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래
가물치
가지
간재미
갈근
갈치
감자
감태
감초
감홍로주
강활
강황
게장
고구마
고등어
고본
고사리
고슴도치
고추
고추장
곤쟁이
골풀
곰취
곱돌
과루인
곶감
과메기
곽향
광어
구기자
구리
국수
국화차
굴비
금불초
기장
김치
꼬막
꼴뚜기
꽃게
꿀풀
나물
나전칠기
낙죽장도
낙지
냉이
노루
녹두
녹용
녹차
농어
뇌록
누치
느룹나무
느타리버섯
다시마
다람쥐
다래
다슬기
닥나무
단감
단목
달래
담비
담쟁이
당귀
대게
대구
대나무
대발
대추
더덕
더덕주
도라지
도루묵
도마뱀
도미
도자기
돈육
돈차
돌미역
돔배기
동래파전
동백기름
동충하초
돚자리
돼지
된장
두꺼비
두릅
두충
딸기
들기름
마늘
마뿌리
만화석
막걸리
망둥어
매생이
매실
맥문동
맨드라미
머루
머루주
메밀차
멸치
명란젓
명설차
명태
모과
모란
모래무지
모시
모자
목기
목화
무명
무우
문배주
문어
미나리
미역
민속주
민어
밀랍
박하
방풍
백랍
백련잎차
백렴
백미
백반
백부자
백조어
백하수오
백합
밴댕이
뱅어
벼루
병어
법주
보골지
보리
복령
복분자
복숭아
복어
부들
부자
부채
부추
붉나무
붕어
비빔밥
비자
뽕나무
사과
사슴
산나물
산삼
삼림욕
산수유
살구
삼릉
삼배
삼치
상합
상황버섯
새우
새우젓
생강
석결명
석곡
석류
석영
석이버섯
석청
석창포
소금
소라
소주
속새
송어
송이버섯
송화가루
수달
수박
수정
숙주
순채
숭어
승검초
식해
안동포
안식향
앵두
야콘
야콘잎차
약쑥
양귀비
어란
어리굴젓
어육장
엄나무
연밥
연어
연엽주
열목어
염전
엽삭젓
오가피
오미자
오곡
오골계
오정주
오죽
오징어
옥돔
옥로주
옹기
옻칠
왕골
용문석
우무
우황
울금
웅어
위어
유기
유자
유자차
유황
육포
은어
은행
이강주
이스라지
익모초
인삼
인삼주
잉어
자단향
자두
자라
자라돔
자연동
자하젓
작설차
작약
장군풀
장아찌
전모
전복
전어
전어젓
전통주
젓갈
젓새우
정어리
조개
조기
조홍시
좁쌀
종어
종이
주꾸미
죽렴장
죽로차
죽순
죽순채
죽염멸치
죽엽청주
죽피
죽합
준치
중국차
지라돔
지치
질경이
찐빵
참가사리
참게
참기름
참죽나물
참외
찹쌀
창출
천궁
천남성
천문동
청각
청국장
청란석
청목향
청자
초콜릿
초피나무
초하주
추성주
취나물
치자
칠선주
콩잎
토마토
토끼
토사자
토주
토파즈
토하젓
파전
패랭이
편두
포도
포도주
표고버섯
표범
하늘타리
학슬
한과
한라봉
한우
한지
해구신
해달
해삼
해파리
해홍나물
향나무
호도
호로파
호두
홍삼
홍삼절편
홍시
홍어
홍주
홍합
화개차
화문석
황기
황률
황벽나무
황어
황옥
황진이주
황태
회양목
후박
후추
흑돼지
흑염소
흑한우
로그인 l 회원가입

e8ccf7afdd6c52258b6fbe6c00a9fd6a_1443601259_4273.jpg
 
 백렴(白薟), 가회톱, 白草(백초), 白根(백근), 兎核(토핵), 猫兒卵(묘아란), 昆侖(곤륜), 兎核(토핵), 猫兒卵(묘아란)
 

