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래
가물치
가지
간재미
갈근
갈치
감자
감태
감초
감홍로주
강활
강황
게장
고구마
고등어
고본
고사리
고슴도치
고추
고추장
곤쟁이
골풀
곰취
곱돌
과루인
곶감
과메기
곽향
광어
구기자
구리
국수
국화차
굴비
금불초
기장
김치
꼬막
꼴뚜기
꽃게
꿀풀
나물
나전칠기
낙죽장도
낙지
냉이
노루
녹두
녹용
녹차
농어
뇌록
누치
느룹나무
느타리버섯
다시마
다람쥐
다래
다슬기
닥나무
단감
단목
달래
담비
담쟁이
당귀
대게
대구
대나무
대발
대추
더덕
더덕주
도라지
도루묵
도마뱀
도미
도자기
돈육
돈차
돌미역
돔배기
동래파전
동백기름
동충하초
돚자리
돼지
된장
두꺼비
두릅
두충
딸기
들기름
마늘
마뿌리
만화석
막걸리
망둥어
매생이
매실
맥문동
맨드라미
머루
머루주
메밀차
멸치
명란젓
명설차
명태
모과
모란
모래무지
모시
모자
목기
목화
무명
무우
문배주
문어
미나리
미역
민속주
민어
밀랍
박하
방풍
백랍
백련잎차
백렴
백미
백반
백부자
백조어
백하수오
백합
밴댕이
뱅어
벼루
병어
법주
보골지
보리
복령
복분자
복숭아
복어
부들
부자
부채
부추
붉나무
붕어
비빔밥
비자
뽕나무
사과
사슴
산나물
산삼
삼림욕
산수유
살구
삼릉
삼배
삼치
상합
상황버섯
새우
새우젓
생강
석결명
석곡
석류
석영
석이버섯
석청
석창포
소금
소라
소주
속새
송어
송이버섯
송화가루
수달
수박
수정
숙주
순채
숭어
승검초
식해
안동포
안식향
앵두
야콘
야콘잎차
약쑥
양귀비
어란
어리굴젓
어육장
엄나무
연밥
연어
연엽주
열목어
염전
엽삭젓
오가피
오미자
오곡
오골계
오정주
오죽
오징어
옥돔
옥로주
옹기
옻칠
왕골
용문석
우무
우황
울금
웅어
위어
유기
유자
유자차
유황
육포
은어
은행
이강주
이스라지
익모초
인삼
인삼주
잉어
자단향
자두
자라
자라돔
자연동
자하젓
작설차
작약
장군풀
장아찌
전모
전복
전어
전어젓
전통주
젓갈
젓새우
정어리
조개
조기
조홍시
좁쌀
종어
종이
주꾸미
죽렴장
죽로차
죽순
죽순채
죽염멸치
죽엽청주
죽피
죽합
준치
중국차
지라돔
지치
질경이
찐빵
참가사리
참게
참기름
참죽나물
참외
찹쌀
창출
천궁
천남성
천문동
청각
청국장
청란석
청목향
청자
초콜릿
초피나무
초하주
추성주
취나물
치자
칠선주
콩잎
토마토
토끼
토사자
토주
토파즈
토하젓
파전
패랭이
편두
포도
포도주
표고버섯
표범
하늘타리
학슬
한과
한라봉
한우
한지
해구신
해달
해삼
해파리
해홍나물
향나무
호도
호로파
호두
홍삼
홍삼절편
홍시
홍어
홍주
홍합
화개차
화문석
황기
황률
황벽나무
황어
황옥
황진이주
황태
회양목
후박
후추
흑돼지
흑염소
흑한우
로그인 l 회원가입

e8ccf7afdd6c52258b6fbe6c00a9fd6a_1443601259_4273.jpg
 
 산사나무(아가위),산사근(山楂根), 산사목(山楂木), 산사경엽(山楂莖葉), 산사핵(山楂核) 구자,양구,당영자,적조자,산리황과,산조,비테단,사사자,산리과자,모사,후사,영산홍과,해홍,산매자,산리,산사,아가위나무, 야광나무, 동배, 이광, 뚱광, 찔광나무, 산사나무, 산율자, 산당자, 적과자, 산표자, 목도자, 아그배나무, 찔구배나무, 찔배나무, 동배나무, 찔광이
 

