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래
가물치
가지
간재미
갈근
갈치
감자
감태
감초
감홍로주
강활
강황
게장
고구마
고등어
고본
고사리
고슴도치
고추
고추장
곤쟁이
골풀
곰취
곱돌
과루인
곶감
과메기
곽향
광어
구기자
구리
국수
국화차
굴비
금불초
기장
김치
꼬막
꼴뚜기
꽃게
꿀풀
나물
나전칠기
낙죽장도
낙지
냉이
노루
녹두
녹용
녹차
농어
뇌록
누치
느룹나무
느타리버섯
다시마
다람쥐
다래
다슬기
닥나무
단감
단목
달래
담비
담쟁이
당귀
대게
대구
대나무
대발
대추
더덕
더덕주
도라지
도루묵
도마뱀
도미
도자기
돈육
돈차
돌미역
돔배기
동래파전
동백기름
동충하초
돚자리
돼지
된장
두꺼비
두릅
두충
딸기
들기름
마늘
마뿌리
만화석
막걸리
망둥어
매생이
매실
맥문동
맨드라미
머루
머루주
메밀차
멸치
명란젓
명설차
명태
모과
모란
모래무지
모시
모자
목기
목화
무명
무우
문배주
문어
미나리
미역
민속주
민어
밀랍
박하
방풍
백랍
백련잎차
백렴
백미
백반
백부자
백조어
백하수오
백합
밴댕이
뱅어
벼루
병어
법주
보골지
보리
복령
복분자
복숭아
복어
부들
부자
부채
부추
붉나무
붕어
비빔밥
비자
뽕나무
사과
사슴
산나물
산삼
삼림욕
산수유
살구
삼릉
삼배
삼치
상합
상황버섯
새우
새우젓
생강
석결명
석곡
석류
석영
석이버섯
석청
석창포
소금
소라
소주
속새
송어
송이버섯
송화가루
수달
수박
수정
숙주
순채
숭어
승검초
식해
안동포
안식향
앵두
야콘
야콘잎차
약쑥
양귀비
어란
어리굴젓
어육장
엄나무
연밥
연어
연엽주
열목어
염전
엽삭젓
오가피
오미자
오곡
오골계
오정주
오죽
오징어
옥돔
옥로주
옹기
옻칠
왕골
용문석
우무
우황
울금
웅어
위어
유기
유자
유자차
유황
육포
은어
은행
이강주
이스라지
익모초
인삼
인삼주
잉어
자단향
자두
자라
자라돔
자연동
자하젓
작설차
작약
장군풀
장아찌
전모
전복
전어
전어젓
전통주
젓갈
젓새우
정어리
조개
조기
조홍시
좁쌀
종어
종이
주꾸미
죽렴장
죽로차
죽순
죽순채
죽염멸치
죽엽청주
죽피
죽합
준치
중국차
지라돔
지치
질경이
찐빵
참가사리
참게
참기름
참죽나물
참외
찹쌀
창출
천궁
천남성
천문동
청각
청국장
청란석
청목향
청자
초콜릿
초피나무
초하주
추성주
취나물
치자
칠선주
콩잎
토마토
토끼
토사자
토주
토파즈
토하젓
파전
패랭이
편두
포도
포도주
표고버섯
표범
하늘타리
학슬
한과
한라봉
한우
한지
해구신
해달
해삼
해파리
해홍나물
향나무
호도
호로파
호두
홍삼
홍삼절편
홍시
홍어
홍주
홍합
화개차
화문석
황기
황률
황벽나무
황어
황옥
황진이주
황태
회양목
후박
후추
흑돼지
흑염소
흑한우
로그인 l 회원가입

 
철장 정수화, 40여 년간 전통 옻칠 작업의 외길을 걸어온 장인
조회 : 5,585  

철장 정수화

 
원주, K 시인을 따라 / 옻나무 밭에 갔었다.
심장은 놔두고 / 밑둥부터 위로 올라가면서
수십 번 더 그어진 칼금 / 저건 숲이 아니다.
고통이 득실거리는 겟세마네 동산. / 죽을까 말까 머뭇거릴 때마다
다시 메스를 댄다. / 심장은 두근거리게 놔두고.

