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래
가물치
가지
간재미
갈근
갈치
감자
감태
감초
감홍로주
강활
강황
게장
고구마
고등어
고본
고사리
고슴도치
고추
고추장
곤쟁이
골풀
곰취
곱돌
과루인
곶감
과메기
곽향
광어
구기자
구리
국수
국화차
굴비
금불초
기장
김치
꼬막
꼴뚜기
꽃게
꿀풀
나물
나전칠기
낙죽장도
낙지
냉이
노루
녹두
녹용
녹차
농어
뇌록
누치
느룹나무
느타리버섯
다시마
다람쥐
다래
다슬기
닥나무
단감
단목
달래
담비
담쟁이
당귀
대게
대구
대나무
대발
대추
더덕
더덕주
도라지
도루묵
도마뱀
도미
도자기
돈육
돈차
돌미역
돔배기
동래파전
동백기름
동충하초
돚자리
돼지
된장
두꺼비
두릅
두충
딸기
들기름
마늘
마뿌리
만화석
막걸리
망둥어
매생이
매실
맥문동
맨드라미
머루
머루주
메밀차
멸치
명란젓
명설차
명태
모과
모란
모래무지
모시
모자
목기
목화
무명
무우
문배주
문어
미나리
미역
민속주
민어
밀랍
박하
방풍
백랍
백련잎차
백렴
백미
백반
백부자
백조어
백하수오
백합
밴댕이
뱅어
벼루
병어
법주
보골지
보리
복령
복분자
복숭아
복어
부들
부자
부채
부추
붉나무
붕어
비빔밥
비자
뽕나무
사과
사슴
산나물
산삼
삼림욕
산수유
살구
삼릉
삼배
삼치
상합
상황버섯
새우
새우젓
생강
석결명
석곡
석류
석영
석이버섯
석청
석창포
소금
소라
소주
속새
송어
송이버섯
송화가루
수달
수박
수정
숙주
순채
숭어
승검초
식해
안동포
안식향
앵두
야콘
야콘잎차
약쑥
양귀비
어란
어리굴젓
어육장
엄나무
연밥
연어
연엽주
열목어
염전
엽삭젓
오가피
오미자
오곡
오골계
오정주
오죽
오징어
옥돔
옥로주
옹기
옻칠
왕골
용문석
우무
우황
울금
웅어
위어
유기
유자
유자차
유황
육포
은어
은행
이강주
이스라지
익모초
인삼
인삼주
잉어
자단향
자두
자라
자라돔
자연동
자하젓
작설차
작약
장군풀
장아찌
전모
전복
전어
전어젓
전통주
젓갈
젓새우
정어리
조개
조기
조홍시
좁쌀
종어
종이
주꾸미
죽렴장
죽로차
죽순
죽순채
죽염멸치
죽엽청주
죽피
죽합
준치
중국차
지라돔
지치
질경이
찐빵
참가사리
참게
참기름
참죽나물
참외
찹쌀
창출
천궁
천남성
천문동
청각
청국장
청란석
청목향
청자
초콜릿
초피나무
초하주
추성주
취나물
치자
칠선주
콩잎
토마토
토끼
토사자
토주
토파즈
토하젓
파전
패랭이
편두
포도
포도주
표고버섯
표범
하늘타리
학슬
한과
한라봉
한우
한지
해구신
해달
해삼
해파리
해홍나물
향나무
호도
호로파
호두
홍삼
홍삼절편
홍시
홍어
홍주
홍합
화개차
화문석
황기
황률
황벽나무
황어
황옥
황진이주
황태
회양목
후박
후추
흑돼지
흑염소
흑한우
로그인 l 회원가입

ad12fdc46fa9f16a0b37e026839213fa_1453517856_616.jpg
 
 
 
 
 
매화가 흐드러지게 피는 날이 오면
15-05-10 16:39

우리 문화유산에 대한 이야기를 이것저것 알차게 전할 수 있으리라 생각했었습니다. 봄바람 살랑 불어오기 시작한 푸른 하늘을 올려다보며 두 손 불끈 움켜쥐고, 전보다 사뭇 다른 특별한 기사를 쓸 수 있으리라 제 자신을 믿어 의심치 않았지요! … 하지만 지금 제 머릿속을 둥둥 떠다니는 이런저런 단어들을 모아보니, 과연 잘 쓸 수 있을까 사알짝 걱정이 되기도 하는데요.
    그래도 당차게 시작해보려합니다! 
   김민지 기자가 쓰는 우리 문화유산 이야기!
   '마음가는 대로 모아모아' 맑게 전하는, 밝은 이야기를 읽어주시겠어요?
 