산사나무(아가위)(Crataegus pinnatifida ; Hawthorn, Oriental hawthorn, Chinese haw)는 장미목 장미과 잎지는 넓은잎 작은 큰키나무이다. 높이 3∼6m이며, 나무껍질은 잿빛이고 가지에 가시가 난다. 잎은 어긋나고, 길이 6∼8cm, 나비 5∼6cm의 달걀 모양으로 가장자리는 깃처럼 갈라지고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앞면은 반짝이며 양면 맥 위에 털이 난다. 잎자루는 길이 2∼6cm이다. 5월경에 배꽃처럼 희고 작은 꽃이 산방꽃차례로 달린다. 꽃잎은 둥글고 꽃잎과 꽃받침조각은 각각 5장씩임. 꽃밥은 붉은색이다. 이과로, 9∼10월에 지름 약 1.5cm로 둥글고 붉게 익으며 흰 반점이 있고 약용한다. 밀원식물, 조경용으로 심는다.
한자 이름을 풀이하자면 산에 자라는 아침의 나무란 뜻을 가지고 있는 나무이다. 밤나무꽃의 특유한 꽃 냄새를 남성에 비유한다면, 산사나무의 꽃 냄새는 여성에 비유할 만하다.
 
유럽에서도 귀하게 여겼는데, 5월에 만발하는 산사나무의 흰 꽃을 보고 메이플라워(May flower) 라고 불렀다. 예수그리스도의 가시면류관으로 이야기 되는 몇 개의 식물이 있는데, 그 중 하나가 산사나무이다. 이 때문에 산사나무가 벼락을 막아주고, 악마를 막아주는 나무라고 신성시했다. 그래서 청교도들이 아메리카대륙으로 타고 떠났던 배의 이름도 메이플라워호였다. 술의 재료로도 유명한 산사는 건위, 소화, 정장 효과가 우수하다. 한방에서는 산사열매를 숙취, 이질, 월경불순, 소화불량, 심장병 등을 치료하는 약으로 사용했고, 과식을 했거나 아기가 젖을 먹다. 체했을 때도 효과가 있다. 열매에 신맛이 있어서 떡, 술, 정과 등 별미 요리에 이용한다. 특히 생선요리를 많이 먹는 일본에서는 산사열매를 많이 이용했다. 유럽에서도 산사열매를 크래테거스(Crataegus) 라고 해서 강심제로 이용한다. 키도 적당하고 잎과 꽃과 열매가 아름다워 정원수로 많이 심고 가꾼다. 또 뛰어난 약효 때문에 주로 약재로 많이 재배했다. 햇볕을 좋아하고, 내한성과 내조성이 강해서 생울타리용으로도 적당하다.
개화기는 5월이고 결실기는 8~10월이다. 황폐한 산비탈, 개울가, 길가의 관목림속, 강기슭의 모래땅이나 건조하고 모래가 많은 산비탈에서 자란다. 산사의 뿌리를 산사근(山楂根), 목재를 산사목(山楂木), 줄기와 잎을 산사경엽(山楂莖葉), 종자를 산사핵(山楂核) 이라고 하며 모두 약용한다.
 
진상품관려근거
산사(아가위)는 강원도(감영, 양구, 영월, 원주, 정선, 춘천, 평창, 홍주(홍성), 횡성)에서 진상하였다는 기록이 여지도서에 기록되어있다.
 
산사(아가위)의 쓰이는곳
모세혈관확장작용, 강압작용, 혈중콜레스테롤감소작용, 강장보호, 혈액순환촉진, 건위, 심장쇠약, 동맥경화, 부정맥, 심장기능강화, 백혈병, 소화 촉진, 고기를 먹고 체한데, 어혈, 촌충, 직장 궤양, 노인 요통 및 각통, 강심제, 동맥경화, 심장쇠약, 부정맥, 심계항진, 고혈압초기, 진통, 간담도질병, 빈혈, 비만증, 강장보호, 건위, 복통, 식욕부진, 월경이상, 위염, 위팽만, 유즙부족, 장염, 장 위카타르, 장출혈, 알코올 중독, 진통, 토사곽란, 동상, 소화촉진, 혈괴, 설사, 직장 궤양을 다스리는 산사
 
