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형유산 지식백과(무형문화지식연구원)
태조 - 철종 1대 태조(1392년~) 2대 정종(1399년~) 3대 태종(1401년~) 4대 세종(1418년~) 5대 문종(1450년~) 6대 단종(1452년~) 7대 세조(1455년~) 8대 예종(1468년~) 9대 성종(1469년~) 10대 연산군(1494년~) 11대 중종(1506년~) 12대 인종(1545년~) 13대 명종(1545년~) 14대 선조(1567년)선조수정(1567년~) 15대 광해군중초본(1608년~)광해군정초본(1608년~) 16대 인조(1623년~) 17대 효종(1649년~) 18대 현종(1659년~)현종개수(1659년~) 19대 숙종(1674년~)숙종보궐정오(1674년~) 20대 경종(1720년~)경종수정(1720년~) 21대 영조(1724년~) 22대 정조(1776년~) 23대 순조(1800년~) 24대 헌종(1834년~) 25대 철종(1849년~) 고종 - 순종 26대 고종(1863년~) 27대 순종(1907년~) 순종부록(1910년~) http://sillok.history.go.kr/main/main.do
http://hidream.or.kr/dongeuibogam/index.html - 한글 동의 보감 -음양오행 -사상의학 -장부학 -쑥뜸과 부항 -지압과 경락 -수지침요령 -민간요법과 질병기초 -한방약초의 종류와 효능 -한방식품의 종류와 효능 -한방약차 -한방약술 -암에 도움되는 약초 -건강 상식 -건강정보자료 -한방처방전 -민간약상식 -향약집성방과 향약본초 -1000가지 일반 요리법
보통 우리 아이들이 키가 작다고 생각하면 주로 유전적인 요인이 있지 않을까 많이 생각하십니다. 엄마 혹은 아빠를 닮았기 때문에 작다고 생각하신다면 이는 큰 오산이 될 수 있습니다. 사실 키작은 아이는 단 한가지 문제가 아닌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해 문제가 발생하는 것인데요. 오늘은 ‘키작은 아이 무엇이 문제일까요?’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키가 작은 이유 1. 유전적인 요인 앞서 말한 유전적인 요인은 실제 원인의 30% 정도에만 해당합니다. 즉 나머지 70%의 역량은 부모의 관심과 아이의 습관, 후천적인 요인들로 인해서 충분히 변화될 수 있다는 뜻이지요. 때문에 우리아이가 키가 작다면 유전적인 요인을 탓할 것이 아니라 키가 크는데 있어서 방해가 되는 요인이 있는 것은 아닌지 확인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2. 습관 ‘일찍 자고 일찍 일어나는 것’이야말로 키가 크기 위한 진리입니다. 밤 10시에서 2시 사이 성장호르몬의 분비가 가장 왕성한 시간대이기 때문이지요. 요즘 아이들은 과도한 학업량으로 늦게 자고 일찍 일어나 학교에서 조는 시간이 많은데요. 밤시간대만큼은 푹 잘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3. 균형잡힌 영양상태 아이의 영양상태에 따라서 평균 키가 5cm 가량 차이 난다고 합니다. 그만큼 타고나는 것 이상으로 균형잡힌 식사는 중요하다는 것인데요. 영양상태가 불균형하면 아이가 자랄 수 있는 역량보다 더 작게 자라게 됩니다. 환경호르몬이 많이 들어있는 음식은 성장에 장애가 될 수 있으니 되도록 소화가 잘 되는 영양풍부한 음식으로 준비해주세요 4. 운동부족 잠을 잘 자는 것 외에 운동이 부족해도 성장장애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키 작은 아이가 고민이시라면 꾸준한 운동을 통해 신진대사 능력이 좋아질 수 있도록 해주시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특히 농구처럼 몸을 뻗을 수 있는 운동을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요즘은 키가 작은 아이들로 고민이신 부모님들이 많습니다. 워낙 외모가 중시되는 풍토에서 키는 빼놓을 수 없는 조건 중 하나이기 때문인데요. 각종 한의원 프로그램에는 아이의 성장을 돕도록 오장육부의 신진대사가 잘 이루어질 수 있는 프로그램들이 마련되어 있습니다. 또한 특히 아이가 부족한 부분의 영양상태를 균형있게 맞춰주기 때문에 키가 자라는데 도움을 주는 선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몸이 근본적으로 튼튼해 질 수 있도록 도와주기 때문에 아이의 건강을 위해서도 의미있는 시간이 되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키 작은 아이 무엇이 문제일까요?’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모두 충분한 부모님의 관심과 아이의 습관으로 형성될 수 있는 조건들이니만큼 가정에서도 아이의 키에 한결 더 관심을 가져주신다면 아이의 키도 한뼘 더 무럭무럭 자랄 수 있을 것입니다.
