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래
가물치
가지
간재미
갈근
갈치
감자
감태
감초
감홍로주
강활
강황
게장
고구마
고등어
고본
고사리
고슴도치
고추
고추장
곤쟁이
골풀
곰취
곱돌
과루인
곶감
과메기
곽향
광어
구기자
구리
국수
국화차
굴비
금불초
기장
김치
꼬막
꼴뚜기
꽃게
꿀풀
나물
나전칠기
낙죽장도
낙지
냉이
노루
녹두
녹용
녹차
농어
뇌록
누치
느룹나무
느타리버섯
다시마
다람쥐
다래
다슬기
닥나무
단감
단목
달래
담비
담쟁이
당귀
대게
대구
대나무
대발
대추
더덕
더덕주
도라지
도루묵
도마뱀
도미
도자기
돈육
돈차
돌미역
돔배기
동래파전
동백기름
동충하초
돚자리
돼지
된장
두꺼비
두릅
두충
딸기
들기름
마늘
마뿌리
만화석
막걸리
망둥어
매생이
매실
맥문동
맨드라미
머루
머루주
메밀차
멸치
명란젓
명설차
명태
모과
모란
모래무지
모시
모자
목기
목화
무명
무우
문배주
문어
미나리
미역
민속주
민어
밀랍
박하
방풍
백랍
백련잎차
백렴
백미
백반
백부자
백조어
백하수오
백합
밴댕이
뱅어
벼루
병어
법주
보골지
보리
복령
복분자
복숭아
복어
부들
부자
부채
부추
붉나무
붕어
비빔밥
비자
뽕나무
사과
사슴
산나물
산삼
삼림욕
산수유
살구
삼릉
삼배
삼치
상합
상황버섯
새우
새우젓
생강
석결명
석곡
석류
석영
석이버섯
석청
석창포
소금
소라
소주
속새
송어
송이버섯
송화가루
수달
수박
수정
숙주
순채
숭어
승검초
식해
안동포
안식향
앵두
야콘
야콘잎차
약쑥
양귀비
어란
어리굴젓
어육장
엄나무
연밥
연어
연엽주
열목어
염전
엽삭젓
오가피
오미자
오곡
오골계
오정주
오죽
오징어
옥돔
옥로주
옹기
옻칠
왕골
용문석
우무
우황
울금
웅어
위어
유기
유자
유자차
유황
육포
은어
은행
이강주
이스라지
익모초
인삼
인삼주
잉어
자단향
자두
자라
자라돔
자연동
자하젓
작설차
작약
장군풀
장아찌
전모
전복
전어
전어젓
전통주
젓갈
젓새우
정어리
조개
조기
조홍시
좁쌀
종어
종이
주꾸미
죽렴장
죽로차
죽순
죽순채
죽염멸치
죽엽청주
죽피
죽합
준치
중국차
지라돔
지치
질경이
찐빵
참가사리
참게
참기름
참죽나물
참외
찹쌀
창출
천궁
천남성
천문동
청각
청국장
청란석
청목향
청자
초콜릿
초피나무
초하주
추성주
취나물
치자
칠선주
콩잎
토마토
토끼
토사자
토주
토파즈
토하젓
파전
패랭이
편두
포도
포도주
표고버섯
표범
하늘타리
학슬
한과
한라봉
한우
한지
해구신
해달
해삼
해파리
해홍나물
향나무
호도
호로파
호두
홍삼
홍삼절편
홍시
홍어
홍주
홍합
화개차
화문석
황기
황률
황벽나무
황어
황옥
황진이주
황태
회양목
후박
후추
흑돼지
흑염소
흑한우
로그인 l 회원가입

 
사기장 김정옥, 상감청자에서 조선 백자까지 독특한 아름다움 우리의 전통 자기
조회 : 3,064  

 
   사기장 김정옥
  • 찬 서리 눈보라에 절개 외려 푸르르고,
    바람이 절로 이는 소나무 굽은 가지,
    이제 막 백학(白鶴) 한 쌍이 앉아 깃을 접는다.
  • 드높은 부연 끝에 풍경(風磬) 소리 들리던 날
    몹사리 기다리던 그린 임이 오셨을 때
    꽃 아래 빚은 그 술을 여기 담아 오도다.
