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형유산 지식백과(무형문화지식연구원)
태조 - 철종 1대 태조(1392년~) 2대 정종(1399년~) 3대 태종(1401년~) 4대 세종(1418년~) 5대 문종(1450년~) 6대 단종(1452년~) 7대 세조(1455년~) 8대 예종(1468년~) 9대 성종(1469년~) 10대 연산군(1494년~) 11대 중종(1506년~) 12대 인종(1545년~) 13대 명종(1545년~) 14대 선조(1567년)선조수정(1567년~) 15대 광해군중초본(1608년~)광해군정초본(1608년~) 16대 인조(1623년~) 17대 효종(1649년~) 18대 현종(1659년~)현종개수(1659년~) 19대 숙종(1674년~)숙종보궐정오(1674년~) 20대 경종(1720년~)경종수정(1720년~) 21대 영조(1724년~) 22대 정조(1776년~) 23대 순조(1800년~) 24대 헌종(1834년~) 25대 철종(1849년~) 고종 - 순종 26대 고종(1863년~) 27대 순종(1907년~) 순종부록(1910년~) http://sillok.history.go.kr/main/main.do
http://hidream.or.kr/dongeuibogam/index.html - 한글 동의 보감 -음양오행 -사상의학 -장부학 -쑥뜸과 부항 -지압과 경락 -수지침요령 -민간요법과 질병기초 -한방약초의 종류와 효능 -한방식품의 종류와 효능 -한방약차 -한방약술 -암에 도움되는 약초 -건강 상식 -건강정보자료 -한방처방전 -민간약상식 -향약집성방과 향약본초 -1000가지 일반 요리법
보통 우리 아이들이 키가 작다고 생각하면 주로 유전적인 요인이 있지 않을까 많이 생각하십니다. 엄마 혹은 아빠를 닮았기 때문에 작다고 생각하신다면 이는 큰 오산이 될 수 있습니다. 사실 키작은 아이는 단 한가지 문제가 아닌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해 문제가 발생하는 것인데요. 오늘은 ‘키작은 아이 무엇이 문제일까요?’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키가 작은 이유 1. 유전적인 요인 앞서 말한 유전적인 요인은 실제 원인의 30% 정도에만 해당합니다. 즉 나머지 70%의 역량은 부모의 관심과 아이의 습관, 후천적인 요인들로 인해서 충분히 변화될 수 있다는 뜻이지요. 때문에 우리아이가 키가 작다면 유전적인 요인을 탓할 것이 아니라 키가 크는데 있어서 방해가 되는 요인이 있는 것은 아닌지 확인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2. 습관 ‘일찍 자고 일찍 일어나는 것’이야말로 키가 크기 위한 진리입니다. 밤 10시에서 2시 사이 성장호르몬의 분비가 가장 왕성한 시간대이기 때문이지요. 요즘 아이들은 과도한 학업량으로 늦게 자고 일찍 일어나 학교에서 조는 시간이 많은데요. 밤시간대만큼은 푹 잘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3. 균형잡힌 영양상태 아이의 영양상태에 따라서 평균 키가 5cm 가량 차이 난다고 합니다. 그만큼 타고나는 것 이상으로 균형잡힌 식사는 중요하다는 것인데요. 영양상태가 불균형하면 아이가 자랄 수 있는 역량보다 더 작게 자라게 됩니다. 환경호르몬이 많이 들어있는 음식은 성장에 장애가 될 수 있으니 되도록 소화가 잘 되는 영양풍부한 음식으로 준비해주세요 4. 운동부족 잠을 잘 자는 것 외에 운동이 부족해도 성장장애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키 작은 아이가 고민이시라면 꾸준한 운동을 통해 신진대사 능력이 좋아질 수 있도록 해주시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특히 농구처럼 몸을 뻗을 수 있는 운동을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요즘은 키가 작은 아이들로 고민이신 부모님들이 많습니다. 워낙 외모가 중시되는 풍토에서 키는 빼놓을 수 없는 조건 중 하나이기 때문인데요. 각종 한의원 프로그램에는 아이의 성장을 돕도록 오장육부의 신진대사가 잘 이루어질 수 있는 프로그램들이 마련되어 있습니다. 또한 특히 아이가 부족한 부분의 영양상태를 균형있게 맞춰주기 때문에 키가 자라는데 도움을 주는 선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몸이 근본적으로 튼튼해 질 수 있도록 도와주기 때문에 아이의 건강을 위해서도 의미있는 시간이 되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키 작은 아이 무엇이 문제일까요?’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모두 충분한 부모님의 관심과 아이의 습관으로 형성될 수 있는 조건들이니만큼 가정에서도 아이의 키에 한결 더 관심을 가져주신다면 아이의 키도 한뼘 더 무럭무럭 자랄 수 있을 것입니다.
