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래
가물치
가지
간재미
갈근
갈치
감자
감태
감초
감홍로주
강활
강황
게장
고구마
고등어
고본
고사리
고슴도치
고추
고추장
곤쟁이
골풀
곰취
곱돌
과루인
곶감
과메기
곽향
광어
구기자
구리
국수
국화차
굴비
금불초
기장
김치
꼬막
꼴뚜기
꽃게
꿀풀
나물
나전칠기
낙죽장도
낙지
냉이
노루
녹두
녹용
녹차
농어
뇌록
누치
느룹나무
느타리버섯
다시마
다람쥐
다래
다슬기
닥나무
단감
단목
달래
담비
담쟁이
당귀
대게
대구
대나무
대발
대추
더덕
더덕주
도라지
도루묵
도마뱀
도미
도자기
돈육
돈차
돌미역
돔배기
동래파전
동백기름
동충하초
돚자리
돼지
된장
두꺼비
두릅
두충
딸기
들기름
마늘
마뿌리
만화석
막걸리
망둥어
매생이
매실
맥문동
맨드라미
머루
머루주
메밀차
멸치
명란젓
명설차
명태
모과
모란
모래무지
모시
모자
목기
목화
무명
무우
문배주
문어
미나리
미역
민속주
민어
밀랍
박하
방풍
백랍
백련잎차
백렴
백미
백반
백부자
백조어
백하수오
백합
밴댕이
뱅어
벼루
병어
법주
보골지
보리
복령
복분자
복숭아
복어
부들
부자
부채
부추
붉나무
붕어
비빔밥
비자
뽕나무
사과
사슴
산나물
산삼
삼림욕
산수유
살구
삼릉
삼배
삼치
상합
상황버섯
새우
새우젓
생강
석결명
석곡
석류
석영
석이버섯
석청
석창포
소금
소라
소주
속새
송어
송이버섯
송화가루
수달
수박
수정
숙주
순채
숭어
승검초
식해
안동포
안식향
앵두
야콘
야콘잎차
약쑥
양귀비
어란
어리굴젓
어육장
엄나무
연밥
연어
연엽주
열목어
염전
엽삭젓
오가피
오미자
오곡
오골계
오정주
오죽
오징어
옥돔
옥로주
옹기
옻칠
왕골
용문석
우무
우황
울금
웅어
위어
유기
유자
유자차
유황
육포
은어
은행
이강주
이스라지
익모초
인삼
인삼주
잉어
자단향
자두
자라
자라돔
자연동
자하젓
작설차
작약
장군풀
장아찌
전모
전복
전어
전어젓
전통주
젓갈
젓새우
정어리
조개
조기
조홍시
좁쌀
종어
종이
주꾸미
죽렴장
죽로차
죽순
죽순채
죽염멸치
죽엽청주
죽피
죽합
준치
중국차
지라돔
지치
질경이
찐빵
참가사리
참게
참기름
참죽나물
참외
찹쌀
창출
천궁
천남성
천문동
청각
청국장
청란석
청목향
청자
초콜릿
초피나무
초하주
추성주
취나물
치자
칠선주
콩잎
토마토
토끼
토사자
토주
토파즈
토하젓
파전
패랭이
편두
포도
포도주
표고버섯
표범
하늘타리
학슬
한과
한라봉
한우
한지
해구신
해달
해삼
해파리
해홍나물
향나무
호도
호로파
호두
홍삼
홍삼절편
홍시
홍어
홍주
홍합
화개차
화문석
황기
황률
황벽나무
황어
황옥
황진이주
황태
회양목
후박
후추
흑돼지
흑염소
흑한우
로그인 l 회원가입

d1e6e5dd8f3a932740f0ca9e73e5feae_1522380410_399.jpg
 
 
 
 
구연산이란? 인체의 피로물질을 분해하여 배설하도록 촉진하고 혈액을 맑게 하며 혈액순환을 촉진한다.
20-05-26 10:35

구연산이란? 
구연산은 레몬이나 매실․귤 등의 과즙에서 추출되는데, 이 외에도 전분을 특수발효하여 만들기도 한
다. 백색 결정의 분말로서 신맛을 내며 냄새는 없는데, 겉모양은 마치 설탕과 같다. 쉽게 말하면 구연
산은 맛이 좋은 고급 식초라고 할 수 있으며 건강식품으로 각광을 받고 있는 성분이다. 매우 약한 산
(酸)으로서 위에서 분비되는 위액은 염산인데, 이것을 1로 친다면 구연산은 위액의 180분의 1에 해당
하는 산도(酸度)를 갖고 있다. 그러나 화학적으로는 분명히 아주 약한 산성이지만 체내에서 연소하
여 알칼리성으로 작용하므로 알칼리성 식품이다. 이것이 혈액이나 림프액 등과 같은 체액을 알칼리성
으로 만들어 주므로 산성체질을 개선해준다.


구연산은 신맛이 강한 매실이나 귤․레몬․사과 등에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과일을 많이 먹
는 지방에서는 당뇨병이나 고혈압 등과 같은 성인병의 발병률이 낮다는 보고도 있다. 현재 우리나라
에서는 구연산이 식품첨가물로 지정되어 있어서 식초처럼 음식에 신맛을 내는데 사용되거나 피로회
복제와 같은 의약품 또는 음료수(쥬스나 요구르트 등) 등에 첨가되고 있다. 운동부족과 피로 및 스트
레스의 축적 등으로 체질이 산성화되고 자연치유력이 저하되어 신경성 질환을 유발하게 되는 경우 구
연산은 이것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인체의 피로물질을 분해하여 배설하도록 촉진하고 혈액을 맑
게 하며 혈액순환을 촉진한다.