산사나무 및 열매의 다른 이름
산사[山楂: 본초연의보유(本草衍義補遺)], 구[朹, 계매:檕梅: 이아(爾雅)], 구자[朹子: 이아(爾雅), 곽박주(郭璞注)], 서사[鼠査: 신농본초경집주(神農本草經集注)], 양구[羊梂: 도홍경(陶弘景)], 적조실[赤爪實: 당본초(唐本草)], 당영자[棠栐子: 본초도경(本草圖經)], 적조자[赤棗子: 계해우형지(桂海虞衡誌)], 산리홍과[山裏紅果, 산조:酸棗, 비체단:鼻涕團, 시사자:柿摣子: 백일선방(白一選方)], 산리과자[山裏果子: 이참암본초(履巉岩本草)], 모사[茅樝: 일용본초(日用本草)], 후사[猴樝: 세의득효방(世醫得效方)], 영산홍과[映山紅果: 구황본초(救荒本草)], 해홍[海紅: 본초품휘정요(本草品彙精要)], 산매자[酸梅子, 산리:山梨: 중국수목분류학(中國樹木分類學)], 산사[酸査: 산동중약(山東中藥)], 당구자(棠毬子), 아가위나무, 야광나무, 동배, 이광, 뚱광, 찔광나무, 산사나무, 산율자, 산당자, 적과자, 산표자, 목도자, 아그배나무, 찔구배나무, 찔배나무, 동배나무, 찔광이 등으로 부른다.
 
종교적학 대사전
장미과의 낙엽저목. 그리스도의 형관이 산사나무로 만들어졌다는 전설은 유명하며, 관을 씌웠을 때 떨어진 그리스도의 피가 산사나무를 물들였다고 한다. 따라서 중세에는 재앙방지의 나무로 생각했으며, 영국에서는 상처나 부기를 치료한다고 믿었다. 로마시대에는 시민의 건강을 지키는 여신 카르나(Carna)의 성목이라고 하였으며, 이 여신이 신생아의 피를 빠는 마조(魔鳥)를 쫓아내는 힘을 가졌기 때문에, 갓난아이의 요람에 그 가지를 넣는 습관도 생겨났다. 영국의 글라스톤베리에 전해지는 전설에서는 아리마타야의 요셉이 성배를 그곳에 운반해 왔을 때, 너무 피로한 나머지 산사나무 막대를 지면에 꽂고 휴식을 취하자 막대기는 바로 뿌리를 내리고 꽃을 피웠다고 한다. 꽃말은 〈희망〉.
 
산사나무의 특성
산사나무는 거의 원형에 가까운 모양으로 자란다. 산사나무는 우리나라 모든 지역의 양지바른 산기슭이나 밭둑에 자생하는데 뿌리 근처에서 싹이 올라와 퍼지기 때문에 산사나무 군집을 만들기도 한다. 꽃과 열매가 아름답고 잎사귀 모양도 특이하게 생겨서 정원수나 조경수로도 각광받고 있다.
 
산사의 성분과 약리
한방에서는 열매를 산사자(山査子)라고 하며 건위제•소화제•정장제로 사용한다. 민간에서는 고기를 많이 먹은 다음 소화제로 쓴다. 유럽에서는 유럽산사나무의 열매를 크라테거스(Crataegus)라고 하는데, 강심제로 쓰고 5월에 꽃이 피므로 메이플라워(May flower)라고도 한다.
동의보감에 산사(山査)는 식적(食積)을 삭히고 오랜 체기를 풀어주며, 기가 몰린 것을 잘 돌아가게 하고 적괴(積塊), 담괴(痰塊), 혈괴(血塊)를 삭히고 비(脾)를 든든하게 하며, 가슴을 시원하게 하고 이질을 치료하며, 종창을 빨리 곪게 한다. 또한 오랫동안 묵은 것이 좋다고 한다.
산사나무 잎에는 퀘르세틴, 루틴, 플라보노이드 등이 들어 있고, 산사의 씨앗 속에는 아미그달린이 소량 들어 있다. 산사 추출물은 마취한 토끼의 혈압을 천천히 떨어뜨려서 3시간 동안 유지시켰고, 두꺼비에 주사해서 전신에 흐르게 했더니 혈관이 확장되었다. 또한 산사 엑스제를 실험적으로 콜레스테롤성 동맥경화를 일으킨 토끼에게 투여했더니 혈중 콜레스테롤을 떨어뜨리는 효과와 함께 기관의 콜레스테롤 침착을 억제해서 혈압을 낮추는 효과까지 있었다. 아울러 관상동맥을 확장시켰는데 이런 기전은 뇌하수체 후엽호르몬에 의해 일어나는 협심증의 회복을 가속화시킨 것 때문이었다.
 
