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래
가물치
가지
간재미
갈근
갈치
감자
감태
감초
감홍로주
강활
강황
게장
고구마
고등어
고본
고사리
고슴도치
고추
고추장
곤쟁이
골풀
곰취
곱돌
과루인
곶감
과메기
곽향
광어
구기자
구리
국수
국화차
굴비
금불초
기장
김치
꼬막
꼴뚜기
꽃게
꿀풀
나물
나전칠기
낙죽장도
낙지
냉이
노루
녹두
녹용
녹차
농어
뇌록
누치
느룹나무
느타리버섯
다시마
다람쥐
다래
다슬기
닥나무
단감
단목
달래
담비
담쟁이
당귀
대게
대구
대나무
대발
대추
더덕
더덕주
도라지
도루묵
도마뱀
도미
도자기
돈육
돈차
돌미역
돔배기
동래파전
동백기름
동충하초
돚자리
돼지
된장
두꺼비
두릅
두충
딸기
들기름
마늘
마뿌리
만화석
막걸리
망둥어
매생이
매실
맥문동
맨드라미
머루
머루주
메밀차
멸치
명란젓
명설차
명태
모과
모란
모래무지
모시
모자
목기
목화
무명
무우
문배주
문어
미나리
미역
민속주
민어
밀랍
박하
방풍
백랍
백련잎차
백렴
백미
백반
백부자
백조어
백하수오
백합
밴댕이
뱅어
벼루
병어
법주
보골지
보리
복령
복분자
복숭아
복어
부들
부자
부채
부추
붉나무
붕어
비빔밥
비자
뽕나무
사과
사슴
산나물
산삼
삼림욕
산수유
살구
삼릉
삼배
삼치
상합
상황버섯
새우
새우젓
생강
석결명
석곡
석류
석영
석이버섯
석청
석창포
소금
소라
소주
속새
송어
송이버섯
송화가루
수달
수박
수정
숙주
순채
숭어
승검초
식해
안동포
안식향
앵두
야콘
야콘잎차
약쑥
양귀비
어란
어리굴젓
어육장
엄나무
연밥
연어
연엽주
열목어
염전
엽삭젓
오가피
오미자
오곡
오골계
오정주
오죽
오징어
옥돔
옥로주
옹기
옻칠
왕골
용문석
우무
우황
울금
웅어
위어
유기
유자
유자차
유황
육포
은어
은행
이강주
이스라지
익모초
인삼
인삼주
잉어
자단향
자두
자라
자라돔
자연동
자하젓
작설차
작약
장군풀
장아찌
전모
전복
전어
전어젓
전통주
젓갈
젓새우
정어리
조개
조기
조홍시
좁쌀
종어
종이
주꾸미
죽렴장
죽로차
죽순
죽순채
죽염멸치
죽엽청주
죽피
죽합
준치
중국차
지라돔
지치
질경이
찐빵
참가사리
참게
참기름
참죽나물
참외
찹쌀
창출
천궁
천남성
천문동
청각
청국장
청란석
청목향
청자
초콜릿
초피나무
초하주
추성주
취나물
치자
칠선주
콩잎
토마토
토끼
토사자
토주
토파즈
토하젓
파전
패랭이
편두
포도
포도주
표고버섯
표범
하늘타리
학슬
한과
한라봉
한우
한지
해구신
해달
해삼
해파리
해홍나물
향나무
호도
호로파
호두
홍삼
홍삼절편
홍시
홍어
홍주
홍합
화개차
화문석
황기
황률
황벽나무
황어
황옥
황진이주
황태
회양목
후박
후추
흑돼지
흑염소
흑한우
로그인 l 회원가입

