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래
가물치
가지
간재미
갈근
갈치
감자
감태
감초
감홍로주
강활
강황
게장
고구마
고등어
고본
고사리
고슴도치
고추
고추장
곤쟁이
골풀
곰취
곱돌
과루인
곶감
과메기
곽향
광어
구기자
구리
국수
국화차
굴비
금불초
기장
김치
꼬막
꼴뚜기
꽃게
꿀풀
나물
나전칠기
낙죽장도
낙지
냉이
노루
녹두
녹용
녹차
농어
뇌록
누치
느룹나무
느타리버섯
다시마
다람쥐
다래
다슬기
닥나무
단감
단목
달래
담비
담쟁이
당귀
대게
대구
대나무
대발
대추
더덕
더덕주
도라지
도루묵
도마뱀
도미
도자기
돈육
돈차
돌미역
돔배기
동래파전
동백기름
동충하초
돚자리
돼지
된장
두꺼비
두릅
두충
딸기
들기름
마늘
마뿌리
만화석
막걸리
망둥어
매생이
매실
맥문동
맨드라미
머루
머루주
메밀차
멸치
명란젓
명설차
명태
모과
모란
모래무지
모시
모자
목기
목화
무명
무우
문배주
문어
미나리
미역
민속주
민어
밀랍
박하
방풍
백랍
백련잎차
백렴
백미
백반
백부자
백조어
백하수오
백합
밴댕이
뱅어
벼루
병어
법주
보골지
보리
복령
복분자
복숭아
복어
부들
부자
부채
부추
붉나무
붕어
비빔밥
비자
뽕나무
사과
사슴
산나물
산삼
삼림욕
산수유
살구
삼릉
삼배
삼치
상합
상황버섯
새우
새우젓
생강
석결명
석곡
석류
석영
석이버섯
석청
석창포
소금
소라
소주
속새
송어
송이버섯
송화가루
수달
수박
수정
숙주
순채
숭어
승검초
식해
안동포
안식향
앵두
야콘
야콘잎차
약쑥
양귀비
어란
어리굴젓
어육장
엄나무
연밥
연어
연엽주
열목어
염전
엽삭젓
오가피
오미자
오곡
오골계
오정주
오죽
오징어
옥돔
옥로주
옹기
옻칠
왕골
용문석
우무
우황
울금
웅어
위어
유기
유자
유자차
유황
육포
은어
은행
이강주
이스라지
익모초
인삼
인삼주
잉어
자단향
자두
자라
자라돔
자연동
자하젓
작설차
작약
장군풀
장아찌
전모
전복
전어
전어젓
전통주
젓갈
젓새우
정어리
조개
조기
조홍시
좁쌀
종어
종이
주꾸미
죽렴장
죽로차
죽순
죽순채
죽염멸치
죽엽청주
죽피
죽합
준치
중국차
지라돔
지치
질경이
찐빵
참가사리
참게
참기름
참죽나물
참외
찹쌀
창출
천궁
천남성
천문동
청각
청국장
청란석
청목향
청자
초콜릿
초피나무
초하주
추성주
취나물
치자
칠선주
콩잎
토마토
토끼
토사자
토주
토파즈
토하젓
파전
패랭이
편두
포도
포도주
표고버섯
표범
하늘타리
학슬
한과
한라봉
한우
한지
해구신
해달
해삼
해파리
해홍나물
향나무
호도
호로파
호두
홍삼
홍삼절편
홍시
홍어
홍주
홍합
화개차
화문석
황기
황률
황벽나무
황어
황옥
황진이주
황태
회양목
후박
후추
흑돼지
흑염소
흑한우
로그인 l 회원가입

b6529f68139e14bba1d6273328e6caeb_1525709770_0996.jpg
 
 

성공인을 키운 부모의 20가지 습관
20-09-02 10:53

1. 깔끔한 외모에 신경을 쓴다.

헐렁한 트레이닝 바지에 헝클어진 머리를 한 엄마,

집 안 어디서나 담배를 마구 피우는 아빠를 보며 아이들은 배울 것이 없다.

자기 관리가 철저한 부모 밑에서 자란 아이가 깔끔하게 일 처리하는 사람으로 자라는 것은 당연하다.


2. 긍정적으로 말한다.

아이들은 부모의 언어 습관을 보고 그대로 따른다.

특히 이제 막 말을 배우는 세 살, 네 살 정도의 아이들은 더하다.

그러므로 부모가 "~ 하면 안된다""~하면 맞는다" 등의 부정적인 언어를 사용하면

아이들도 따라하게 된다. 부정적인 말을 사용하는 사람은 생각도 부정적으로 바뀐다.


3. 긍정적인 호칭을 쓴다.

아이들을 '돌머리'라고 말하면 돌머리로 자라고,'예쁜이'라고 말하면 예쁜이로 자란다.

왜냐하면 부모가 부르는 호칭은 아이들의 잠재의식 속에 그대로 심어지기 때문이다.

