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형유산 지식백과(무형문화지식연구원)
태조 - 철종 1대 태조(1392년~) 2대 정종(1399년~) 3대 태종(1401년~) 4대 세종(1418년~) 5대 문종(1450년~) 6대 단종(1452년~) 7대 세조(1455년~) 8대 예종(1468년~) 9대 성종(1469년~) 10대 연산군(1494년~) 11대 중종(1506년~) 12대 인종(1545년~) 13대 명종(1545년~) 14대 선조(1567년)선조수정(1567년~) 15대 광해군중초본(1608년~)광해군정초본(1608년~) 16대 인조(1623년~) 17대 효종(1649년~) 18대 현종(1659년~)현종개수(1659년~) 19대 숙종(1674년~)숙종보궐정오(1674년~) 20대 경종(1720년~)경종수정(1720년~) 21대 영조(1724년~) 22대 정조(1776년~) 23대 순조(1800년~) 24대 헌종(1834년~) 25대 철종(1849년~) 고종 - 순종 26대 고종(1863년~) 27대 순종(1907년~) 순종부록(1910년~) http://sillok.history.go.kr/main/main.do
http://hidream.or.kr/dongeuibogam/index.html - 한글 동의 보감 -음양오행 -사상의학 -장부학 -쑥뜸과 부항 -지압과 경락 -수지침요령 -민간요법과 질병기초 -한방약초의 종류와 효능 -한방식품의 종류와 효능 -한방약차 -한방약술 -암에 도움되는 약초 -건강 상식 -건강정보자료 -한방처방전 -민간약상식 -향약집성방과 향약본초 -1000가지 일반 요리법
보통 우리 아이들이 키가 작다고 생각하면 주로 유전적인 요인이 있지 않을까 많이 생각하십니다. 엄마 혹은 아빠를 닮았기 때문에 작다고 생각하신다면 이는 큰 오산이 될 수 있습니다. 사실 키작은 아이는 단 한가지 문제가 아닌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해 문제가 발생하는 것인데요. 오늘은 ‘키작은 아이 무엇이 문제일까요?’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키가 작은 이유 1. 유전적인 요인 앞서 말한 유전적인 요인은 실제 원인의 30% 정도에만 해당합니다. 즉 나머지 70%의 역량은 부모의 관심과 아이의 습관, 후천적인 요인들로 인해서 충분히 변화될 수 있다는 뜻이지요. 때문에 우리아이가 키가 작다면 유전적인 요인을 탓할 것이 아니라 키가 크는데 있어서 방해가 되는 요인이 있는 것은 아닌지 확인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2. 습관 ‘일찍 자고 일찍 일어나는 것’이야말로 키가 크기 위한 진리입니다. 밤 10시에서 2시 사이 성장호르몬의 분비가 가장 왕성한 시간대이기 때문이지요. 요즘 아이들은 과도한 학업량으로 늦게 자고 일찍 일어나 학교에서 조는 시간이 많은데요. 밤시간대만큼은 푹 잘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3. 균형잡힌 영양상태 아이의 영양상태에 따라서 평균 키가 5cm 가량 차이 난다고 합니다. 그만큼 타고나는 것 이상으로 균형잡힌 식사는 중요하다는 것인데요. 영양상태가 불균형하면 아이가 자랄 수 있는 역량보다 더 작게 자라게 됩니다. 환경호르몬이 많이 들어있는 음식은 성장에 장애가 될 수 있으니 되도록 소화가 잘 되는 영양풍부한 음식으로 준비해주세요 4. 운동부족 잠을 잘 자는 것 외에 운동이 부족해도 성장장애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키 작은 아이가 고민이시라면 꾸준한 운동을 통해 신진대사 능력이 좋아질 수 있도록 해주시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특히 농구처럼 몸을 뻗을 수 있는 운동을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요즘은 키가 작은 아이들로 고민이신 부모님들이 많습니다. 워낙 외모가 중시되는 풍토에서 키는 빼놓을 수 없는 조건 중 하나이기 때문인데요. 각종 한의원 프로그램에는 아이의 성장을 돕도록 오장육부의 신진대사가 잘 이루어질 수 있는 프로그램들이 마련되어 있습니다. 또한 특히 아이가 부족한 부분의 영양상태를 균형있게 맞춰주기 때문에 키가 자라는데 도움을 주는 선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몸이 근본적으로 튼튼해 질 수 있도록 도와주기 때문에 아이의 건강을 위해서도 의미있는 시간이 되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키 작은 아이 무엇이 문제일까요?’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모두 충분한 부모님의 관심과 아이의 습관으로 형성될 수 있는 조건들이니만큼 가정에서도 아이의 키에 한결 더 관심을 가져주신다면 아이의 키도 한뼘 더 무럭무럭 자랄 수 있을 것입니다.