건황어(乾黃漁)는 난호어목지(蘭湖漁牧志)에는 황어는 그 모양이 잉어를 많이 닮았고 비늘의 빛깔이 순황색이어서 이름이 황어라고 하였다. 비가 오려고 할 때면 높이 뛰어 올랐다가 물 위에 떨어지는데 그 소리가 물장구소리와 같다고 하였고, 그 살은 기름이 많고 살지고 맛이 있다고 하였다. 조선시대의 여러 문헌을 보면 건황어(乾黃魚)·황어자(黃魚鮓) 등이 보인다 경상도지리지(慶尙道地理志)에는 양산군의 토산공물에 은어와 함께 실려 있고, 세종실록 지리지에는 양산군의 토공과 영천군·거제군의 토산에 들어 있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경상도·강원도·함경도의 여러 지방과 전라도 강진현의 토산으로 올라 있다 진상품관련근거 황어[黃魚], 건황어(乾黃魚), 생황어(生黃魚)는 강원도(간성군, 강릉대도호부, 고성군, 삼척도호부, 양양도호부, 통천군, 평해군, 흡곡현) 경기도(통진현) 경상도(경주부, 고성현, 대구도호부, 울진현, 밀양도호부, 사천현, 양산군, 언양현, 영덕현, 영일현, 永川郡 ,울산군, 진주목, 진해현, 창원도호부) 전라도(강진현) 함경도(감영, 경성도호부, 경흥도호부, 고원군, 길성현, 단천군, 덕원도호부, 명천현, 문천군, 부령도호부, 북청도호부, 안변도호부, 영흥대도호부, 온성도호부, 정평도호부, 함흥부, 홍원현)에서 대전, 왕대비전, 혜경궁, 중궁전, 세자궁에 진상하였다는 기록이 신증동국여지승람, 여지도서, 춘관통고, 공선정례에 기록되어있다 . 상품정보 바다에 서식하는 유일한 잉어과 어류 황 어는 겨울철,특히 동해안의 대표적 어종인 황어는 잉어목 잉어과 황어속에 속하는데 지구상에 있는 잉어과 물고기 중 바닷물에 적응하며 사는 유일한 2차 담수어로 일생의 대부분을 바다에서 지내고 산란기에만 하천으로 올라온다. 학명은 Tribolodon hakonensis G.이며. 몸이 약간 길고 조금 측편하며 머리는 뾰족하다. 입 수염이 없다. 그러나 황어도 강에서만 사는 육봉형이 있고 바다로 내려가는 강해성이 있는데 우리나라에서 서식하는 것은 모두 강해성이고,일반적으로 강해성이 성 장이 빠르고 대형(30-45cm)이고,육봉형은 체형이 작고(10-13cm) 성장이 느리다. 동,남해안의 하천과 연안,사할린 시베리아 연해,만주수계와 일본 홋가이도 이남의 각 지방에 널리 분포하는 황어는 우리나라에서는 특별하게 불리는 이름은 없고 일본명은 '우구이',영어명은 '데이스'라고 한다. 황어류는 학자들이 측선의 비늘수로 종류를 구분하여 분류해 놓았는데 학명이 9개나 돼 분류체계가 매우 복잡해서 후학들을 괴롭히는 물고기이다. 우리나라에는 비늘수가 79-86개인 1종이 살고 있다. 아무튼 황어는 잉어과 어류중에서 수염이 없는 종이고 이빨도 없으며,위가 없고 소화관은 N자 모양으로 꼬임이 단순하다. 황어는 보통 때는 옆쪽과 배쪽은 은백색,등쪽은 검푸른색을 띠는 유선형의 날씬한 물고기이나,산란기가 되면 몸통 측편 아래쪽에 폭넓은 붉은색 세로띠 가 나타나고 지느러미도 붉게 변하며 머리 부분에 추성(산란기에 몸에 돋아 나는 원뿔 모양의 돌기)이 나타난다. 이런 혼인색은 숫놈이 더 고운데 봄철 산란을 위해 강을 거슬러 올라가는 붉그스레한 황어떼의 모습은 아름답기 그지없다. 산란시기는 봄부터 여름까지(주로 3,4월)이고,수심 20-70cm의 모래나 물흐 름이 다소 있는 하천의 중류 자갈밭에서 산란시 암수가 협력하여 자갈밭을 파고 그 안에다 알을 낳아 부착시키는데 산란 뒤에는 파올린 자갈로 산란장 을 덮어버린다. 산란은 주로 주간에 이루어지며 1마리당 잉란수는 3만8천-5만3천개 정도이다. 대단한 잡식성인 황어의 낚시포인트는 담수의 영향을 어느 정도 받고 바닥 에 암초가 드문드문 있는 해역이 일급이며,미끼는 갯지렁이,조개살이 좋으며 최근에는 오징어내장을 최고로 꼽는다. 오징어내장의 독특한 냄새가 예민한 황어의 후각을 자극하기 때문이다. 황어는 물고기 중 환경에 대한 저항력과 적응력이 강해 홍수,한파,결빙 속에서도 서식할 뿐 아니라 일본의 화산호수에서는 물고기가 살 수 없는pH4 정도의 강산성 속에서도 육봉형이 서식하고 있다. 