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순(孫順)은 모량리(牟梁里) 사람으로 그의 아버지는 학산(鶴山)이라 하였다. 아버지가 죽으매 아내와 더불어 남의 집에 품을 팔아 곡식을 얻어 늙으신 어머니를 봉양하였다. 어머니의 이름은 운오(運烏)라 하였다.
손순에게 어린아이가 있어 매양 노모의 음식을 빼앗아 먹으므로 손순이 이를 민망히 여기어 그의 아내에게 말하였다. "아이는 다시 얻을 수 있으나 어머니는 다시 얻기 어렵소. 아이가 어머니의 음식을 빼앗아 먹으니 어머니의 굶주림이 심하오. 차라리 이 아이를 묻어 버리고 어머님이 배부르시게 하는 것이 좋겠소."
그리고 아이를 업고 취산(醉山) 북쪽 교외에 가서 땅을 파다가 홀연 기이한 석종(石鐘)을 얻었다. 부부가 놀라고 이상히 여겨 잠깐 나무 위에 걸고 두드려 보았더니 그 소리가 은은하여 퍽이나 사랑스러웠다. 이에 부부는 아이의 복이라 생각하고 아이를 업고 종을 가지고 다시 집으로 돌아왔다.
부부는 종을 들보에 달고 두드리니 그 소리가 대궐에까지 들리었다. 흥덕왕(興德王)이 그 종소리를 듣고 좌우에 이르기를 서쪽 교외에 이상한 종소리가 나는데 맑고 원대함이 보통 것과는 다르니 속히 알아 보라 하였다. 왕의 사자가 그 집에 와서 이를 조사하고 사실을 자세히 아뢰니, 왕이
"옛날 중국의 곽거(郭巨-손순과 같이 하다가 금솥을 얻은 중국 사람)가 아들을 파묻으매 하늘이 황금솥을 내리었소. 지금 손순이 아이를 묻으매 땅이 석종을 솟아냈으니 곽거와 손순의 일을 천지에 같은 본보기가 되겠구나."
하고는 집 한 채를 주고 해마다 메벼 오십 석을 주어 지극한 효성을 숭상하게 하였다.
순이 옛집을 희사하여 절을 삼아 홍효사(弘孝寺)라 하고 석종을 안치하였다. 진성왕대에 백제의 도적이 그 마을에 쳐들어와 종은 없어지고 절만이 남아 있다. 그 종을 얻은 땅을 완호평이라고 하나 지금은 와전되어 지량평이라고 한다.
손순(孫順)은 모량리(牟梁里) 사람으로서 아버지는 학산(鶴山)이라 했다. 그의 아버지가 세상을 떠나자, 그는 아내와 함께 남의 집에 품을 팔아 곡식을 얻어다가 늙은 어머니를 봉양했는데, 어머니는 이름을 운오(運烏)라 했다. 손순에게는 어린 아이가 있어, 언제나 어머니의 음식을 빼앗아 먹으므로 손순은 이를 민망히 여겨 그 아내에게 의논하기를, "아이는 다시 얻을 수 있지만 어머니는 다시 얻기 어렵소. 이제 아이가 저렇게 어머니 음식을 빼앗아 먹으니 어머니의 굶주림이 얼마나 심하겠소? 차라리 이 아이를 땅에 묻어 버려서 어머니를 배부르게 해 드리는 것이 좋겠소." 했다.
이에 아이를 업고 취산(醉山) 북쪽 들로 가서 땅을 파니, 거기에서 갑자기 기이한 석종(石鐘)이 나왔다. 그들 내외는 놀라고 이상히 여겨 잠시 나무 위에 걸고 그 종을 쳐보았더니 그 소리가 은은하고 고왔다. 아내가 말하기를, "이 이상한 물건을 얻은 것은 아이의 복인 것 같으니 도로 데리고 갑시다." 하니, 남편도 역시 그렇게 생각하여 아이를 업고 종을 가지고 집으로 돌아와, 종을 들보에 달고 두드리니 그 소리가 대궐에까지 들렸다.
