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래
가물치
가지
간재미
갈근
갈치
감자
감태
감초
감홍로주
강활
강황
게장
고구마
고등어
고본
고사리
고슴도치
고추
고추장
곤쟁이
골풀
곰취
곱돌
과루인
곶감
과메기
곽향
광어
구기자
구리
국수
국화차
굴비
금불초
기장
김치
꼬막
꼴뚜기
꽃게
꿀풀
나물
나전칠기
낙죽장도
낙지
냉이
노루
녹두
녹용
녹차
농어
뇌록
누치
느룹나무
느타리버섯
다시마
다람쥐
다래
다슬기
닥나무
단감
단목
달래
담비
담쟁이
당귀
대게
대구
대나무
대발
대추
더덕
더덕주
도라지
도루묵
도마뱀
도미
도자기
돈육
돈차
돌미역
돔배기
동래파전
동백기름
동충하초
돚자리
돼지
된장
두꺼비
두릅
두충
딸기
들기름
마늘
마뿌리
만화석
막걸리
망둥어
매생이
매실
맥문동
맨드라미
머루
머루주
메밀차
멸치
명란젓
명설차
명태
모과
모란
모래무지
모시
모자
목기
목화
무명
무우
문배주
문어
미나리
미역
민속주
민어
밀랍
박하
방풍
백랍
백련잎차
백렴
백미
백반
백부자
백조어
백하수오
백합
밴댕이
뱅어
벼루
병어
법주
보골지
보리
복령
복분자
복숭아
복어
부들
부자
부채
부추
붉나무
붕어
비빔밥
비자
뽕나무
사과
사슴
산나물
산삼
삼림욕
산수유
살구
삼릉
삼배
삼치
상합
상황버섯
새우
새우젓
생강
석결명
석곡
석류
석영
석이버섯
석청
석창포
소금
소라
소주
속새
송어
송이버섯
송화가루
수달
수박
수정
숙주
순채
숭어
승검초
식해
안동포
안식향
앵두
야콘
야콘잎차
약쑥
양귀비
어란
어리굴젓
어육장
엄나무
연밥
연어
연엽주
열목어
염전
엽삭젓
오가피
오미자
오곡
오골계
오정주
오죽
오징어
옥돔
옥로주
옹기
옻칠
왕골
용문석
우무
우황
울금
웅어
위어
유기
유자
유자차
유황
육포
은어
은행
이강주
이스라지
익모초
인삼
인삼주
잉어
자단향
자두
자라
자라돔
자연동
자하젓
작설차
작약
장군풀
장아찌
전모
전복
전어
전어젓
전통주
젓갈
젓새우
정어리
조개
조기
조홍시
좁쌀
종어
종이
주꾸미
죽렴장
죽로차
죽순
죽순채
죽염멸치
죽엽청주
죽피
죽합
준치
중국차
지라돔
지치
질경이
찐빵
참가사리
참게
참기름
참죽나물
참외
찹쌀
창출
천궁
천남성
천문동
청각
청국장
청란석
청목향
청자
초콜릿
초피나무
초하주
추성주
취나물
치자
칠선주
콩잎
토마토
토끼
토사자
토주
토파즈
토하젓
파전
패랭이
편두
포도
포도주
표고버섯
표범
하늘타리
학슬
한과
한라봉
한우
한지
해구신
해달
해삼
해파리
해홍나물
향나무
호도
호로파
호두
홍삼
홍삼절편
홍시
홍어
홍주
홍합
화개차
화문석
황기
황률
황벽나무
황어
황옥
황진이주
황태
회양목
후박
후추
흑돼지
흑염소
흑한우
로그인 l 회원가입

 
궁시장 유영기, 수천 년을 날아온 전통 화살
조회 : 2,132  

궁시장 유영기

바람은 계산하는 것이 아니라 극복하는 것이다! - 영화<최종병기 활> 남이의 대사 중
주요 작품
화살액자 / 125×80cm
화살액자 / 125×80cm
한국의 전통화살 7점을 액자에 넣은 것으로 인마살상용의 뾰족한 촉을 갖춘 장전 2점과 쏘면 소리를 내어 신호 및 전투,수렵 등에 사용되었던 효시4점, 연습용 목전 1점을 넣은 액자이다.