고성, 주문진, 도루묵 (은조어) 도루묵은 도루묵과에 속하는 바닷물고기로 몸의 길이가 15~26cm로 비늘이 없고 눈과 입이 커서 외관상 대구와 흡사하다. 도루묵은 은어(銀魚) 또는 은조어(銀條魚)라고도 부르고, 맛이 담백하지만 뛰어난 편은 아니라서 값이 싸다. 도루묵의 산란기는 11월에서 12월 초순이고, 눈은 비교적 크다. 약용보다는 식용으로 많이 먹는다. 도루묵의 학명은 Arctoscopus japonicus이다. 도루묵이라는 이름의 유래가 정조 때 이의봉(李義鳳)이 편찬한『고금석림(古今釋林)』과 조선 말기 조재삼(趙在三)이 지은 『송남잡지(松南雜識)』에 전한다. 『고금석림』에 의하면 “고려의 왕이 동천(東遷)하였을 때 목어를 드신 뒤 맛이 있다 하여 은어로 고쳐 부르라고 하였다. 환도 후 그 맛이 그리워 다시 먹었을 때 맛이 없어 다시 목어로 바꾸라 하여, 도루묵[還木]이 되었다.”고 한다. 조선조의 인조가 이괄(李适)의 난으로 공주에 피신하는 과정에 있었던 일이라고 하는 전설도 있다. 또 다른 유래담으로는, 원래 맥어(麥魚)였는데 은어로 개명되었다가 다시 환맥어로 되었다는 내용도 있다. 『세종실록지리지』에는 함경도에서 은어가 났던 것으로 기록되어 있고,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강원도와 함경도에서 은어가 잡혔던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오늘날의 은어는 과거에 은구어(銀口魚)라고 하여 구별하였다. 도루묵은 조선시대까지는 그다지 많이 잡히지 않았고 상품으로서의 가치도 낮았다. 때는 조선 14대 선조(宣祖) 시절이었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선조 임금은 피란을 가게 되었다. 피란 떠날 때 먹을 것을 충분히 가지고 간 것도 아니고, 피란지에 맛난 먹을거리가 있는 것도 아니어서 임금이라도 초라한 수라상을 받을 수밖에 없었다. 이 딱한 소리를 듣고 한 어부가 동네 앞 바다에서 잡은 ‘묵’이라는 물고기를 임금께 바쳤다. 선조 임금은 이 물고기를 아주 맛있게 먹고 그 이름을 물어보았다. ‘묵’이라고 하자 그 이름이 좋지 않다고 하며 즉석에서 ‘은어(銀魚)’라는 근사한 이름을 하사하였다. 전쟁이 끝나고 환궁한 뒤 피란지에서 맛보았던 ‘은어’가 생각나서 다시 먹어 보았더니 옛날의 그 감칠맛이 아니었다. 그래서 선조 임금은 “에이, 도로(다시) 묵이라 불러라”라고 하셨다. 이로부터 ‘도로묵’이라는 새로운 이름이 생겨난 것이다. 진상품관련근거 도루묵[銀魚]은 강원도(간성군, 고성군, 울진현, 통천군, 흡곡현) 함경도(경성도호부, 길성현, 단천군, 덕원도호부, 명천현, 문천군, 부령도호부, 북청도호부, 안변도호부, 이성현, 정평도호부, 종성도호부, 함흥부, 홍원현)에서 진상하였다는 기록이 신증동국여지승람기록되어있다. 도루묵정보 한자어로는 목어(木魚)·은어(銀魚)·환목어(還木魚)·환맥어(還麥魚)·도로목어(都路木魚)라고 하고, 방언으로는 도로묵·도루무기·돌목어라 한다. 학명은 Arctoscopus japonicus STEINDACHNER.이다. 몸길이는 25∼26㎝ 정도로, 몸이 가늘고 길며 측면이 편편하다. 뒷지느러미가 배에서 꼬리 가까이 길게 발달하였고, 등에는 모양이 일정하지 않은 황갈색의 무늬가 있다. 옆구리와 배는 흰색인데, 옆줄과 비늘이 없다. 동해안의 중부 이북에 많으며, 평상시는 수심 100∼400m의 해저 모래진흙에 서식하나, 산란기인 초겨울이 되면 물이 얕고 해조류가 무성한 곳으로 모여든다. 서유구(徐有榘)의 『난호어목지(蘭湖漁牧志)』에서는 “배가 희게 빛나 운모가루를 붙여놓은 것처럼 보여 본토박이들이 은어라고 부르며, 9∼10월이 되면 그물을 설치하여 잡는다.”고 하였다. 수심 200∼400m 의 모래가 섞인 펄 바닥에 주로 서식한다. 한국 동해, 일본, 러시아, 캄챠카 반도 등의 북서태평양에 분포한다. 11∼12월에 약 2∼10m 수심의 해초가 발달해 있는 지역에서 산란을 한다. 먹이는 주로 작은 새우류, 요각류, 오징어류, 해조류 등을 먹는다. 