살속에 잔뼈가 많아 먹기에 조금 불편한 황어는 산란기때 크고 비대하며 몸 색이 아름다워 미각을 돋구기도 하나 낚시 시즌인 찬 바람 부는 한 겨울철에 제맛이 난다. 과거에는 농밀한 어군이 산란을 위하여 하천을 소하 하는 것을 볼 수 있었으나 지금은 자원이 크게 감소되어 어획량도 많지 않다. 물이 비교적 맑은 하천의 상류에서 수서곤충, 어린 물고기, 물고기 알, 갑각류, 조개, 물 위에 떨어진 벌레나 식물의 잎줄기, 씨 등을 먹는다. 겨울에서 산란기인 봄에 이를 때 가장 맛이 좋다 몸길이는 50센티미터에 달하며, 이정도 자라기까지는 4년 이상 걸린다. 황어와 비슷한 종으로는 대황어가 있다. 대황어는 잉어목 잉어과 황어아과 황어속의 물고기로 우리나라 동해안 북쪽 하천의 기수역과 연안의 비교적 얕은 곳에 사는데, 동해의 죽산천, 송천천, 추천에서 조사되었고 국외에서는 일본의 일부 수역, 사할린, 연해주 등에 살고 있다. 황어의 효능 칼슘보충 (칼슘을 어느 정도 함유하고 있어 섭취하면 도움이 된다.) 구입요령: 가능하면 활어상태를 구입하는 것이 가장 신선하며 살에 탄력이 있으며 비린내가 심하지 않은 것을 선택한다. 보 관 법: 부패하기 쉬운내장을 분리한뒤 깨끗이 씻고 밀봉한뒤 냉동보관한다. 손 질 법: 비늘을 살짝 긁어내고 지느러미와 내장을 제거한 뒤 흐르는 물에 씻어 사용한다. 먹 는 법: 구이, 찜, 탕등으로 요리하여 먹는다. 궁합음식: 생강 (날생선을 먹을경우 생강이 살균효과를 나타낸다.) 다이어트: 아미노산과 무기질이 풍부하여 좋다. 관련근거 및 출처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경상도지리지(慶尙道地理志)』,『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난호어목지(蘭湖漁牧志)』,『성소부부고(惺所覆?藁)』,『난호어목지(蘭湖漁牧志)』,『경남(慶南)의 자연(自然) -담수어편(淡水魚篇)-』(최기철, 경상남도교육위원회, 1983),『한국어도보(韓國魚圖譜)』(정문기, 일지사, 1977),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쿡쿡TV )
강진황어는 난호어목지(蘭湖漁牧志)에는 그 모양이 잉어를 많이 닮았고 크기도 역시 그러한데 비늘의 빛깔이 순황색이어서 이름이 황어라고 하였다. 비가 오려고 할 때면 높이 뛰어 올랐다가 물 위에 떨어지는데 그 소리가 물장구소리와 같다고 하였고, 그 살은 기름이 많고 살지고 맛이 있다고 하였다. 조선시대의 여러 문헌을 보면 건황어(乾黃魚)·황어자(黃魚鮓) 등이 보인다 . 황어[黃魚], 건황어(乾黃魚), 생황어(生黃魚)는 강원도(간성군, 강릉대도호부, 고성군, 삼척도호부, 양양도호부, 통천군, 평해군, 흡곡현) 경기도(통진현) 경상도(경주부, 고성현, 대구도호부, 울진현, 밀양도호부, 사천현, 양산군, 언양현, 영덕현, 영일현, 永川郡, 울산군, 진주목, 진해현, 창원도호부) 전라도(강진현) 함경도(감영, 경성도호부, 경흥도호부, 고원군, 길성현, 단천군, 덕원도호부, 명천현, 문천군, 부령도호부, 북청도호부, 안변도호부, 영흥대도호부, 온성도호부, 정평도호부, 함흥부, 홍원현)에서 대전, 왕대비전, 혜경궁, 중궁전, 세자궁에 진상하였다는 기록이 신증동국여지승람, 여지도서, 춘관통고, 공선정례에 기록되어있다. 상품정보 바다에 서식하는 유일한 잉어과 어류 - 황 어 겨울철,특히 동해안의 대표적 어종인 황어는 잉어목 잉어과 황어속에 속하는데 지구상에 있는 잉어과 물고기 중 바닷물에 적응하며 사는 유일한 2차 담수어로 일생의 대부분을 바다에서 지내고 산란기에만 하천으로 올라온다. 학명은 Tribolodon hakonensis G.이다. 몸이 약간 길고 조금 측편하며 머리는 뾰족하다.입수염이 없다. 그러나 황어도 강에서만 사는 육봉형이 있고 바다로 내려가는 강해성이 있 는데 우리나라에서 서식하는 것은 모두 강해성이고,일반적으로 강해성이 성 장이 빠르고 대형(30-45cm)이고,육봉형은 체형이 작고(10-13cm) 성장이 느 리다. 