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래
가물치
가지
간재미
갈근
갈치
감자
감태
감초
감홍로주
강활
강황
게장
고구마
고등어
고본
고사리
고슴도치
고추
고추장
곤쟁이
골풀
곰취
곱돌
과루인
곶감
과메기
곽향
광어
구기자
구리
국수
국화차
굴비
금불초
기장
김치
꼬막
꼴뚜기
꽃게
꿀풀
나물
나전칠기
낙죽장도
낙지
냉이
노루
녹두
녹용
녹차
농어
뇌록
누치
느룹나무
느타리버섯
다시마
다람쥐
다래
다슬기
닥나무
단감
단목
달래
담비
담쟁이
당귀
대게
대구
대나무
대발
대추
더덕
더덕주
도라지
도루묵
도마뱀
도미
도자기
돈육
돈차
돌미역
돔배기
동래파전
동백기름
동충하초
돚자리
돼지
된장
두꺼비
두릅
두충
딸기
들기름
마늘
마뿌리
만화석
막걸리
망둥어
매생이
매실
맥문동
맨드라미
머루
머루주
메밀차
멸치
명란젓
명설차
명태
모과
모란
모래무지
모시
모자
목기
목화
무명
무우
문배주
문어
미나리
미역
민속주
민어
밀랍
박하
방풍
백랍
백련잎차
백렴
백미
백반
백부자
백조어
백하수오
백합
밴댕이
뱅어
벼루
병어
법주
보골지
보리
복령
복분자
복숭아
복어
부들
부자
부채
부추
붉나무
붕어
비빔밥
비자
뽕나무
사과
사슴
산나물
산삼
삼림욕
산수유
살구
삼릉
삼배
삼치
상합
상황버섯
새우
새우젓
생강
석결명
석곡
석류
석영
석이버섯
석청
석창포
소금
소라
소주
속새
송어
송이버섯
송화가루
수달
수박
수정
숙주
순채
숭어
승검초
식해
안동포
안식향
앵두
야콘
야콘잎차
약쑥
양귀비
어란
어리굴젓
어육장
엄나무
연밥
연어
연엽주
열목어
염전
엽삭젓
오가피
오미자
오곡
오골계
오정주
오죽
오징어
옥돔
옥로주
옹기
옻칠
왕골
용문석
우무
우황
울금
웅어
위어
유기
유자
유자차
유황
육포
은어
은행
이강주
이스라지
익모초
인삼
인삼주
잉어
자단향
자두
자라
자라돔
자연동
자하젓
작설차
작약
장군풀
장아찌
전모
전복
전어
전어젓
전통주
젓갈
젓새우
정어리
조개
조기
조홍시
좁쌀
종어
종이
주꾸미
죽렴장
죽로차
죽순
죽순채
죽염멸치
죽엽청주
죽피
죽합
준치
중국차
지라돔
지치
질경이
찐빵
참가사리
참게
참기름
참죽나물
참외
찹쌀
창출
천궁
천남성
천문동
청각
청국장
청란석
청목향
청자
초콜릿
초피나무
초하주
추성주
취나물
치자
칠선주
콩잎
토마토
토끼
토사자
토주
토파즈
토하젓
파전
패랭이
편두
포도
포도주
표고버섯
표범
하늘타리
학슬
한과
한라봉
한우
한지
해구신
해달
해삼
해파리
해홍나물
향나무
호도
호로파
호두
홍삼
홍삼절편
홍시
홍어
홍주
홍합
화개차
화문석
황기
황률
황벽나무
황어
황옥
황진이주
황태
회양목
후박
후추
흑돼지
흑염소
흑한우
로그인 l 회원가입