구연산을 섭취하면 곧바로 피로가 풀리고 섭취 후 겨우 2시간 정도만 지나면 그 효과가 최고에 달한
다. 한 예로, 구연산 먹고 나서 두 시간 가량 지나면 소변이 맑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왜 구연산이 피
로를 풀어주는가를 연구한 이론이 있다. 영국인 학자 크렙스(Hanss Krebs)가 1953년에 노벨상을 수
상한 이론이 그것인데, 그 연구는 구연산 싸이클(TCA회로)이론으로서 널리 알려져 있다. 이 이론은
단순히 구연산의 작용을 설명한 것이 아니다. 구연산 싸이클은 오히려 생명활동의 근원을 설명한 것
이며 우리들의 몸에 있는 세포 하나 하나를 활성화시킨다는 사실을 설명한 이론이다.
우리들이 음식물로서 몸에 들어온 영양소는 소화관 내부에서 소화되기 때문에 피 속으로, 조직이나
세포로 흡수된다. 이 때 탄수화물은 포도당으로, 단백질은 20여 가지 이상의 아미노산으로 분해되며
지질은 글리세린과 지방산으로 분해된다. 이와 같이 분해되는 과정을 소화라고 하며 음식물은 소화되
어 우리들의 몸에서 이용될 수 있는 형태로 바뀐다.


소화 과정은 오래 전부터 알려져 있었지만 소화된 영양소가 어떻게 해서 열로 바뀌며 어떻게 하여
산화되는가는 상세하게 해명되지 않은 채로 남아 있었다. 이것을 풀어낸 것이 크렙스박사의 구연산
싸이클 이론이다. 이로 인해 크렙스 박사는 노벨상을 수상하였는데, 이 이론을 다른 말로 표현하면 삼
탄소환원설(三炭素還元說)이라고 할 수 있다. 탄수화물은 포도산으로까지 분해되며, 단백질은 아스
파라긴산이나 클루타민산으로 분해되며 지질은 지방산으로 분해되므로 최종적인 열을 만드는 산화
(酸化) 과정에 들어가는 것을 알 수 있게 되었다. 한 마디로 구연산 사이클 이론은 체내에서 피로물질
을 신속하게 분해하여 처리하고 신진대사를 원활하게 돕는다는 것이다. 과일의 주성분인 구연산이라
는 유기산을 바탕으로 하여 8가지 유기산이 세포막에서 차례로 생화학반응을 일으켜 우리 몸의 생존
에너지 물질을 생성하므로 구연산은 인체세포의 건강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는 내용이다.


음식물이 체내에서 연소될 때 효소의 작용에 의해 에너지를 생성하는데, 이 때 효소의 작용이 원활
하지 못하게되면 완전연소가 되지 않아서 유해가스가 발생하고 그 찌꺼기가 남게 된다. 이렇게 되면
세포가 경화되면서 피로가 쌓이게 되고 어깨가 결리거나 허리가 아픈 등의 조직이 노화하는 현상이
일어나게 된다. 구연산은 바로 이러한 상황에서 연소되다 남은 노폐물을 연소시켜 주는 역할을 하므
로 피로가 말끔하게 풀리게 해준다. 이런 점에서 구연산은 성인병 예방 및 치료 또는 미용식으로도 훌
륭한 물질이다. 뿐만 아니라 구연산은 강력한 살균력을 갖고 있어서 음식물의 살균작용을 돕고 장
(腸) 안에 기생하는 각종 병원균이나 유해세균도 없애준다.


반복하자면 구연산은 지방을 분해하고 피를 맑게 해주며 신진대사를 촉진하고 인체의 자연치유력
을 높여준다. 식욕을 돋우고 소화를 촉진하므로 지방질이 많은 음식을 먹을 때는 구연산을 반드시 먹
는 것이 좋다. 특히 얼굴이나 손발 또는 눈 주변이 자주 붓는 사람 가운데 자고 일어나서 움직이면 부
은 것이 빠지는 사람은 구연산을 섭취하는 것이 좋다. 생리통이 심하고 빛깔이 검거나 탁하며 생리의
양이 고르지 못한 여성 또는 월경주기가 일정하지 못하고 아랫배가 차가운 여성도 구연산을 많이 섭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란이 잘 안되거나 임신이 안되는 사람 또는 유산이 잘 되는 사람, 임신 중
에 피부가 거칠고 기미가 많이 생기는 사람, 임신중에 입덧이 유난히 심한 사람, 출산 후 손발이나 몸
이 많이 부으며 잇몸이 들뜨는 사람도 구연산이 큰 효과가 있다. 구연산은 약이 아니지만 약효에 버금
가는 효과를 갖고 있는 것이다.


구연산에 대한 연구는 비단 크렙스 박사 뿐만이 아니다. 핀란드의 비르바덴 박사는 구연산이 인체
의 피로를 없애준다는 이론을 제시(1945년)했으며, '구연산은 체내에서 모든 영양물질을 소화 흡수하
여 인체의 자연치유력을 극대화한다'는 브르크 박사와 린넨박사의 이론도 있다. 브르크 박사와 린넨
박사는 이 이론으로 1964년 노벨상을 공동수상한 바 있다.

 
 

   
                                                    크기변환_13333.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