매화가 흐드러지게 피는 날이 오면
    봄 기운을 느낀 지 채 안 되어 다가온 꽃샘추위와 때 아닌 폭설 때문에, 도대체 봄은 언제 오는 건지 마냥 궁금해지는 요즘. 이와중에도 꿋꿋이 꽃망울을 터뜨리기 시작한 봄꽃들이 있어 그래도 봄은 봄이구나, 싶은 마음이 들기도 합니다.
   누구 먼저 다툴 필요 없이 자연의 순리대로 서서히 모습을 드러내기 시작한 각종 꽃과 나무들은 우리나라 남쪽 지방부터 꽃내음을 풍기며, 우리들로 하여금 봄나들이를 나서도록 재촉해오는데요.  
 
   그 중 '선봉장'의 역할을 톡톡히 하는 대표적인 봄꽃이 있습니다.
   봄이 오면 가장 먼저 꽃을 피우는 나무, 바로 '매화'입니다. 심지어, 늦겨울 눈이 내리는 와중에도 꽃을 피워낼 정도로 아주 부지런하게 봄을 맞이하는데요. 섣달부터 봄의 시작을 알리기 위하여 피어난 매화를 보고, 조선 초기의 문신인 강희맹(姜希孟, 1424~1483)은 다음과 같이 읊었습니다.
  
643784.jpg
 
南枝上寒白 得雪更精神
賴有淸香動 始知天地春
 
남쪽 가지의 싸늘한 흰 꽃
눈을 얻어 더욱 정신이 드네.
너의 그 맑은 향기로 해서
천지의 봄을 깨달았나니-
 
※ 손종섭, 《내 가슴에 매화 한 그루 심어놓고》, 학고재, 2001
  
   매화와 관련된 문장과 그림들을 고르는 데 있어서는 그 종류가 무지 많아, 어느 것을 보아야 좋을 지 고민일 정도로 우리 선조들은 매화를 참 많이 아꼈는데요. 이는 문장과 그림 뿐만 아니라 각종 생활 도구의 무늬, 건축의 무늬, 매듭의 종류, 또 고목이 된 매화나무 그 자체 등 … 선조들의 '매화 사랑'은 다양한 종류의 문화유산으로 우리 곁에 많이 남아있습니다.
 
   그래서 봄을 맞이 한 이번 기사의 주제는, 매화 사랑의 역사와 함께 매화가 아름답게 피어있는 우리 문화유산들, 그 중에서도 유물에서 '마음가는 대로 모아모아' 보려고 합니다. 
   우선, 한 땀 한 땀 정성을 들여 놓은 매화 자수를 살펴보겠습니다! 
  
   원래는 총 4폭으로 구성이 되어있는 자수 병풍입니다. 그 중에서 매화를 표현하고 있는 두 부분만을 모아 보았는데요. 고려시대의 자수 병풍으로 알려져 있으며, 조선시대의 일반적인 8~12폭의 병풍과는 사뭇 다른 모습을 보여 독특합니다.
   자수사계절을 의미하는 각각의 분경(盆景 : 한가운데 돌 · 모래 따위로 산수의 경치를 꾸미어 놓은 화분)을 그렸다 하여 '자수사계분경도(刺繡四季盆景圖)'라고 하며, 현존하는 자수품 중 가장 오래되었고, 유일한 4첩 병풍이기에 보물 제653호로 지정되었습니다.
   실제 분경을 직접 보고 그린 정물화라기 보다는, 상상해서 표현한 장식적인 자수로 볼 수 있는데요. 위 사진 속, 첫 번째 폭은 '소나무와 매화'로 겨울을 상징하고, 두 번째 폭은 '매화와 난'으로 봄을 상징합니다. (그 외 '연꽃이 그려져있는 폭'은 여름, '포도가 그려져있는 폭'은 가을입니다.)
   수의 기법은 우리나라 고유의 자수 기법이자, 꽃잎이나 나뭇잎 등의 넓은 면적을 뜨는 데 효과적인 '자련수'를 이용하였으며, 그렇기에 전체적으로 당대 중국(송)의 '분경도자수병풍(盆景圖刺繡屛風)'에 비하여 한국적인 색채가 강하게 드러난다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위 사진 상으로 정확히 보이지 않으나 사찰을 상징하는 만(卍)자가 수놓여 있어, 고려시대의 대표적인 종교이자 사상이었던 불교의 영향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 잠깐, 우리 선조들이 매화를 향유하기 시작한 그 역사상징성에 대하여 간단하게 이야기하겠습니다.
  