강진 청자 한국에서 청화백자를 번조(燔造)하기 시작한 것은 1457년(세조 3) 중국에서 회청(回靑)이 수입된 뒤부터이며, 세조실록에 의하면 1465년(세조 11)에 최초의 제품이 생산되었다는 기록이 있다. 1469년(예종 1)에는 전남 강진산(康津産) 토청(土靑:나라 안에서 생산된 청화안료)으로 청화백자가 생산되었고, 그 후 중국에서 수입한 회청이 함께 사용되었다. 다경(茶經)의 다완편(茶碗編)에서 다기(茶器) 가운데 가장 최고가 청자 찻잔이며 그 가운데 최고는 절강성에서 만들어진 월주 찻잔이라 쓰고 있다. 강진청자 정보 강진군 대구면 일대는 우리나라 중세미술을 대표하는 고려청자의 생산지다. 1963년 사적 제68호로 지정된 대구 고려청자 도요지는 9세기부터 14세기까지 5백여 년간 집단적으로 청자를 생산했던 곳으로 9개 마을에 180여개소의 가마터가 분포되어 있으며, 약 18만여 평을 문화재 보호구역으로 지정 관리하고 있다. 고려시대 집단적으로 청자를 생산했던 곳으로 이곳 강진과 부안 등을 들 수 있으나, 전국적으로 지금까지 발견된 400여기의 옛 가마터 중 대부분이 이곳 강진에 분포되어 있다. 그 중에서도 사당리는 제작기술이 최절정을 이룬 시기에 청자를 생산하였던 지역으로, 우리나라의 국보나 보물로 지정된 청자의 80%이상이 이곳에서 생산되었을 정도로 그 기법의 천재성과 예술적 가치를 세계적으로 인정받아 왔으며, 프랑스 루부르 박물관에도 보관되어 있다. 또한, 강진은 다른 지방에 비해 태토, 연료, 해운, 기후 등 여건이 적합하여 우리나라 청자 문화를 주도해 왔으나, 고려말기에 청자 기법이 쇠퇴한 후 600여 년 동안 전승되지 못한 채 단절되어 오던 것을 1977년부터 재현사업을 하여 재현에 성공하였다. 전남 강진 청자주병과 청자 술잔 60점이 특별제작 해 2010년 청와대에 들어갔다.특별 제작되어 청와대에 납품된 청자작품은 청자주병 10점과 술잔 50점이며 주병은 24~26cm크기로 1리터와 1.5리터 용량으로 5~8잔 기준이다.주병 가격은 7만원과 8만원에 판매되는데 주병 몸체에는 2008년 이명박대통령이 취임식에서 신년화두로 밝힌 시화연풍(時和年豊)을 시문했고 농악무(舞)를 양각으로 표현했다.청자술잔은 고려청자 대표기법인 상감기법으로 구름과 학 무늬를 생동감 있게 조각했으며 작품 밑 부분에는 강진청자박물관이 제작했음을 증명하는 ‘강진관요’낙관을 표기했다.안금식 강진청자박물관장은 “시화연풍(時和年豊)은 나라가 태평하고 해마다 풍년이 든다는 뜻으로 국민화합과 경제성장의 의지를 담고 있으며 농악무는 풍년을 기뻐하는 농민들의 흥겨운 춤사위를 양각 처리해 은은하면서 역동감있게 표현했다.”고 밝혔다.또한 전통방식으로 제작된 강진청자 주병과 사발(잔)은 음이온이 다량 발생되어 막걸리의 신선도 유지와 함께 인체에도 이로운 효능이 숨어 있다고 말했다.1977년부터 고려청자의 맥과 전통을 잇기 위해 재현사업을 펼쳐온 전남 강진군은 천연 자연유약의 개발 등 완벽한 비색청자의 재현에 성공했고 지금도 전통방식 그대로 작품을 제작하고 있다.우리나라 청자의 발생 우리나라는 삼국시대에 고화도로 환원 번조한 토기를 만들었다. 삼국토기 중에서도 신라·가야토기는 질적으로 가장 우수한 것이어서 1,200℃ 이상이나 올라가는 고화도환원번조로 표면색은 회청흑색이고 무쇠같이 단단한 것이었다. 삼국시대의 토기를 거쳐 통일신라시대에 이르러 토기에서 자기로 이행되는 기반이 확립되었다. 통일신라시대 토기는 부장용(副葬用)보다는 주로 실생활용으로 안정된 것이었다. 이때는 삼국시대부터 시작된 토기 표면에 유약을 입힌 연유계(鉛釉系)인 녹유토기(錄釉土器)와 갈유토기(褐釉土器)가 발달하여 세련되고, 8세기경부터는 회유토기가 발달하여 시유토기가 어느 정도 궤도에 오르고 있어서, 토기에서 자기로 이행되는 기반이 확립되었다. 