)나 상처가 부은 것을 가라앉히는 치료법임) 혈(止血): (출혈(出血)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정통(定痛): (통증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벽취기(辟臭氣): (냄새나는 나쁜 기운에 상하는 것을 피하는 효능임) 작용부위: 간(肝) 성미: 미한(微寒) , 함(鹹) 주의사항: 심재(心材). 농이 많으면 복용하지 말 것. 약재사용처방승명탕(升明湯): 열울(熱鬱) , 해역(咳逆) , 혈일두통(血溢頭痛) 심평탕(審平湯): 중열(中熱) , 면목부종(面目浮腫) , 복창(腹脹) 자단향(紫檀香): 금창(金瘡) 성질은 따뜻하며[溫] 맛은 맵고[辛] 독이 없다. 약독, 풍독, 곽란, 명치 아래가 아픈 것, 중악, 헛것에 들린 것 등을 낫게 한다. 일명 자진단(紫眞檀)이라고도 한다[본초]. ○ 우리나라에는 강원도에서 많이 난다[속방]. 진상품관련근거 자단향(紫檀香)은 강원도(강릉대도호부, 삼척도호부, 영월군, 정선군, 평창군, 횡성현) 충청도(영춘, 단양, 제천, 청풍)에서 진상하였다는 기록이 신증동국여지승람, 여지도서에 기록되어있다 . 자단향(紫檀香)은 콩과 식물인 상록 교목인 자단의 심부목재를 말한다. 자단향은 원산지가 스리랑카이고, 속살이 붉은 색을 띤 보랏빛이라서 자단향이라고 부른다. 우리나라에서 자주보는 향나무(학명 ; Juniperus chinensis)는 침엽수인데 화성의 융건릉 재실 앞의 향나무 고목도 자단향이라 부르지만 잎이 둥근형인 열대지방 자단향과는 다르다. 자단향의 학명은 Pterocarpus indicus이다. 자단향의 특성 자단향의 키 높이는 15∼25m, 지름은 40Cm에 이르며, 가지에는 부드러운 털이 있다. 작은잎은 7~9개이고, 둥근 네모꼴이며 길이는 6.5~11Cm, 너비는 4~5Cm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뒷면에는 회색 털이 빽빽하게 나 있다. 꽃은 노란색이고, 목재가 자줏빛이면서 박달나무처럼 단단하기 때문에 자단이라고 하며, 조각재나 가구재로 쓰인다. 향나무(자단향)의 특성향나무(자단향)의 특성 우리나라의 해안지방이나 섬지방에 자생하는 상록성 침엽교목인 향나무는 나무껍질이 암갈색이고 잎은 송곳모양이다. 향나무의 심부를 자단향으로도 사용하지만 진품으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실제 자단향은 식물자체가 귀하고 워낙 고가이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가까운 종은 물론 다른 속(屬)의 재목까지도 섞어서 취급하지만 자단속의 목재를 열탕 또는 암모니아수로 침출하면 형광성이 나타나므로 다른 것과 구별할 수가 있다. 아래 사진은 화성 융건릉의 자단향(향나무)이다. 자단향의 가치 자단향은 표면에 금가루를 뿌려놓은 것처럼 반짝거리고 소털 무늬가 있어서 밤하늘에 별을 보듯이 아릅답다. 현재 수종 보호차원에서 CITES 국제적 거래금지 나무인데 중국인들이 투기차원에서 매점하는 관계로 해마다 가격이 상승하고 있다. 아래 사진과 같은 재료로 만든 가구는 수억원을 호가한다. 자단향의 성분 자단향은 pterocarpine, homopterocarpin angolensin을 함유한다. 동속 식물인 Pterocarpus santalinus의 심부 목재는 santalin, desoxysantalin, santol, pterostilbene, pterocarpine, homepterocarpin, pterocarpol을 함유한다. 