어선으로 끌그물을 끌어서 해저에 있는 고기를 잡기도 하고, 수심 50m 이하의 연안에 일정기간 그물을 설치해 놓고 고기가 되돌아 나올 수 없도록 물고기떼의 통로를 차단시켜 자연히 그물 속으로 들어가도록 하여 잡기도 한다. 소금구이, 찜, 찌개 등으로 조리된다. 산란을 준비하는 시기인 10~11월 초순에 살이 오르고 기름져, 이때 잡힌 것이 가장 제맛을 낸다. 특히 산란을 앞두고 알이 가득 들어찬 암컷은 그 맛을 최고의 별미로 친다. 그러나 산란을 끝내고 체내지방이 다 빠져나간 이후에는 맛이 급격히 떨어지기 때문에, 음식점에서는 10월에 잡힌 것을 급랭해 놓고 1년 동안 사용한다. 궁합음식정보 : 채소 (도루묵에는 불포화지방산인EPA, DHA가 들어있어 채소의 비타민, 무기질과 함께 섭취하면 영양 섭취 궁합이 맞는 식품이다.) 구입요령 : 눌렀을 때 탄력이 있으며 살이 단단하고 어취가 없는 것이 좋다.보관법 : 내장을 제거하고 깨끗이 씻은 다음 랩을 씌워서 밀봉하여 냉장이나 냉동 보관한다.산지특성 및 기타정보 : 농어목 도루묵과의 바닷물고기로 우리나라의 동해 연안, 일본, 사할린, 캄차카, 알래스카 등지에 분포한다. 섭취방법 : 고춧가루와 마늘, 양파 등의 채소를 넣어 만든 찌개, 굵은소금을 부려 구운 도루묵 구이, 조림, 식해 등으로 이용된다. 도루묵의 특성 도루묵은 등쪽은 황갈색에 불규칙한 흑갈색 흐름무늬가 있고 몸옆과 배쪽은 은백색이다. 도루묵은 보통 수심이 200∼400m 정도의 모래가 섞인 뻘 바닥에서 주로 사는데, 몸의 일부를 바닥에 묻은 채 지내다가 수심 2∼10m의 해초가 발달한 지역으로 이동해서 11∼12월에 산란한다. 우리나라 동해와 일본의 북동이북, 캄차카반도, 알래스카 등지에서 많이 잡힌다. 도루묵의 성분 도루묵은 수분이 약간 적고, 지질이 비교적 많다. 가식부분100g당 수분이 78.3%, 단백질이 17g, 지방이 3g, 칼슘이 45mg 등인데 단백질과 무기질의 함량이 비교적 많기 때문에 보신강장에 좋다. 특히 도루묵은 인의 함량이 많아서 이것을 섭취하면 뼈와 치아조직의 구성성분이 된다. 아래 사진은 [동의보감]의 도루묵(은조어- 銀條魚) 항목이다. 도루묵은 도루묵과에 속하는 바닷물고기로 몸의 길이가 15~26cm로 비늘이 없고 눈과 입이 커서 외관상 대구와 흡사하다. 도루묵은 은어(銀魚) 또는 은조어(銀條魚)라고도 부르고, 맛이 담백하지만 뛰어난 편은 아니라서 값이 싸다. 도루묵의 산란기는 11월에서 12월 초순이고, 눈은 비교적 크다. 약용보다는 식용으로 많이 먹는다. 도루묵의 학명은 Arctoscopus japonicus이다. 도루묵의 특성 도루묵은 등쪽은 황갈색에 불규칙한 흑갈색 흐름무늬가 있고 몸옆과 배쪽은 은백색이다. 도루묵은 보통 수심이 200∼400m 정도의 모래가 섞인 뻘 바닥에서 주로 사는데, 몸의 일부를 바닥에 묻은 채 지내다가 수심 2∼10m의 해초가 발달한 지역으로 이동해서 11∼12월에 산란한다. 우리나라 동해와 일본의 북동이북, 캄차카반도, 알래스카 등지에서 많이 잡힌다. 도루묵의 성분 도루묵은 수분이 약간 적고, 지질이 비교적 많다. 가식부분100g당 수분이 78.3%, 단백질이 17g, 지방이 3g, 칼슘이 45mg 등인데 단백질과 무기질의 함량이 비교적 많기 때문에 보신강장에 좋다. 특히 도루묵은 인의 함량이 많아서 이것을 섭취하면 뼈와 치아조직의 구성성분이 된다. 아래 사진은 [동의보감]의 도루묵(은조어- 銀條魚) 항목이다. 도루묵의 효능 도루묵에 대해 기록한 [동의보감]의 내용을 그대로 옮기면 “은조어는 속을 편안하게하고 위를 튼튼하게 하며, 생강을 넣고 죽을 쑤어 먹으면 좋다”라고 되어 있다. 도루묵은 우리나라 사람들보다 일본사람들이 더 좋아하는데, 일본명은 Hatahata이다. 도루묵은 아 임산수유부나 발육기의 어린이들이 먹으면 강장의 효과가 있어서 좋다. 도루묵의 부작용 도루묵은 성질이 평이하고 맛이 담백해서 비린내를 싫어하는 사람도 잘 먹는다. 아직까지 도루묵에 대한 부작용 보고는 없으며, 상하지 않은 것만 먹으면 별문제는 없을 것으로 본다. 도루묵 복용시 주의사항 도루묵은 산란을 앞두고 알이 가득 들어찬 암컷의 맛을 최고로 치고, 산란을 끝내고 체내지방이 다 빠져나간 이후에는 맛이 급격히 떨어지기 때문에 10월에서 11월 초에 잡아서 냉동했다가 먹는다. 