동,남해안의 하천과 연안,사할린 시베리아 연해,만주수계와 일본 홋가이도 이남의 각 지방에 널리 분포하는 황어는 우리나라에서는 특별하게 불리는 이름은 없고 일본명은 '우구이',영어명은 '데이스'라고 한다. 황어류는 학자들이 측선의 비늘수로 종류를 구분하여 분류해 놓았는데 학명이 9개나 돼 분류체계가 매우 복잡해서 후학들을 괴롭히는 물고기이다. 우리나라에는 비늘수가 79-86개인 1종이 살고 있다. 아무튼 황어는 잉어과 어류중에서 수염이 없는 종이고 이빨도 없으며,위가 없고 소화관은 N자 모양으로 꼬임이 단순하다. 황어는 보통 때는 옆쪽과 배쪽은 은백색,등쪽은 검푸른색을 띠는 유선형의 날씬한 물고기이나,산란기가 되면 몸통 측편 아래쪽에 폭넓은 붉은색 세로띠 가 나타나고 지느러미도 붉게 변하며 머리 부분에 추성(산란기에 몸에 돋아 나는 원뿔 모양의 돌기)이 나타난다. 이런 혼인색은 숫놈이 더 고운데 봄철 산란을 위해 강을 거슬러 올라가는 붉그스레한 황어떼의 모습은 아름답기 그지없다. 산란시기는 봄부터 여름까지(주로 3,4월)이고,수심 20-70cm의 모래나 물흐 름이 다소 있는 하천의 중류 자갈밭에서 산란시 암수가 협력하여 자갈밭을 파고 그 안에다 알을 낳아 부착시키는데 산란 뒤에는 파올린 자갈로 산란장 을 덮어버린다. 산란은 주로 주간에 이루어지며 1마리당 잉란수는 3만8천-5만3천개 정도이다. 대단한 잡식성인 황어의 낚시포인트는 담수의 영향을 어느 정도 받고 바닥 에 암초가 드문드문 있는 해역이 일급이며,미끼는 갯지렁이,조개살이 좋으며 최근에는 오징어내장을 최고로 꼽는다. 오징어내장의 독특한 냄새가 예민한 황어의 후각을 자극하기 때문이다. 황어는 물고기 중 환경에 대한 저항력과 적응력이 강해 홍수,한파,결빙 속에서도 서식할 뿐 아니라 일본의 화산호수에서는 물고기가 살 수 없는 pH4 정도의 강산성 속에서도 육봉형이 서식하고 있다. 살속에 잔뼈가 많아 먹기에 조금 불편한 황어는 산란기때 크고 비대하며 몸 색이 아름다워 미각을 돋구기도 하나 낚시 시즌인 찬 바람 부는 한 겨울철에 제맛이 난다. 과거에는 농밀한 어군이 산란을 위하여 하천을 소하 하는 것을 볼 수 있었으나 지금은 자원이 크게 감소되어 어획량도 많지 않다. 물이 비교적 맑은 하천의 상류에서 수서곤충, 어린 물고기, 물고기 알, 갑각류, 조개, 물 위에 떨어진 벌레나 식물의 잎줄기, 씨 등을 먹는다. 겨울에서 산란기인 봄에 이를 때 가장 맛이 좋다. 몸길이는 50센티미터에 달하며, 이정도 자라기까지는 4년 이상 걸린다. 황어와 비슷한 종으로는 대황어가 있다. 대황어는 잉어목 잉어과 황어아과 황어속의 물고기로 우리나라 동해안 북쪽 하천의 기수역과 연안의 비교적 얕은 곳에 사는데, 동해의 죽산천, 송천천, 추천에서 조사되었고 국외에서는 일본의 일부 수역, 사할린, 연해주 등에 살고 있다. 황어의 효능 칼슘보충 (칼슘을 어느 정도 함유하고 있어 섭취하면 도움이 된다.) 구입요령: 가능하면 활어상태를 구입하는 것이 가장 신선하며 살에 탄력이 있으며 비린내가 심하지 않은 것을 선택한다. 보 관 법: 부패하기 쉬운내장을 분리한뒤 깨끗이 씻고 밀봉한뒤 냉동보관한다. 손 질 법: 비늘을 살짝 긁어내고 지느러미와 내장을 제거한 뒤 흐르는 물에 씻어 사용한다. 먹 는 법: 구이, 찜, 탕등으로 요리하여 먹는다. 궁합음식: 생강 (날생선을 먹을경우 생강이 살균효과를 나타낸다.) 다이어트: 아미노산과 무기질이 풍부하여 좋다. 관련근거 및 출처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경상도지리지(慶尙道地理志),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난호어목지(蘭湖漁牧志),성소부부고(惺所覆?藁),난호어목지(蘭湖漁牧志),경남(慶南)의 자연(自然) -담수어편(淡水魚篇)-,(최기철, 경상남도교육위원회, 1983),한국어도보(韓國魚圖譜),(정문기, 일지사, 1977),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쿡쿡TV)
