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래
가물치
가지
간재미
갈근
갈치
감자
감태
감초
감홍로주
강활
강황
게장
고구마
고등어
고본
고사리
고슴도치
고추
고추장
곤쟁이
골풀
곰취
곱돌
과루인
곶감
과메기
곽향
광어
구기자
구리
국수
국화차
굴비
금불초
기장
김치
꼬막
꼴뚜기
꽃게
꿀풀
나물
나전칠기
낙죽장도
낙지
냉이
노루
녹두
녹용
녹차
농어
뇌록
누치
느룹나무
느타리버섯
다시마
다람쥐
다래
다슬기
닥나무
단감
단목
달래
담비
담쟁이
당귀
대게
대구
대나무
대발
대추
더덕
더덕주
도라지
도루묵
도마뱀
도미
도자기
돈육
돈차
돌미역
돔배기
동래파전
동백기름
동충하초
돚자리
돼지
된장
두꺼비
두릅
두충
딸기
들기름
마늘
마뿌리
만화석
막걸리
망둥어
매생이
매실
맥문동
맨드라미
머루
머루주
메밀차
멸치
명란젓
명설차
명태
모과
모란
모래무지
모시
모자
목기
목화
무명
무우
문배주
문어
미나리
미역
민속주
민어
밀랍
박하
방풍
백랍
백련잎차
백렴
백미
백반
백부자
백조어
백하수오
백합
밴댕이
뱅어
벼루
병어
법주
보골지
보리
복령
복분자
복숭아
복어
부들
부자
부채
부추
붉나무
붕어
비빔밥
비자
뽕나무
사과
사슴
산나물
산삼
삼림욕
산수유
살구
삼릉
삼배
삼치
상합
상황버섯
새우
새우젓
생강
석결명
석곡
석류
석영
석이버섯
석청
석창포
소금
소라
소주
속새
송어
송이버섯
송화가루
수달
수박
수정
숙주
순채
숭어
승검초
식해
안동포
안식향
앵두
야콘
야콘잎차
약쑥
양귀비
어란
어리굴젓
어육장
엄나무
연밥
연어
연엽주
열목어
염전
엽삭젓
오가피
오미자
오곡
오골계
오정주
오죽
오징어
옥돔
옥로주
옹기
옻칠
왕골
용문석
우무
우황
울금
웅어
위어
유기
유자
유자차
유황
육포
은어
은행
이강주
이스라지
익모초
인삼
인삼주
잉어
자단향
자두
자라
자라돔
자연동
자하젓
작설차
작약
장군풀
장아찌
전모
전복
전어
전어젓
전통주
젓갈
젓새우
정어리
조개
조기
조홍시
좁쌀
종어
종이
주꾸미
죽렴장
죽로차
죽순
죽순채
죽염멸치
죽엽청주
죽피
죽합
준치
중국차
지라돔
지치
질경이
찐빵
참가사리
참게
참기름
참죽나물
참외
찹쌀
창출
천궁
천남성
천문동
청각
청국장
청란석
청목향
청자
초콜릿
초피나무
초하주
추성주
취나물
치자
칠선주
콩잎
토마토
토끼
토사자
토주
토파즈
토하젓
파전
패랭이
편두
포도
포도주
표고버섯
표범
하늘타리
학슬
한과
한라봉
한우
한지
해구신
해달
해삼
해파리
해홍나물
향나무
호도
호로파
호두
홍삼
홍삼절편
홍시
홍어
홍주
홍합
화개차
화문석
황기
황률
황벽나무
황어
황옥
황진이주
황태
회양목
후박
후추
흑돼지
흑염소
흑한우
로그인 l 회원가입


d1e6e5dd8f3a932740f0ca9e73e5feae_1522380410_399.jpg
 
 
항생제에 대한 오해 혹은 진실
20-11-23 12:55

아이가 중이염이나 폐렴에 걸리면 병원에서는 항생제를 처방한다. 하지만 지시대로 꾸준히 약을 먹이는 엄마가 많지 않다는 것이 의사들의 설명. 항생제는 ‘좋을 게 없다’는 인식 때문에 아이의 상태가 좀 좋아진다 싶으면 임의로 약을 끊는데, 그 결과는 의외로 심각할 수 있다.
2000년 의약분업 실시 이후 다소 줄긴 했지만 우리나라는 여전히 세계 최고 수준의 항생제 사용률을 자랑한다. 2007년에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흔히 ‘감기’로 불리는 급성상기도 감염 환자에 대한 동네 의원의 항생제 처방률은 55%를 기록했다. 하지만 정작 의사의 67%는 ‘감기 환자에게 항생제를 투여하는 것은 증상 해소에 별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응답했고, 66%는 ‘그럼에도 항생제가 과다 처방되고 있다’고 답했다. 그렇다면 항생제가 꼭 필요한 경우는 언제일까?
기본적으로 항생제는 세균에 의한 감염질환이 발생했을 때 세균을 죽이는 역할을 한다. 감기는 감기 바이러스에 감염된 것이므로 바이러스에 효과가 없는 항생제는 써도 효과가 없지만 2차 세균 감염에 의한 합병증이 생겼을 때는 필요하다. 이렇듯 세균 감염이 의심되는 경우, 바이러스성 질환이더라도 2차 세균 감염이 예상되는 경우, 또한 세균 감염이 생기면 문제가 생기는 질환의 예방 차원에서 처방된다. 아이들의 경우 주로 축농증, 중이염, 폐렴, 세균성 장염 등에 걸렸을 때 처방된다.