또 도루묵의 내장은 변질되기 쉬우므로 항상 조심해야 하고, 도루묵 소금구이로 많이 먹는다. 관련근거 및 출처 쿡쿡TV, 국립수산과학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두산백과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고금석림(古今釋林)』『송남잡지(松南雜識)』『난호어목지(蘭湖漁牧志)』『임원십육지(林園十六志)』『해양수산통계연보』(해양수산부, 1998)『한국어도보(韓國魚圖譜)』(정문기, 일지사, 1977) 『한국전설대관』(임헌도, 정연사, 1973)
울진도루묵, 은조어 도루묵이라는 이름의 유래가 정조 때 이의봉(李義鳳)이 편찬한 고금석림(古今釋林)과 조선 말기 조재삼(趙在三)이 지은 송남잡지(松南雜識)에 전한다. 『고금석림』에 의하면 “고려의 왕이 동천(東遷)하였을 때 목어를 드신 뒤 맛이 있다 하여 은어로 고쳐 부르라고 하였다. 환도 후 그 맛이 그리워 다시 먹었을 때 맛이 없어 다시 목어로 바꾸라 하여, 도루묵[還木]이 되었다.”고 한다. 조선조의 인조가 이괄(李适)의 난으로 공주에 피신하는 과정에 있었던 일이라고 하는 전설도 있다. 또 다른 유래담으로는, 원래 맥어(麥魚)였는데 은어로 개명되었다가 다시 환맥어로 되었다는 내용도 있다. 세종실록지리지에는 함경도에서 은어가 났던 것으로 기록되어 있고,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강원도와 함경도에서 은어가 잡혔던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오늘날의 은어는 과거에 은구어(銀口魚)라고 하여 구별하였다. 도루묵은 조선시대까지는 그다지 많이 잡히지 않았고 상품으로서의 가치도 낮았다. 때는 조선 14대 선조(宣祖) 시절이었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선조 임금은 피란을 가게 되었다. 피란 떠날 때 먹을 것을 충분히 가지고 간 것도 아니고, 피란지에 맛난 먹을거리가 있는 것도 아니어서 임금이라도 초라한 수라상을 받을 수밖에 없었다. 이 딱한 소리를 듣고 한 어부가 동네 앞 바다에서 잡은 ‘묵’이라는 물고기를 임금께 바쳤다. 선조 임금은 이 물고기를 아주 맛있게 먹고 그 이름을 물어보았다. ‘묵’이라고 하자 그 이름이 좋지 않다고 하며 즉석에서 ‘은어(銀魚)’라는 근사한 이름을 하사하였다. 전쟁이 끝나고 환궁한 뒤 피란지에서 맛보았던 ‘은어’가 생각나서 다시 먹어 보았더니 옛날의 그 감칠맛이 아니었다. 그래서 선조 임금은 “에이, 도로(다시) 묵이라 불러라”라고 하셨다. 이로부터 ‘도로묵’이라는 새로운 이름이 생겨난 것이다. 도루묵[銀魚]은 강원도(간성군, 고성군, 울진현, 통천군, 흡곡현) 함경도(경성도호부, 길성현, 단천군, 덕원도호부, 명천현, 문천군, 부령도호부, 북청도호부, 안변도호부, 이성현, 정평도호부, 종성도호부, 함흥부, 홍원현)에서 진상하였다는 기록이 신증동국여지승람 기록되어있다. 도루묵은 도루묵과에 속하는 바닷물고기로 몸의 길이가 15~26cm로 비늘이 없고 눈과 입이 커서 외관상 대구와 흡사하다. 도루묵은 은어(銀魚) 또는 은조어(銀條魚)라고도 부르고, 맛이 담백하지만 뛰어난 편은 아니라서 값이 싸다. 도루묵의 산란기는 11월에서 12월 초순이고, 눈은 비교적 크다. 약용보다는 식용으로 많이 먹는다. 도루묵의 학명은 Arctoscopus japonicus이다. 도루묵정보 한자어로는 목어(木魚)·은어(銀魚)·환목어(還木魚)·환맥어(還麥魚)·도로목어(都路木魚)라고 하고, 방언으로는 도로묵·도루무기·돌목어라 한다. 학명은 Arctoscopus japonicus STEINDACHNER.이다. 몸길이는 25∼26㎝ 정도로, 몸이 가늘고 길며 측면이 편편하다. 뒷지느러미가 배에서 꼬리 가까이 길게 발달하였고, 등에는 모양이 일정하지 않은 황갈색의 무늬가 있다. 옆구리와 배는 흰색인데, 옆줄과 비늘이 없다. 동해안의 중부 이북에 많으며, 평상시는 수심 100∼400m의 해저 모래진흙에 서식하나, 산란기인 초겨울이 되면 물이 얕고 해조류가 무성한 곳으로 모여든다. 