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래
가물치
가지
간재미
갈근
갈치
감자
감태
감초
감홍로주
강활
강황
게장
고구마
고등어
고본
고사리
고슴도치
고추
고추장
곤쟁이
골풀
곰취
곱돌
과루인
곶감
과메기
곽향
광어
구기자
구리
국수
국화차
굴비
금불초
기장
김치
꼬막
꼴뚜기
꽃게
꿀풀
나물
나전칠기
낙죽장도
낙지
냉이
노루
녹두
녹용
녹차
농어
뇌록
누치
느룹나무
느타리버섯
다시마
다람쥐
다래
다슬기
닥나무
단감
단목
달래
담비
담쟁이
당귀
대게
대구
대나무
대발
대추
더덕
더덕주
도라지
도루묵
도마뱀
도미
도자기
돈육
돈차
돌미역
돔배기
동래파전
동백기름
동충하초
돚자리
돼지
된장
두꺼비
두릅
두충
딸기
들기름
마늘
마뿌리
만화석
막걸리
망둥어
매생이
매실
맥문동
맨드라미
머루
머루주
메밀차
멸치
명란젓
명설차
명태
모과
모란
모래무지
모시
모자
목기
목화
무명
무우
문배주
문어
미나리
미역
민속주
민어
밀랍
박하
방풍
백랍
백련잎차
백렴
백미
백반
백부자
백조어
백하수오
백합
밴댕이
뱅어
벼루
병어
법주
보골지
보리
복령
복분자
복숭아
복어
부들
부자
부채
부추
붉나무
붕어
비빔밥
비자
뽕나무
사과
사슴
산나물
산삼
삼림욕
산수유
살구
삼릉
삼배
삼치
상합
상황버섯
새우
새우젓
생강
석결명
석곡
석류
석영
석이버섯
석청
석창포
소금
소라
소주
속새
송어
송이버섯
송화가루
수달
수박
수정
숙주
순채
숭어
승검초
식해
안동포
안식향
앵두
야콘
야콘잎차
약쑥
양귀비
어란
어리굴젓
어육장
엄나무
연밥
연어
연엽주
열목어
염전
엽삭젓
오가피
오미자
오곡
오골계
오정주
오죽
오징어
옥돔
옥로주
옹기
옻칠
왕골
용문석
우무
우황
울금
웅어
위어
유기
유자
유자차
유황
육포
은어
은행
이강주
이스라지
익모초
인삼
인삼주
잉어
자단향
자두
자라
자라돔
자연동
자하젓
작설차
작약
장군풀
장아찌
전모
전복
전어
전어젓
전통주
젓갈
젓새우
정어리
조개
조기
조홍시
좁쌀
종어
종이
주꾸미
죽렴장
죽로차
죽순
죽순채
죽염멸치
죽엽청주
죽피
죽합
준치
중국차
지라돔
지치
질경이
찐빵
참가사리
참게
참기름
참죽나물
참외
찹쌀
창출
천궁
천남성
천문동
청각
청국장
청란석
청목향
청자
초콜릿
초피나무
초하주
추성주
취나물
치자
칠선주
콩잎
토마토
토끼
토사자
토주
토파즈
토하젓
파전
패랭이
편두
포도
포도주
표고버섯
표범
하늘타리
학슬
한과
한라봉
한우
한지
해구신
해달
해삼
해파리
해홍나물
향나무
호도
호로파
호두
홍삼
홍삼절편
홍시
홍어
홍주
홍합
화개차
화문석
황기
황률
황벽나무
황어
황옥
황진이주
황태
회양목
후박
후추
흑돼지
흑염소
흑한우
로그인 l 회원가입


d1e6e5dd8f3a932740f0ca9e73e5feae_1522380410_399.jpg
 
 
건강 보행법
20-11-30 13:27
'약보(藥補)보다 식보(食補)가 낫고, 식보보다는 행보(行補)가 낫다’.이 말은 명의 허준이 동의보감에서 밝힌 건강법이라고 하는데..... 
좋은 약을 먹는 것보다 좋은 음식을 먹는 게 낫고,
좋은 음식을 먹는 것보다걷는 게 더 좋다는 뜻이라고 합니다.
즉 좋은 음식이나 약보다 걷는 것이 건강에 가장 좋다는 것을
선조들도 이미 인정한 것이라고 하는군요.