목전, 효시, 장전 액자 / 117×57cm
목전, 효시, 장전 액자 / 117×57cm
화살 액자 / 140×80cm
화살 액자 / 140×80cm
화살 액자 / 131×85cm
화살 액자 / 131×85cm
화살 액자 / 144×94cm
화살 액자 / 144×94cm
화살 액자 / 132×94cm
화살 액자 / 132×94cm
수천 년을 날아온 전통 화살
  • 오랜 옛날 중국민족은 우리 민족을 동이족(東夷族)이라 불렀다. 동이(東夷)의 의미는 ‘동쪽에 활을 잘 쏘는 민족’이라는 뜻을 내포하고 있다. 그만큼 중국 민족이 보기에도 우리 민족의 상징을 활과 연관시킬 만큼 궁시(弓矢)는 우리에게 생활의 방편이자 생존의 수단으로 중시되었던 것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궁시가 석기시대부터 생활수단으로 개발되어 점차 생활에 없어서는 안 될 무기로 발달한 점은 다른 나라와 별 차이가 없다. 그러나 모양이나 종류, 그리고 사법(射法)에서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다. 화살의 경우 신석기 시대 활촉이 남아 있는데 제작기술에 따라 타제석촉과 마제석촉으로 구분된다. 청동기시대에는 이전시대의 생활도구로서 유용성보다는 전통용 무기로서 크게 쓰이게 되었는데 화살대나 화살 깃은 남아있지 않아 실체를 알 수 없고 다만 화살촉이 여러 유적에서 발견되고 있다. 이 시기의 화살촉은 신석기시대 수렵용으로 쓰인 화살촉에 비해 크고 무거워졌으며 활의 강도도 높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원거리 사격이 보다 용이해지는 기술력도 축적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에서 궁시가 크게 발전한 시기는 삼국시대였다. 삼국시대는 고대사회로 정복전쟁이 빈번히 일어났고 이에 따라 크게 발달한 것이 무기였다. 삼국시대에 들어서 비로소 각궁이 등장하며 삼국 중에서 가장 먼저 각궁을 사용한 나라가 고구려였다. 고구려의 유물과 고분벽화에서 이를 확인할 수 있다. 백제에서도 근초고왕이 일본사신이 방문하였을 때 각궁전(角弓箭)을 내렸다는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 각궁을 사용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화살도 고구려와 마찬가지로 활촉, 화살대, 화살깃 등으로 이루어졌는데 유물이 없어 자세한 사항을 확인할 수는 없다.
  • [고려사]의 기록에 의하면 각궁은 산뽕나무를 기본으로 하고 소뿔, 심줄, 아교, 실, 철들을 사용하여 제조하였으며, 화살은 재료와 용도, 모양과 특색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나타나고 있다. 재료면에서 보면 죽전(竹箭), 유엽전(柳葉箭), 목전(木箭) 등이 있고, 모양에 따라 세전(細箭), 대우전(大羽箭), 효자전(哮子箭) 등이 있으며, 성능면에서 독전(毒箭), 병전(兵箭), 화전(火箭) 등이 있었다. 유엽전은 버들가지로 만든 화살대에 버들잎 모양의 화살촉을 박은 것으로 태조 이성계에 의해 전투용으로 사용된 기록이 있다. 유엽전을 각궁에 걸어서 쏘면 120보 정도 멀리 나가는데 명중률이 아주 높았다고 한다. 목전은 호시(楛矢)라고도 하는데 외국에 수출까지 하였다고 한다. 조선전기에는 세종조 이후 화약무기가 크게 보급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화약무기의 여러 가지 결함을 보완시켜 줄 수 있는 장점을 보유하고 있었기에 전통병기로서 궁시에 의존도는 조금도 줄어들지 않았다. 또한, 조선왕조가 현실적으로는 문치주의적인 경향을 보이고 있었지만 이념상으로는 문무양반체계였기에 문무겸전을 이상적인 덕목으로 내세워 활쏘기 등을 강조하였으며 왕실에서도 궁술을 중요시 하였다. 활쏘기는 조선시대에 있어 신분고하를 막론하고 가장 성행했던 신체활동이자 사회적 체육이었던 것이다.