서유구(徐有榘)의 『난호어목지(蘭湖漁牧志)』에서는 “배가 희게 빛나 운모가루를 붙여놓은 것처럼 보여 본토박이들이 은어라고 부르며, 9∼10월이 되면 그물을 설치하여 잡는다.”고 하였다. 수심 200∼400m 의 모래가 섞인 펄 바닥에 주로 서식한다. 한국 동해, 일본, 러시아, 캄챠카 반도 등의 북서태평양에 분포한다. 11∼12월에 약 2∼10m 수심의 해초가 발달해 있는 지역에서 산란을 한다. 먹이는 주로 작은 새우류, 요각류, 오징어류, 해조류 등을 먹는다. 어선으로 끌그물을 끌어서 해저에 있는 고기를 잡기도 하고, 수심 50m 이하의 연안에 일정기간 그물을 설치해 놓고 고기가 되돌아 나올 수 없도록 물고기떼의 통로를 차단시켜 자연히 그물 속으로 들어가도록 하여 잡기도 한다. 소금구이, 찜, 찌개 등으로 조리된다. 산란을 준비하는 시기인 10~11월 초순에 살이 오르고 기름져, 이때 잡힌 것이 가장 제맛을 낸다. 특히 산란을 앞두고 알이 가득 들어찬 암컷은 그 맛을 최고의 별미로 친다. 그러나 산란을 끝내고 체내지방이 다 빠져나간 이후에는 맛이 급격히 떨어지기 때문에, 음식점에서는 10월에 잡힌 것을 급랭해 놓고 1년 동안 사용한다. 궁합음식정보 : 채소 (도루묵에는 불포화지방산인 EPA, DHA가 들어있어 채소의 비타민, 무기질과 함께 섭취하면 영양 섭취 궁합이 맞는 식품이다.) 구입요령 : 눌렀을 때 탄력이 있으며 살이 단단하고 어취가 없는 것이 좋다.보관법 : 내장을 제거하고 깨끗이 씻은 다음 랩을 씌워서 밀봉하여 냉장이나 냉동 보관한다.산지특성 및 기타정보 : 농어목 도루묵과의 바닷물고기로 우리나라의 동해 연안, 일본, 사할린, 캄차카, 알래스카 등지에 분포한다. 섭취방법 : 고춧가루와 마늘, 양파 등의 채소를 넣어 만든 찌개, 굵은소금을 부려 구운 도루묵 구이, 조림, 식해 등으로 이용된다. 도루묵의 특성 도루묵은 등쪽은 황갈색에 불규칙한 흑갈색 흐름무늬가 있고 몸옆과 배쪽은 은백색이다. 도루묵은 보통 수심이 200∼400m 정도의 모래가 섞인 뻘 바닥에서 주로 사는데, 몸의 일부를 바닥에 묻은 채 지내다가 수심 2∼10m의 해초가 발달한 지역으로 이동해서 11∼12월에 산란한다. 우리나라 동해와 일본의 북동이북, 캄차카반도, 알래스카 등지에서 많이 잡힌다. 도루묵의 성분 도루묵은 수분이 약간 적고, 지질이 비교적 많다. 가식부분100g당 수분이 78.3%, 단백질이 17g, 지방이 3g, 칼슘이 45mg 등인데 단백질과 무기질의 함량이 비교적 많기 때문에 보신강장에 좋다. 특히 도루묵은 인의 함량이 많아서 이것을 섭취하면 뼈와 치아조직의 구성성분이 된다. 아래 사진은 [동의보감]의 도루묵(은조어- 銀條魚) 항목이다. 도루묵은 도루묵과에 속하는 바닷물고기로 몸의 길이가 15~26cm로 비늘이 없고 눈과 입이 커서 외관상 대구와 흡사하다. 도루묵은 은어(銀魚) 또는 은조어(銀條魚)라고도 부르고, 맛이 담백하지만 뛰어난 편은 아니라서 값이 싸다. 도루묵의 산란기는 11월에서 12월 초순이고, 눈은 비교적 크다. 약용보다는 식용으로 많이 먹는다. 도루묵의 학명은 Arctoscopus japonicus이다. 도루묵의 특성 도루묵은 등쪽은 황갈색에 불규칙한 흑갈색 흐름무늬가 있고 몸옆과 배쪽은 은백색이다. 도루묵은 보통 수심이 200∼400m 정도의 모래가 섞인 뻘 바닥에서 주로 사는데, 몸의 일부를 바닥에 묻은 채 지내다가 수심 2∼10m의 해초가 발달한 지역으로 이동해서 11∼12월에 산란한다. 우리나라 동해와 일본의 북동이북, 캄차카반도, 알래스카 등지에서 많이 잡힌다. 도루묵의 성분 도루묵은 수분이 약간 적고, 지질이 비교적 많다. 가식부분100g당 수분이 78.3%, 단백질이 17g, 지방이 3g, 칼슘이 45mg 등인데 단백질과 무기질의 함량이 비교적 많기 때문에 보신강장에 좋다. 특히 도루묵은 인의 함량이 많아서 이것을 섭취하면 뼈와 치아조직의 구성성분이 된다. 아래 사진은 [동의보감]의 도루묵(은조어- 銀條魚) 항목이다. 도루묵의 효능 도루묵에 대해 기록한 [동의보감]의 내용을 그대로 옮기면 “은조어는 속을 편안하게하고 위를 튼튼하게 하며, 생강을 넣고 죽을 쑤어 먹으면 좋다”라고 되어 있다. 