자기에 대한 지식은 삼국시대부터 중국 육조청자(六朝靑磁)의 유입이 상당량에 달하고 있고(일부 백자·흑유자의 유입도 있음.), 8세기부터 성당(盛唐)의 도자기가 들어왔으며, 특히 9세기경부터는 월주지방의 만당도자기(주로 청자와 일부 다른 지방 백자)와 그 기술이 해로(海路)를 통하여 활발하게 우리나라 서해안과 일부 남해안에 많이 유입되어 초기 청자인 이른바 일훈문굽계청자(日暈文─系靑磁 : 햇무리굽청자)와 소량이지만 백자도 만들기에 이르렀으며 뒤이어 녹청자(綠靑磁)도 만들었다. 9세기 전반 동북아 해상무역의 왕자였던 장보고 등의 해상활동에 의하여 중국청자(백자·흑유자도 포함)가 수입되고 청자번조기술이 도입·전파됨으로써 이 일대는 이미 토기를 사용하는 생활문화권에서 벗어나 자기를 사용하는 문화권으로 진입하게 되었던 것이다. 이들 서남해안의 가마에서는 석기에서 청자로 이행되는 초기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환원번조가 잘되고 갑발(匣鉢 : 도자기를 구울 때 재티 등이 자기 표면에 내려앉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자기를 넣는 개비)을 사용한 본격적인 청자를 번조하기 시작하였고, 일부 백자와 흑유자도 번조하였다. 그 뒤 강진과 부안은 중앙인 개경과 연결되어 관요로 이어져서 이곳 가마가 집중적으로 운영되어 발전하게 되고, 중국 남북방요의 영향을 체계 있게 정리, 이용함으로써 더욱 발전할 수 있었다고 볼 수 있다. 초기 청자와 녹청자 햇무리굽청자는 양질이었기 때문에 생산비가 높아서 그 소비계층도 지방호족 등 부유한 계층이나 상류계층이었을 것이다. 9세기 무렵 햇무리굽 양질 청자의 수요가 늘어나자 서남해안 일대에는 수많은 가마가 생겼다. 이제까지 발견된 가마만 보아도 북쪽으로부터 황해도 송화군 운유면 주촌리와 봉천군 원산리,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원흥동, 양주군 장흥면 부곡리, 용인시 이동면 서리, 전라북도 진안군 성수면 도통리, 고창군 아산면 용계리, 강진군 대구면 일대와 칠량면, 고흥군 두원면 운대리 등 널리 분포되어 있다. 이들 가마는 규모가 방대하고 모두 갑발을 사용하여 값이 비싼 양질의 청자를 생산하려고 노력한 가마들이다. 청자문화가 이같이 급속히 퍼져나가게 되자 자연히 질이 떨어지는 조질의 값싼 청자가 역시 서남해안 일대에서 생산되어 일반 백성들의 수요에 충당하게 되었다. 이 조질청자는 태토에 모래 등 잡물이 섞이고 번조한 뒤에도 기공(氣孔)이 많은 등 치밀하지 못하고, 유약도 회유와 흡사하여 그 색이 녹갈색을 머금고 있으며 유면(釉面)도 고르지 못하다. 이러한 청자를 녹청자라고 하는데, 이 녹청자요지는 인천광역시 서구 경서동, 충청남도 서산시 성연면 오사리, 보령시 천북면 사호리, 전라남도 함평군 손불면 양재리, 영광군 염산면 오동리, 해남군 산이면 일대 등지에 있으며, 해남군 산이면에는 지금까지 남아 있는 것만도 50개가 넘어 이 시기 청자문화의 급속한 발달을 엿볼 수 있다. 청자의 세련 : 12세기 전반기는 고려청자 중에서도 순청자가 가장 세련되는 시기였다. 청자의 색은 처음부터 환원번조로 시작되었으며, 이미 11세기에는 완벽한 환원번조로 독특한 청자색으로 발전하고 있었다. 12세기 전반기는 그 절정기로서 이 때 청자의 모습은 17대 인종왕릉에서 출토되었다고 전해지는 청자과형화병(靑磁瓜形花甁) 등 일괄유물로 대표된다. 1123년(인종 1) 북송 휘종의 사행의 일원으로 고려에 왔던 서긍(徐兢)이 고려도경 高麗圖經에서 “근년 이래 제작이 공교(工巧)하며 색택(色澤)이 더욱 아름답다.”