자단향의 심부목재에서 산탈린(santaline)이란 혈적색소(血赤色素)가 추출되었다. 자단향의 항암효능 자단향의 동속식물인 Pterocarpus santalinus 추출액은 생쥐의 Erich 복수암에 대해 억제 작용이 있고, 복수의 발생율을 감소시키면서 생존율을 연장하고, 사망률을 저하시켰다. 또한 자단향 추출물은 각종 암세포 억제효과 및 자가사멸을 유도하는 효과를 가지기 때문에 암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자단향의 효능 자단향은 부기를 가라앉히고 통증을 완화하면서 지혈작용을 한다. 또한 자단향 추출물은 간 조직 및 혈장의 지질농도를 감소시키고 간 기능 지표 효소의 활성을 정상화하여 간 조직 내의 지방축적을 개선하는 효능이 있어 고지혈증 및 지방간의 예방 및 치료의 목적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칼이나 창에 찔렸을 때는 가루내어 바른다. 자단향의 부작용 자단향은 음허(陰虛)증인 경우에는 사용하지 않고, 화농이 심하게 된 경우에도 사용해서는 안된다. 또한 목재를 사용할 때는 한꺼번에 너무 많이 먹지 말아야 한다. 자단향 사용시의 주의사항 자단향은 한번에 2그램에서 4그램을 달여서 먹거나 가루내어 개어서 바르고, 말리지 않은 생것을 즙을 내어 바르기도 한다. 또한 각종 부종에는 식초를 넣고 갈아서 바르기도 한다. 아래 사진은 [동의보감] 탕액편의 자단향 항목이다. 관련문헌 자단향 항암효능과 부작용, 주의사항|작성자체질박사, 속방, 본초강목, 신증동국여지승람, 여지도서, 인생의 자연건강컨텐츠, 한글동의보감, 강병수 교수의 본초이야기
라틴명: Ptero...平湯): 중열(中熱) , 면목부종(面目浮腫) , 복창(腹脹) 자단향(紫檀香): 금창(金瘡) 성질은 따뜻하며[溫] 맛은 맵고[辛] 독이 없다. 약독, 풍독, 곽란, 명치 아래가 아픈 것, 중악, 헛것에 들린 것 등을 낫게 한다. 일명 자진단(紫眞檀)이라고도 한다[본초]. ○ 우리나라에는 강원도에서 많이 난다[속방]. 진상품관련근거 자단향(紫檀香)은 강원도(강릉대도호부, 삼척도호부, 영월군, 정선군, 평창군, 횡성현) 충청도(영춘, 단양, 제천, 청풍)에서 진상하였다는 기록이 신증동국여지승람, 여지도서에 기록되어있다 . 자단향(紫檀香)은 콩과 식물인 상록 교목인 자단의 심부목재를 말한다. 자단향은 원산지가 스리랑카이고, 속살이 붉은 색을 띤 보랏빛이라서 자단향이라고 부른다. 우리나라에서 자주보는 향나무(학명 ; Juniperus chinensis)는 침엽수인데 화성의 융건릉 재실 앞의 향나무 고목도 자단향이라 부르지만 잎이 둥근형인 열대지방 자단향과는 다르다. 자단향의 학명은 Pterocarpus indicus이다. 자단향의 특성 자단향의 키 높이는 15∼25m, 지름은 40Cm에 이르며, 가지에는 부드러운 털이 있다. 작은잎은 7~9개이고, 둥근 네모꼴이며 길이는 6.5~11Cm, 너비는 4~5Cm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뒷면에는 회색 털이 빽빽하게 나 있다. 꽃은 노란색이고, 목재가 자줏빛이면서 박달나무처럼 단단하기 때문에 자단이라고 하며, 조각재나 가구재로 쓰인다. 향나무(자단향)의 특성향나무(자단향)의 특성 우리나라의 해안지방이나 섬지방에 자생하는 상록성 침엽교목인 향나무는 나무껍질이 암갈색이고 잎은 송곳모양이다. 