너덜너덜해질 때까지 / 피를 내주고 있다.
몇 백 년 썩지 않을 / 힘을 내주고 있다.
옻나무 밭에서 / 수천 개의 못자국을 보았다.
K시인과 함께
- 옻나무밭 / 최문자 시인
주요작품
모란만초문이층농
모란만초문이층농(牧丹蔓草紋二層籠)_75×40×122cm
홍송(紅松), 자작나무로 만든 이층농에 옻칠을 한 후 나전으로 모란만초문을 시문하고 다시 옻칠을 여러 차례 반복해서 제작했다.
나전주칠이층농
나전주칠이층농_높이88cm
성작,성합, 성반
성작,성합, 성반_12x12x19, 7x17x22, 16.5x16.5x1.5cm
나전차통
나전차통, 염주함_9x8-13x4cm
약장
약장_119x33.5x89cm
주칠 경함
주칠 경함_46x26x25cm
찬탁
찬탁_84x40x123cm
칠장(漆匠)
  • 칠장(漆欌)은 옻나무에서 채취한 생옻 속에 있는 수분과 이물질을 제거하여 옻의 투명도와 광택을 높이고 용도에 맞게 정제하는 장인을 말한다. 옻은 옻나무의 표피(表皮)와 재부(材部) 사이에 있는 분비구 즉 칠액구(漆液構)에서 흘러나오는 회백색의 액(液)을 말한다. 옻액[漆液]은 엄밀히 말하자면 식물생리상 분비물로 간주된다. 평상시에는 칠액구 내에 일정량을 함축하고 있고, 옻나무에 상처나 생채기가 생기면 외부로 흘러나와 고인다. 이렇게 흘러나와 고인 수액(樹液)을 채취한 것이 ‘천연생칠(天然生漆)’이다. 천연생칠은 모든 정제옻칠의 기본 재료로 여과와 정제과정을 거치면서 생칠, 정제칠, 흑칠, 투명칠, 색칠 등 여러 종류의 칠로 정제, 가공하여 사용한다. 옻나무는 한국, 중국, 일본, 베트남, 미얀마, 인도네시아, 대만 등에서 자생하며, 옻액을 채취하는 나무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옻은 6월 중순경부터 시작하여 10월 중순경까지 채취하는데 나라마다의 지정학적, 자연적 조건이나 환경에 따라 채취시기와 채취방법이 조금씩 다르다. 옻은 칠산(漆酸) 60~80%, 수분 10~30%, 고무질 3~8%, 함질소물(含窒素物) 1~3% 등이 함유되어 있다. 건조 후 도막을 형성한 옻은 염산, 초산, 왕수 등의 강력한 산(酸)이나, 알칼리, 염분, 알코올 등의 약품에 담가도 변화가 거의 없을 정도의 고분자 물질로 접착력, 방수성, 방부성, 내열성, 절연성, 내구성 등 지구상의 그 어떤 도료보다 우수하다. 옻칠은 이처럼 우수한 성질을 가진 친환경적 도료로 예로부터 한국, 중국, 일본에서 금속이나 나무에 주로 칠하여 왔다. 페인트나 에나멜 등의 화학도료에 비하여 건조 속도가 조금 느리지만 도막의 경도나 광택도, 부착력 등이 월등히 우수하다. 우리나라에서의 옻칠은 나전칠기류에 대부분 사용되었다. 옻은 도료로서의 기능 외에도 약재로서의 우수성 또한 많은 연구를 통하여 밝혀지고 있는데, 「본초강목(本草綱目)」, 「동의보감(東醫寶鑑)」 등 문헌상에서도 옻칠의 효능에 대해 상세히 표현되고 있다.
  • 동양의 특산물인 옻칠은 6000~6500년 전 중국에서부터 사용하기 시작한 것으로 추정하며 한국, 중국, 일본 등 동양에서 각기 특색 있게 발달하였다. 우리나라에서 옻이 사용된 흔적은 기원전 3세기경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본격적인 유물이 출토된 것은 기원전 1세기경부터이다. 신라시대에 발전된 칠기는 고려시대에 나전과 결합되어 나전칠기라는 새로운 기법이 등장하기도 하였다. 조선시대에는 국가에서 전국의 옻나무 산지를 파악하고 그곳에서 생산되는 옻칠을 공납 받았으며, 서울과 지방에는 칠과 관련된 장인들이 주로 관청에 소속되어 활동하였다.
40여 년간 전통 옻칠 작업의 외길을 걸어온 장인, 정수화 선생