라고 한 것이나, 북송말경으로 생각되는 태평노인(太平老人)의 기록인 수중금 袖中錦에 “고려청자의 비색이 천하제일”이라고 지적한 바와 같이 반실투성(半失透性)의 빙렬(氷裂)이 거의 없는 우수한 비색 유약을 완성하였다(1차비색 완성). 비색 유약의 완성과 더불어 기형·문양·번조수법 등에 남아 있던 중국의 영향이 거의 사라지고 자연에서 소재를 얻은 독창적인 형태와 문양이 고려적으로 변형, 발전되며 독특한 세련을 보인다. 이와 같은 청자의 세련은 12세기 중엽까지는 또 다른 의미의 진전을 보여 유약은 반실투성에서 조금씩 더 밝아지고(2차비색 완성), 새롭게 구상된 음각·양각·투각문양 등이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이러한 발전은 고려사 세가 의종 11년(1157)조에 보이는 청자와(靑磁瓦)의 기록과, 전라남도 강진군 대구면 사당리 당전마을에 산재한 청자와편(靑磁瓦片)을 반출하는 요지에서 증명이 된다. 상감문양의 발생과 발달 12세기 전반 상감 발생기의 청자요지(전라남도 강진군 대구면 사당리 당전마을의 청자기와를 반출하는 요지)에서의 상감문양은 기명(器皿)의 일부에만 사실적인 문양으로 나타나며, 상감이 시문된 위치는 11세기 후반경이나 12세기초경의 기명에 음·양각으로 시문하던 자리의 일부 또는 전면에 나타난다. 이 경우 내외면 중 일면시문으로 문양도 음·양각문과 흡사하다. 이러한 초기 상감상태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면 12세기 중엽인 상감 최성기에 이른다. 처음의 상감문양은 기명의 내측이나, 외측의 일부에 나타나다가 점차 전면에 나타나며 좀더 발전되면 내외면에까지 시문이 확대된다. 문양은 상감 발생 초기의 사실적인 문양에서 도식화되기 시작한다. 그릇의 면을 분할하여 구도를 잡아 주문과 종속문을 구분, 시문하여 상감되는 부위에 따라 새롭게 고안된 여러 가지 문양이 적절히 포치되어, 하나의 일정하고 통일된 구성과 조화를 이루게 된다. 문공유의 묘에서 출토된 청자상감보상당초문완은 바로 상감 최성기의 작품으로, 이러한 완숙한 경지까지 도달하려면 상감 발생기로부터 상당한 시일이 경과하였을 것이며, 따라서 상감의 발생 시기는 12세기 전반인 것이다. 여기에서 말하는 상감발생기는 상감이 여러 가마에서 고안되어 일반화되는 처음 시기를 말하는 것이며, 특수한 지역 또는 특정한 기형에 예외적 또는 우발적으로 상감이 시문된 예는 12세기 초는 물론이고 11세기 또는 10세기에도 가능할 수 있다. 실제로 경기도 용인시 이동면 서리 백자·청자 가마 발굴 때 10세기를 내려오지 않는 층위에서 서툴지만 특이한 상감을 한 파편이 발견되었고, 전라남도 함평군 손불면 양재리에서도 10세기경 청자가마에서 흑상감 파편이 발견되었다. 그 밖에 11세기로 추정되는 청자에 상감이 들어간 예는 여러 가지가 있다. 고려청자의 특색 우리나라 청자는 12세기 전반에 비색 순청자로서 유례가 없는 독특한 아름다움을 나타냈고, 12세기 중엽 유약을 맑고 밝게 발전시켜 청자상감으로서 다시 한 번 꽃을 피웠다. 고려자기 중에서는 청자가 특히 세련되고 많이 생산되었다. 토기에서 청자로의 발전이행은 인류문화 발전의 자연스러운 현상이었으나, 고려시대의 청자는 그 자연과 시대적 배경에 힘입어 더욱 많이 생산되고 가장 세련되었다. 중국청자가 색이 진하고 유약이 불투명하며 예리하면서 장중한 데 비하여 고려청자는 은은하면서 맑고 명랑한 비색, 유려한 선의 흐름과 탄력이 있고 생동감 있는 형태, 조각도의 힘찬 선, 기물과 일체가 된 회화적이며 시적인 운치가 있는 상감문양 등에 특색이 있으며 또한 세계에서 최초로 자기에 붉은색을 내는 구리의 발색기법을 창안해냈으면서도 한두 점 악센트로만 강한 색 [銅彩發色] 을 쓰면서 모든 색을 담담하게 구사하는 등 언제나 자연과 같이 호흡하고 일체가 되고자 하는 것이 그 특색이다. 