  • 갸우숙 바위 틈에 불로초(不老草) 돋아나고,
    채운(彩雲) 비껴 날고 시냇물도 흐르는데,
    아직도 사슴 한 마리 숲을 뛰어드노다.
  • 불 속에 구워 내도 얼음같이 하얀 살결,
    티 하나 내려와도 그대로 흠이 지다.
    흙 속에 잃은 그 날은 이리 순박(純朴)하도다.
  • - 김상옥 시인의 백자부[白磁賦] [김상옥 시인의 첫 시조집 《초적(草笛)》(1947) 중]
주요 작품
분청사기어문호
분청사기어문호(粉靑沙器魚紋壺)_39×41cm
회색 또는 흑회색 태토(胎土) 위에 백토니(白土泥)를 분장한 다음 유약을 입혀서 구워낸 자기를 분청사기라 한다. 이 작품은 회색 태토로 성형하고 백토로 분장을 한 후, 산화철로 어문(魚紋)을 그리고 백유로 엷게 시유했다.
분청사기조문호
분청사기조문호_14.5×20cm
회색 태토로 성형하고 백토로 분장을 한 분청사기. 산화철로 초문을 그리고 백유로 엷게 시유하였다.
백자팔각호
백자팔각호_39x39x35cm
분청사기철화호문호
분청사기철화호문호_지름40, 높이38cm
청화백자대발
청화백자대발_지름49,높이20cm
백자철화용문호
백자철화용문호_7x30cm
청화백자 다기세트
청화백자 다기세트_8x3.5, 15x8cm
청화백자와 다완
청화백자와 다완_높이40cm
상감청자에서 조선 백자까지 독특한 아름다움 우리의 전통 자기
  • 도자기는 흙으로 빚은 그릇을 구워내는 방법에 따라 토기(土器), 도기(陶器), 자기(瓷器)로 나누어지는데, 백토 등이 혼합되어 높은 온도에서 구워낸 그릇을 사기(자기)라고 하며, 사기장은 사옹원(司饔院)에서 사기를 제작하던 장인들을 일컫는 말이었다. 우리나라의 도자기는 고려시대부터 천하제일의 비색 청자로서 그 명성을 떨쳤으며 국가기관인 사옹원에서 제작하였는데 조선시대에는 왕실에서 사용하기 위해 경기도에 본원을 설치하여 특별히 제작하였고 조선 후기에는 관요(官窯, 정부 관리하에 도자기를 만드는 곳)가 폐쇄되면서 도공들이 문경, 괴산, 단양 등 지방으로 흩어져 민요(民窯, 민간에서 도자기를 만드는 곳)가 번창하였다.
  • 본래 관어용(官御用) 도자기는 전국에 있는 자기소(瓷器所)와 도기소에서 만들어 세공(歲貢)·별공(別貢)으로 올라오는 토산공물(土産貢物)로 충당되었으나, 15세기 후반부터는 상품(上品) 자기의 토산공물 산지인 경기도 광주에 이를 세워 사옹원 밑에 두고, 봉사(奉事:종8품)를 두어 관과 궁중에서 필요로 하는 도자기를 직접 충당하게 하였다. 사옹원은 임금에게 음식을 올리는 일과 기타 대궐 안에서의 음식 제공에 관한 일을 맡아보았기 때문에, 거기에 쓰이는 어용 및 궁중용 그릇을 만드는 일도 관할하였다. 이런 관영사기제조장은 설치할 때부터 사옹원에서 직접 맡아보았는데, 뒤에 사기 수요량이 늘어나면서 그 만드는 일이 더욱 중요해지자, 제조장이 있는 현지에서 직접 작업과정을 관할하는 관청인 분원을 설치하게 되었다. 분원에서의 사기 제조는 17세기 후반부터 공장(工匠)의 생계를 보조하는 의미에서 사경영을 허용하였는데, 이것이 점차 늘어나 18세기에 들어와서는 여기에 상인자본이 개입하기에 이르며, 19세기에는 그 규모가 더욱 늘어 1884년(고종 21)에는 결국 상업자본가에 의해 민영화(民營化)로 바뀌게 되나, 1910년 이후로 점차 쇠퇴하였다.