향나무의 심부를 자단향으로도 사용하지만 진품으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실제 자단향은 식물자체가 귀하고 워낙 고가이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가까운 종은 물론 다른 속(屬)의 재목까지도 섞어서 취급하지만 자단속의 목재를 열탕 또는 암모니아수로 침출하면 형광성이 나타나므로 다른 것과 구별할 수가 있다. 아래 사진은 화성 융건릉의 자단향(향나무)이다. 자단향의 가치 자단향은 표면에 금가루를 뿌려놓은 것처럼 반짝거리고 소털 무늬가 있어서 밤하늘에 별을 보듯이 아릅답다. 현재 수종 보호차원에서 CITES 국제적 거래금지 나무인데 중국인들이 투기차원에서 매점하는 관계로 해마다 가격이 상승하고 있다. 아래 사진과 같은 재료로 만든 가구는 수억원을 호가한다. 자단향의 성분 자단향은 pterocarpine, homopterocarpin angolensin을 함유한다. 동속 식물인 Pterocarpus santalinus의 심부 목재는 santalin, desoxysantalin, santol, pterostilbene, pterocarpine, homepterocarpin, pterocarpol을 함유한다. 자단향의 심부목재에서 산탈린(santaline)이란 혈적색소(血赤色素)가 추출되었다. 자단향의 항암효능 자단향의 동속식물인 Pterocarpus santalinus 추출액은 생쥐의 Erich 복수암에 대해 억제 작용이 있고, 복수의 발생율을 감소시키면서 생존율을 연장하고, 사망률을 저하시켰다. 또한 자단향 추출물은 각종 암세포 억제효과 및 자가사멸을 유도하는 효과를 가지기 때문에 암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자단향의 효능 자단향은 부기를 가라앉히고 통증을 완화하면서 지혈작용을 한다. 또한 자단향 추출물은 간 조직 및 혈장의 지질농도를 감소시키고 간 기능 지표 효소의 활성을 정상화하여 간 조직 내의 지방축적을 개선하는 효능이 있어 고지혈증 및 지방간의 예방 및 치료의 목적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칼이나 창에 찔렸을 때는 가루내어 바른다. 자단향의 부작용 자단향은 음허(陰虛)증인 경우에는 사용하지 않고, 화농이 심하게 된 경우에도 사용해서는 안된다. 또한 목재를 사용할 때는 한꺼번에 너무 많이 먹지 말아야 한다. 자단향 사용시의 주의사항 자단향은 한번에 2그램에서 4그램을 달여서 먹거나 가루내어 개어서 바르고, 말리지 않은 생것을 즙을 내어 바르기도 한다. 또한 각종 부종에는 식초를 넣고 갈아서 바르기도 한다. 아래 사진은 [동의보감] 탕액편의 자단향 항목이다. 관련문허 자단향 항암효능과 부작용, 주의사항|작성자체질박사, 속방, 본초강목, 신증동국여지승람, 여지도서, 인생의 자연건강컨텐츠, 한글동의보감
자단향(紫檀香)은 콩과 식물인 상록 교목인 자단의 심부목재를 말한다. 자단향은 원산지가 스리랑카이고, 속살이 붉은 색을 띤 보랏빛이라서 자단향이라고 부른다. 우리나라에서 자주보는 향나무(학명 ; Juniperus chinensis)는 침엽수인데 화성의 융건릉 재실 앞의 향나무 고목도 자단향이라 부르지만 잎이 둥근형인 열대지방 자단향과는 다르다. 자단향의 학명은 Pterocarpus indicus이다. 진상품관련근거 자단향(紫檀香)은 강원도(강릉대도호부, 삼척도호부, 영월군, 정선군, 평창군, 횡성현) 충청도(영춘, 단양, 제천, 청풍)에서 진상하였다는 기록이 신증동국여지승람, 여지도서에 기록되어있다 자단향의 특성 자단향의 키 높이는 15∼25m, 지름은 40Cm에 이르며, 가지에는 부드러운 털이 있다. 