  • 정수화 선생은 1954년 9월 1일에 서울시 동대문구 답십리에서 부친 정귀영 선생과 모친 안병국 여사 사이에서 태어났다. 초등학교 졸업 후 어려워진 가정형편으로 중학진학을 미루고 먼 친척인 주현호 선생의 공방에 나전칠기 기술을 습득하기 위해 입문하였다. 이때 칠 일을 하면서 나전까지 전수받게 된다. 1971년 주현호 선생의 공방이 삼양동으로 이사를 하면서 공장장으로 있던 이윤갑 선생의 공방에서 군입대 전까지 칠 일과 나전 일을 병행하면서 숙련하였고 1978년 군복무를 마치고 그 해 결혼하여 1남 1녀를 두었다.
  • 1979년부터는 독립을 하여 장안동에 ‘장안칠기’라고 하는 공방을 내었는데 조그마한 방이었지만 소품을 하면서 작품 활동을 할 수 있었다. 1985년에 의정부로 공방을 옮겼다가 다시 1988년 남양주 도농동으로 옮겨 그곳에서 꾸준히 작품 활동을 계속 하였다. 1986년부터 왕성한 작품활동을 통해 전승공예대전에 입선, 장려상, 특별상, 문화부장관상 등을 수상하고 전국기능경진대회 나전칠기 부문에서 금메달을 수상하였다. 1991년에는 나전장 기능보유자인 심부길 선생에게 전수교육을 받고 1994년 전수교육조교가 되었다. 1990년에는 김태희 선생이 사)한국옻칠문화연구원을 설립하였는데 이때 정제과정과 첨가제 사용법 등 옻칠정제방법을 전수받았다. 정수화 선생은 40여 년간 전통 옻칠과 나전칠기 작업의 외길을 걸어온 장인이다. 일제 강점기 옻의 수탈로 맥이 끊어진 옻칠 정제법을 재현하여 윤택하고 신비로운 색채가 돋보이는 우리 옻칠문화를 발전시켜 왔다. 문양 그리기부터 마감칠 까지 완벽한 구상력과 양질의 정제칠 및 공예재료를 고수하는 장인정신으로 2001년 중요무형문화재 제113호 칠장 기능보유자로 인정받았다. 지난 2005년에는 종묘 정전의 제상에 황색칠 도장 작업을 맡는 등 우리나라 최고의 칠장으로 인정받고 있다.
정제재료와 제작도구
  • 정제재료
    양질의 옻칠을 정제하기 위해서는 각기 용도와 기능, 효과가 적합한 재료를 첨가해야 한다. 계면활성제(물과 기름을 섞이게 하는 물질), 카본블랙(흑색의 미세한 탄소분말), 장뇌유(녹나무를 쪄서 나오는 수증기를 받아 굳힌 장뇌에 테레핀유를 섞어 녹인 것), 역청(동백유를 끓인 후 송진과 백반을 첨가하여 만든 혼합물), 수산화철, 실로이드(실리카 소광제), 황산철, 백반, 송진, 송현(소나무를 태워 그을음을 모은 것), 치자, 쪽(남색 염료), 꼭두서니, 울금, 등황, 활성탄, 자황, 아마인유, 동백유 등이 사용되며 이상의 첨가제들은 적절하게 첨가되어야 정제칠로서의 기능을 다할 수 있고, 첨가비율이나 시간 등은 오랜 경험과 숙련된 정제 기술이 있어야 잘 알 수 있다.
  • 정제도구
    정제도구에는 칠통(정제작업에 필요한 과정 중 칠을 재우거나 정제작업이 끝난 후 정제칠을 보관 시 사용), 칠판(투명칠이나 흑칠 등의 정체칠을 만들 때 교반작업을 할 때 사용), 고무래(칠을 칠판에 부은 후 교반작업을 할 때 사용하는 도구), 주걱(하지작업이나 칠의 배합, 귀얄 손질하기, 칠 떠내기 등에 사용하는 도구), 삼베, 솜, 자석(흑칠 정제과정에서 철분을 수거할 때 사용) 등이 사용된다.
  • 안료
    안료는 물이나 기름 등에 녹지 않는 물질로 투명칠에 섞어 도막이나 착색을 하는데 쓰며, 무기안료와 유기안료로 나뉜다.
  • 정제도구
    밀대(원통형의 막대기로 투명칠과 안료 배합 시 사용), 칠지(여과지라고도 하며 옻칠을 걸러 불순물을 여과할 때 사용), 귀얄(일반적으로 붓의 개념이나, 칠기작업에서 가장 중요한 도구), 분무기(건조장의 습도를 조절하기 위해 물을 뿌릴 때 사용), 건조장(옻칠한 작품을 건조시킬 때 사용), 사포(연마작업에 쓰이는 주재료), 갈돌(일종의 숫돌로 하지작업 중 호칠이나 토회칠 바른 면 등을 정리할 때 사용) 등이 사용된다.