흥덕왕(興德王)이 그 종소리를 듣고 좌우에게 말하기를, "서쪽 교외에서 이상한 종소리가 나는데 더없이 맑고 멀리 들리니 속히 조사해 보라." 했다. 왕의 사자(使者)가 그 집에 가서 조사해 보고 사실을 자세히 아뢰니, 왕은 "옛날 곽거(郭巨―손순과 같이 하다가 금솥을 얻은 중국 사람)가 아들을 파묻을 때 하늘이 금솥을 내렸다더니, 지금 손순이 아이를 묻으려 하자 땅에서 석종이 솟아났으니, 이 두 효도는 천지에 똑같은 본보기로다." 하고, 집 한 채와 해마다 곡식 50석을 주어 그 지극한 효성을 숭상했다. - '삼국유사' 권5, '손순매아(孫順埋兒)'
내용 연구
손순의 아내에게 보내는 편지의 형식을 취한다.
손순의 행동을 옹호하거나 비판하는 입장 중 하나를 택한다.
지도 방법 :
이 활동은 효(孝)의 의미와 가치를 내면화하기 위한 활동이다. 옛 사람들의 윤리 의식을 정리해 보고 그것을 현대적 관점에서 비판해 본다든지, 옛 사람들의 가치관을 충분히 수용하는 입장에서 그것을 옹호하는 글을 써 봄으로써 자기 생각을 효과적으로 정리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무엇보다도 논설문을 쓰는 것이 아니라 간단한 문학 작품을 쓰는 활동이라는 점에 유의하여 지도한다. 반드시 편지글의 형식을 따르도록 하고, 단순히 주장만 내세울 것이 아니라 그러한 주장을 하게 된 근거를 제시하도록 유도한다. 또 이 활동을 하기 위한 시간이 충분하지 못한 상황이라면 미리 과제를 주어 써 오게 하여 우수작을 발표하게 하는 방법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예시 답안 :
아주머니. 안녕하세요?
요즘 우리 학교 교정에는 라일락 향기가 넘쳐서 봄기운이 무르익고 있어요. 아주머니가 계신 곳은 어떤가요?
학교에서 문학 시간에 손순 아저씨와 아주머니에 관한 이야기를 읽었어요. 설화 속 등장 인물에게 편지를 쓴다는 게 조금 어색하기는 하네요. 그렇지만 어디선가 아주머니가 이 편지를 읽을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저는 물론 아주머니의 마음을 다 이해할 수는 없어요. 자식을 키워 본 경험이 없으니까요. 아이를 땅에 묻어 버려야 되겠다고 아저씨가 말했을 때 얼마나 놀라셨나요? 물론 처음에 아주머니는 당연히 반대를 하셨겠지요. 그렇지만 아저씨가 어쩔 수 없는 결정이라는 점을 눈물을 흘려 가며 거듭 말했을 때 결국 남편의 말을 따르기로 결심하셨겠지요.
누구든 아저씨나 아주머니를 욕하기는 쉬울 거예요. 그렇지만 아이를 땅에 묻어 버리기로 결심하기까지 얼마나 가슴 아픈 고민을 많이 하셨겠지요. 하나를 보면 열을 알 수 있다고 했잖아요? 어머니에 대한 효성이 그토록 지극하신 아저씨가 다른 일은 대충대충 하리라고는 생각하지 않습니다. 더구나 사랑스런 철부지 아이를 그저 쉽게 버리기로 결심했으리라고는 절대로 생각하지 않아요. 여러 가지 가능성을 다 생각해 보고 어쩔 수 없는 선택을 하신 거라고 생각합니다.
요즘 우리 사회에도 간혹 생활고를 비관해서 동반 자살하는 일가족 이야기가 신문에 실릴 때가 있어요. 어린아이들까지 같이 죽이는 것이지요. 그 아이들이 무슨 죄가 있다고 죽이나 하는 생각도 들지만, 오죽하면 아이들을 같이 데리고 갈까 하는 생각도 해 봅니다. 만약 제가 그런 상황에 처하게 된다면 어떤 결정을 내리게 될까요? 어떤 결정이든 결코 쉽게 내릴 수 없는 일이겠지요.
처음 뵙는 분에게 너무 슬픈 이야기만 드렸군요. 다음에는 서로 즐거운 이야기도 나누게 되었으면 좋겠어요. 항상 건강하시고 행복하시기를 빌며 이만 줄입니다. 안녕히 계세요.(출처 : 김윤식 외 4인 공저 문학교과서 지도서)
이해와 감상
이 설화는 손순(孫順)의 효도를 찬양하기 위한 것이다. 자식에 대한 애정을 뛰어넘는 부모에 대한 효지상주의(孝至上主義) 가치관이 지배하는 교훈적 성격의 설화이다.