고려 말의 타락한 청자는 조선조로 들어오면서 큰 줄기는 분청사기로 이행되고 다른 한 줄기는 조선청자로 그 맥락이 이어진다. 고려청자를 계승한 조선 초기 청자는 두 가지이다. 하나는 고려 말 퇴락한 재래의 청자를 계승하였으나 그 질과 기형·문양 등이 조선조의 특질을 조금씩 나타내면서 발전하는 청자이고, 또 하나는 새로운 백자가마에서 새로 만들어내는 청자이다. 재래식 청자는 고려청자의 퇴락한 상태의 말기적 조질 청자에서 약간 발전, 변형되어 질이 향상되고 기형에 생동감이 있으며 문양이 활달해져 초기 분청사기상감과 기형·문양이 거의 같다. 새로운 청자는 백자가마에서 같이 생산되며 백자태토에 청자유약을 입혔고, 기형도 고려청자 기형에서 발달한 것이 아니고 새로운 백자와 거의 같고 음각문양이 있는 것도 있다. 광주 중앙관요 중에 조선 전기의 초기 가마는 광주군 퇴촌면 우산리와 도마리, 중부면 번천리·오전리, 초월면 무갑리 등에 있으며, 전기의 중엽 가마는 퇴촌면 정지리와 관음리 등에 있고, 전기의 말엽 가마는 광주읍 탄벌리, 도척면 상림리, 초월면 선동리 등에 있다. 조선청자는 15세기 중엽까지는 두 가지 계통 모두 질이 양호하고 기형과 문양이 생동감 있고 활달하였으나 15세기 후반부터 고려청자를 계승한 청자는 자취를 감추고 새로운 조선조 청자만이 백자가마에서 소량 생산되었으며 17세기 중엽까지 면면히 이어져 내려왔다. 관련근거 및 출처 강진청자자료박물관, 강진군청 관광개발팀, 강진군 고려청자사업소, (대한민국 구석구석, 2013.6, 한국관광공사), 『고려청자』(고유섭, 을유문화사, 1954), 『간송문화』 6-도예 1(청자)-(한국민족미술연구소, 1974),『한국의 미』-청자-(최순우 감수, 중앙일보사, 1981),『한국청자도요지』(최순우,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2),『고창아산댐 수몰지구발굴조사보고서』(원광대학교 마한·백제문화연구소, 1985),『국보』-청자·토기-(최순우 편, 예경산업사, 1986),『완도해저유물』(문화재관리국, 1985),『고려청자』(정양모, 통천문화사, 1989),『전남지방도요지조사보고』 Ⅱ(국립광주박물관, 1988),『한국도자사』(강경숙, 일지사, 1989),『인천경서동록청자요지』(정양모, 국립중앙박물관·인천직할시, 1990),『中國陶瓷史』(中國硅酸鹽學會 編, 文物出版社, 1982),『朝鮮總督府調査資料』 18-朝鮮の窯業-(朝鮮總督府, 1926),『朝鮮陶磁史文獻考』(小田省吾, 學藝書院, 1936),『高麗陶器の硏究』(野守健, 淸閑舍, 1944),『改訂古陶磁の科學』(內藤匡, 二玄社, 1962),『陶器講座』
전통 공예 및 도자기를 사랑하는 여러분들에게 우리나라 국보 제68호 청자상감운학문매병을 청자상감 기법으로 재현한 도자기를 소개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우리나라 도자기 기술은 견고함과 고급스러움이 세계 최고로 손꼽히고 있습니다 국보로 지정된 청자 상감운학문 매병은 원래 높이 42cm로 정릉 근처 간송미술관에 보관되어 있습니다 학, 원 무늬를 상감 기법으로 문양 구사가 돋보이는 대표적인 고려 청자 매병입니다 매병 옆에 있는 것은 주병이라는 도자기 입니다 주병은 국보로 지정된 것이 아니라 재현품 매병을 만들 때 세트 형식으로 같이 밎어낸 도자기 주병입니다 우선 재현을 한 매병이라고 하지만, 상당한 디테일을 볼 수 있는데요 크기는 실제 국보 에 절반도 안되는 수준이지만, 관상용으로 나쁘지 않은 것 같습니다 전통도자기는 주로 