함부로 끊으면 더 센 약을 오래 먹어야
엄마들이 가장 염려하는 부분은 ‘항생제로 인해 혹시 아이 몸에 내성이 생길까’ 하는 점. 사실 항생제의 가장 큰 부작용이기도 하다. 항생제를 남용하면 병원균이 항생제에 내성이 생겨 약효가 점점 떨어진다. 아이러니하게도 약효가 강해질수록 병원균도 함께 강해져 점점 더 센 약을 개발해야 하는 실정. 그 밖에도 발열, 발진, 두드러기, 신장·간장의 기능 저하, 대장염, 복통 등의 부작용이 있다.
하지만 어떤 경우든 필요에 의해서 항생제를 사용할 때는 적어도 10일에서 2주 이상 지속해야 한다. 이는 모든 의학서적에 명시된 내용이지만 현실에서는 잘 지켜지지 않고 있다. 많은 사람들이 병원에서 항생제를 처방받아 먹다가 이틀쯤 지나 증상이 좋아지면 병원도 가지 않고 약도 중단한다. 하지만 이런 ‘임의 중단’은 항생제에 대한 내성을 유발하는 지름길. 항생제의 내성은 남용했을 때도 생기지만, 충분한 기간에 걸쳐 사용하지 않았을 때도 생긴다. 필요한 때 제대로 처방받아 먹이는 경우라면 세균이 완전히 없어질 때까지 꾸준히 항생제를 복용해야 한다. 갑자기 항생제 복용을 중단하면 일부 세균이 살아나게 되고, 그 세균은 기존의 항생제에 듣지 않는 내성이 생기므로 결과적으로 더 센 약을, 더 오래 먹어야 한다.
항생제가 독한 약이라는 생각에 아이의 간에 손상을 입히지 않을지, 머리가 나빠지는 건 아닌지 하는 걱정도 지나친 염려. 항생제 성분은 대부분 배설되며, 연령에 맞는 적정량을 복용하면 아이의 건강에 큰 지장을 주지는 않는다.

식품 섭취로 인한 항생제도 문제
간과하지 말아야 할 점은 항생제를 약으로 섭취했을 때만 몸에 쌓이는 게 아니라는 것이다. 사람이 먹는 항생제와 수산물, 축산물 등에 쓰이는 항생제가 같은 종류이기 때문에 음식을 통해 섭취하는 항생제 내성균도 함께 줄이지 않으면 소용이 없다. 특히 양식 활어, 돼지고기, 닭고기, 소고기, 우유, 계란 같은 식품에는 항생제 성분이 포함돼 있을 가능성이 높다. 건강한 식탁을 만드는 것도 항생제 약 성분을 체크하는 것만큼 중요하다는 사실을 잊지 말자. 

항생제 상식 checklist
1. 항생제를 먹으면 이가 누렇게 변할 수 있다 → Yes
테트라사이클린 계열 항생제(테트라사이클린, 독시사이클린, 옥시테트라사이클린, 메타사이클린, 미노사이클린)는 치아와 뼈 발육에 문제를 일으켜 치아가 누렇게 변색될 수 있다.

2. 항생제는 빈속에 먹으면 안 된다 → NO
항생제의 부작용 중 대표적인 것이 위장장애. 일반 항생제는 빈속에 먹어도 위장염을 일으키지 않지만 다량의 항생제라면 식후에 먹는 편이 안전하다.

3. 항생제는 상온에 보관해도 된다 → Yes or No
대부분의 항생제는 상온에 보관해도 별 문제가 없다. 단, ‘오구멘틴’ 같은 항생제는 상온에서 불안정하고 변색되기 때문에 반드시 냉장 보관할 것.

4. 항생제를 먹다 토했을 때는 다시 먹이면 안 된다 → NO
아이가 항생제를 먹다가 토하더라도 약효를 얻기 위해서는 다시 먹여야 한다. 이 경우 복용하는 약이 과량이 될 수 있지만 큰 문제는 없다.

5. 평소보다 변이 묽은 것은 항생제의 부작용이다 → Yes or No
오구멘틴 같은 일부 항생제는 약 자체 성분에 의한 부작용으로 설사나 변이 묽어질 수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항생제는 이런 부작용이 드물고, 만약 있다해도 약 자체에 의한 부작용이 아니라 항생제로 인해 장내 건강한 세균이 죽었기 때문이다.

6. 중이염과 비염은 모두 항생제 처방이 필요하다 → NO
세균에 의한 중이염과 비염이 의심될 때는 항생제를 처방한다. 중이염이나 축농증은 세균성이 많기 때문에 항생제 처방률이 높지만 비염은 알레르기성인 경우가 대부분이라 상대적으로 처방률이 낮다.

 

   

   

                                            크기변환_13333.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