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래
가물치
가지
간재미
갈근
갈치
감자
감태
감초
감홍로주
강활
강황
게장
고구마
고등어
고본
고사리
고슴도치
고추
고추장
곤쟁이
골풀
곰취
곱돌
과루인
곶감
과메기
곽향
광어
구기자
구리
국수
국화차
굴비
금불초
기장
김치
꼬막
꼴뚜기
꽃게
꿀풀
나물
나전칠기
낙죽장도
낙지
냉이
노루
녹두
녹용
녹차
농어
뇌록
누치
느룹나무
느타리버섯
다시마
다람쥐
다래
다슬기
닥나무
단감
단목
달래
담비
담쟁이
당귀
대게
대구
대나무
대발
대추
더덕
더덕주
도라지
도루묵
도마뱀
도미
도자기
돈육
돈차
돌미역
돔배기
동래파전
동백기름
동충하초
돚자리
돼지
된장
두꺼비
두릅
두충
딸기
들기름
마늘
마뿌리
만화석
막걸리
망둥어
매생이
매실
맥문동
맨드라미
머루
머루주
메밀차
멸치
명란젓
명설차
명태
모과
모란
모래무지
모시
모자
목기
목화
무명
무우
문배주
문어
미나리
미역
민속주
민어
밀랍
박하
방풍
백랍
백련잎차
백렴
백미
백반
백부자
백조어
백하수오
백합
밴댕이
뱅어
벼루
병어
법주
보골지
보리
복령
복분자
복숭아
복어
부들
부자
부채
부추
붉나무
붕어
비빔밥
비자
뽕나무
사과
사슴
산나물
산삼
삼림욕
산수유
살구
삼릉
삼배
삼치
상합
상황버섯
새우
새우젓
생강
석결명
석곡
석류
석영
석이버섯
석청
석창포
소금
소라
소주
속새
송어
송이버섯
송화가루
수달
수박
수정
숙주
순채
숭어
승검초
식해
안동포
안식향
앵두
야콘
야콘잎차
약쑥
양귀비
어란
어리굴젓
어육장
엄나무
연밥
연어
연엽주
열목어
염전
엽삭젓
오가피
오미자
오곡
오골계
오정주
오죽
오징어
옥돔
옥로주
옹기
옻칠
왕골
용문석
우무
우황
울금
웅어
위어
유기
유자
유자차
유황
육포
은어
은행
이강주
이스라지
익모초
인삼
인삼주
잉어
자단향
자두
자라
자라돔
자연동
자하젓
작설차
작약
장군풀
장아찌
전모
전복
전어
전어젓
전통주
젓갈
젓새우
정어리
조개
조기
조홍시
좁쌀
종어
종이
주꾸미
죽렴장
죽로차
죽순
죽순채
죽염멸치
죽엽청주
죽피
죽합
준치
중국차
지라돔
지치
질경이
찐빵
참가사리
참게
참기름
참죽나물
참외
찹쌀
창출
천궁
천남성
천문동
청각
청국장
청란석
청목향
청자
초콜릿
초피나무
초하주
추성주
취나물
치자
칠선주
콩잎
토마토
토끼
토사자
토주
토파즈
토하젓
파전
패랭이
편두
포도
포도주
표고버섯
표범
하늘타리
학슬
한과
한라봉
한우
한지
해구신
해달
해삼
해파리
해홍나물
향나무
호도
호로파
호두
홍삼
홍삼절편
홍시
홍어
홍주
홍합
화개차
화문석
황기
황률
황벽나무
황어
황옥
황진이주
황태
회양목
후박
후추
흑돼지
흑염소
흑한우
로그인 l 회원가입

e8ccf7afdd6c52258b6fbe6c00a9fd6a_1443601259_4273.jpg
 
 작옹(雀甕), 노랑쐐기나방 번데기,노랑쐐기나방고치; 모랄자(毛瘌子), 양랄자(楊瘌子), 점사방, 천장자(天漿子)
 