그럼 내 몸에 맞는 건강보행법 어떻게 알 수 있는지 알아볼까요?
무조건 걷기만 한다고 효과를 볼까. 같은 시간을 걸어도
최대효과를 누릴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
걷는 속도는 시속 6~8㎞가 적당하다.

평상시 걸음의 속도는 시속 3.5㎞. 이보다 빨리 걸으면서
땀이 나고 숨이 차는 속도가 걷기 운동에 적당하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시간이다.

걷기운동의 효과는  ‘강도, 시간, 횟수’ 순이다. 
한두번 빨리 걷는 것보다 강도가 다소 약해도
오랫동안 꾸준히 걷는 게 중요하다는 뜻이다.
보폭은 키의 45% 정도. 1m70 정도의 사람은
1m(1m70×0.45)의 보폭이 적당하다.
보통걸음의 보폭(70㎝)보다 40% 정도 더 넓게 걷는 것이다.
발이 땅에 닿는 순서는 뒤꿈치→바깥쪽→새끼 발가락→
엄지 발가락 순으로 옮아가는 게 좋다.
발은 11자형보다는 밖으로 15~20도 벌어지는 게 좋다.
인체 해부학적으로 발이 밖으로 벌어지는 게
인간이 취하는 가장 자연스런 자세이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의 평균수명을 보면,
1980년 65.8세, 1990년 71.6세,
2000년 75.9세, 2020년 84.1세로
급격하게 늘어나게 된다고 한다.
신체기능이 감소하는 노화현상은
40~45세를 기점으로 급격히 늘어난다.
수명의 연장은 20대의 청춘시절이 2배로 늘어나는 것이 아니라
후반기 노년의 세월이 늘어나는 것이다.
 
▶ 걷기는 최상의 노화방지제
미국 국립노화연구소(NIA)는 
절식과 운동을 가장 신뢰할 만한 노화 억제법으로 간주한다. 
특히 운동은 90대에 시작해도 늦지 않는다고 한다.

한 재활센터에 거주하는 90대 노인 10명을
대상으로 8주간 근력운동을 실시한 결과
다리근육의 힘이 1.7배나 늘었고 근육의 크기도 8%나 커졌다.

인류 중 가장 오래 생존한
프랑스의 잔 칼망(1997년 122세로 사망) 할머니는
85세때 펜싱 교육을 받았고 백세까지 자전거를 타고 다녔다.
노인의 신체적 능력이 감소하는 것은
운동부족, 과도한 음주, 흡연 등이 축적된 결과일 뿐이다.

나이든 이후에도 운동을 시작하면
신체 균형은 물론 근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고
각종 질병으로부터 벗어나
생체나이를 거꾸로 되돌리기는 얼마든지 가능하다.

여기 두 명의 40대 남자가 있다.
한 사람은 잘 단련된 운동선수같아 보이고
하루라도 운동을 안하면 죄의식을 느끼고
다음날 강도를 더 높이는 일명 운동광이다.

다른 한 사람은 군살은 붙었지만
하루 3Km 가량을 매주 네번 걷거나 조깅하는 사람이다.
쿠퍼 클리닉의 쿠퍼박사는 "후자가 더 오래 살 것"이라고 예상했다.
지나친 운동으로 생긴 과다한 유해산소가
운동광의 몸을 손상시킬 게 뻔하다는 것이다.
심한 운동을 하는 운동선수의 평균 수명이
다른 직업인보다 상대적으로 짧은 것을 보아도
지나친 운동은 오히려 해가 된다.
운동량이 지나치면 유해산소가 훨씬 많아져 면역기능이 떨어지고
노화와 질병의 길로 들어선다.

하루에 만보를 걸어라!
만보기를 허리에 찬 뒤 편안한 신발을 신고
하루 1만보를 걷는 것은 최상의 노화방지제이다.
매일 30분 이상씩 활기차게 걷는 것이 좋다.
단, 절대 무리하지 말고 천천히 시작하되 걷기 전과 걷고 난 후에
몸을 풀어주는 것을 소홀히 하지 말아야 한다.
질환이 있을 때에는 반드시 의사와 상의하여 운동처방을 받는 것이 좋다.

   

   

                                            크기변환_13333.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