  • 조선왕조는 활쏘기를 의례화하는 한편, 이에 대한 시행절차와 방법을 제도적으로 정비하였는데, 바로 대사례(大射禮)와 향사례(鄕射禮)가 그것이다. 대사례는 조선시대 임금이 성균관에 거둥하여 옛 성인에게 제향하고 활을 쏘던 예(禮)로서 군신, 상하간의 명분의식을 일체화시켜 통치 질서의 확립과 국가의 안녕을 도모하고자 시행되었던 의례였다. 지방의 양반들은 지방의 유향소를 중심으로 향악과 취지가 비슷한 향사례를 향음주례(鄕飮酒禮)와 함께 실행함으로써 사족간의 친목도모와 함께 유교적 덕목인 장유(長幼)의 서(序)를 밝히는 수단으로 시행하였다. 그러나 궁시는 무엇보다 무기로서의 역할이 가장 중요했는데 이에 따라 중앙에 군기감을 설치하고 궁시 제조 장인들을 공장안에 등록시켜 각종 궁시를 제조하게 하였다. 이들은 다른 장인들에 비하여 우대되어 명칭도 궁인(弓人, 활을 만드는 장인), 시인(矢人, 화살을 만드는 장인)으로 불렸다. 화살의 경우 옛날부터 명칭이 전(箭), 시(矢), 촉(镞)으로 혼용되며 사용되었는데 화살은 화살대와 화살촉, 시위에 화살을 걸고 쏠 수 있도록 凹형으로 만든 오늬, 화살이 시위를 떠나서 날아갈 때 일정한 방향을 유지시키기 위한 깃으로 구성되었다. 조선시대에 이런 화살은 목전, 예전, 편전, 대우전, 장군전, 세전, 유엽전 등의 8가지가 있었다.
  • 화살 중 특히 주목되는 것이 편전인데 편전은 화살의 크기가 작아 일명 애기살이라고도 한다. 살대의 길이가 1자 2치로 조선시대 화살 가운데 가장 작은 화살이었는데 관통력이 높고 화살의 길이가 짧아 적이 발사 시 필요한 통아가 없으면 되쏠 수 없다는 이유로 조선의 병기 가운데 가장 중요한 비밀병기였다. 임진왜란 중에는 궁시전략의 일환으로 독화살이 개발되었는데 화살촉에 치명적인 독약을 발라서 발사함으로써 살상효과를 증진시키는 것이었다. 그러나 명나라 군에서 독약의 제조법의 공개를 꺼려 임진왜란이 끝난 선조34년(1601)에야 개발하게 되었다. 임진왜란을 거치며 조총의 위력에 무기로서의 중요성이 약화되긴 하였지만 꾸준히 다양화하였다. 화살은 조선후기에 들어 유엽전이 크게 부각되었는데 가벼워 누구나 쉽게 쏠 수 있어 군사를 끌어 모으기가 쉬워졌던 이유였다. 즉 군사확보를 위한 방법의 하나로 유엽전이 활발히 사용되었던 것이다. 유엽전은 철촉으로 만들어진 화살로 화살촉의 모양이 마치 버드나무의 잎과 같다 하여 붙여진 명칭이다. 이후 유엽전은 무과가 폐지된 갑오개혁 이후 전국에 운동을 목적으로 한 활터가 많이 생기면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죽시(竹矢)의 모습으로 남게 되었다.
4대째 가업을 이어받아 장단화살의 전통을 계승하고 있는 유영기 선생
  • 유영기 선생은 1936년 장단(현 DMZ 지역)에서 출생하였다. 장단은 조선조 이래 경기도에서 가장 활발하게 화살이 만들어지던 곳으로 선생의 집안은 대대로 서울은 물론 신의주에서도 주문을 받는 유명한 화살 제작 가문이었다. 선친 유복삼 선생은 조부에게서 1914년 전방을 물려받아 운영하였는데 해방 후 분단이 되고 전쟁이 터지자 강화로 피난하였고, 그 후 경기도 파주군 이동면 금촌리에 전방을 새로이 개설하였다. 전쟁이 났을 때도 선친은 패물과 집문서는 놔두고라도 화살 만드는 장비와 재료는 챙기고 피난을 갔을 정도로 집안 대대로 화살 제작에 대한 애착이 대단하였다. 선친은 1961년 예용해 선생에 의해 인간문화재 탐방 기사가 보도될 때만 해도 국내에서 가장 잘 알려진 시장(矢匠)이었다. 그러나 1968년 작고하여 1971년에 지정된 무형문화재 보유자 인정을 받지 못하였다. 유영기 선생은 1948년 장단초등학교를 졸업하고 이듬해부터 부친의 가업인 화살방에서 기술을 연마하여 화살제조에 입문하였다. 1949년부터 선친의 뜻에 따라 그 조역을 감당하였지만 본격적으로 전념하게 된 것은 6·25전쟁 이후였다. 선친을 도와 오랫동안 화살 제작에 종사하였는데 부친이 작고한 후 가업을 이어 화살방을 운영하며 장단화살의 전통을 계승하였다. 선생의 화살 공급처는 경기도를 중심으로 하여 서울일대, 멀리는 삼척, 제주까지 이른다. 활량들 대부분이 선생의 집과 거래를 했다. 그러나 점차 전통 화살을 찾는 이들이 줄어들었다. 1977년, 마흔을 갓 넘긴 나이에 입에서 입으로만 전해 내려오던 전통 화살 제작 기법을 글로 쓰기로 마음을 먹었다. 제아무리 뛰어난 전통도 ‘문서화’하지 않으면 변용되거나 사라지게 마련이라 ‘자신이 아는 모든 것’을 글로 써서 등사판으로 100부의 문서를 만들었다. 그렇게 나온 것이 선생의 첫 책 [한국의 죽전]이고, 거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간 전문 서적이 1990년대에 펴낸 [우리나라의 궁도]이다.