작옹(雀甕)은 노랑쐐기나방의 번대기를 말하며 번데기는 타원형이고 몸길이 약 13 mm이며 백색 또는 갈색이다. 고치는 단단하며 나뭇가지에 붙어 있고, 길이 약 11 mm로 백색 바탕에 흑갈색 얼룩무늬가 있다. 유충은 감나무 ·배나무 ·사과나무 ·자두나무 ·밤나무 ·석류나무 등의 잎을 갉아먹으며, 독이 있는 센털이 있어 피부에 닿으면 부어오르고 며칠 동안 고통을 느낀다. 성충은 6~8월에 나타난다. 한국 ·일본 ·타이완 ·중국 ·북아메리카 등지에 분포하며 약으로 쓴다. 노랑쐐기나방의 성충은 몸길이 약 16 mm이고 날개길이 28∼35 mm이다. 날개는 황색으로 앞날개의 바깥쪽 절반은 갈색이며, 앞날개의 끝모서리에서 뒷가두리의 가운데로 향하여 회갈색의 빗줄 2개가 있다. 알은 길이 약 1 mm로 납작한 타원형이고 담갈색이다. 다 자란 유충은 몸길이 약 25 mm이고 통통하며 황록색으로 머리는 작고 앞가슴 아래에 숨겨져 있다. 앞가슴 등쪽에 한 쌍의 검은 점이 있고 가운뎃가슴에서 배에 걸쳐 갈색 얼룩무늬가 있으며 그 사이는 푸른 줄로 나누어져 있다. 배의 옆쪽에 두 줄의 푸른 줄이 있다. 가운뎃가슴 뒤쪽의 각 마디에 잔털이 많이 있는 육질돌기가 4쌍씩 있다.
노랑쐐기나방은 날개가 고운 노란색이고 날개 끝자락은 연한 밤색이다. 밤에만 움직이고 불빛에 잘 모여든다. 노랑쐐기나방 애벌레를 ‘쇄기’라고 한다. 쇄기 몸에는 날카로운 가시 같은 털이 나있다. 털에는 독이 있어서 찔리면 저릿하다.
쐐기는 한여름에 산에서 나뭇잎을 갉아먹고 산다. 상수리나무, 감나무, 배나무, 매실나무, 앵두남, 밤나무, 사과나무, 살구나무, 복숭아나무, 양벚나무, 자두나무, 대추나무, 뽕나무 잎을 갉아먹는다. 커 갈수록 먹성이 좋아져서 잎맥만 남기고 다 갉아먹는다. 6∼7월에 애벌레가 가장 많아서 이때 피해가 가장 크다. 다 자란 애벌레는 나뭇가지에 새알처럼 생긴 고치를 만들고 그속에서 겨울잠을 잔다. 쇄기를 줄이려면 겨울철에 나뭇가지에 붙어있는 고치를 따서 불태우거나 가을철에 애벌레를 잡아준다.
알-애벌레-번데기-어른벌레의 한살이를 거치고 한 해에 한번 발생한다. 가지나 줄기에 고치를 짓고 애벌레와 번데기 중간 모습으로 그속에서 겨울잠을 잔다. 5월에 고치속에서 번데기가 되었다가 고치를 뚫고 나방이 나온다. 암컷은 짝짓기를 하고나서 잎 뒷면 끝에 알을 하나씩 낳는다. 한 마리가 100∼200개를 낳는다. 다 자란 애벌레는 초가을부터 거울잠을 잘 고치를 짓는다.
 
형태정보
성충의 더듬이는 실모양으로 약간 편평하며 황갈색이다. 날개는 노란 색깔로 앞날개 바깥부분은 붉은 갈색이고 가장자리에 검은 갈색 사선이 2개 있다. 날개 편 길이는 32~34mm 내외이다. 유충은 흰색이고, 몸길이가 24mm 정도이다. 머리는 엷은 갈색이고 몸의 앞뒤 부분에 어두운 보라색 무늬가 있다. 몸의 중앙부분과 옆부분은 녹색인데 몸 표면에는 독을 지닌 가시털이 있다. 고치는 계란형으로 회백색 바탕에 흑갈색의 세로줄무늬가 있다.