약재명; 백렴(白薟)     
학명; Ampelopsis japonica (Mak.) Makino
라틴명; Ampelopsis Radix
일반명;  가회톱
과명;  포도과(葡萄科 : Vitaceae) 
약용부위;  뿌리
효능;  염창생기(斂瘡生肌), 청열해독(淸熱解毒) 동의보감(東醫寶鑑)
주치병증;  나력(瘰癧), 수화탕상(水火燙傷), 옹저발배(癰疽發背), 창옹종독(瘡癰腫毒) 동의보감(東醫寶鑑)
수치법;  잡질(雜質)을 제거하고 절편(切片)하여 사용한다. 운곡본초학(耘谷本草學)
이명;  백근(白根), 묘아난(猫兒卵), 아포단(鴉抱蛋)
성미;  고(苦), 무독(無毒), 미한(微寒)
작용부위;  간(肝), 심(心), 위(胃)
금기;  비위허한자(脾胃虛寒者)와 실화(實火)가 없는 자(者)는 복용을 기(忌)하며, 오두(烏頭)를 반(反)한다.
포함처방;구고고(救苦膏), 난궁종사환(煖宮螽斯丸), 내소황련탕(內疎黃連湯)A, 내탁백렴산(內托白斂散), 누로음자(漏蘆飮子), 대마풍환(大麻風丸)A, 대산우원(大山芋元), 도화산(桃花散)A, 만응고(萬應膏)A, 백렴산(白斂散)A, 백렴원(白斂元), 백룡고(白龍膏), 수징고(水澄膏)A, 염창산(斂瘡散), 영응고(靈應膏)A, 옥용고(玉容膏)A, 옥용서시산(玉容西施散), 절감산(截疳散)A, 청량구고산(淸凉救苦散), 화류고(化瘤膏), 우황청심원(牛黃淸心元)B, 임자환(妊子丸), 단백렴산(單白蘞散), 대마풍환(大麻風丸)B, 루노음자(漏蘆飮子), 생기정통산(生肌定痛散)A, 우황청심환(牛黃淸心丸)A, 운모고(雲母膏)B, 절감산(截疳散)B, 호박고(琥珀膏)B, 신효만영고(神效萬靈膏), 신비만금고(神秘萬金膏)A, 철고산(鐵箍散)B, 옥반산(玉盤散), 우황청심원(牛黃淸心圓)A, 백렴산(白斂散)B, 우황청심원(牛黃淸心圓)B, 치산난포의불출방(治産難胞衣不出方), 백렴원(白蘞圓), 사면초가(四面楚歌), 신백고(神白膏), 운모고(雲母膏)C, 우황청심원(牛黃淸心圓)C, 대철고산(大鐵箍散), 우황청심원(牛黃淸心圓)D, 정철고산(正鐵箍散), 매단고약방(枚丹膏藥方), 복명고(復明膏), 도화산(桃花散)B, 만응고(萬應膏)C, 서여환(薯蕷丸)
화합물;Pentacosane, Octacosanoic acid, beta-Sitosterol, 3-O-beta-D-Glucopyranosyl-24-ethylcholesta-5,22-dien-3-beta-ol, Stigmasterol, Triacontanoic acid, 1,2,6-Tri-O-galloyl-beta-D-glucopyranose, 1,2,3,4,6-Penta-O-galloyl-beta-D-glucopyranose, Quercetin, Gallic acid, 1,2,4,6-Tetra-O-galloyl-beta-D-glucopyranose, 1,2,3,6-Tetra-O-galloyl-beta-D-glucopyranose
약재키워드;백렴(白薟), 가위톱, 가회톱, 곤륜(昆侖), 매염, 묘아난(猫兒卵), 묘아란(猫兒卵), 백근(白根), 백렴(白蘝), 아포단 (한국전통지식포털)

진상품관련근거
백렴은 황해도(감영, 康翎, 곡산, 문화, 서흥, 송화, 수안, 신계, 신천, 안악, 연안, 은율, 長淵, 長連, 재령, 토산, 평산, 풍천, 황주)에서 진상하였다는 기록이 여지도서에 기록되어있다.