영천 황어 『난호어목지(蘭湖漁牧志)』에는 황어를 한글로 ‘황어’라 하고, 그 모양이 잉어를 많이 닮았고 크기도 역시 그러한데 비늘의 빛깔이 순황색이어서 이름이 황어라고 하였다. 서해에서 난다고 하였는데, 그것은 이해가 안 된다. 그리고 비가 오려고 할 때면 높이 뛰어 올랐다가 물 위에 떨어지는데 그 소리가 물장구소리와 같다고 하였고, 그 살은 기름이 많고 살지고 맛이 있다고 하였다. 조선시대의 여러 문헌을 보면 건황어(乾黃魚)·황어자(黃魚鮓) 등이 보인다. 『경상도지리지(慶尙道地理志)』에는 양산군의 토산공물에 은어와 함께 실려 있고, 『세종실록』 지리지에는 양산군의 토공과 영천군·거제군의 토산에 들어 있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경상도·강원도·함경도의 여러 지방과 전라도 강진현의 토산으로 올라 있다. 황어[黃魚], 건황어(乾黃魚), 생황어(生黃魚)는 강원도(간성군, 강릉대도호부, 고성군, 삼척도호부, 양양도호부, 통천군, 평해군, 흡곡현) 경기도(통진현) 경상도(경주부, 고성현, 대구도호부, 울진현, 밀양도호부, 사천현, 양산군, 언양현, 영덕현, 영일현, 永川郡, 울산군, 진주목, 진해현, 창원도호부) 전라도(강진현) 함경도(감영, 경성도호부, 경흥도호부, 고원군, 길성현, 단천군, 덕원도호부, 명천현, 문천군, 부령도호부, 북청도호부, 안변도호부, 영흥대도호부, 온성도호부, 정평도호부, 함흥부, 홍원현)에서 대전, 왕대비전, 혜경궁, 중궁전, 세자궁에 진상하였다는 기록이 신증동국여지승람, 여지도서, 춘관통고, 공선정례에 기록되어있다. 상품정보 바다에 서식하는 유일한 잉어과 어류 - 황 어 겨울철,특히 동해안의 대표적 어종인 황어는 잉어목 잉어과 황어속에 속하는데 지구상에 있는 잉어과 물고기 중 바닷물에 적응하며 사는 유일한 2차 담수어로 일생의 대부분을 바다에서 지내고 산란기에만 하천으로 올라온다. 학명은 Tribolodon hakonensis G.이다. 몸이 약간 길고 조금 측편하며 머리는 뾰족하다.입수염이 없다. 그러나 황어도 강에서만 사는 육봉형이 있고 바다로 내려가는 강해성이 있 는데 우리나라에서 서식하는 것은 모두 강해성이고,일반적으로 강해성이 성 장이 빠르고 대형(30-45cm)이고,육봉형은 체형이 작고(10-13cm) 성장이 느 리다. 동,남해안의 하천과 연안,사할린 시베리아 연해,만주수계와 일본 홋가이도 이남의 각 지방에 널리 분포하는 황어는 우리나라에서는 특별하게 불리는 이름은 없고 일본명은 '우구이',영어명은 '데이스'라고 한다. 황어류는 학자들이 측선의 비늘수로 종류를 구분하여 분류해 놓았는데 학명이 9개나 돼 분류체계가 매우 복잡해서 후학들을 괴롭히는 물고기이다. 우리나라에는 비늘수가 79-86개인 1종이 살고 있다. 아무튼 황어는 잉어과 어류중에서 수염이 없는 종이고 이빨도 없으며,위가 없고 소화관은 N자 모양으로 꼬임이 단순하다. 황어는 보통 때는 옆쪽과 배쪽은 은백색,등쪽은 검푸른색을 띠는 유선형의 날씬한 물고기이나,산란기가 되면 몸통 측편 아래쪽에 폭넓은 붉은색 세로띠 가 나타나고 지느러미도 붉게 변하며 머리 부분에 추성(산란기에 몸에 돋아 나는 원뿔 모양의 돌기)이 나타난다. 이런 혼인색은 숫놈이 더 고운데 봄철 산란을 위해 강을 거슬러 올라가는 붉그스레한 황어떼의 모습은 아름답기 그지없다. 산란시기는 봄부터 여름까지(주로 3,4월)이고,수심 20-70cm의 모래나 물흐 름이 다소 있는 하천의 중류 자갈밭에서 산란시 암수가 협력하여 자갈밭을 파고 그 안에다 알을 낳아 부착시키는데 산란 뒤에는 파올린 자갈로 산란장 을 덮어버린다. 산란은 주로 주간에 이루어지며 1마리당 잉란수는 3만8천-5만3천개 정도이다. 대단한 잡식성인 황어의 낚시포인트는 담수의 영향을 어느 정도 받고 바닥 에 암초가 드문드문 있는 해역이 일급이며,미끼는 갯지렁이,조개살이 좋으며 최근에는 오징어내장을 최고로 꼽는다. 오징어내장의 독특한 냄새가 예민한 황어의 후각을 자극하기 때문이다. 황어는 물고기 중 환경에 대한 저항력과 적응력이 강해 홍수,한파,결빙 속에서도 서식할 뿐 아니라 일본의 화산호수에서는 물고기가 살 수 없는 pH4 정도의 강산성 속에서도 육봉형이 서식하고 있다. 살속에 잔뼈가 많아 먹기에 조금 불편한 황어는 산란기때 크고 비대하며 몸 색이 아름다워 미각을 돋구기도 하나 낚시 시즌인 찬 바람 부는 한 겨울철에 제맛이 난다. 