작은잎은 7~9개이고, 둥근 네모꼴이며 길이는 6.5~11Cm, 너비는 4~5Cm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뒷면에는 회색 털이 빽빽하게 나 있다. 꽃은 노란색이고, 목재가 자줏빛이면서 박달나무처럼 단단하기 때문에 자단이라고 하며, 조각재나 가구재로 쓰인다 . 향나무(자단향)의 특성향나무(자단향)의 특성 우리나라의 해안지방이나 섬지방에 자생하는 상록성 침엽교목인 향나무는 나무껍질이 암갈색이고 잎은 송곳모양이다. 향나무의 심부를 자단향으로도 사용하지만 진품으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실제 자단향은 식물자체가 귀하고 워낙 고가이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가까운 종은 물론 다른 속(屬)의 재목까지도 섞어서 취급하지만 자단속의 목재를 열탕 또는 암모니아수로 침출하면 형광성이 나타나므로 다른 것과 구별할 수가 있다. 아래 사진은 화성 융건릉의 자단향(향나무)이다. 자단향의 가치 자단향은 표면에 금가루를 뿌려놓은 것처럼 반짝거리고 소털 무늬가 있어서 밤하늘에 별을 보듯이 아릅답다. 현재 수종 보호차원에서 CITES 국제적 거래금지 나무인데 중국인들이 투기차원에서 매점하는 관계로 해마다 가격이 상승하고 있다. 아래 사진과 같은 재료로 만든 가구는 수억원을 호가한다. 자단향의 성분 자단향은 pterocarpine, homopterocarpin angolensin을 함유한다. 동속 식물인 Pterocarpus santalinus의 심부 목재는 santalin, desoxysantalin, santol, pterostilbene, pterocarpine, homepterocarpin, pterocarpol을 함유한다. 자단향의 심부목재에서 산탈린(santaline)이란 혈적색소(血赤色素)가 추출되었다. 자단향의 항암효능 자단향의 동속식물인 Pterocarpus santalinus 추출액은 생쥐의 Erich 복수암에 대해 억제 작용이 있고, 복수의 발생율을 감소시키면서 생존율을 연장하고, 사망률을 저하시켰다. 또한 자단향 추출물은 각종 암세포 억제효과 및 자가사멸을 유도하는 효과를 가지기 때문에 암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자단향의 효능 자단향은 부기를 가라앉히고 통증을 완화하면서 지혈작용을 한다. 또한 자단향 추출물은 간 조직 및 혈장의 지질농도를 감소시키고 간 기능 지표 효소의 활성을 정상화하여 간 조직 내의 지방축적을 개선하는 효능이 있어 고지혈증 및 지방간의 예방 및 치료의 목적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칼이나 창에 찔렸을 때는 가루내어 바른다. 자단향의 부작용 자단향은 음허(陰虛)증인 경우에는 사용하지 않고, 화농이 심하게 된 경우에도 사용해서는 안된다. 또한 목재를 사용할 때는 한꺼번에 너무 많이 먹지 말아야 한다. 자단향 사용시의 주의사항 자단향은 한번에 2그램에서 4그램을 달여서 먹거나 가루내어 개어서 바르고, 말리지 않은 생것을 즙을 내어 바르기도 한다. 또한 각종 부종에는 식초를 넣고 갈아서 바르기도 한다. 아래 사진은 [동의보감] 탕액편의 자단향 항목이다. [출처]자단향 항암효능과 부작용, 주의사항|작성자체질박사