도기(陶器)와 자기(瓷器) 그리고 사기(沙器)
도(陶)라고 하는 것은 500도에서 1,100도 전후로 구워지는 그릇으로 대개 적갈색, 회백색, 회청색, 회흑색을 띠고 있다. 도기 중에는 물을 흡수해야 하는 떡시루처럼 연질(軟質)의 도기가 있고 술항아리처럼 경질(硬質)의 도기도 있다. 유약을 바른 도기와 유악을 바르지 않은 도기가 있는데 삼국시대의 도기들은 유약을 바르지 않은 것이 대부분이며 조선시대의 옹기들은 약토라고 하는 잿물을 바른 것들이다. 그에 반해 자기는 자토로 만들어졌으며, 대개 1,300도 이상에서 구워진 것들이다. 우리나라의 경우는 돌가루인 사토(沙土)로 만들기 때문에 사기(沙器)라고 하기도 한다. 즉 우리나라의 경우 자기와 사기라는 용어는 같은 뜻으로 사용되고 있다.
청자(靑瓷)와 분청사기(粉靑沙器) 그리고 백자(白瓷)
  • 이러한 자기 중에서 청색의 유약을 입힌 것을 청자(靑瓷)라고 하고, 백색의 유약을 입힌 것을 백자(白瓷), 청자 위에 백토를 발라 다시 구운 것을 분청사기라고 한다. 한국의 청자는 중국 고월자의 영향과 지배층의 수요로 인해 9세기 후반~10세기 때부터 전남 강진의 요(窯)에서 제작되었다. 이후 고려의 장인들은 청자의 문양 새김에 대한 고민 끝에 입사기법에서 영감을 얻어 상감청자라고 하는 우리만의 청자를 개발하게 된다. 상감청자의 시대로 들어서면 고려청자의 90%는 상감청자로 만들어지게 된다. 상감청자에 나타난 문양은 연꽃무늬, 연판무늬, 연당초무늬, 모란꽃무늬, 모란당초무늬, 국화꽃무늬, 국화당초무늬, 국화절지무늬, 봉황무늬, 학무늬, 구름무늬, 운학무늬, 그리고 버다나무와 물새를 그린 포류수금무늬 등 다양하다. 이 모든 다양한 청자들은 13세기 내내 계속 발전되다가 14세기로 들어서서 원나라의 간섭을 받는 동안 서서히 쇠퇴의 길을 걷게 된다. 이후 왜구들이 쳐들어 오자 조정에서 해안가 인근의 마을을 철수시키는 과정에서 강진가마와 부안가마도 문을 닫게 되어 청자를 만들던 도공들이 전국으로 흩어져 버리고 고려청자의 시대는 막을 내리게 된다.
  • 전국 각지로 흩어진 도공들이 곳곳에서 다시 청자를 만들기 시작했으나, 예전의 흙과 유약이 아니어 종래의 방식대로 제작을 하여도 예전의 빛깔을 낼 수가 없었다. 그래서 백토로 하얗게 분장을 하게 되는데 이렇게 하여 생겨난 것이 분장회청사기(粉粧灰靑沙器) 즉 분청사기(粉靑沙器)이다. 이렇게 탄생한 분청사기는 관요(官窯)가 아니라 민요(民窯)에서 제작되었기 때문에 각 지방에 따라 시대에 따라 매우 다양한 양상을 보이게 된다. 또한 관의 통제로부터 벗어나 서민적이고 자유로운 분위기가 연출되었다. 일본의 다도인들은 분청사기 다완을 고려다완이라고 부르며 분청사기의 미학을 높이 평가하였다. 15세기 조선왕조 초기에는 백자를 만들면서 상감분청의 전통에 따라 백자에 상감으로 무늬를 넣은 상감백자도 만들게 되었다. 그리고 15세기 후반이 되면 중국의 청화백자를 모방한 백자청화 매죽무늬 항아리나 백자청화 홍치명 송죽무늬 항아리 같은 작품을 만들게 된다. 16세기로 들어서면서 세련미를 더하여 발전하던 조선백자는 임진왜란을 겪으면서 크게 위축되다가 나라가 안정을 찾고 문화적으로 풍성해지는 18세기로 들어서면서 전성기를 맞게 된다.