관상용으로서 작품성이 높게 만들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재현품은 대부분 상품성으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지인 또는 친구에게 선물할 때 좋습니다 특히 우리나라를 방문하는 외국인들에게 선물하면 한국을 더 많이 알리는 기회가 될 수도 있습니다 학과 원 무늬도 제대로 재현되어 보는이로 하여금 감격적인 느낌도 얻을 수 있습니다 직접 국내에서 만들어진 도자기라는점이 더 눈길을 끌게 됩니다 요즘은 공예품도 중국에서 만들어지는 것들이 많은데, 도자기는 거의 99% 국내에서 만들어집니다 중국에서 만들면 만드는 원가가 저렴할지 몰라도 디테일이 살지 않게되죠 아무리 국보 재현품이라고 하지만, 설렁 설렁 만들면 그 누구도 거들떠 보지 않게 됩니다 옜날에는 이런 매병은 입구가 작고 어깨가 넓어 꽃을 꺾어 두면 잘 어울렸고 주병은 입구가 매병보다 넓고 아래가 넓어서 주로 술병을 많이 이용되었습니다 전통도자기 청자상감운학문매병 재현품에 그려진 학이 마치 날아 오를 것 같은 느낌이 듭니다 이 것은 실제 날아가는 모습을 그대로 그려져 역동적인 표현을 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집, 사무실, 선물 등으로 장식 소품으로 사용하기 딱 좋습니다 전체적으로 크기도 크지 않고 손바닥 보다 조금 더 큰 크기라서 장식할 때 부담이 가지 않습니다 사실 제가 도자기에 관심이 많은건 아니지만, 이렇게 보니 살짝 관심이 생기네요 도자기에 관해서는 일자무식이지만, 나름대로 이곳 저곳을 찾아가며 소개를 해드렸습니다 부족한 설명이지만, 너그러운 마음으로 잘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얼마전에 하회탈 액자를 선물받은 적이 있는데, 다음에는 그 액자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그럼 주말 즐겁고 행복한 시간 보내시기 바랍니다 출처 : http://nse109.tistory .com
강진청자골 옴천토하젓 고향의 흙냄새 맛 나던 토하젓 기억나시나요? 이제 그 맛이 옛 기억을 깨우고 있습니다. 청정 강진의 청자골 또랑에서 자란 새뱅이로 만든 옴천 토하젓.. 오늘 저녁상에 쇠고기보다 맛난 옴천토하젓을 올려 보십시오~
강진 청자축제 주최/주관 강진군/강진군 향토축제 추진위원회 Tel. 1688-1305 행사소개 남도답사 1번지 청자골 강진! 강진은 곳곳에 다양한 문화유적이 있어 남도답사 1번지라고 불린다. 이와 연계한 강진청자축제는 남녀노소 할 것 없이 가장 쉽고 편리하게 접할 수 있는 청자조각하기체험에서부터 비색 청자의 발상에서 쇠퇴기까지 그 역사성을 학술적으로 토론하는 청자심포지엄은 물론, 가족단위 관광객이 다양한 프로그램 등을 통해 오감을 느끼고 추억을 만들어갈 수 있는 역사와 전통이 있는 축제다. 강진청자축제는 관광객들이 직접보고, 느끼고, 체험할 수 있도록 청자와 관련한 다양한 프로그램 위주로 운영되고 있다. 물레성형하기, 청자조각하기 및 코일링체험, 청자파편 모자이크체험, 청자문양탁본체험, 청자도판 찍기체험, 강진청자 타임캡슐 미래 속으로 등 관광객들이 축제장에서 느낄 수 없는 청자와 관련된 다양한 체험장들이 운영된다. 또한 고려청자가 만들어진 고려시대의 생활상을 엿볼 수 있는 고려시대 복식 문화와 다양한 음식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행사 뿐만 아니라, 주제에 걸맞는 화목가마 불지피기와 본벌 요출된 작품을 현장에서 직접 경매하는 이색 프로그램과 외국인들도 천하의 명물이라며 감탄해 마지 않는 명품을 저가에 구매할 수 있도록 행사기간 내내 전 품목을 20% 할인된 가격으로 판매한다. 