임자도전장포새우젓 1.jpg
 
 
전통공예의 현대적 자화상 유기
15-07-08 08:59

영조 때의 실학자 유득공이 쓴 <경도잡지(京都雜誌)>에, “일반적으로 유기그릇을 중요시하는 사람들은 반드시 밥, 국, 나물, 고기까지 일체의 식기로 유기그릇을 사용한다. 심지어는 요강, 세수대야까지도 유기로 만든다” 라는 기록이 있다. 이러한 기록으로 미루어 보아 조선조 권력층인 사대부를 비롯하여 일반 중인과 서민층에게까지 실생활 용구로서의 유기제품이 얼마나 널리 사용되고 있었는지 짐작이 간다. 이렇게 유기제품이 널리 쓰였던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가장 중요한 이유는 유기가 기타 유해한 성분에 빨리 반응하는 성질 때문이 아닌가 싶다. 예전 궁중에서 임금에게 올리는 음식은 은침으로 검수하여 독이나 기타 해로운 재료를 가려냈다 한다. 유기그릇도 이와 비슷하여 독이나 기타 해로운 성분에 반응하여 검게 변하는 점이 그 시대 사람들로부터 널리 쓰였던 것이 아닌가 싶다.


하지만 이런 성분으로 인하여 관리가 힘이 든다는 약점도 있다. 조금만 관리를 소홀히 해도 쉽게 시커메지는 이런 예민함 때문에 금세 색이 변하고 자주 닦아줄 수밖에 없었지만, 그만큼 음식에 유해한 성분이 있는지도 민감하게 알아차릴 수 있었다. 예전에 신부의 혼수품 1호가 유기요강과 세숫대야였던 것도 매일 사용하는 요강이나 세숫대야의 색이 변하는 것으로 몸의 작은 변화까지 스스로 살펴 관리하라는 친정어머니에 배려일 것이다. 유기는 이렇게 유해 성분에 민감하게 반응도 하지만 없애주는 역할도 한다. 수년 전에는 식중독을 일으키는 O157균이 유기그릇 안에서 불과 몇 시간 만에 없어진다는 사실이 밝혀져 화제가 되기도 했다. 옛사람들은 오랜 시간의 경험으로 입안이 헐었을 때 놋숟가락으로 밥을 먹었으며 속이 비어 있어 벌레가 많은 미나리를 유기그릇에 넣어두어 거머리를 쫓아냈다. 스님들의 머리를 깎을 때 쓰는 칼도 유기로 만들었는데, 이유는 상처가 나도 빨리 아물고 덧나지 않기 때문이었다.


그리고 또 하나에 강점은 유기그릇이 보온력이 뛰어나다는 것인데 뜨거운 밥을 퍼서 아랫목 이불 속에 놓아두면 한나절 동안은 따뜻했다. 그래서 예전에는 팔팔 끓인 물에 유기를 데쳐서 오랫동안 음식의 온기를 간직하도록 했다. 유기를 주로 썼던 계절도 겨울이었다. 반대로 여름에는 사기(백자)를 썼는데, 더운 여름엔 백자를 사용했고, 추운 겨울엔 유기그릇으로 계절에 따라 그릇을 달리 썼던 문화는 외국에서 비슷한 예를 찾기가 쉽지 않다. 유기의 주재료로는 구리를 이용했는데, 구리에 주석을 섞으면 방짜(향동)유기, 아연을 섞으면 주물(주동)유기, 니켈을 섞으면 백동유기라 했다. 은처럼 밝은 색이 나는 백동유기는 워낙 값이 비싸 부잣집에서나 썼다고 한다. 일반적으로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유기 제작방법은 크게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는데 첫째는 방짜 유기법이다. 방짜유기는 78%의 구리와 22%의 주석을 합금한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금속 기법으로 합금된 놋쇠를 불에 달구어 망치질을 하면서 얇게 늘여가며 모양을 만들어가는 기법이다. 전통적으로 여러 명이 한 조가 되어 단체작업으로 이루어진다. 이런 기법으로 만들어진 방짜유기는 휘거나 잘 깨지지 않으며 비교적 변색되지 않을 뿐 아니라 쓸수록 윤기가 나는 장점이 있다.