  • 전통 화살에 관한 책을 쓰고 시대별 궁시 기술을 복원하면서도 잊혀짐에 대한 선생의 불안은 해소되지 않았다. 2001년 5월 경기도 파주시 탄현면 법흥리에 우리나라 최초의 활·화살 전문박물관인 영집궁시박물관을 개관하게 된다. 박물관에는 우리나라 각종 활과 화살 및 쇠뇌, 활쏘기에 필요한 각종 용품, 화살제작 도구와 재료는 물론 중국, 일본, 인도, 영국, 인디언등의 활과 화살 등이 전시되어 있다. 우리나라 것들은 대체로 선생이 제작한 것이고, 나머지 것들은 기증을 받아 전시하고 있다. 선생은 화살 재료로 쓸 대나무를 찾아 전국 곳곳을 누벼왔다. 필요한 것은 대나무만이 아니다. 접착제가 되어 줄 민어 부레와 힘을 모아줄 쇠심줄, 균형을 잡아줄 꿩 깃까지, 화살 하나를 만들기 위해 선생은 쉼 없이 자연의 힘을 빌린다.
  • 보기엔 간단해 보여도, 화살 하나를 만드는 데 130번의 손길이 가야 한다. 적당한 대나무를 구해다가 50여 일간 그늘에서 말린 다음, 살을 벗겨 숯불에 구운 뒤 마디를 다듬고 마디에 따라 선별을 하여 화살촉을 만들고 쇠심줄을 감고 오늬를 넣고 깃털을 붙이는데, 어느 것 하나 쉽지 않다. 아교를 만들기 위해 민어 부레를 끓여야 하고 중간 중간 중량을 맞추기 위해 숱한 저울질을 거쳐야 한다. 각 화살의 굵기나 마디를 일정하게 해야 하는데, 그게 참 어려운 일이다. 몇 년생인지, 어느 지역에서 어떻게 자랐는지에 따라 대나무의 성질이 제 각각이기 때문이다. 크고 작은 활쏘기 대회가 자주 열리던 시절엔 활량들이 자주 찾아왔다.
    “화살을 만들어 달라는 주문이 들어오면 반드시 활량을 만납니다. 아무리 좋은 재료로 장기간에 걸쳐 만들어도 사수에게 맞지 않으면 아무 소용이 없으니까요. 같은 활, 같은 화살이라도 활쏘는 사람의 체격과 힘, 그 사람의 쏘는 습관에 따라 명중률이 달라지거든요. 쏘는 사람에게 꼭 맞는 화살, 그게 가장 좋은 화살이죠.”
  • 현재 아들 유세현 선생이 대를 이어 전수조교로 궁시장 활동을 하고 있다. 그러나 아들이 가업을 이어받는다고 했을 때 말렸다고 한다. 대를 잇는다는 점에선 대견스러우나 직접 걸어본 이 길이 어렵다는 것을 누구보다 잘 알기 때문이다. 생활유지도 어려운 데다 갈수록 양궁화살에 밀려 주문도 잘 안 들어오는 실정이다. 그런데 이제는 손자까지 가업을 잇겠다고 한다. 선생이 지금까지 만든 화살 개수는 10만개가 넘는다고 한다. 그런데도 스스로 100% 만족을 하지 못한다. 선생의 특별한 관심사는 조선시대 화살뿐만 아니라 선사시대부터 이어져온 동이족의 화살 전체를 복원하는 일이다. 그래서 아들과 함께 전국 박물관과 유적지를 찾아 다니고 고서적을 뒤지는 등 잊혀진 궁시 제작기술을 찾고자 애쓰고 있다.
화살의 종류
  • 장전 : 뾰족한 촉으로 되어 있는 살상용(殺傷用)화살로 편전에 반하여 붙여진 명칭이다. 일반적으로 전투 시에 널리 사용했던 모든 화살을 통칭한다. 길이는 84cm정도로 편전에 비해발사 속도가 빠르다
  • 효시 : 쏘면 소리가 나는 화살로 조선시대에 신호용으로 사용하거나 의식에 또는 전투나 수렵시에 사용했다. 소리를 내는 통은 단단한 나무를 이용해 속을 파냈다.