아울러 임진왜란 당시 청자를 침탈하기 위하여 쳐들어 오는 적을 무찌르기 위해 불연히 의병을 일으켜 왜적과 싸우다 장렬하게 전사한 염걸 장군의 위업을 기리기 위한 ‘염걸 장군 격전지 허수아비 전투장 재현’을 축제장 입구에 연출하여 관광객들에게 역사의 교훈과 볼거리, 시골의 정취를 만끽하면서 옛 향수에 젖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특히 문화체육관광부가 9년 연속 선정한 최우수 문화관광축제인 강진청자축제는 여름축제에 걸맞게 다양한 물놀이 시설과 휴게시설을 갖추었고, 빛을 이용한 야간 볼거리는 행사기간 내내 환상적인 세계로 관광객을 인도하고 있다. 행사기간 2014.07.26 ~ 2014.08.03 위치 전라남도 강진군 대구면 사당리 행사장소 강진군 대구면 고려청자도요지 일원 연락처 강진군 축제경영팀 1688-1305 / 강진군청 문화관광과 061-430-3331~6 행사내용 [기획행사] - 대한민국 청자 공모전 - 청자일일교실 운영 - 어린이 점토 빚기 경진대회 - 전국청자백일장 - 청자 할인매장 운영 등 [전시행사] - 대형정자 전시 - 명품포토존 운영 - 대형 청자등 전시 - 전국 대학생 도예작품전 등 [공연(참여)행사] - 개막 축하쇼 - 군민 화합 및 내년 축제 성공기원 폐막공연 - 추억의 7080 - 강진노인대학공연, 복지회관 어르신과 함께 - 고려왕실 행차 퍼레이드 - 연주회, 청자축제 축하쇼, B-BOY댄스 경연대회 [체험행사] - 물레성형하기 - 화목가마 불지피기 체험 - 청자지압타일 체험 - 청자 조각하기 체험 - 청자파편 모자이크 체험 - 나만의 청자 풍경 만들기 - 고려청자 문양탁본 체험 - 페이스 페인팅 및 네일아트 체험 - 고려청자 종이접기 체험 - 고려촌 민속체험 - 청자촌 고려국 말타기 체험 - 청자흙밟기 체험 등 부대행사 인권 인형극, 인원영화 상영, 향토음식관 운영, 물놀이 체험장 운영, 농·수·축·특산물 판매전 전통혼례식, 강진문화유적지투어, 건강증진 체험관 운영, 풍물놀이, 민속놀이 한마당 등
[최우수축제] 남도답사 1번지 청자골 강진, 강진은 곳곳에 다양한 문화유적이 있어 남도답사 1번지라고 불린다. 이와 연계한 <강진청자축제>는 관광객들이 직접보고, 느끼고, 체험할 수 있도록 청자와 관련한 다양한 프로그램 위주로 운영되고 있다. 또한 고려청자가 만들어진 고려시대의 생활상을 엿볼 수 있는 고려시대 복식 문화와 다양한 음식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행사 뿐만 아니라, 주제에 걸맞는 화목가마 불지피기와 본벌 요출된 작품을 현장에서 직접 경매하는 이색 프로그램과 행사기간 내내 전 품목을 20% 할인된 가격으로 판매한다. 특히 문화체육관광부가 선정한 최우수 문화관광축제인 강진청자축제는 여름축제에 걸맞게 다양한 물놀이 시설과 휴게시설을 갖추었고, 빛을 이용한 야간 볼거리는 행사기간 내내 환상적인 세계로 관광객을 인도하고 있다. 행사기간 2016.07.30 ~ 2016.08.07 위치 전라남도 강진군 대구면 청자촌길 33 (사당리) 행사장소 강진군 대구면 고려청자요지 일원 연 락 처 1688-1305 홈페이지 http://www.gangjinfes.or.kr