산사의 효능
보통 민간에서는 육류를 요리할 때 산사열매 몇 알을 넣어 고기를 부드럽게 하고 냄새를 제거하는데 쓰였으며 산사를 직접 달여서 복용할 경우는 깨끗이 씻어 끓인 다음 꿀이나 설탕을 넣고 자주 마시면 소화기능과 혈액순환에 장애가 있을 때 치료효과를 볼 수 있다. 또 지나치게 고기를 많이 먹어 생기는 고지혈증이나 급성장질환에는 산사 속에 들어 있는 씨를 발라내고 하루 20-40g씩 끓여 마셔도 좋은 효과를 볼 수 있다.
산사는 식체를 치료하는데 특히 육류를 먹고난 다음의 식체에 효과적이고, 직장 궤양, 명치 밑이 그득한 증상이나 복통, 속쓰림, 신물이 올라오는 역류성 식도염 등에 효과적이다. 또한 산사는 기운순환을 통해서 아랫배의 뭉침 증상에도 효과적이고, 촌충을 구제한다. 임상연구 가운데는 급성 세균성 이질이나 콜레스테롤이 높은 고지혈증에도 효과적이라는 보고도 있다. 또한 산사나무의 잎과 꽃을 달여서 먹으면 고혈압에 효과적이고, 동상에 걸렸을 때는 외용제로 바르거나 따뜻하게 달여서 손발을 넣기도 한다.
산사는 육적(肉積)을 소화하는 작용이 뛰어나며 체증이 오랫동안 내리지 않아 가슴과 배가 답답하거나 굳은 대변을 보고 썩은 냄새가 나는 트림을 할 때도 좋다. 또한 설사나 이질 등에도 좋으며 부인의 생리통과 부인과 질환에 의한 요통 등에도 쓸 수 있다. 또한 혈압을 내려주며 혈액을 깨끗하게 해주어 고지혈증이나 관상동맥경화증 등을 예방하는 데도 효과적이다.
 
산사의 부작용
산사 씨앗속에는 아미글달린이 들어 있어서 과실주를 담군지 3개월이 지나면 열매를 건져내고 술을 따로 보관해야 한다. 왜냐하면 씨앗 속의 아미그달린은 오랫동안 알콜로 추출하면 몸에 손상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산사는 소음인의 약재로 분류되었고, 실제로 소음인 처방에 자주 들어가는 약재라는 사실에서 보이는 것처럼 소음인 체질의 소화불량이나 위질환에는 효과적이지만 소양인은 먹으면 더 나빠질 수 있다. 산사가 들어간 처방은 [향사양위탕]이 대표적인 처방이다.
 
산사 복용시 주의사항
산사는 서리가 내린 다음에 따서 속의 씨앗을 버린 다음 햇볕에 바짝 말렸다가 사용한다. 산사는 한번에 2그램에서 5그램을 달여서 먹는다. 또한 민간에서는 그대로 먹거나 화채 또는 과실주를 담가 먹는다. 산사춘이란 술도 원래 소화제로 개발되었던 전통약주를 현대화한 것이므로, 소음인 체질의 소화불량에 약주로 사용하면 좋다. 다만 소양인이나 태양인 체질의 사람들은 너무 많이 마시지 말아야 한다.
 