지금 당장 아이를 부를 때 긍정적인 호칭을 부르도록 한다.


4. 꿈을 주는 인테리어

집 안 환경도 아이들의 꿈에 많은 영향을 끼친다.

넓고 푸른 자연이 있는 그림, 아이가 존경할 만한 위인의 사진이 하나쯤은 집안에 붙어 있어야 한다.


5. 아이들의 스트레스는 바로 풀어준다.

아이들도 스트레스가 많다. 이럴 때 부모가 아이의 눈높이로 맞춰서 농담도 하고,

함께 운동도 하면서 스트레스를 풀어주도록 한다.


6. 함께 놀아준다.

컴퓨터 게임, 블록놀이, 총싸움 등 아이들의 놀이에 참가해보면 의외로 재미있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자기와 함께 놀아주는 부모를 보며 아이들은 어른과 부모에 대한 깊은 신뢰감을 갖게 된다.

어렵지 않은 것이므로 지금 당장 실천해도 좋다.


7. 좋아하는 음식을 해준다.

아이들의 오감을 끊임없이 계발해주는 것이 좋다.

그런데 맨 날 똑같은 음식만 먹다 보면 오감은 계발 될 기회를 잃게 된다.

아이의 미각을 계발하기 위해 다양한 요리 만들기에 도전해본다.


8. 작은 일도 축하해준다.

게임 최고점을 낸 일, 전날에 비해 가위로 색종이를 자르는 일을 잘할 때 주저하지 않고 축하해준다.

부모의 진심 어린 축하에 아이들은 성취감을 느끼게 될 것이다.


9. 단점보다 장점에 집중한다.

누구나 완벽한 사람은 없다. 장점도 있고, 단점도 있다.

하지만 부모가 아이의 단점을 혼내기보다 장점에 관심을 보인다면

아이는 부모가 관심을 보이는 것에 더 노력을 기울이게 된다.


10. 친구들에 대해 훤히 안다.

지금 당장 우리 아이가 친하게 지내는 아이들의 이름을 몇 개나 말할 수 있나?

친하게 지내는 친구들의 행동을 우리 아이가 현재 어떤 상태인지 상상이 가능해진다.

그러므로 친구들에 대해 많은 관심을 갖는다.


11. 아이의 우상을 존중해준다.

20세기를 산 부모의 우상과 21세기를 살 자녀의 우상이 같을 수 없다.

그러므로 부모의 잣대로 아이의 우상을 비웃지 말고 존중해준다.


12. 성적이 오르지 않는 원인을 파악한다.

성적이 오르지 않을 때 그 원인을 아이 스스로는 알 수 없지만

부모는 아이의 어떤 태도와 행동이 문제인지 금방 알 수 있다.

그것을 아이 스스로 느껴 태도를 바꿀 수 있도록 부모가 옆에서 자연스럽게 유도한다.


13. 긍정적인 기대감을 갖는다.

아이는 부모가 기대한 대로 자란다.

그러므로 아이에 대한 기대감을 아이에게 부담으로 다가가지 않는 범위 내에서 드러내도록 한다.


14. 아이의 능력을 믿는다.

아이를 믿는다는 것은 아주 중요하다.

아이는 부모가 자기를 믿는다는 것을 알면 자신감이 생겨 모든 일에 적극적으로 대처하게 된다.


15. 기쁜 아침을 만들어 준다.

아침의 기분은 하루를 좌우한다.

그러므로 아무리 화가 나는 일이 있어도 아침에는 기분 좋은 얼굴로 자녀를 대하도록 한다.


16. 스스로 모범을 보인다.

책읽기를 즐기는 부모 밑에서 책을 좋아하는 아이가 자라고,

약속을 잘 지키는 부모의 모습을 보고자란 아이가 약속의 중요함을 안다.


17. 식사 때는 기분 좋은 얘기만 한다.
식사 때는 기분 좋은 얘기를 하면 소화액이 잘 분비된다.

그러므로 식사시간에 아이에게 꾸중을 하거나 장황한 설교를 늘어놓지 않는다.


18. 육아에 대해 항상 연구한다.

아마도 이 항목에 있어서 우리나라 부모님들은 최고 점수를 받을 것이다.

육아와 지능계발에 대해서는 관심이 대단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관심만 갖고 있으면 되는 게 아니라 끊임없이 책과 최신 뉴스를 보며 연구하고 공부해야 좋은 부모이다.


19. 아이에게 글을 쓴다.

말을 하다 보면 자꾸만 이야기가 장황해지고 비논리적으로 될 때가 있다.

이럴 때는 아이에 대한 기대를 글로 적어서 건네준다.


20. 함께 계획을 세운다.

아이들은 모든 일에 참견(?)하기를 좋아하는데 특히 부모와 함께 일을 하는 것을 좋아한다.

그러므로 자녀에 관한 문제뿐만 아니라 집안일에도

아이의 의견을 묻고 함께 계획을 세우거나 해결을 하는 것이 좋다.



   
                                             크기변환_13333.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