도루묵은 우리나라 사람들보다 일본사람들이 더 좋아하는데, 일본명은 Hatahata이다. 도루묵은 아 임산수유부나 발육기의 어린이들이 먹으면 강장의 효과가 있어서 좋다. 도루묵의 부작용 도루묵은 성질이 평이하고 맛이 담백해서 비린내를 싫어하는 사람도 잘 먹는다. 아직까지 도루묵에 대한 부작용 보고는 없으며, 상하지 않은 것만 먹으면 별문제는 없을 것으로 본다. 도루묵 복용시 주의사항 도루묵은 산란을 앞두고 알이 가득 들어찬 암컷의 맛을 최고로 치고, 산란을 끝내고 체내지방이 다 빠져나간 이후에는 맛이 급격히 떨어지기 때문에 10월에서 11월 초에 잡아서 냉동했다가 먹는다. 또 도루묵의 내장은 변질되기 쉬우므로 항상 조심해야 하고, 도루묵 소금구이로 많이 먹는다. 관련근거 및 출처 쿡쿡TV, 국립수산과학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두산백과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고금석림(古今釋林)』『송남잡지(松南雜識)』『난호어목지(蘭湖漁牧志)』『임원십육지(林園十六志)』『해양수산통계연보』(해양수산부, 1998)『한국어도보(韓國魚圖譜)』(정문기, 일지사, 1977)『한국전설대관』(임헌도, 정연사, 1973)
도루묵은 맛없는 생선의 대명사쯤 된다. 오죽했으면 도루묵이라는 이름까지 얻었을까? 맛이 없으니 “도로 묵이라고 하라”며 까탈을 부린 주인공은 임진왜란 때의 선조로 알려져 있는데 알고 보면 선조나 도루묵 모두 억울하기 짝이 없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선조가 북쪽으로 피난을 떠났다. 배가 고팠던 선조가 수라상에 올라온 생선을 맛있게 먹은 후 그 이름을 물었다. ‘묵’이라는 생선이라고 하자 맛있는 생선에 어울리는 이름이 아니라며 즉석에서 은어(銀魚)라는 이름을 하사했다. 전쟁이 끝난 후 환궁한 선조가 피난지에서 맛봤던 은어가 생각나 다시 먹어보니 옛날 그 맛이 아니었다. 형편없는 맛에 실망한 임금이 역정을 내면서 ‘도로 묵이라고 불러라’고 해서 도루묵이라는 이름이 생겼다.” 도루묵에 얽힌 전설이다. 하지만 따지고 보면 도루묵이 그렇게까지 형편없는 생선이 아니다. 입맛이야 사람 따라 다르겠지만 “말짱 도루묵”이라는 말을 들을 정도로 맛없는 물고기가 아니다. 나름 특별한 맛과 멋이 있다. 통통하게 살찐 도루묵 구이는 별미다. 얼큰한 도루묵 조림과 찌개는 밥 한 공기를 뚝딱 비우게 하는 밥 도둑이고 막걸리에 소주를 부르는 술 도둑이다. 강원도 바닷가라면 좀처럼 맛보기 어려운 도루묵회에 도루묵깍두기, 도루묵 식해가 별미다. 도루묵이 맛없다는 생각은 이름 때문에 생긴 선입견이다. 누명 때문에 온 천하에 형편없는 생선이라는 오명을 쓴 채 몇백 년을 보냈는데 우리가 알고 있는 도루묵의 어원은 과연 진실일까? 도루묵은 주로 강원도와 함경도, 그리고 지금의 경상북도 바닷가에서 잡히는 생선이다. 그런데 선조는 도루묵을 먹을 수 있는 곳으로 피난을 간 적이 없다. 임진강을 건너 평양을 거쳐 의주로 갔으니 실제 피난길에서 도루묵을 먹었을 가능성은 거의 없다. 실제로 도루묵의 유래가 적힌 조선 시대 문헌에도 선조가 도루묵을 먹었다는 기록은 보이지 않는다. 도루묵의 유래는 홍길동전의 저자인 허균이 광해군 시절에 귀양 갔을 때 쓴 전국팔도 음식 평론서인 ‘도문대작’에 실려 있다. 은어를 설명하는 대목에서 “동해에서 나는 생선으로 처음에는 이름이 목어(木魚)였는데 전 왕조에 이 생선을 좋아하는 임금이 있어 이름을 은어라고 고쳤다가 너무 많이 먹어 싫증이 나자 다시 목어라고 고쳐 환목어(還木魚)라고 했다”고 했다. 한자어 환목어를 우리 말로 풀이한 것이 바로 도루묵이다. 허균이 전 왕조라고 했으니 도루묵이라는 이름을 만든 주인공은 실제 선조가 아니라 바로 고려 때의 어느 임금이다. 비슷한 이야기가 역시 광해군 때 벼슬을 산 택당 이식의 시에 나오는데 도루묵의 주인공이 선조 임금이라는 말은 없다. 그저 임금님이 왕년에 난리를 피해 황량한 (동해안) 해변에서 고난을 겪던 중에 도루묵이라는 이름이 유래했다고 적었다. 선조가 아니라면 동해안 쪽으로 피난을 가서 도루묵을 먹었다는 임금은 과연 누구였을까? 