주치증상
"<本經(본경)>: 부스럼을 치료하고 氣(기)가 뭉친 것을 풀며 통증을 그치게 하고 열을 내린다. 눈이 충혈된 것, 소아의 경련과 학질을 치료하고 여성의 성기가 붓고 아픈 것을 치료하며 赤白帶下(적백대하)를 치료한다.
<別錄(별록)>: 火毒(화독)을 치료한다.
池大明(지대명): 등에 발생한 부스럼, 임파선염, 얼굴에 발생한 뾰루지, 腸風(장풍), 痔漏(치루), 출혈을 동반한 이질, 칼이나 화살에 손상된 상처, 타박상 등을 치료하고 새살이 돋게 하고 통증을 없앤다.
李時珍(이시진): 狼毒(낭독)의 독을 해독한다."

약물이름의 기원
석명해석
"이명으로는 白草(백초), 白根(백근), 兎核(토핵), 猫兒卵(묘아란), 昆侖(곤륜)이 있다.
寇宗奭(구종석): 白蘞(백렴)은 먹는 약의 처방에는 많이 사용되지 않았고 오직 부스럼을 치료하는 처방에 많이 사용하였기 때문에 白蘞(백렴)이라는 명칭이 생겼다.
李時珍(이시진): 兎核(토핵), 猫兒卵(묘아란)은 모두 모양을 보고 붙이 이름이다. 昆侖(곤륜)은 이 약재의 껍질이 검기 때문에 붙인 이름이다."

주요성상및 특징
유묘의 전체적 성상 : 쌍자엽 잎 : 호생하며 엽병은 길이 7cm가량으로 털이 있거나 없고 덩굴손이 잎과 마주난다. 엽신은 난원형이고 3∼5가닥의 장상꼴로 얕거나 중간까지 째 지며 길이와 폭이 각각 6∼12cm이고 예두에 심장저이며 표면은 푸르구 윗면은 담록색이며 엽맥이 돌출되었다.
줄기 : 표피는 갈색이며 마디가 퉁퉁하다.
꽃 : 6월에 황록색 꽃이 잎과 마주 난 집산화서에 달려 핀다. 꽃은 5개씩의 꽃받침잎, 꽃잎,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다.
열매 : 장과는 둥글며 지름 8∼10mm로서 9월에 밝은 남색으로 익고 2개의 굳은 종자가 들어있다.

백렴(白歛) / 가회톱
라틴명 Ampelopsitis Tuber
약재의 효능 청열(淸熱)  (열기를 성질이 차거나 서늘한 약으로 식히는 효능임) 
해독(解毒)  (독성(毒性)을 풀어주는 효능임) 
양혈(凉血)  (청열법(淸熱法)의 일종으로서, 혈분(血分)의 열사(熱邪)를 제거하는 치법.) 이뇨(利尿)  (소변이 잘 나오게 하는 효능임) 
산결(散結)  (맺힌 것을 푸는 효능임) 
소옹(消癰)  (옹저(癰疽)를 삭아 없어지게 하는 효능임) 
생기(生肌)  (기육(肌肉)이 생기게 하는 효능임) 
지통(止痛)  (통증(痛症)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작용부위 심(心) 
성미 고(苦) , 미한(微寒) 