두 번째는 주물 유기법으로 조선 중·후반부터 유기의 수요가 늘어나자 수공으로 두드려서 만들던 방짜유기 대신 대량생산이 가능한 주물 기법으로 일정한 틀에다 불에 달군 놋물을 부어서 찍어내는 방법이다. 이 주물유기는 동일한 제품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니고 있으나 두드린 자국이 없어 수공예적인 맛은 떨어지는 편이다. 셋째는 반방짜라고 불리는 방법이다. 말 그대로 주물 기법과 방짜 기법을 혼합하여 제작하는 방법이다. 먼저 주물 기법으로 그릇을 U자 모양으로 만든 다음 여러 차례 불에 달구어 가면서 오목하게 패어진 기구 위에서 두드려가며 방짜식으로 늘여가면서 만드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위의 두 방법보다 그리 오래된 것은 아니며 남부지방에서 주로 작은 식기나 요강을 제작할 때 사용했던 기법으로 반방짜 유기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러한 제작 기법 중 가장 주목해야 하는 기법은 첫 번째 방짜 유기법으로 구리와 주석의 절묘한 혼합비율에 있다. 그 비율이 조금이라도 달라지면 불에 달궈 망치로 두드리는 과정에서 깨져버리기 십상이라 이 황금비율을 찾아낸 조상의 지혜와 근성이 놀라울 따름이다.


오랫동안 두드려 만드는 방짜유기는 웬만해서는 잘 깨지지 않아 한번 마련해 두면 5, 6대가 물려가며 썼고, 덕분에 집집마다 갖춰놓은 유기의 숫자가 꽤 되었다. 그랬던 것이 일제 강점기 때 공출 대상이 되면서 위기를 겪었다. 일본군에게 빼앗긴 수많은 유기들은 녹여져 포탄이 되었지만, 제사용 유기를 빼앗기지 않으려고 감춘 덕분에 겨우 유기를 지켜낸 집도 없지 않았다. 광복을 맞으면서 유기가 활성화되는가 싶었지만 곧이어 연탄이 부엌의 주 연료로 자리 잡으면서 유기는 찬밥 신세가 되고 말았다. 연탄의 일산화탄소에 반응해 사흘이 멀다 하고 시커매지는 유기를 도저히 당해낼 재간이 없었던 것. 때 맞춰 스테인리스 그릇이 등장하면서 녹슬지 않고 닦을 필요 없는 스테인리스 그릇이 유기 대신 우리 밥상을 차지하게 됐다. 거의 사라진 듯했던 유기가 웰빙 유행과 함께 다시 관심을 받게 되면서 유기를 생산하는 장인들의 공장도 바쁘게 돌아가고 있다. 하지만 예전과는 조금 달라진 모습이다. 바둑알 모양의 환을 숯불에 달군 다음 망치로 두드려 그릇을 만들던 작업의 일부를 이제 기계가 대신하는 것. 기계가 두드리고 사람이 마무리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마지막에는 그라인더로 매끈하게 갈아서 마무리하기 때문에 예전처럼 두드린 자국이 도드라 보이지 않는 것도 달라진 모습이다.


숯불 대신 경유나 석유를 쓰는 것도 변한 풍경 가운데 하나다. 예전에는 숯불에 금속을 달구고 불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숯의 불꽃 색을 보고 시기를 판단하기 때문에 주로 밤에 작업이 이뤄졌다. 또 그릇을 닦을 때 반사되는 빛을 계속 보다 보면 잘못해서 눈이 멀 수 있었던 것도 밤에 작업한 이유였다. 그런데 지금은 숯불을 사용하는 것도, 사람이 직접 그릇을 닦는 일도 적다 보니 굳이 밤에 작업할 필요도 없어졌다. 이런 변화와 함께 두드리는 사람, 풀무질하는 사람, 담금질하는 사람 등 6~11명의 각 분야 전문가들이 팀을 이뤄 일했던 작업 방식도 예전 같지 않다. 유기 제작에 불고 있는 변화의 풍경이야 어쩔 수 없는 것이겠지만, 유기의 가치와 본질만은 변하지 않길 기대해 본다.

 

                                                     출처: 한국문화재재단 글˚최웅철 (아트디렉터)

   

                                      크기변환_13333.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