e8ccf7afdd6c52258b6fbe6c00a9fd6a_1443601259_4273.jpg
 
 영천황어
 

영천 황어
『난호어목지(蘭湖漁牧志)에는 황어를 한글로 ‘황어’라 하고, 그 모양이 잉어를 많이 닮았고 크기도 역시 그러한데 비늘의 빛깔이 순황색이어서 이름이 황어라고 하였다. 서해에서 난다고 하였는데, 그것은 이해가 안 된다. 그리고 비가 오려고 할 때면 높이 뛰어 올랐다가 물 위에 떨어지는데 그 소리가 물장구소리와 같다고 하였고, 그 살은 기름이 많고 살지고 맛이 있다고 하였다. 조선시대의 여러 문헌을 보면 건황어(乾黃魚)·황어자(黃魚鮓) 등이 보인다.
『경상도지리지(慶尙道地理志)에는 양산군의 토산공물에 은어와 함께 실려 있고, 『세종실록』 지리지에는 양산군의 토공과 영천군·거제군의 토산에 들어 있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경상도·강원도·함경도의 여러 지방과 전라도 강진현의 토산으로 올라 있다.
황어[黃魚], 건황어(乾黃魚), 생황어(生黃魚)는 강원도(간성군, 강릉대도호부, 고성군, 삼척도호부, 양양도호부, 통천군, 평해군, 흡곡현) 경기도(통진현) 경상도(경주부, 고성현, 대구도호부, 울진현, 밀양도호부, 사천현, 양산군, 언양현, 영덕현, 영일현, 永川郡, 울산군, 진주목, 진해현, 창원도호부) 전라도(강진현) 함경도(감영, 경성도호부, 경흥도호부, 고원군, 길성현, 단천군, 덕원도호부, 명천현, 문천군, 부령도호부,  북청도호부, 안변도호부, 영흥대도호부, 온성도호부, 정평도호부, 함흥부, 홍원현)에서 대전, 왕대비전, 혜경궁, 중궁전, 세자궁에 진상하였다는 기록이  신증동국여지승람, 여지도서, 춘관통고, 공선정례에 기록되어있다.
 
상품정보
바다에 서식하는 유일한 잉어과 어류 - 황 어
겨울철,특히 동해안의 대표적 어종인 황어는 잉어목 잉어과 황어속에 속하는데 지구상에 있는 잉어과 물고기 중 바닷물에 적응하며 사는 유일한 2차 담수어로 일생의 대부분을 바다에서 지내고 산란기에만 하천으로 올라온다.
학명은 Tribolodon hakonensis G.이다.
몸이 약간 길고 조금 측편하며 머리는 뾰족하다.입수염이 없다.
그러나 황어도 강에서만 사는 육봉형이 있고 바다로 내려가는 강해성이 있 는데 우리나라에서 서식하는 것은 모두 강해성이고,일반적으로 강해성이 성 장이 빠르고 대형(30-45cm)이고,육봉형은 체형이 작고(10-13cm) 성장이 느 리다.
 
,남해안의 하천과 연안,사할린 시베리아 연해,만주수계와 일본 홋가이도 이남의 각 지방에 널리 분포하는 황어는 우리나라에서는 특별하게 불리는 이름은 없고 일본명은 '우구이',영어명은 '데이스'라고 한다.
황어류는 학자들이 측선의 비늘수로 종류를 구분하여 분류해 놓았는데 학명이 9개나 돼 분류체계가 매우 복잡해서 후학들을 괴롭히는 물고기이다.
 
우리나라에는 비늘수가 79-86개인 1종이 살고 있다.
아무튼 황어는 잉어과 어류중에서 수염이 없는 종이고 이빨도 없으며,위가 없고 소화관은 N자 모양으로 꼬임이 단순하다.
황어는 보통 때는 옆쪽과 배쪽은 은백색,등쪽은 검푸른색을 띠는 유선형의 날씬한 물고기이나,산란기가 되면 몸통 측편 아래쪽에 폭넓은 붉은색 세로띠 가 나타나고 지느러미도 붉게 변하며 머리 부분에 추성(산란기에 몸에 돋아 나는 원뿔 모양의 돌기)이 나타난다.
 