과거에는 농밀한 어군이 산란을 위하여 하천을 소하 하는 것을 볼 수 있었으나 지금은 자원이 크게 감소되어 어획량도 많지 않다. 물이 비교적 맑은 하천의 상류에서 수서곤충, 어린 물고기, 물고기 알, 갑각류, 조개, 물 위에 떨어진 벌레나 식물의 잎줄기, 씨 등을 먹는다. 겨울에서 산란기인 봄에 이를 때 가장 맛이 좋다. 몸길이는 50센티미터에 달하며, 이정도 자라기까지는 4년 이상 걸린다. 황어와 비슷한 종으로는 대황어가 있다. 대황어는 잉어목 잉어과 황어아과 황어속의 물고기로 우리나라 동해안 북쪽 하천의 기수역과 연안의 비교적 얕은 곳에 사는데, 동해의 죽산천, 송천천, 추천에서 조사되었고 국외에서는 일본의 일부 수역, 사할린, 연해주 등에 살고 있다. 황어의 효능 칼슘보충 (칼슘을 어느 정도 함유하고 있어 섭취하면 도움이 된다.) 구입요령: 가능하면 활어상태를 구입하는 것이 가장 신선하며 살에 탄력이 있으며 비린내가 심하지 않은 것을 선택한다. 보 관 법: 부패하기 쉬운내장을 분리한뒤 깨끗이 씻고 밀봉한뒤 냉동보관한다. 손 질 법: 비늘을 살짝 긁어내고 지느러미와 내장을 제거한 뒤 흐르는 물에 씻어 사용한다. 먹 는 법: 구이, 찜, 탕등으로 요리하여 먹는다. 궁합음식: 생강 (날생선을 먹을경우 생강이 살균효과를 나타낸다.) 다이어트: 아미노산과 무기질이 풍부하여 좋다. 관련근거 및 출처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경상도지리지(慶尙道地理志)』,『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난호어목지(蘭湖漁牧志)』,『성소부부고(惺所覆?藁)』,『난호어목지(蘭湖漁牧志)』,『경남(慶南)의 자연(自然) -담수어편(淡水魚篇)-』(최기철, 경상남도교육위원회, 1983),『한국어도보(韓國魚圖譜)』(정문기, 일지사, 1977),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쿡쿡TV
양산 황어 황어는 우리나라 사람들이 오래 전부터 즐겨 먹었던 물고기로 『경상도지리지(慶尙道地理志)』에는 양산군의 토산공물에 은어와 함께 실려 있고, 『세종실록』 지리지에는 양산군의 토공과 영천군·거제군의 토산에 들어 있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경상도·강원도·함경도의 여러 지방과 전라도 강진현의 토산으로 올라 있다.『난호어목지(蘭湖漁牧志)』에는 황어를 한글로 ‘황어’라 하고, 그 모양이 잉어를 많이 닮았고 크기도 역시 그러한데 비늘의 빛깔이 순황색이어서 이름이 황어라고 하였다. 서해에서 난다고 하였는데, 그것은 이해가 안 된다. 그리고 비가 오려고 할 때면 높이 뛰어 올랐다가 물 위에 떨어지는데 그 소리가 물장구소리와 같다고 하였고, 그 살은 기름이 많고 살지고 맛이 있다고 하였다. 조선시대의 여러 문헌을 보면 건황어(乾黃魚)·황어자(黃魚鮓) 등이 보인다. 진상품관련근거 황어[黃魚], 건황어(乾黃魚), 생황어(生黃魚)는 강원도(간성군, 강릉대도호부, 고성군, 삼척도호부, 양양도호부, 통천군, 평해군, 흡곡현) 경기도(통진현) 경상도(경주부, 고성현, 대구도호부, 울진현, 밀양도호부, 사천현, 양산군, 언양현, 영덕현, 영일현, 永川郡, 울산군, 진주목, 진해현, 창원도호부) 전라도(강진현) 함경도(감영, 경성도호부, 경흥도호부, 고원군, 길성현, 단천군, 덕원도호부, 명천현, 문천군, 부령도호부, 북청도호부, 안변도호부, 영흥대도호부, 온성도호부, 정평도호부, 함흥부, 홍원현)에서 대전, 왕대비전, 혜경궁, 중궁전, 세자궁에 진상하였다는 기록이 신증동국여지승람, 여지도서, 춘관통고, 공선정례에 기록되어있다. 상품정보 바다에 서식하는 유일한 잉어과 어류 - 황 어 겨울철,특히 동해안의 대표적 어종인 황어는 잉어목 잉어과 황어속에 속하는데 지구상에 있는 잉어과 물고기 중 바닷물에 적응하며 사는 유일한 2차 담수어로 일생의 대부분을 바다에서 지내고 산란기에만 하천으로 올라온다. 