생태정보
1년에 1회 발생하며 애벌레로 고치 속에서 겨울나기를 한다. 5월에 번데기가 되고 6월에 어른벌레가 된다. 어른벌레는 밤에만 활동하며 주광성은 수컷이 강하고, 암컷은 약하다.
가해작물: 장미 등 화훼류, 감나무, 배나무 등 과수

진상품관련근거
작옹은 황해도(곡산, 서흥, 수안, 신계, 토산, 평산, 황주)에서 진상하였다는 기록이 여지도서에 기록되어있다.

작옹(雀甕) / 노랑쐐기나방
라틴명; Monema
약재의 효능
거풍정경(祛風定驚)  (풍(風)을 제거하고 경(驚)을 제거하는 효능임) 
청열해독(淸熱解毒)  (열독(熱毒) 병증을 열을 내리고 독을 없애는 방법으로 치료하는 것을 이르는 말임.) 
성미; 감(甘) , 평(平) 
주의사항 고치
약재사용처방
작옹(雀甕) /  만경풍(慢驚風) , 경간(驚癎) 
해낭독독일방(解狼毒毒一方) /  낭독독(狼毒毒) 

천장자(天漿子) / 노랑쐐기나방
라틴명; Monema
약재의 효능
거풍정경(祛風定驚)  (풍(風)을 제거하고 경(驚)을 제거하는 효능임) 
청열해독(淸熱解毒)  (열독(熱毒) 병증을 열을 내리고 독을 없애는 방법으로 치료하는 것을 이르는 말임.) 
성미; 감(甘) , 평(平) 
약재사용처방
삼미천장자산(三味天漿子散) /  만경풍(慢驚風) 
오감보동원(五疳保童元) /  오장감(五臟疳) 
태을산(太乙散) /  태경(胎驚)  (익생닷컴)
 
작옹(雀甕)
학명;Monema flavescens Walker
라틴명;Monemae Globulus Corpus
일반명;노랑쐐기나방
과명;쐐기나방과(Limacodidae)
약용부위;번데기
효능
산풍해독(散風解毒);풍사(風邪)를 흩뜨리고 해독하는 효능임
청열지경(淸熱止驚);열을 내림으로써 열로 인해 생긴 경기를 다스리는 효능임
출전: 동의보감(東醫寶鑑)(1613년) 
 
주치병증
소아경풍(小兒驚風)
소아에게서 자주 볼 수 있는 휵(搐), 철(掣), 전(顫), 익(搦), 반(反), 인(引), 찬(竄), 시(視) 등의 8가지 증후를 그 특징으로 하는 병증. 위 8가지 증후를 경풍8후(驚風八候)라 한다. 연령이 적을수록 다발(多發)하는데 5세 이하의 유아에게서 상견(常見)되며 7세 이상이 되면 점차 감소한다. 병정의 변화가 매우...
유아(乳蛾)
후핵(喉核; 구개편도)이 빨갛게 붓고 아픈 병증. [장씨의통(張氏醫通)] 제8권에서 "유아(乳鵝)와 전후풍(纏喉風)은 다른데, 목구멍 양쪽 옆이 붓는 것은 쌍아(雙鵝)이고, 한쪽 옆만 붓는 것은 단아(單鵝)이다.(乳鵝纏喉二種風不同, 腫于喉兩傍者雙鵝, 腫于一邊者, 爲單鵝)"라고 하였다.
유연(流涎)
입가에 침이 계속 흘러 내리는 병증. 대부분 비열(脾熱) 또는 비위허한(脾胃虛寒)으로 승강(升降) 기능이 상실되어 수섭(收攝)하지 못한 데서 발생된다. [장씨의통(張氏醫通)]에서 "무릇 비(脾)는 연(涎)을 주관(主管)하니 비(脾)가 허(虛)하면 기를 거두지 못하여 대부분 침을 흘리게 된다.(夫脾主涎, 脾虛則不能收攝, 多兼流涎....
전간(癲癎)
(1) 간질(癎疾). 간병(癎病), 풍현(風眩)이라고도 한다. 고대에는 전(癲), 간(癎)의 두 글자가 통용되었다. [제병원후론(諸病源候論)] 제45권에서 "10세 이상은 전(癲)이 되고, 10세 이하는 간(癎)이 된다.(十歲以上爲癲, 十歲以下爲癎)"라고 하였다. (2) 전증(癲證)과 간증(癎證)을 통틀어 일컫는 말. 전은 정...
제풍(諸風)
풍(風)이 병인인 모든 병. 상풍(傷風), 서풍(暑風), 풍온(風溫), 중풍(中風), 경풍(驚風) 등.
출전: 동의보감(東醫寶鑑)(1613년) 
이명; 양랄자(楊瘌子), 모랄자(毛瘌子), 천장자(天漿子)
성미; 감(甘), 미독(微毒), 평(平)
작용부위;심(心)
키워드; 작옹(雀甕); 노랑쐐기나방; 노랑쐐기나방고치; 모랄자(毛瘌子); 양랄자(楊瘌子); 점사방; 천장자(天漿子) (한국전통지식포털)