7대에 걸쳐 2백여 년 동안 가업을 이어 조선백자를 빚는 사기장 김정옥 선생
  • 중요무형문화재 제105호 사기장 기능보유자 백산(白山) 김정옥(金正玉)선생은 1942년 아버지 김교수 선생과 어머니 박송아 여사 사이에 셋째아들로 태어났다. 선생이 태어나고 자란 경상북도 문경군 문경읍 관음리의 사기점(沙器店)은 8대조인 김영만 선생이 충북 청원군 낭성면에서 이곳으로 옮겨와 서당훈장으로 있으면서 터전을 마련한 곳이라고 한다. 이 일대에는 일찍부터 사기점이 있었던 탓인지 7대조 김취정 선생에 이르러 비로소 사기장으로 출발하기 시작한다. 7대조 이후 오늘에 이르기까지 200여 년간을 사기장 가계를 형성하게 된 것이다.
  • 선생은 어렸을 적부터 부모님 곁에서 사기 제작을 배웠으며, 18세가 되는 1960년도부터는 홀로 물레를 찰 수 있을 정도가 되었다. 당시 경제적으로 어려워 학업을 계속 할 수 없는 형편이어서 중학교 3학년을 중퇴하고 부모님을 돕는 일에 종사하기 시작하였다. 선생이 살던 이 일대는 17세기 경의 백자가마터가 발견되고 있어 조선 중기에 사기점이 존재하였던 것으로 추정되는 곳이다. 부친이 타계한 이후에도 가업인 사기점을 계승하다 형편이 어려워져 고향을 떠날 것을 결심하고 관음리를 벗어나 1982년 문경읍 변두리 국도 변에 조그만 작업장을 마련하여 사기점을 옮기고 상호를 영남요(嶺南窯)라고 짓고 가업을 계승하기에 이르렀다. 선생은 18살의 나이에 도예의 길로 들어서 50여 년이 넘는 세월동안 전통방식을 고수하고 있다. 손쉬운 전기 물레를 거부하고 일흔이 넘은 나이에도 발 물레를 고수하며 유약을 만드는 것에서부터 배합까지 모두 전통적인 방식으로 조선백자의 아름다움을 이어오고 있다.
  • 그러한 노력으로 선생의 작품은 전통적인 조선백자의 전통성을 유지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도자기를 구울 때도 전통적인 장작 가마인 망뎅이 가마만을 사용한다. 장작 또한 자기와 가장 궁합이 맞는다는 적송(赤松)만을 사용한다. 12시간을 넘게 불과 씨름하지만 작품의 반 이상이 선생의 손에 깨지고 만다. 두 달에 한번씩 불을 지피는 가마에는 다완 100여 점이 들어가지만 작품으로 남는 것은 3~4점이 채 안된다고 한다.
  • “실패를 두려워해서는 안 된다. 가장 한국적인 그릇을 만들기 위해서는 방법부터 전통적이어야 한다. 많은 작품보다는 제대로 된 작품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 선생의 삶의 철학이자 고집이다. 일본 다도인들 사이에서 선생의 명성은 자자하다. 조선의 정호다완을 가장 비슷하게 재현하기 때문이다. 선생이 만들어낸 작품들은 미국 스미스소니언박물관과 세계 3대 박물관 중 하나인 영국 대영박물관, 캐나다, 독일, 프랑스 박물관에서 한국 전통의 아름다움을 알리고 있으며, 조지 부시 전 미국 대통령 등 명사들이 선생의 작품을 소장하고 있다고 한다. 7대째 이어져 내려온 가업은 아들인 김경식 선생까지 8대째로 이어지고 있으며 손자가 역시 경기 이천의 도예고에 다니고 있어 사실상 9대째 이어지고 있는 셈이다. 도자기 전문가들은 김정옥 선생만큼 조선 도예의 전통을 온몸으로 이어온 사람은 없다며 발 물레의 달인이라고 평가한다. 또한 집안 대대로 이어지는 청화백자에서는 소박하면서도 고고한 멋을 느낄 수 있고 정호다완에서는 정갈한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사기장의 작업장
사기장이 작업하는 전통작업장은 사방이 두꺼운 두께의 흙벽을 쌓고 필요에 따라 곳곳에 작은 창문을 설치하여 빛을 들이고 실내의 일부에 온돌장치를 하여 건조와 겨울 동안의 작업을 하는 곳이다. 작업장 안에는 흙을 저장하는 곳과 건조시키는 건조장 그리고 유약의 조합과 유약을 시유하는 곳과 그릇을 만드는 물레가 놓여있는 물레장이 있고 옥외에는 수비장이 있다. 수비장은 흙의 앙금을 가라앉히기 위해 땅을 파서 만든 구덩이인데 땅두멍과 귀웅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작과정