백렴(白뵴, 가위톱)
성질은 평(平)하고(서늘하다[微寒]고도 한다) 맛은 쓰고 달며[苦甘] 독이 없다. 옹저, 창종(瘡腫), 등창[發背], 나력(뽊뽪), 장풍(腸風), 치루(痔瘻)와 얼굴이 부르터서 허는 것, 다쳐서 상한 것, 칼이나 화살에 상한 것 등을 낫게 한다. 새살이 살아나게 하고 통증을 멎게 하며 종독과 끓는 물이나 불에 덴 데 바른다.
○ 덩굴로 뻗어 나가며 가지 끝에 5개의 잎이 달리고 뿌리는 천문동과 비슷한데 한 그루 밑에 10여 개의 뿌리가 있으며 껍질은 검붉은색이고 살은 희다. 음력 2월, 8월에 뿌리를 캐 햇볕에 말린다[본초]. (한글동의보감)
 
약전기재 중국약전 , 한국생약규격집 
주의사항 위약자(胃弱者)는 복용하지 말 것. 오두(烏頭) 종류의 약재와 같이 쓰지 말 것.
독성 Low / toxic class of herbaceous folk medicine.(toxic; active but toxic, cautious/very toxic, at small dose, usually used for emergency case) 1,2).
 1) H.K. Do, Shin Rhong Bon Cho Kyung, 452.
 2) H.T. Rhu, Hyang Yak Jip Sung Bang, 1431.
약재사용처방 구고고(救苦膏) /  풍습산통(風濕痠痛) 
난궁종사환(煖宮螽斯丸) /  무사(無嗣) 
내탁백렴산(內托白斂散) /  담핵(痰核) 
누로음자(漏蘆飮子) /  부골저(附骨疽) , 악창(惡瘡) 
대마풍환(大麻風丸) /  대마풍(大麻風) 
대산우원(大山芋元) /  노손(勞損) , 비위허약(脾胃虛弱) 
도화산(桃花散) /  옹저궤후구불렴(癰疽潰後久不斂) 
만응고(萬應膏)[1] /  열독종(熱毒腫) , 옹저(癰疽) 
만응고(萬應膏)[2] /  옹종(癰腫) 
백렴산(白斂散) /  동창(凍瘡) 
백렴원(白斂元) /  백대(白帶) 
백룡고(白龍膏) /  악창(惡瘡) 
수징고(水澄膏) /  수족종통(手足腫痛) , 옹저(癰疽) 
염창산(斂瘡散) /  옹저(癰疽) 
영응고(靈應膏)[1] /  옹저(癰疽) , 나력(瘰癧) , 유옹(乳癰) 
영응고(靈應膏)[2] /  유옹(乳癰) , 악창(惡瘡) , 옹저(癰疽) 
옥용고(玉容膏)[1] /  면생창(面生瘡) 
옥용고(玉容膏)[2] /  조선(燥癬) 
옥용서시산(玉容西施散) /  흑염정(黑靨疔) , 풍자(風刺) 
우황청심원(牛黃淸心元)[1] /  전광(癲狂) 
우황청심원(牛黃淸心元)[2] /  졸중풍(卒中風) 
운모고(雲母膏)[1] /  나력(瘰癧) , 골저(骨疽) , 내저(內疽) 
운모고(雲母膏)[2] /  옹저(癰疽) 
절감산(截疳散) /  누창(瘻瘡) , 감창(疳瘡) 
죽통흡독방(竹筒吸毒方) /  악창(惡瘡) , 정창(釘瘡) 
천금누로탕(千金漏蘆湯) /  발배(發背) , 내저(內疽) , 정창(釘瘡) 
청량구고산(淸凉救苦散) /  대두온(大頭瘟) 
치내감창일방(治內疳瘡一方) /  내감창(內疳瘡) 
화류고(化瘤膏) /  영류(瘿瘤) (익생의 자연건강컨텐츠)
 