제작과정
옻나무에서 채취한 칠액 속에는 수분, 나뭇잎, 벌레 등이 들어 있어 사용할 수 없으므로 정제 과정을 거치게 된다. 상질의 칠을 만들려면 무엇보다 상질의 천연생칠이 있어야 한다. 생칠의 정제과정은 천연생옻액에서 불순물과 이물질을 걸러내는 것이다. 먼저 채취한 칠액의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해서 삼베에 채취한 천연칠액을 담아 삼베를 돌려 짜면서 칠통에 담는다. 1차 정제과정에서 이물질을 걸러낸 생칠에 솜을 약 3cm×3cm 정도로 찢어 넣고, 나무막대기로 계속 저어 솜과 칠이 골고루 섞여 솜 속에 칠이 골고루 배도록 한다. 1차 정제생칠과 솜이 완전히 섞이면서 솜이 모두 풀어질 때까지 계속 젓는다. 솜을 칠 속에 섞어 풀어 넣은 후 하루 정도 숙성시킨 후 걸러내면 깨끗하고 고운 생칠을 얻을 수 있다. 2차 정제된 생칠을 햇빛이 잘 드는 곳에서 고무래를 이용하여 칠통에서 고루 저어준다. 생칠의 성분이 고루 섞이도록 한 후 고무래질하기 위하여 칠판에 붓고 고무래를 이용하여 상하로 칠을 밀어주면서 생칠의 수분을 증발시킨다. 고무래질을 모두 마치면 생칠의 색깔은 포도색을 띠는데, 이렇게 만들어진 정제칠을 ‘투명칠’이라 한다. 투명칠이 만들어지면 여러 가지 첨가제를 첨가하여 용도에 맞게 정제칠을 만든다.
  • 천연생칠을 삼베에 싸서 돌려 짜는 사진
    1.천연생칠을 삼베에 싸서 돌려 짠다
  • 솜과 칠이 완전히 섞이도록 저어주는 사진
    2.솜과 칠이 완전히 섞이도록 저어준다
  • 삼베를 돌려 칠을 짜는 사진
    3.삼베를 돌려 칠을 짜낸다
  • 칠통에서 칠판에 생칠을 붓는 사진
    4.칠통에서 칠판에 생칠을 붓는다
  • 고무래로 교반하는 사진
    5.고무래로 교반한다
  • 주걱으로 칠을 떠 떨어지는 정체칠의 상태로 색, 점도 등을 확인하는 사진
    6.주걱으로 칠을 떠 떨어지는 정체칠의
    상태로 색, 점도 등을 확인한다
약력
  • 1954년출생
  • 1986년중소기업중앙회장 표창장
  • 1986년아시아올림픽문화축전 초대작가 출품
  • 1988년서울올림픽 문화행사 초대작가 출품
  • 1988년서울올림픽 문화장 수상
  • 1992년전국기능경진대회 금메달 수상
  • 1994년전승공예대전 특별상 수상
  • 1995년대한민국 명장 선정
  • 1995년대통령 표창장수상
  • 1995년대한민국 칠기 명장
  • 1996년전승공예대전 문화부장관상
  • 1999년청주국제공예비엔날레 심사위원 역임
  • 2001년중요무형문화재 제113호 칠장 기능보유자 인정
  • 2001년전승공예대전 심사위원 역임
  • 2001년청주국제공예비엔날레 심사위원 역임
  • 2001년독일 코블렌츠 공예 박람회 참가
  • 2002년대통령 산업포장 수상
  • 2002년프랑스 생제르맹앙레 초대전
  • 2005년종묘 유물(제상, 궤)보수, 고궁박물관 궁중유물(대왕벼루 등 16점)보수
  • 2006년백제역사문화재현단지 오층목탑 상륜부 옻칠 개금

 
   

                   

991003431_xE1Hgp3U_ECA784EC8381ED9288EBAAB0EBB094EBA19CEAB080EAB8B0_001.png

 
포맷변환_ad12fdc46fa9f16a0b37e026839213fa_1453514696_5531.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