일반적으로 인신 공희(人身供犧) 효행 설화의 일반적 구조는 '정성을 다해 부모 봉양 - 모든 희생 감수 - 기적이 일어남 - 행복한 결말'을 갖는데 이 설화에서도 이에 속한다.
사실 손순(孫順)으로서는 어머니와 자식 사이에서 몹시도 갈등하고 고민이 깊었을 것이다. 아이를 묻을 것을 결심하면서 갈등을 일단락이 되지만, 이는 효를 가장 중시하였기 때문에 가능하였을 것이다.
이 설화는 손순의 효행을 불교 신앙으로까지 확산시키고 있다. 가난했던 옛집에 석종을 안치함으로써 세속적 공간인 옛집이 신성한 공간으로 변모한 것이다. 이것은 효를 신성한 불교적 행위의 하나로 승화시키려는 의도이며 홍효사(弘孝寺)라는 사찰의 이름 역시 효의 확산을 염두에 둔 이름이다.
이와 유사한 설화로는 "곽거 매자(郭巨埋子)", "효녀 지은(孝女知恩)" 등이 있다.
심화 자료
손순매아설화(孫順埋兒說話)
가난한 아들이 부모를 봉양하기 위해 자신의 자식을 파 묻으려다가 석종(石鐘)을 얻어 부모에게 효도한 내용의 설화. 희생효행형(犧牲孝行型)의 설화로 전국적으로 분포되어 있으며, 문헌설화로도 많이 전한다. ≪삼국유사≫ 권5 효선편(孝善篇) 손순매아조에 전하는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손순은 아버지가 돌아가신 뒤 품팔이로 어머니를 봉양하였다. 아들이 어머니의 밥을 빼앗아 먹으므로, 부부가 의논하여 자식을 파 묻기로 결정했다. 아이를 묻기 위해 취산(醉山) 북쪽으로 데리고 가서 땅을 파니 석종이 나왔다.
부부가 놀라고 이상하게 여겨 시험삼아 그 종을 쳐 보니 아름다운 소리가 났다. 처가 이상한 물건을 얻은 것은 아이의 복이니 아이를 묻지 말자고 하여 그냥 되돌아왔다.
종을 대들보에 달고 치니 그 소리가 대궐에까지 들렸다. 왕이 이 아름다운 종소리의 근원을 알아 오게 하자 사자가 그 집에 와서 살펴보고 사실대로 고했다. 왕은 부부의 효행을 가상히 여기고 집과 식량을 주었다.
손순은 자신의 묵은 집을 절을 짓는 데에 기부하여
홍효사(弘孝寺)라 하였고, 석종을 그 절에 안치했다. 뒤에 백제의 도둑이 들어와 그 종은 없어지고 절만 남았다. 석종이 발견된 곳은 완호평(完乎坪)이다.
희생효설화는 희생 대상에 따라 자기희생
·자식희생·아내희생으로 3분된다. 손순의 설화는 자식희생에 해당되는데, 이러한 자식의 희생은 조부모와 손자 사이에 있는 자식의 갈등이 주제가 되어 기본적인 몇 개의 모티프와 삽화 내에서 변이를 일으킨다.
이를테면 이 작품은 득아봉친(得兒奉親) 모티프와 활아득보(活兒得寶) 모티프 둘로 구성되었는데, 후자에서 변이가 다양하게 나타난다. 득보(得寶)의 물건은 석종·북·식기·솥·황금 등으로 대상이 달라지며, 이런 변이의 상징적 의미도 역시 달라진다. 이러한 자식희생형 이야기는 3대에 걸쳐 전개되므로 내용이 감동적이고 보상도 신조(神助)와 기적이 있어서 신비롭다.
같은 자식희생설화라 할지라도 부모가 손자를 실수로 죽게 한 것을 용납하는 그런 희생설화와는 달리 부모를 봉양하기 위해 자기 자식을 직접 희생시키려 하는 행동은 현실성이 의심되는 바 없지 않으며 윤리성도 문제가 되지만, 부모를 위한 가장 귀한 것의 희생이라는 점은 더욱 감동적이다.
≪참고문헌≫ 三國遺事, 全北民譚(崔來沃, 螢雪出版社, 1978), 慶北民譚(金光淳, 螢雪出版社, 1978), 충남의 전설(韓相壽, 韓一出版社, 1979), 韓國口碑文學大系(韓國精神文化硏究院, 1980∼1988), 韓國口碑傳說의 硏究(崔來沃, 一潮閣, 1981).(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자료출처: http://www.seelotu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