   우리 역사 속에서 매화는 언제 첫 모습을 보이고 있을까요?
   문헌적 사료로는 《삼국사기》<고구려본기> 대무신왕(大武神王, 18~44) 24년에 '8월, 매화꽃이 피다(八月 梅花發)'라는 기록이 최초입니다. … 그런데 가만히 생각해보니, 살짝 이상한 느낌이 듭니다. 앞서, '봄꽃의 상징, 매화!'라고 강조를 하였는데, 무려 초가을인 음력 8월이라니요! 분명 기묘한 일이 아닐 수 없습니다. 아마, 이 당시의 기록은 이렇듯 신비한 일이 일어난 것을 발견하고, 일종의 자연재해 개념으로 적어놓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본격적으로 우리 선조들이 매화를 아끼어 향유하기 시작한 것은 언제일까요?
   앞서, '자수사계분경도'라는 고려시대의 유물을 보여드렸듯이, 지금 현재 남아있는 문화유산으로는 고려시대부터 매화를 쓰고, 그리고, 즐기기 시작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특히 매화는 '꽃으로서의 아름다움'을 뛰어넘어, 유교적 사상에 빗대어 표현하기에 탁월한 식물이었기에 더욱 사랑받을 수 있었는데요. 일단, 매화는 매우 부지런한 식물입니다. 이는 '근면'을 상징하지요. 또한, 추운 겨울에도 꽃을 피워내기에 '군자의 절개와 지조'를 상징하기도 합니다. 이를 토대로 매화는 사군자(四君子, 동양화에서, 매화 · 난초 · 국화 · 대나무를 그린 그림, 또는 그 소재)의 일원이기도 하지요. 그리고 매화의 '청한고결(淸閑高潔, 맑고 깨끗하며 한가하며, 성품이 고상하고 순결함) 정신'은 옛 선조들이 닮고 싶어하였고, 지극히 사랑하였던 최고의 매력이었습니다. 이 뿐이었을까요? 옛 선조들은 매화 뿐만 아니라, 매화나무의 씨와 열매인 매실을 통하여 '풍요''다산'의 상징을 부여하기도 하였습니다.
   이렇듯, 매화나무는 우리 선조들에게 (너무 이쁨을 받아 사알짝 질투가 날 정도로-) 두루두루 오래오래 사랑받아 온 식물입니다. 
   자, 다음은 우리 문화유산 중 그림을 한 점 보실까요?
   매화 그림이 본격적으로 그려진 것은 조선시대 중기부터입니다. 조선 중기는 문인 취향의 사의화(寫意畵 : 묘사 대상의 생긴 모습을 창작가의 의도에 따라 느낌을 강조하여 그린 그림)를 많이 그렸고, 조선 말기에는 기존 매화의 유교적 상징성 외에 장식성이 추가되어 화려하고 복잡한 구도의 매화도가 많이 그려졌습니다. 
 
   우리는 그 중 조선 말기의 매화 그림을 감상합시다!
  
   이번에도 병풍이네요. 보물 제1199호로 지정된, '혜산유숙필매화도(蕙山劉淑筆梅花圖)'입니다.
   조선 후기의 화가인 혜산 유숙(蕙山 劉淑, 1827∼1873)이 그린 홍매화나무가 병풍에 나타나 있는데요. 가로 378㎝, 세로 112㎝의 매우 커다란 작품이며, 여덟 폭이나 되는 큰 화면 전체에 매화나무 가지를 능숙하게 늘어뜨려 그려내었습니다.
   혜산 유숙은 조선시대 그림을 담당하는 관청인 '도화서(圖畵署)'의 화원으로 인물화, 풍속화, 산수화에 뛰어났으며, 철종과 고종의 어진 제작에도 참여하였었다 합니다. 이렇게 뛰어난 그림 실력을 가진 혜산 유숙의 작품 중 매화를 그린 것은 이것이 유일한데요. 이 그림의 왼쪽 아래쪽에 있는 자필 찬문을 통하여 고종 5년(1868)에 그렸음을 알 수 있기에, 조선시대 회화사 연구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는 작품입니다.  
    이번에는 도자기를 살펴봅시다!
 