학명은 Tribolodon hakonensis G.이다. 몸이 약간 길고 조금 측편하며 머리는 뾰족하다.입수염이 없다. 그러나 황어도 강에서만 사는 육봉형이 있고 바다로 내려가는 강해성이 있 는데 우리나라에서 서식하는 것은 모두 강해성이고,일반적으로 강해성이 성 장이 빠르고 대형(30-45cm)이고,육봉형은 체형이 작고(10-13cm) 성장이 느 리다. 동,남해안의 하천과 연안,사할린 시베리아 연해,만주수계와 일본 홋가이도 이남의 각 지방에 널리 분포하는 황어는 우리나라에서는 특별하게 불리는 이름은 없고 일본명은 '우구이',영어명은 '데이스'라고 한다. 황어류는 학자들이 측선의 비늘수로 종류를 구분하여 분류해 놓았는데 학명이 9개나 돼 분류체계가 매우 복잡해서 후학들을 괴롭히는 물고기이다. 우리나라에는 비늘수가 79-86개인 1종이 살고 있다. 아무튼 황어는 잉어과 어류중에서 수염이 없는 종이고 이빨도 없으며,위가 없고 소화관은 N자 모양으로 꼬임이 단순하다. 황어는 보통 때는 옆쪽과 배쪽은 은백색,등쪽은 검푸른색을 띠는 유선형의 날씬한 물고기이나,산란기가 되면 몸통 측편 아래쪽에 폭넓은 붉은색 세로띠 가 나타나고 지느러미도 붉게 변하며 머리 부분에 추성(산란기에 몸에 돋아 나는 원뿔 모양의 돌기)이 나타난다. 이런 혼인색은 숫놈이 더 고운데 봄철 산란을 위해 강을 거슬러 올라가는 붉그스레한 황어떼의 모습은 아름답기 그지없다. 산란시기는 봄부터 여름까지(주로 3,4월)이고,수심 20-70cm의 모래나 물흐 름이 다소 있는 하천의 중류 자갈밭에서 산란시 암수가 협력하여 자갈밭을 파고 그 안에다 알을 낳아 부착시키는데 산란 뒤에는 파올린 자갈로 산란장 을 덮어버린다. 산란은 주로 주간에 이루어지며 1마리당 잉란수는 3만8천-5만3천개 정도이다. 대단한 잡식성인 황어의 낚시포인트는 담수의 영향을 어느 정도 받고 바닥 에 암초가 드문드문 있는 해역이 일급이며,미끼는 갯지렁이,조개살이 좋으며 최근에는 오징어내장을 최고로 꼽는다. 오징어내장의 독특한 냄새가 예민한 황어의 후각을 자극하기 때문이다. 황어는 물고기 중 환경에 대한 저항력과 적응력이 강해 홍수,한파,결빙 속에서도 서식할 뿐 아니라 일본의 화산호수에서는 물고기가 살 수 없는 pH4 정도의 강산성 속에서도 육봉형이 서식하고 있다. 살속에 잔뼈가 많아 먹기에 조금 불편한 황어는 산란기때 크고 비대하며 몸 색이 아름다워 미각을 돋구기도 하나 낚시 시즌인 찬 바람 부는 한 겨울철에 제맛이 난다. 과거에는 농밀한 어군이 산란을 위하여 하천을 소하 하는 것을 볼 수 있었으나 지금은 자원이 크게 감소되어 어획량도 많지 않다. 물이 비교적 맑은 하천의 상류에서 수서곤충, 어린 물고기, 물고기 알, 갑각류, 조개, 물 위에 떨어진 벌레나 식물의 잎줄기, 씨 등을 먹는다. 겨울에서 산란기인 봄에 이를 때 가장 맛이 좋다. 몸길이는 50센티미터에 달하며, 이정도 자라기까지는 4년 이상 걸린다. 황어와 비슷한 종으로는 대황어가 있다. 대황어는 잉어목 잉어과 황어아과 황어속의 물고기로 우리나라 동해안 북쪽 하천의 기수역과 연안의 비교적 얕은 곳에 사는데, 동해의 죽산천, 송천천, 추천에서 조사되었고 국외에서는 일본의 일부 수역, 사할린, 연해주 등에 살고 있다. 황어의 효능 칼슘보충 (칼슘을 어느 정도 함유하고 있어 섭취하면 도움이 된다.) 구입요령: 가능하면 활어상태를 구입하는 것이 가장 신선하며 살에 탄력이 있으며 비린내가 심하지 않은 것을 선택한다. 보 관 법: 부패하기 쉬운내장을 분리한뒤 깨끗이 씻고 밀봉한뒤 냉동보관한다. 손 질 법: 비늘을 살짝 긁어내고 지느러미와 내장을 제거한 뒤 흐르는 물에 씻어 사용한다. 먹 는 법: 구이, 찜, 탕등으로 요리하여 먹는다. 궁합음식: 생강 (날생선을 먹을경우 생강이 살균효과를 나타낸다.) 다이어트: 아미노산과 무기질이 풍부하여 좋다. 관련근거 및 출처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경상도지리지(慶尙道地理志)』,『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난호어목지(蘭湖漁牧志)』,『성소부부고(惺所覆?藁)』,『난호어목지(蘭湖漁牧志)』,『경남(慶南)의 자연(自然) -담수어편(淡水魚篇)-』(최기철, 경상남도교육위원회, 1983),『한국어도보(韓國魚圖譜)』(정문기, 일지사, 1977),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쿡쿡TV