고려와 조선대에 서울인 개성이나 한양을 버리고 피난을 떠난 임금은 모두 다섯 명이다. 11세기 때는 고려 현종이 거란족의 침입을 피해 전라도 나주까지 피난을 간 적이 있다. 그리고 13세기에 고려 고종이 피난은 아니지만 몽골군의 침입에 대비해 수도를 개성에서 강화도로 옮겼다. 14세기에 고려 공민왕은 홍건적의 난을 피해 경상도 안동으로 피신했다. 조선 시대에는 16세기 말, 선조가 임진왜란 때 피난을 갔는데 함흥으로 갈까 의주로 갈까 망설이다 결국 의주로 떠났다. 그리고 17세기 인조가 세 차례에 걸쳐 한양을 비웠는데 정묘호란 때는 강화도로, 병자호란 때는 남한산성, 그리고 이괄의 난 때는 충청도 공주로 몸을 숨겼다. 그러니 도루묵이 잡히는 고장인 동해안으로 피난을 떠났던 임금은 한 명도 없다. 도루묵의 또 다른 이름인 은어도 그렇다. 배고픈 임금이 너무나 맛이 좋아 은빛이 도는 물고기라는 뜻에서 은어(銀魚)라는 이름을 하사했다고 하지만 조선 후기 정조 때의 실학자 서유구가 쓴 ‘난호어목지’에는 이름의 유래가 다르게 적혀 있다. “물고기의 배가 하얀 것이 마치 운모가루와 같아 현지 사람들이 은어라고 부른다”고 했으니 은어는 임금이 하사한 명칭이 아니라 현지인들이 부르는 이름이었다. 도루묵의 유래 때문에 도루묵은 으레 맛이 없다고 생각하지만 사실 옛날 문헌을 보면 도루묵은 동해안의 특산물이었다. 지금은 경상북도인 울진 이북의 강원도와 함경도에서 두루 잡히는 생선이었는데 ‘조선왕조실록’에는 조정에 공물로 바치는 지역 특산물이었다고 나온다. 그렇다면 왜 화장실 갈 때와 나올 때가 다른 것처럼 전쟁의 와중에서도 쓸데없이 음식 투정이나 부린 임금으로 선조를 지목했을까? 선조나 도루묵이 왜 모두 누명을 썼는지 정확한 까닭은 알 수 없지만 굳이 짐작하자면 전란에 시달렸던 백성들이 못마땅했던 임금에 대한 원망을 도루묵 이야기와 연결 지었다. 지도자의 의무는 부하를 제대로 이끄는 것이다. 임진왜란이 나자 임금이 백성을 버리고 의주로 피난을 갔으니 도루묵에 빗대어 역사의 조롱거리가 됐다. <윤덕노 음식문화 평론가>
도루묵은 맛없는 생선의 대명사쯤 된다. 오죽했으면 도루묵이라는 이름까지 얻었을까? 맛이 없으니 “도로 묵이라고 하라”며 까탈을 부린 주인공은 임진왜란 때의 선조로 알려져 있는데 알고 보면 선조나 도루묵 모두 억울하기 짝이 없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선조가 북쪽으로 피난을 떠났다. 배가 고팠던 선조가 수라상에 올라온 생선을 맛있게 먹은 후 그 이름을 물었다. ‘묵’이라는 생선이라고 하자 맛있는 생선에 어울리는 이름이 아니라며 즉석에서 은어(銀魚)라는 이름을 하사했다. 전쟁이 끝난 후 환궁한 선조가 피난지에서 맛봤던 은어가 생각나 다시 먹어보니 옛날 그 맛이 아니었다. 형편없는 맛에 실망한 임금이 역정을 내면서 ‘도로 묵이라고 불러라’고 해서 도루묵이라는 이름이 생겼다.” 도루묵에 얽힌 전설이다. 하지만 따지고 보면 도루묵이 그렇게까지 형편없는 생선이 아니다. 입맛이야 사람 따라 다르겠지만 “말짱 도루묵”이라는 말을 들을 정도로 맛없는 물고기가 아니다. 나름 특별한 맛과 멋이 있다. 통통하게 살찐 도루묵 구이는 별미다. 얼큰한 도루묵 조림과 찌개는 밥 한 공기를 뚝딱 비우게 하는 밥 도둑이고 막걸리에 소주를 부르는 술 도둑이다. 강원도 바닷가라면 좀처럼 맛보기 어려운 도루묵회에 도루묵깍두기, 도루묵 식해가 별미다. 도루묵이 맛없다는 생각은 이름 때문에 생긴 선입견이다. 누명 때문에 온 천하에 형편없는 생선이라는 오명을 쓴 채 몇백 년을 보냈는데 우리가 알고 있는 도루묵의 어원은 과연 진실일까? 도루묵은 주로 강원도와 함경도, 그리고 지금의 경상북도 바닷가에서 잡히는 생선이다. 그런데 선조는 도루묵을 먹을 수 있는 곳으로 피난을 간 적이 없다. 임진강을 건너 평양을 거쳐 의주로 갔으니 실제 피난길에서 도루묵을 먹었을 가능성은 거의 없다. 실제로 도루묵의 유래가 적힌 조선 시대 문헌에도 선조가 도루묵을 먹었다는 기록은 보이지 않는다. 도루묵의 유래는 홍길동전의 저자인 허균이 광해군 시절에 귀양 갔을 때 쓴 전국팔도 음식 평론서인 ‘도문대작’에 실려 있다. 