행사소개남도답사 1번지 청자골 강진, 강진은 곳곳에 다양한 문화유적이 있어 남도답사 1번지라고 불린다. 이와 연계한 <강진청자축제>는 관광객들이 직접보고, 느끼고, 체험할 수 있도록 청자와 관련한 다양한 프로그램 위주로 운영되고 있다. 군은 청자축제의 주목적인 고려청자의 우수성을 전국에 알리고 청자판매 활성화를 위해 명품청자 전시판매관 이벤트존 운영, 폭탄세일 등 다양한 이벤트를 운영하고 청자구매전용 쿠폰 발행과 차량 및 해외여행 상품권이 걸린 청자축제 경품 이벤트를 추진해 주민소득과 연계되는 경영형 축제로 나아가기로 했다. 문화체육관광부 선정 최우수 축제인 제45회 강진청자축제는 오는 7월 29일부터 8월 04일까지 7일간 강진군 대구면 청자촌 일원에서 화려하게 개최된다. 행사기간 2017.07.29 ~ 2017.08.04위치 전라남도 강진군 대구면 청자촌길 33 (사당리)행사장소 강진군 대구면 고려청자요지 일원연 락 처 061-430-3331~4홈페이지 http://www.gangjinfes.or.kr
남도답사 1번지 청자골 강진, 강진은 곳곳에 다양한 문화유적이 있어 남도답사 1번지라고 불린다. 이와 연계한 <강진청자축제>는 관광객들이 직접보고, 느끼고, 체험할 수 있도록 청자와 관련한 다양한 프로그램 위주로 운영되고 있다. 문화체육관광부 선정 우수 축제인 제47회 강진청자축제는 오는 10월 03일부터 09일까지 7일간 강진군 대구면 청자촌 일원에서 화려하게 개최된다. 시작일 2019.10.03. - 2019.10.09. 전화번호 061-430-3356 홈페이지 http://www.gangjin.go.kr 주소 전라남도 강진군 대구면 청자촌길 33 주최 강진군 주관 강진군향토축제추진위원회 이용요금 입장료 무료(단위행사 체험프로그램 체험비 있음)
강진 청자 한국에서 청화백자를 번조(燔造)하기 시작한 것은 1457년(세조 3) 중국에서 회청(回靑)이 수입된 뒤부터이며, 세조실록에 의하면 1465년(세조 11)에 최초의 제품이 생산되었다는 기록이 있다. 1469년(예종 1)에는 전남 강진산(康津産) 토청(土靑:나라 안에서 생…
강진청자
고려청자
국선옻칠 나천칠기 [명함 1종] 청자 문화재기능인 제007027 국선 오명호 작
옹기장...임새를 정해 놓고 만들었다기보다는 사용하는 사람에 따라 다르게 쓰였다. 청자나 백자는 장식적인 그릇인 반면 옹기는 실용적인 그릇이었다. 주거 공간의 배치에 따라 옹기는 부엌·곳간·장독대 등에 놓이는데, 대개 쓰임새가 그 놓여진 공간의 용…
&nb...화백자 다기세트_8x3.5, 15x8cm청화백자와 다완_높이40cm 상감청자에서 조선 백자까지 독특한 아름다움 우리의 전통 자기 도자기는 흙으로 빚은 그릇을 구워내는 방법에 따라 토기(土器), 도기(陶器), 자기(瓷器)로 나누어지는데, 백토 등이 혼합되어 높은 온…
옹기장 이내원 &...점차 부르다가 다시 약간 잘록해지는 것이다. 시대의 변화에 따라 토기, 청자나 백자 등 다양하게 제작되어 널리 사용되었다. 청자나 백자로 만든 주병이 귀족이나 사대부의 미감에 맞춰 정갈하고 세련된 데 비해, 이 옹기주병은 목이 짧고 배가 …
옹기장 김일만 ...문인데, 이는 즉 옹기가 숨을 쉬기 때문이다. 옹기는 고운 흙으로 만든 청자나 백자와는 달리 작은 알갱이가 섞여 있는 질(점토)로 만들어지는데, 가마에서 소성될 때 질이 녹으면서 미세한 구멍이 형성된다. 이 미세한 기공으로 공기·미생물·효…
강진의 청자골 종가집은 남도 최고의 한정식집을 만들겠다는 취지에 맞게 음식 맛은 물론이고 전통한옥으로 된 고풍스런 건물, 수려한 주변경관, 넓은 주차공간까지 명가의 호칭이 오히려 부족할 정도이다. 건물을 신축하는 데만 4년이 걸렸다는 고풍스런 전통한옥…
...기도 한다. 김해분청도자기축제는 경기도 이천의 청.백자나 전남 강진의 청자축제와 달리 한국도자기 사상 가장 한국적인 미의 원형으로 평가받고 있는 분청사기축제이다. 분청사기는 청자에서 백자로 넘어가는 중간단계인 15, 16세기에 번성했던 생활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