  • 전통 사기그릇의 생산과정은 먼저 사토(沙土)의 채취 및 수비작업으로부터 시작된다. 채취된 사토를 먼저 잘게 부수어 물에 넣은 다음 이를 휘젓고 그 뒷물을 받아 가라앉게 되는 미세한 흙가루를 받는 작업을 수비(水飛)라고 한다. 이렇게 수비작업을 거쳐 준비된 흙은 다음으로 그릇 만드는 성형작업에 들어가게 된다. 사기장은 물레의 중심부에 맞추어 흙을 놓고 양손에 물을 묻혀 위로 쳐 올리듯 그릇을 빚는다. 이때 왼발은 물레의 아래 축을 안쪽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차면서 회전시키며 작업한다. 처음에는 엄지손가락으로 흙의 중심부를 누르면서 형태를 만든 다음, 그릇 바깥쪽에 위치한 다른 손가락을 이용해 그릇 안쪽을 다듬어 간다. 이렇게 해서 완성된 그릇을 굽을 잘라 나무판 위에 옮겨 놓고 그늘에서 말린 후 날을 택해 번조 작업에 들어간다. 초벌구이를 먼저 하게 되는데 800℃ 전후로 유약을 처리하여 구워내는 작업이다. 초벌구이를 하면 그릇의 색깔은 적갈색에 가까우며, 물에 잘 흡수되는 상태로서 만져도 변형이 안 된다. 그 다음으로 유약을 입혀 건조시킨다. 유약은 전통적으로 화본과식물인 소나무, 참나무, 볏짚 재를 태워 광주리에 받쳐 물을 부어 잿물을 받아 사용한다. 마지막으로 재벌구이 과정을 거친다. 초벌구이 된 그릇에 유약을 입힌 후 다시 가마로 들어간다. 온도가 1200℃ 이상에서 가열하면 장석유가 녹아내려 그릇표면에 씌워지고 골고루 유리질 막이 형성되면서 경질의 사기그릇이 만들어진다.
  • 1) 작업장으로 옮긴 흙을 발로 골고루 밟는 사진
    1) 작업장으로 옮긴 흙을 발로 골고루 밟는다
    2) 발로는 물레를 돌리고 손으로 그릇의 형태를 빚는 사진
    2) 발로는 물레를 돌리고 손으로 그릇의 형태를 빚는다
    3) 망뎅이가마 입구 사진
    3) 망뎅이가마
    4) 망뎅이가마칸 내부 사진
    4) 망뎅이가마칸 내부
약력
  • 1942년 출생
  • 1983년제13회 경북 공예품경진대회 입선
  • 1983년제13회 88올림픽 상품개발 전국공예품 경진대회 입선
  • 1984년제1회 올림픽 기념품전시회 및 제14회 전국공예품 경진대회 입선
  • 1986년한국문인협회 점촌지부 향토문화상 수상, 제16회 경북공예품경진대회 입선
  • 1988년제13회 전승공예대전 특별상 수상
  • 1989년 제14회 전승공예대전 특별상 수상
  • 1993년도예 부문 제1대 명장 선정
  • 1996년중요무형문화재 제105호 사기장 기능보유자 인정
  • 1996년미국 스미스소니언 박물관 상설전시
  • 1998년일본 도쿄 아세아 4개국 명인 전문가회의 한국대표 참가
  • 1999년문경대학 초대명예교수
  • 2000년대통령 표창
  • 2001년
    공개행사 ‘민속사기전’ 조선일보 미술관,
    미국 롱아일랜드대학 힐우드 미술관 <동방의빛>전시회 참가
  • 2002년민족예술대상 수상
  • 2002년
    대한민국 무형문화재보존협회 부이사장 역임
    전국기능경기대회 심사위원, 전승공예대전 심사위원 등
  • 2005년석탑산업훈장
  • 2006년 제6회 자랑스런 한국인 대상 전통도예부문 대상
  • 2007년영국대영박물관 작품 전시
1410420295_85400.png
 

 
   

                   

991003431_xE1Hgp3U_ECA784EC8381ED9288EBAAB0EBB094EBA19CEAB080EAB8B0_001.png

 
포맷변환_ad12fdc46fa9f16a0b37e026839213fa_1453514696_5531.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