가회톱(백렴白蘞) - 해열.진통.피부재생에 효과.
쌍떡잎식물 갈매나무목 포도과의 낙엽 덩굴나무.
학명 : Ampelopsis japonica (Thunb.) Makino
일어 : カガミクサ
다른이름 : 염초, 아포단(鴉抱蛋), 묘아란(猫兒卵), 토핵(菟核), 곤륜(崑崙), 가위톱, 백초(白草), 견종소(見腫消), 천산노서(穿山老鼠), 백수관(白水罐), 산지과(山地瓜), 철노서(鐵老鼠), 모계대자(母鷄帶仔), 노수과서(老鼠瓜薯), 산율자(山栗子), 팔괘우(八卦牛), 백장관(白漿罐), 구천천(狗天天), 나리차(癩痢茶)라고도 부름.
분류 : 포도과 개머루속
분포지역 : 한국(황해이북)·중국 동북부 
서식장소 : 산과 들 
크기 : 길이 2m 이상 벋으며 갈색의 덩이뿌리가 있다.
<식물학 정보>
잎 : 겹잎인데 어긋나고 손바닥 모양으로 3∼5개로 갈라진다.작은잎은 다시 3개로 갈라지며 잎 가장자리에 드문드문 톱니가 난다.잎축과 마디에는 날개가 있으며 털은 없다.
꽃 : 양성화로 6∼7월에 연한 노란색 꽃이 취산꽃차례로 핀다.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고 꽃잎과 수술은 각각 5개씩이며 1개의 암술이 있다.
줄기 : 줄기는 많이 분지하고 덩굴손과 잎은 마주난다.
열매 : 장과로 지름 5~7mm이고 9∼10월에 익는다. 구형이고 익으면 남자색이다.
뿌리 : 덩굴로 뻗어 나가며 가지 끝에 5개의 잎이 달리고, 천문동과 비슷한데 한 그루 밑에 달걀이나 오리 알 크기의 10여 개의 뿌리가 있으며 껍질은 검붉은 색이고 속살은 희다.

금기
外感初期에 寒熱이 있는 경우에도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
脾胃虛寒者와 實火가 없는 者는 服用을 忌한다.

백렴 抽出物이 腫瘍免疫에 미치는 영향
1. 백렴 추출물은 부분적으로 종양세포인 HT1080, Hep G2, MCF-7 cell에 대해 세포독성을 보였으나, 섬유세포인 7250 cells과 종양세포인 CT-26 cells에서는 세포독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2. 백렴 추출물은 macrophage에서 생산되는 NO production을 부분적으로 증가시켰다. 3. 백렴 추출물은 macrophage 활성화와 관련 있는 IL-1과 iNOS의 유전자 발현을 증가시켰다. 4. 백렴 추출물은 NK cell의 cytotoxicity를 활성화시켰다. 5. 백렴 추출물은 NK cell 활성화와 관련있는 IL-1, IL-4, IL-10, IL-12, iNOS, IFN-γ, TNF-α 의 유전자 발현을 증가시켰다. 6. 백렴 추출물은 마우스의 비장세포에서 IL-10, IFN-γ, TNF-α의 단백질 발현을 증가시켰다. 7. 백렴 추출물은 CT-26 cell에 의한 pulmonary colony를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게 억제시켰다. 이상의 결과로 백렴 추출물은 macrophage와 NK cell의 활성화를 통해 면역 조절과 항암제로서의 유용성이 기대된다.
<식물의 이용> 우황청심원(牛黃淸心元)의 재료중에 하나이다.