학명은 Tribo...산란기는 3, 4월이고 수심 20∼70㎝의 모래나 자갈바닥에 산란한다. 황어는 우리나라 사람들이 오래 전부터 즐겨 먹었던 물고기로 『경상도지리지(慶尙道地理志)』에는 양산군의 토산공물에 은어와 함께 실려 있고, 『세종실록』 지리지에는 양산군의 토공과 영천군·거제군의 토산에 들어 있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경상도·강원도·함경도의 여러 지방과 전라도 강진현의 토산으로 올라 있다. 『난호어목지(蘭湖漁牧志)』에는 황어를 한글로 ‘황어’라 하고, 그 모양이 잉어를 많이 닮았고 크기도 역시 그러한데 비늘의 빛깔이 순황색이어서 이름이 황어라고 하였다. 서해에서 난다고 하였는데, 그것은 이해가 안 된다. 그리고 비가 오려고 할 때면 높이 뛰어 올랐다가 물 위에 떨어지는데 그 소리가 물장구소리와 같다고 하였고, 그 살은 기름이 많고 살지고 맛이 있다고 하였다. 조선시대의 여러 문헌을 보면 건황어(乾黃魚)·황어자(黃魚鮓) 등이 보인다. 황어는 건제품으로 만들거나 젓갈·식해 등의 발효제품을 만들어 저장해 두고 소비하였던 것이다. 과거에는 농밀한 어군이 산란을 위하여 하천을 거슬러 오르는 것을 볼 수 있었으나, 지금은 자원이 크게 감소되어 어획량도 많지 않다. 1988년의 경우는 어획량이 39M/T에 지나지 않았다. 특징 황어는 거의 대부분의 일생을 바다에서 살다가 알을 낳는 시기인 3월 중순경에 물이 많은 하천으로 거슬러 올라와 자갈 바닥에 알을 낳은 후 어미는 모두 죽는다.몸은 길게 옆으로 납작하고 주둥이 앞 끝은 뾰족하다. 꼬리는 옆으로 납작하다. 입술은 말굽 모양으로 비스듬히 위쪽을 향해있고, 위턱의 뒤끝은 눈구멍 앞부분의 바로 아래에서 끝난다. 옆줄은 완전하다. 머리의 측선감각계 가운데 전새개하악관과 안하관후부가 불연속이다. 등지느러미의 앞 끝은 뾰족하며 바깥가장자리는 거의 직선이다. 번식기의 수컷은 몸 전체에 추성(번식기 때 수컷의 피부표면에 표피가 두꺼워져 사마귀 모양으로 돌출되는 돌기)이 머리와 몸통 등 쪽 면에 뚜렷하게 나타나고, 몸통 옆면에 3열의 적황색 띠가 나타난다. 참고문헌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국립중앙과학관
건황어(乾黃漁)는 난호어목지(蘭湖漁牧志)에는 황어는 그 모양이 잉어를 많이 닮았고 비늘의 빛깔이 순황색이어서 이름이 황어라고 하였다. 비가 오려고 할 때면 높이 뛰어 올랐다가 물 위에 떨어지는데 그 소리가 물장구소리와 같다고 하였고, 그 살은 기름이…
강진황어는 난호어목지(蘭湖漁牧志)에는 그 모양이 잉어를 많이 닮았고 크기도 역시 그러한데 비늘의 빛깔이 순황색이어서 이름이 황어라고 하였다. 비가 오려고 할 때면 높이 뛰어 올랐다가 물 위에 떨어지는데 그 소리가 물장구소리와 같다고 하였고, 그 살…
영천 황어 『난호어목지(蘭湖漁牧志)』에는 황어를 한글로 ‘황어’라 하고, 그 모양이 잉어를 많이 닮았고 크기도 역시 그러한데 비늘의 빛깔이 순황색이어서 이름이 황어라고 하였다. 서해에서 난다고 하였는데, 그것은 이해가 안 된다. 그리고 비가 오려고 …
양산 황어 황어는 우리나라 사람들이 오래 전부터 즐겨 먹었던 물고기로 『경상도지리지(慶尙道地理志)』에는 양산군의 토산공물에 은어와 함께 실려 있고, 『세종실록』 지리지에는 양산군의 토공과 영천군·거제군의 토산에 들어 있다. 『신증동국여지승람』…
학명은 Tribo...산란기는 3, 4월이고 수심 20∼70㎝의 모래나 자갈바닥에 산란한다. 황어는 우리나라 사람들이 오래 전부터 즐겨 먹었던 물고기로 『경상도지리지(慶尙道地理志)』에는 양산군의 토산공물에 은어와 함께 실려 있고, 『세종실록』 지리지에는 양산군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