작옹(雀甕)--동의보감(東醫寶鑑) 
작용부위; 소아(小兒)
주치병증; 경간(驚癎) , 만경풍(慢驚風) 
효 능; 온보축한(溫補逐寒), 척담진경(滌痰鎭痙)
제제법; 백강잠(白{강}蠶), 전갈(全{갈}) 각3매(各3枚), 말(末)
용 법; 1회 1자, 마황전탕 복용
주의사항; 경간에는 즙을 취하여 먹이고, 촬구는 간병이 아니며 입술에 바름
출 전 동의보감(東醫寶鑑)
저 자;허준(許浚)
참고자료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
충부-81. 작옹(雀瓮, 天漿子, 蛅蟴房, 쐐기벌레집)−곤충❼
◯ 작옹은 성질이 평순하고, 맛은 달며, 독이 없다(性平․味甘․無毒(一云有毒)). 소아의 경간과 여러 가지 병을 다스린다(主小兒驚癎及諸疾).
◯ 일명 천장자라 하는 것이 바로 쐐기벌레집이다. 흔히 나뭇가지 위에서 살고, 생김새는 참새알 같다. 자주색과 흰색의 반점이 있고, 새끼는 집속에 있어, 마치 누에번데기가 고치속에 있는 것과 같다. 음력 8월에 채취하여 찐다(一名天漿子, 卽蛅蟴房也. 多在木枝上, 形如雀卵, 紫․白間斑. 其子在瓮中, 如蛹在繭, 取子用之. 八月採, 蒸之).
◯ 이 벌레는 누에와 비슷하나 짧고, 등에는 5가지 빛의 반점이 있다. 등에 있는 털로 사람을 쏘는데, 독이 있다. 늙으면 입으로 허연 물을 토하는데, 이것이 엉긴 것을 모아서 집을 만든다. 새끼는 그 집속에 들어가 있는데, 이것은 마치 고치속에 번데기가 있는 것 같다(其虫似蚕․而短, 背有五色斑, 背上毛螫人, 有毒. 欲老, 口吐白汁, 凝聚成瓮子, 在中, 如繭之有蛹).(본초)
◯ 소아의 경풍을 치료하는 효능이 아주 좋다(治小兒驚風最妙).(입문)
 
참고문헌
동의보감, 탕액편 권Ⅱ-2 충부-81. 두산백과, 국가농작물병해충관리시스템, 농촌진흥청,익생닷컴,한국전통지식포털, 양승엽의 물고기동의보감, 신농본초경
 
로고_임금님진상품_카페용150.jpg

   

                                            크기변환_13333.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