이런 혼인색은 숫놈이 더 고운데 봄철 산란을 위해 강을 거슬러 올라가는 붉그스레한 황어떼의 모습은 아름답기 그지없다.
산란시기는 봄부터 여름까지(주로 3,4)이고,수심 20-70cm의 모래나 물흐 름이 다소 있는 하천의 중류 자갈밭에서 산란시 암수가 협력하여 자갈밭을 파고 그 안에다 알을 낳아 부착시키는데 산란 뒤에는 파올린 자갈로 산란장 을 덮어버린다.
 
산란은 주로 주간에 이루어지며 1마리당 잉란수는 38-53천개 정도이다.
대단한 잡식성인 황어의 낚시포인트는 담수의 영향을 어느 정도 받고 바닥 에 암초가 드문드문 있는 해역이 일급이며,미끼는 갯지렁이,조개살이 좋으며 최근에는 오징어내장을 최고로 꼽는다.
오징어내장의 독특한 냄새가 예민한 황어의 후각을 자극하기 때문이다.
황어는 물고기 중 환경에 대한 저항력과 적응력이 강해 홍수,한파,결빙 속에서도 서식할 뿐 아니라 일본의 화산호수에서는 물고기가 살 수 없는 pH4 정도의 강산성 속에서도 육봉형이 서식하고 있다.
살속에 잔뼈가 많아 먹기에 조금 불편한 황어는 산란기때 크고 비대하며 몸 색이 아름다워 미각을 돋구기도 하나 낚시 시즌인 찬 바람 부는 한 겨울철에 제맛이 난다.
과거에는 농밀한 어군이 산란을 위하여 하천을 소하 하는 것을 볼 수 있었으나 지금은 자원이 크게 감소되어 어획량도 많지 않다.
물이 비교적 맑은 하천의 상류에서 수서곤충, 어린 물고기, 물고기 알, 갑각류, 조개, 물 위에 떨어진 벌레나 식물의 잎줄기, 씨 등을 먹는다.
겨울에서 산란기인 봄에 이를 때 가장 맛이 좋다.
몸길이는 50센티미터에 달하며, 이정도 자라기까지는 4년 이상 걸린다.
황어와 비슷한 종으로는 대황어가 있다.
대황어는 잉어목 잉어과 황어아과 황어속의 물고기로 우리나라 동해안 북쪽 하천의 기수역과 연안의 비교적 얕은 곳에 사는데, 동해의 죽산천, 송천천, 추천에서 조사되었고 국외에서는 일본의 일부 수역, 사할린, 연해주 등에 살고 있다.
 
황어의 효능
칼슘보충 (칼슘을 어느 정도 함유하고 있어 섭취하면 도움이 된다.)
 
구입요령: 가능하면 활어상태를 구입하는 것이 가장 신선하며 살에 탄력이 있으며 비린내가 심하지 않은 것을 선택한다.
보 관 법: 부패하기 쉬운내장을 분리한뒤 깨끗이 씻고 밀봉한뒤 냉동보관한다.
손 질 법: 비늘을 살짝 긁어내고 지느러미와 내장을 제거한 뒤 흐르는 물에 씻어 사용한다.
먹 는 법: 구이, , 탕등으로 요리하여 먹는다.
궁합음식: 생강 (날생선을 먹을경우 생강이 살균효과를 나타낸다.)
다이어트: 아미노산과 무기질이 풍부하여 좋다.
 
관련근거 및 출처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경상도지리지(慶尙道地理志),『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난호어목지(蘭湖漁牧志),『성소부부고(惺所覆?),『난호어목지(蘭湖漁牧志),『경남(慶南)의 자연(自然) -담수어편(淡水魚篇)-(최기철, 경상남도교육위원회, 1983),『한국어도보(韓國魚圖譜)(정문기, 일지사, 1977),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쿡쿡TV

11111.jpg

   

                                            크기변환_13333.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