영월 백단향 &n...사용한다. 학명은 Santalum album이다. 백단향(白檀香)과 자단향(紫丹香)은 강원도(영월군)에서 진상하였다는 기록이 신증동국여지승람, 여지도서에 기록되어있다. 백단향의 특성 백단나무는 박달나무와 비슷한데 키 높이가 6~9m에 이르고, 기생뿌리가 있으며 나무껍질은 짙은 갈색인데 거칠고 세로로 갈라져 있다. 어린가지는 반들반들하고 털이 없으며 잎은 가죽처럼 질기다. 잎은 타원형 또는 계란형인데 길이가 3.5~5Cm, 너비가 2~2.5Cm이며, 잎의 뒤쪽은 청백색으로 털이 없다. 꽃은 연한 황색이지만 점차 진한 붉은 색으로 변한다. 백단향의 성분 백단향의 심부 목재에는 3~5%의 정유가 들어 있는데α-santalol, β-santalol이 90% 이상 들어 있고, santene, α-santalene, β-santalene, santenone, santenone alcohol 및 소량의 santalic acid, teresantalic acid, santal aldehyde가 들어 있다. 백단향의 효능 백단향은 기운을 조절하고 위기능을 조화시키는 효능이 있어서 구토나 흉통, 복통, 소화불량을 치료한다. 그래서 허리가 아프거나 남성들의 고환통증에도 백단향 가루를 붙이기도 한다. 백단향의 이용 백단나무 뿌리와 심부 목재 부위에 정유가 생기려면 최소 15년에서 20년이 걸리는데, 60 에서 80년이 되면 최고 성장치에 다다르게된다. 백단나무는 인도 정부의 전매 품목으로 정부가 백단나무의 수확과 수출을 감독, 규제하고 있을 정도이다. 백단나무 정유는 향료로 주로 사용되고 있다. 백단향의 부작용 백단향은 성질이 덥고 독은 없다. 그래서 음허(陰虛)인 사람은 먹지 않는 것이 좋다. 사상의학에서는 백단향을 소음인의 약물로 분류하고 [소합향원]의 구성약물로 처방하고 있다. 따라서 소양인 체질인 사람은 백단향을 먹지 않는 것이 좋다. 특히 몸에 열이 많아서 피를 자주 흘리는 사람이나 기침을 자주 하는 사람은 피해야 한다. 백단향 사용시의 주의사항 백단향은 한번에 3그램에서 5그램을 달여서 먹거나 알약, 가루약 형태로 먹고 통증조절을 위해서는 백단향을 물을 부어가면서 가루내어 밀가루나 꿀에 개어서 환부에 붙이고, 말리지 않은 잎이나 줄기를 짓찧어 환부에 붙이기도 한다. 아래 사진은 [동의보감] 탕액편의 백단향 항목이다. 출처: 신증동국여지승람, 여지도서, 동의보감, 김달래한의원 체질박사
백단향(白檀香)과 자단향(紫檀香) 일반적으로 흔히 백단향과 자단향은 약재의 겉표면이 흰색과 자색의 차이가 있을 뿐 단향(檀香)이라는 이름이 같아 색깔이 다른 같은 종류의 약이라고 생각하고 있다.그러나 백단향과 자단향은 본초학적으로 성미와 효능이 전혀…
라틴명: Ptero...平湯): 중열(中熱) , 면목부종(面目浮腫) , 복창(腹脹) 자단향(紫檀香): 금창(金瘡) 성질은 따뜻하며[溫] 맛은 맵고[辛] 독이 없다. 약독, 풍독, 곽란, 명치 아래가 아픈 것, 중악, 헛것에 들린 것 등을 낫게 한다. 일명 자진단(紫眞檀)이라고도 한…
자단향(紫檀香)은 콩과 식물인 상록 교목인 자단의 심부목재를 말한다. 자단향은 원산지가 스리랑카이고, 속살이 붉은 색을 띤 보랏빛이라서 자단향이라고 부른다. 우리나라에서 자주보는 향나무(학명 ; Juniperus chinensis)는 침엽수인데 화성의 융건릉 재실 앞의…
영월 백단향 &n...사용한다. 학명은 Santalum album이다. 백단향(白檀香)과 자단향(紫丹香)은 강원도(영월군)에서 진상하였다는 기록이 신증동국여지승람, 여지도서에 기록되어있다. 백단향의 특성 백단나무는 박달나무와 비슷한데 키 높이가 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