   이 도자기의 이름은 '청자상감매조죽문매병(靑磁象嵌梅鳥竹文梅甁)'입니다. 고려시대에 만들어진 청자이며, 상감기법을 사용하여 매화, 새, 대나무 무늬를 그려넣은 매병이지요. 높이는 38.9㎝ 정도라고 하니, 얼추 사람 팔 길이의 반 정도 입니다. 가늠이 가시나요? 이는 매병 중 크기가 큰 편에 속하는 거라 합니다.
   보물 제903호로 지정된 이 도자기는 아름다운 담청록의 맑은 빛깔이 투명하게 드리워져있으며, 회화적인 상감무늬가 청자의 색과 잘 어울리는 작품이지요.
 
   그런데 우리나라 전통 무늬나 전통 회화를 보면, '청자상감매조죽문매병'처럼 매화와 대나무가 함께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이는 세 가지 정도의 이유를 들어 유추할 수 있는데요.
   먼저, 매화와 대나무는 사군자의 일원입니다. 더군다나, 겨울을 상징하는 대나무와 봄을 상징하는 매화이듯이, 계절이 서로 붙어있었기에 함께 어우러질 수 있었지요. 또 다른 이유로는 세한삼우(歲寒三友 : 추운 겨울철의 세 벗, 추위에 잘 견디는 소나무 · 대나무 · 매화나무를 통틀어 이르는 말)라는 동양화의 화제(畵題) 때문이기도 합니다. 마지막 이유는 간혹 매화와 대나무는 부부의 상징물이기도 하였다고 합니다.
   이런 여러 가지 이유를 바탕으로 함께 그려짐으로서, 그윽한 정취와 충절의 상징성이 더욱 강조되었답니다.
 
   지금까지 '유물'에서 살펴 본 매화들이었는데요.
   웬지 모르게 사알짝 아쉬운 느낌이 들기도 합니다.  …
 
  그렇다면 해결방법은?
  이제 우리가 직접 매화를 느낄 차례겠지요!
 
  우리나라의 중부지방은 매화가 이제 막 피기 시작했습니다. 유명한 '광양매화문화축제' 등을 아쉽게 놓치신 분들은, 아직도 매화를 즐기기에 늦지 않았으니 이제부터라도 매화를 직접 만나러 가보시는 것은 어떨까요?
   특히, 4월이면 우리 궁궐의 매화가 아름답게 피어날 예정이니 봄나들이와 함께 문화유산 답사도 더불어 할 수 있다면 더할 나위 없이 좋겠지요! 그 중 창덕궁에서는 지금 현재 '낙선재 매화밭 사진콘테스트' 열고 있으니, 참여해보시는 것도 좋은 추억이 될 것입니다. 




                                                         溫溫人似玉 藹藹花如雪
相看兩不言 照以靑天月
 
사람은 옥인 양 다사로웁고
꽃은 눈인 양 평화로워라!
서로 바라봄에 한 마디 말이 없고
푸른 하늘 달이 비추고 있다.
 
※ 손종섭, 《내 가슴에 매화 한 그루 심어놓고》, 학고재, 2001
  
   조선시대 세종 때의 문신이었던 성삼문(成三問, 1418~1456)은 매화를 바라보고는 위와 같은 문장을 남겼습니다. 자연과 인간 사이의 정신적인 교류, 그리고 이를 통하여 굳은 의지를 되새기는 성삼문의 마음가짐을 엿볼 수 있는데요.
 
   여러분들께서도 매화가 흐드러지게 피는 날이 오면,
   오랜 세월동안 우리 선조들이 꽃 중의 으뜸이라 칭하였고, 또 그 마음을 닮고자 노력하였던 매화의 고결한 정신을 느끼며- 어느덧 성큼 다가온 봄을 마음껏 누리시길 바랍니다.   제2기 문화재청 대학생 블로그기자단 김민지 기자  
 
   
                                             크기변환_13333.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