<약용 부분> 뿌리
<약의 성상> 가로로 절편(切片)한 것으로 장원형 또는 방추형을 나타내고, 길이 3~12cm, 지름 1~3cm이다. 단면의 주변은 속으로 말려 있고, 가운데에는 하나의 볼록한 능선이 있으며, 외피는 홍갈색으로 세로주름과 가는 가로무늬 및 가로로 긴 피공이 있고 쉽게 떨어지며 떨어진 곳은 엷은 홍갈색이다. 체는 가볍고 질은 단단하면서 부서지기 쉽다. 절단 할 때 가루가 생긴다. 이 약은 냄새가 없고 맛은 조금 달다.약재는 피층이 두껍고 단면은 분홍색으로 분질이 많은 것이어야 한다.
<기미(氣味)> 서늘하고(凉) 쓰면서 약간 달기도하고 맵다(苦甘辛). 독은 없다(無毒) '향약구급방 방중향약목초부'에 白斂<俗云犬伊刀叱草 味苦 甘 微寒 無毒…> 라고 기재되어있다.
<효능(效能)> 소염(消炎).진통(鎭痛).해열(解熱).산결(散結).소종(消腫).혈압강하.항균(抗菌),상처재생(斂瘡生)
<귀경(歸經)> 수소음심경(心經), 족양명위경(胃經)
<적응증> 학질(瘧疾). 경간(驚癎). 대하(帶下). 음통(陰通).창독(瘡毒) 소아경기. 결핵성림프선염. 자궁내막염. 장염. 치루. 화상.
<용법(用法)> 내복시 - 끓여서 달이거나, 가루을 또는 환으로 만들어 복용한다.외용시 - 찧찟어 상처에 붙이거나 달인 물로 상처를 씻어낸다.
<용량(用量)> 일일 6~12을 복용한다.
<채취시기> 음력 2~8월에 뿌리를 채취하여 껍질을 벗기고 물에 씻어서 큰 것은2~4개의 조각으로 쪼개서 참대나무에 꿰어서 햇볕에 건조한다.

효능; 백렴은 맛이 쓰고 성질은 약간 차다. 열을 식히고 독을 풀어 주는 효능이 있으므로 옹저, 종기, 창양 및 악창이나 부스럼이 아물지 않은것, 뜨거운 물이나 기름에 데인것에 사용한다.
독성정보; 무독
성상; 이 약은 긴 타원형~방추형으로 양쪽 끝이 뾰족하고 구부러졌으며 길이 3~12㎝, 지름 1~3㎝이다. 바깥면은 황갈색으로 세로주름이 있고 층층으로 쉽게 떨어져 나가며 안쪽면은 엷은 갈색이다.
채집시기;산지 봄과 가을에 채취하여 줄기와 잔뿌리를 제거하고 깨끗이 씻어서 햇볕에 말린다.
가공; 햇볓에 말려 사용(대구약령시한의학박물관)
 
참고문헌
익생의 자연건강컨텐츠, 한국전통지식포탈,한글동의보감, 대구약령시한의학박물관, (문화콘텐츠닷컴 (문화원형백과 한의학 및 한국고유의 한약재), 2004, 한국콘텐츠진흥원),
1. 한국외국어대학교 : 가회톱 뿌리(백염, Ampelopsis Radix)의 성분 연구.1991
2. 대한한의학회 : 백렴(Ampelopsis Radix) 추출물의 종양 면역에 미치는 영향.2005
3. 한국한의학연구원 : 백렴 추출물(抽出物)이 종양면역(腫瘍免疫)에 미치는 영향. 2005
4. 동국대학교 : 백렴의 항알레르기 효능에 대한 연구.2009
5. 대한침구학회 : 백렴약침액이 대식세포에서 NO와 Prostaglandin 생성에 미치는 영향.2010
6. 대한약학회 : 백렴 추출물의 Matrix Metalloproteinase-1 발현 저해 효과.2004
7. (주)아모레퍼시픽 특허 : 히노키티올 및 백렴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피부 개선용 조성물. 2010.8.25.
8. 대한화장품학회 : 백렴 에틸 아세테이트 층의 항산화 활성과 Matrix Metalloproteinase-1 발현 저해효과.2005
9. 대한본초학회 : 백렴의 알레르기 염증반응에 대한 억제효과. 2008.
10. 한불화장품주식회사 특허 : 백렴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2001
11. 동화약품공업 주식회사 특허 : 항암 활성을 갖는 백렴 추출물.1999.5.15

로고_임금님진상품_카페용150.jpg

   

                                            크기변환_13333.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