은어를 설명하는 대목에서 “동해에서 나는 생선으로 처음에는 이름이 목어(木魚)였는데 전 왕조에 이 생선을 좋아하는 임금이 있어 이름을 은어라고 고쳤다가 너무 많이 먹어 싫증이 나자 다시 목어라고 고쳐 환목어(還木魚)라고 했다”고 했다. 한자어 환목어를 우리 말로 풀이한 것이 바로 도루묵이다. 허균이 전 왕조라고 했으니 도루묵이라는 이름을 만든 주인공은 실제 선조가 아니라 바로 고려 때의 어느 임금이다. 비슷한 이야기가 역시 광해군 때 벼슬을 산 택당 이식의 시에 나오는데 도루묵의 주인공이 선조 임금이라는 말은 없다. 그저 임금님이 왕년에 난리를 피해 황량한 (동해안) 해변에서 고난을 겪던 중에 도루묵이라는 이름이 유래했다고 적었다. 선조가 아니라면 동해안 쪽으로 피난을 가서 도루묵을 먹었다는 임금은 과연 누구였을까? 고려와 조선대에 서울인 개성이나 한양을 버리고 피난을 떠난 임금은 모두 다섯 명이다. 11세기 때는 고려 현종이 거란족의 침입을 피해 전라도 나주까지 피난을 간 적이 있다. 그리고 13세기에 고려 고종이 피난은 아니지만 몽골군의 침입에 대비해 수도를 개성에서 강화도로 옮겼다. 14세기에 고려 공민왕은 홍건적의 난을 피해 경상도 안동으로 피신했다. 조선 시대에는 16세기 말, 선조가 임진왜란 때 피난을 갔는데 함흥으로 갈까 의주로 갈까 망설이다 결국 의주로 떠났다. 그리고 17세기 인조가 세 차례에 걸쳐 한양을 비웠는데 정묘호란 때는 강화도로, 병자호란 때는 남한산성, 그리고 이괄의 난 때는 충청도 공주로 몸을 숨겼다. 그러니 도루묵이 잡히는 고장인 동해안으로 피난을 떠났던 임금은 한 명도 없다. 도루묵의 또 다른 이름인 은어도 그렇다. 배고픈 임금이 너무나 맛이 좋아 은빛이 도는 물고기라는 뜻에서 은어(銀魚)라는 이름을 하사했다고 하지만 조선 후기 정조 때의 실학자 서유구가 쓴 ‘난호어목지’에는 이름의 유래가 다르게 적혀 있다. “물고기의 배가 하얀 것이 마치 운모가루와 같아 현지 사람들이 은어라고 부른다”고 했으니 은어는 임금이 하사한 명칭이 아니라 현지인들이 부르는 이름이었다. 도루묵의 유래 때문에 도루묵은 으레 맛이 없다고 생각하지만 사실 옛날 문헌을 보면 도루묵은 동해안의 특산물이었다. 지금은 경상북도인 울진 이북의 강원도와 함경도에서 두루 잡히는 생선이었는데 ‘조선왕조실록’에는 조정에 공물로 바치는 지역 특산물이었다고 나온다. 그렇다면 왜 화장실 갈 때와 나올 때가 다른 것처럼 전쟁의 와중에서도 쓸데없이 음식 투정이나 부린 임금으로 선조를 지목했을까? 선조나 도루묵이 왜 모두 누명을 썼는지 정확한 까닭은 알 수 없지만 굳이 짐작하자면 전란에 시달렸던 백성들이 못마땅했던 임금에 대한 원망을 도루묵 이야기와 연결 지었다. 지도자의 의무는 부하를 제대로 이끄는 것이다. 임진왜란이 나자 임금이 백성을 버리고 의주로 피난을 갔으니 도루묵에 빗대어 역사의 조롱거리가 됐다. <윤덕노 음식문화 평론가>
고성, 주문진, 도루묵 (은조어) 도루묵은 도루묵과에 속하는 바닷물고기로 몸의 길이가 15~26cm로 비늘이 없고 눈과 입이 커서 외관상 대구와 흡사하다. 도루묵은 은어(銀魚) 또는 은조어(銀條魚)라고도 부르고, 맛이 담백하지만 뛰어난 편은 아니라서 값이 싸다. 도…
울진도루묵, 은조어 도루묵이라는 이름의 유래가 정조 때 이의봉(李義鳳)이 편찬한 고금석림(古今釋林)과 조선 말기 조재삼(趙在三)이 지은 송남잡지(松南雜識)에 전한다. 『고금석림』에 의하면 “고려의 왕이 동천(東遷)하였을 때 목어를 드신 뒤 맛이 있다 하여…
도루묵은 맛없는 생선의 대명사쯤 된다. 오죽했으면 도루묵이라는 이름까지 얻었을까? 맛이 없으니 “도로 묵이라고 하라”며 까탈을 부린 주인공은 임진왜란 때의 선조로 알려져 있는데 알고 보면 선조나 도루묵 모두 억울하기 짝이 없다. “임진왜란이 일어나…
도루묵은 맛없는 생선의 대명사쯤 된다. 오죽했으면 도루묵이라는 이름까지 얻었을까? 맛이 없으니 “도로 묵이라고 하라”며 까탈을 부린 주인공은 임진왜란 때의 선조로 알려져 있는데 알고 보면 선조나 도루묵 모두 억울하기 짝이 없다. “임진왜란이 일어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