[채취]
가을에 열매가 성숙하였을 때에 딴다. 산사는 채취한 후 두께가 1.5~3mm되는 얇은 조각으로 가로 썰어서 바로 햇볕에 말린다. 야산사(野山楂)는 채취한 후 그대로 햇볕에 말리거나 눌러서 동글납작한 떡 모양으로 만들어 햇볕에 말린다. 상품으로는 산사편(山楂片)을 북산사(北山楂)라고 부르며 야산사(野山楂)를 남산사(南山楂)라고 부른다. [중약대사전]
열매는 맛은 시고 달며 성질은 약간 따뜻하다. 비장, 위장, 간장에 들어간다. 고기를 먹고 체한데, 어혈, 촌충, 직장 궤양, 노인 요통 및 각통, 강심제, 동맥경화, 심장쇠약, 부정맥, 심계항진, 고혈압초기, 백혈병, 진통, 간담도질병, 혈액순환촉진, 빈혈, 비만증, 강장보호, 건위, 복통, 식욕부진, 월경이상, 위염, 위팽만, 유즙부족, 장염, 장 위카타르, 장출혈, 알코올 중독, 진통, 토사곽란, 동상, 소화촉진, 혈괴, 설사, 직장 궤양을 치료한다.
하루 8~15그램을 물로 달여서 복용하거나 가루내어 먹거나 환을 지어 먹는다. 외용시는 탕약으로 씻거나 짓찧어서 바른다.
주의사항으로 비위가 허약한 환자는 복용을 해서는 안된다. 생것을 많이 복용하면 치아가 손상되고 인삼을 복용한 사람은 먹어서는 안되며, 빈속이나 쇠약한자 또는 앓고 난 환자는 복용해서는 안된다.

북한에서 펴낸 <동의학사전>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산사(山査, 酸査) // 찔광이, 당구자(棠毬子) [본초]
배나무과에 속하는 낙엽성 소교목인 찔광이나무(Crataegus pinnatifida Bunge.)의 익은 열매를 말린 것이다.
찔광이나무(아가위나무, 산사나무, 아그배나무, 찔구배나무, 찔배나무)는 우리 나라 중부 이북의 산골짜기나 산기슭, 밭둑, 집 주변에서 널리 자란다. 가을에 익은 열매를 따서 햇볕에 말린다. 맛은 달고 시며 성질은 평하다. 비경, 위경에 작용한다. 음식을 소화시키고 기혈을 잘 통하게 하며 비장을 보하고 이질을 낫게 한다.
약리실험에서 알코올추출액은 진정작용을 나타내고 플라보노이드성분은 강심작용을 나타낸다. 그밖에 모세혈관확장작용, 강압작용, 혈중콜레스테롤감소작용이 밝혀졌다. 관상혈관도 확장시키는데 이 성분은 잎, 꽃, 껍질, 줄기, 뿌리에도 있다.
소화장애, 식체 특히 고기를 먹고 체한 데 주로 쓴다. 징가, 산후복통, 이질, 산증, 어린이가 젖을 먹고 체한 데도 쓰며 고혈압병 초기, 고지혈증, 동맥경화증, 심장쇠약, 심장기능장애, 심계항진, 부정맥, 혈관신경증 등에도 쓴다. 최근에는 간종대, 비장종대에 써서 효과를 보고 있다. 하루 9~15그램을 물로 달이거나 가루내거나 환을 지어 먹는다.]
산사나무의 뿌리는 소화불량, 관절통, 폐결핵으로 인한 객혈, 세균성 이질에 하루 12~20그램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산사나무의 목심은 수양성 설사, 두풍, 몸의 가려움증을 치료한다.
산사나무의 잎과 꽃은 차에 담가서 복용하면 고혈압을 치료한다. 줄기과 잎을 달인 물로 옻이 오른데 바른다.
산사나무의 종자는 음식을 먹고 체한데나 소화를 촉진시키고 분만촉진의 작용을 한다.

관련문헌 및 출처
동아대 대체의학 외래교수 전동명, 두산백과, (종교학대사전, 1998.8.20, 한국사전연구사), 여지도서, 중약대사전, 동의보감, 동의학사전, 김달래한의원 체질박사
 
로고_임금님진상품_카페용150.jpg
 
 

   

                                            크기변환_13333.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