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래
가물치
가지
간재미
갈근
갈치
감자
감태
감초
감홍로주
강활
강황
게장
고구마
고등어
고본
고사리
고슴도치
고추
고추장
곤쟁이
골풀
곰취
곱돌
과루인
곶감
과메기
곽향
광어
구기자
구리
국수
국화차
굴비
금불초
기장
김치
꼬막
꼴뚜기
꽃게
꿀풀
나물
나전칠기
낙죽장도
낙지
냉이
노루
녹두
녹용
녹차
농어
뇌록
누치
느룹나무
느타리버섯
다시마
다람쥐
다래
다슬기
닥나무
단감
단목
달래
담비
담쟁이
당귀
대게
대구
대나무
대발
대추
더덕
더덕주
도라지
도루묵
도마뱀
도미
도자기
돈육
돈차
돌미역
돔배기
동래파전
동백기름
동충하초
돚자리
돼지
된장
두꺼비
두릅
두충
딸기
들기름
마늘
마뿌리
만화석
막걸리
망둥어
매생이
매실
맥문동
맨드라미
머루
머루주
메밀차
멸치
명란젓
명설차
명태
모과
모란
모래무지
모시
모자
목기
목화
무명
무우
문배주
문어
미나리
미역
민속주
민어
밀랍
박하
방풍
백랍
백련잎차
백렴
백미
백반
백부자
백조어
백하수오
백합
밴댕이
뱅어
벼루
병어
법주
보골지
보리
복령
복분자
복숭아
복어
부들
부자
부채
부추
붉나무
붕어
비빔밥
비자
뽕나무
사과
사슴
산나물
산삼
삼림욕
산수유
살구
삼릉
삼배
삼치
상합
상황버섯
새우
새우젓
생강
석결명
석곡
석류
석영
석이버섯
석청
석창포
소금
소라
소주
속새
송어
송이버섯
송화가루
수달
수박
수정
숙주
순채
숭어
승검초
식해
안동포
안식향
앵두
야콘
야콘잎차
약쑥
양귀비
어란
어리굴젓
어육장
엄나무
연밥
연어
연엽주
열목어
염전
엽삭젓
오가피
오미자
오곡
오골계
오정주
오죽
오징어
옥돔
옥로주
옹기
옻칠
왕골
용문석
우무
우황
울금
웅어
위어
유기
유자
유자차
유황
육포
은어
은행
이강주
이스라지
익모초
인삼
인삼주
잉어
자단향
자두
자라
자라돔
자연동
자하젓
작설차
작약
장군풀
장아찌
전모
전복
전어
전어젓
전통주
젓갈
젓새우
정어리
조개
조기
조홍시
좁쌀
종어
종이
주꾸미
죽렴장
죽로차
죽순
죽순채
죽염멸치
죽엽청주
죽피
죽합
준치
중국차
지라돔
지치
질경이
찐빵
참가사리
참게
참기름
참죽나물
참외
찹쌀
창출
천궁
천남성
천문동
청각
청국장
청란석
청목향
청자
초콜릿
초피나무
초하주
추성주
취나물
치자
칠선주
콩잎
토마토
토끼
토사자
토주
토파즈
토하젓
파전
패랭이
편두
포도
포도주
표고버섯
표범
하늘타리
학슬
한과
한라봉
한우
한지
해구신
해달
해삼
해파리
해홍나물
향나무
호도
호로파
호두
홍삼
홍삼절편
홍시
홍어
홍주
홍합
화개차
화문석
황기
황률
황벽나무
황어
황옥
황진이주
황태
회양목
후박
후추
흑돼지
흑염소
흑한우
로그인 l 회원가입


d1e6e5dd8f3a932740f0ca9e73e5feae_1522380410_399.jpg
 
 
환절기 건강관리 – 춘곤증 극복하기
15-12-01 18:22

 


봄이 오면 누구에게나 찾아오는 고질병이 하나 있죠.
겨울에 맞추어져 있던 인체가 길어진 일조량과 따뜻해진 날씨, 그리고 활동량 증가에 적응하지 
못해서 몸이 나른해 지기 때문에 생기는 춘곤증이 바로 그것입니다. ^^
춘곤증은 충분히 자더라도 자꾸 졸음이 쏟아지고, 또 식욕이 떨어지면서 몸이 나른해 지는 것은 
물론 졸음, 식욕부진, 소화불량, 현기증, 피로감을 동반하기도 한답니다. 그러다 보니 오후의 일의 
능률은 떨어지게 되고, 갑작스럽게 피로감이나 현기증이 느껴지니 어디 병에 걸린 것이 아닌가 
걱정이 되기도 하지요.

또한 춘곤증처럼 환절기에는 수면장애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일조량 변화, 기온변화, 대기 변화 등으로 생체 리듬이 다시 조정됨으로써 인체가 적응하지 못할 
경우 불면증이 생기기 쉬우며 밤 동안 숙면을 취하지 못하면서 낮에 피로하고 춘곤증에 시달리게 
되면 다시 밤에 불면증이 찾아오는 악순환이 계속 되는 것이죠.

꾸준한 비타민 섭취



춘곤증은 계절변화에 생체리듬이 바뀌면서 발생합니다. 신진대사량이 늘어나면서 비타민 B1과 
각종 비타민, 무기질 등이 많이 필요해 지는데 겨울 동안 영양소 소비를 많이 하여 영양분 
결핍현상으로 춘곤증 증상이 나타날 수도 있죠.  그렇기 때문에 꾸준한 비타민 섭취는 필수! 

간단한 스트레칭 및 운동

춘곤증은 특히 겨울 동안 운동이 부족했던 사람이나 스트레스에 많이 노출 되어있던 사람은 
발병하기가 더 쉽다고 합니다. 간단하게 조깅을 하거나 맨손체조를 하고 직장 내에서는 2~3시간 
간격으로 스트레칭을 해주며 근육을 풀어주는 것이 좋은데 무엇보다도 운동은 규칙적으로 
시작해야 효과가 있다는 점! 명심하세요^^

아침식사를 거르지 마세요.

아침식사를 거르지 않고 꼭 해주는 것이 춘곤증 예방에 가장 기본적인 효과가 있습니다. 
춘곤증은 봄이 되면서 활동량에 비해 단백질, 비타민, 무기질 등 각종 영양소의 필요량이 충분히 
섭취되지 못해서 더욱 나타나는 증상이기 때문에 생선, 콩류, 두부 등 춘곤증에 좋은 음식으로 
간단히 라도 아침을 꼭 먹어서 점심식사의 영양과 양을 분산해 주는 것이 효과 적이랍니다.

기상시간 조절


일출시간이 달라지는 만큼, 기상시간을 30분에서 1시간 정도 앞당기고 잠자리에 드는 시간도 
그만큼 조정해 충분한 수면을 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하루 7시간 정도의 수면이 필요하며 
침실온도는 25도씨, 습도는 50%내외로 맞추는 것이 적당하다고 해요. 또한 너무 푹신한 침구류는 
피하는 것이 숙면에 도움이 된답니다.
그리고 춘곤증 때문에 낮잠을 자기도 하는데, 특히 점심식사 후의 30분 이상의 낮잠은 밤잠을 
방해하므로 되도록이면 삼가하여 밤잠의 숙면에 도움을 주도록 하세요.
 
 
   

   

                                            크기변환_13333.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