  • 목전 : 연습용 화살이다.
  • 편전 : 조선시대에 비밀병기라 불리는 화살로 왜인들이 있는 곳에선 절대 연습을 하지 못하게 해 철저하게 베일에 가려지도록 했다. 애기살이라고도 하며, 통아(筒兒 )라는 통속에 넣어 쏘는 작은 화살이다. 사거리가 길고 날아가는 모습이 보이지 않아 적이 피하기 어렵고, 적이 주워도 다시 사용하지 못한다는 장점이 있다. 단 발사 속도가 일반화살보다 느린 것이 단점이다.
  • 신전 : 명을 전달하던 화살로 살대에 ‘신(信)자가 달린 작은 깃발을 달고 대나무 겉표면에 염색을 해 무늬와 문자를 넣었다. 화살 10개를 틀에 넣어 명령을 전달했는데 중앙에는 신전틀을 들어 올리는 긴 자루를 꿰었던 마름모형의 구멍이 있다.
제작과정
  • 대나무, 철, 소 힘줄, 싸리나무, 어교(魚膠), 꿩털 등 6가지 재료로 화살 1개를 만들기까지는 어렵고 힘든 과정을 거쳐야 한다. 화살 1개를 만드는데 130번이나 손이 간다. 하루 종일 작업에 매달려도 3개정도 만드는데 그친다고 한다. 매년 11월 말부터 한 달간 전국 각지를 돌며 화살 만들기에 적합한 대나무를 구한 뒤 대나무를 50여 일간 응달에 말린 다음 밤새 살을 벗겨 숯불에 굽고 마디를 다듬어 모듬 별로 선별하는 작업을 거친다. 화살촉을 붙일 아교를 만들기 위해 부레를 끓이는 일도 손이 많이 간다. 완성된 화살도 중량을 맞추기 위해 몇 번씩 저울질을 해야만 한다. 대략적인 화살 제작 과정은 다음과 같다.
    • 1) 화살 제작에 필요한 재료를 준비한다. 화살대는 대나무밭에서 베어낸 2년생의 생나무를 약 한달간 말려 사용한다.
    • 2) 숯불을 피운 대잡이통에 살대를 넣고 갈색으로 구운 뒤 졸대로 화살을 곧게 펴서 교정한다.
    • 3) 위 아래의 끝단을 조금씩 깎아서 부레풀칠을 한다. 이는 소심줄을 감았을 때 살대보다 튀어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 4) 젖은 소심줄로 감은 뒤 말린다. 이는 오늬와 촉이 끼워질 때 감아서 쪼개짐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 5) 아랫부분에는 칼로 속을 파내 얇은 대나무 관을 만든 뒤 상사를 끼운다. 이때 상사가 너무 두터우면 공기의 저항으로 멀리 날아가지 못한다.
    • 6) 화살촉을 끼우기 위해 무쇠철사를 꽂는다. 무쇠철사는 촉의 길이만큼 잘라 앞부분은 네모지게 두드리고 달군다.
    • 7) 화살촉을 제작한 뒤 암틀에 끼워 발로 지탱하면서 양손으로 살대를 돌려주어 화살촉이 단단하게 끼워지도록 한다.
    • 8) 화살깃을 다듬은 뒤 부레풀을 칠한 날개에 붙인다. 오늬구멍을 기준으로 3개의 깃을 붙이면 완성된다.
  • 1) 졸잡이
    1) 졸잡이
    2) 깃 붙이기
    2) 깃 붙이기
약력
  • 1936년출생
  • 1977년~1987년전국 및 경기도 민예품경진대회 10회 입상
  • 1978년~1994년전승공예대전 특별상 등 16회 입상
  • 1982년 정무제1장관 감사패
  • 1991년문화부장관상(문화가족상) 수상
  • 1996년중요무형문화재 제47호 궁시장 기능보유자 인정
  • 1999년
    뉴질랜드 박물관 작품 전시, 미국 순회 전시
    우리 선조의 발명 무기 시연회 (신기전 및 총통 발사 시연 등)
  • 2000년영집궁시박물관 초대관장
  • 2001년영집궁시박물관 개관 특별전

 
   

                   

991003431_xE1Hgp3U_ECA784EC8381ED9288EBAAB0EBB094EBA19CEAB080EAB8B0_001.png

 
포맷변환_ad12fdc46fa9f16a0b37e026839213fa_1453514696_5531.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