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래
가물치
가지
간재미
갈근
갈치
감자
감태
감초
감홍로주
강활
강황
게장
고구마
고등어
고본
고사리
고슴도치
고추
고추장
곤쟁이
골풀
곰취
곱돌
과루인
곶감
과메기
곽향
광어
구기자
구리
국수
국화차
굴비
금불초
기장
김치
꼬막
꼴뚜기
꽃게
꿀풀
나물
나전칠기
낙죽장도
낙지
냉이
노루
녹두
녹용
녹차
농어
뇌록
누치
느룹나무
느타리버섯
다시마
다람쥐
다래
다슬기
닥나무
단감
단목
달래
담비
담쟁이
당귀
대게
대구
대나무
대발
대추
더덕
더덕주
도라지
도루묵
도마뱀
도미
도자기
돈육
돈차
돌미역
돔배기
동래파전
동백기름
동충하초
돚자리
돼지
된장
두꺼비
두릅
두충
딸기
들기름
마늘
마뿌리
만화석
막걸리
망둥어
매생이
매실
맥문동
맨드라미
머루
머루주
메밀차
멸치
명란젓
명설차
명태
모과
모란
모래무지
모시
모자
목기
목화
무명
무우
문배주
문어
미나리
미역
민속주
민어
밀랍
박하
방풍
백랍
백련잎차
백렴
백미
백반
백부자
백조어
백하수오
백합
밴댕이
뱅어
벼루
병어
법주
보골지
보리
복령
복분자
복숭아
복어
부들
부자
부채
부추
붉나무
붕어
비빔밥
비자
뽕나무
사과
사슴
산나물
산삼
삼림욕
산수유
살구
삼릉
삼배
삼치
상합
상황버섯
새우
새우젓
생강
석결명
석곡
석류
석영
석이버섯
석청
석창포
소금
소라
소주
속새
송어
송이버섯
송화가루
수달
수박
수정
숙주
순채
숭어
승검초
식해
안동포
안식향
앵두
야콘
야콘잎차
약쑥
양귀비
어란
어리굴젓
어육장
엄나무
연밥
연어
연엽주
열목어
염전
엽삭젓
오가피
오미자
오곡
오골계
오정주
오죽
오징어
옥돔
옥로주
옹기
옻칠
왕골
용문석
우무
우황
울금
웅어
위어
유기
유자
유자차
유황
육포
은어
은행
이강주
이스라지
익모초
인삼
인삼주
잉어
자단향
자두
자라
자라돔
자연동
자하젓
작설차
작약
장군풀
장아찌
전모
전복
전어
전어젓
전통주
젓갈
젓새우
정어리
조개
조기
조홍시
좁쌀
종어
종이
주꾸미
죽렴장
죽로차
죽순
죽순채
죽염멸치
죽엽청주
죽피
죽합
준치
중국차
지라돔
지치
질경이
찐빵
참가사리
참게
참기름
참죽나물
참외
찹쌀
창출
천궁
천남성
천문동
청각
청국장
청란석
청목향
청자
초콜릿
초피나무
초하주
추성주
취나물
치자
칠선주
콩잎
토마토
토끼
토사자
토주
토파즈
토하젓
파전
패랭이
편두
포도
포도주
표고버섯
표범
하늘타리
학슬
한과
한라봉
한우
한지
해구신
해달
해삼
해파리
해홍나물
향나무
호도
호로파
호두
홍삼
홍삼절편
홍시
홍어
홍주
홍합
화개차
화문석
황기
황률
황벽나무
황어
황옥
황진이주
황태
회양목
후박
후추
흑돼지
흑염소
흑한우
로그인 l 회원가입

임자도전장포새우젓 1.jpg
 
 
친환경 명품 주택, 목조 한옥이 뜬다는데?
15-08-14 15:44



전통 주택인 한옥은 한국의 미를 잘 보여주는 건축물 중 하나입니다. 한옥이 모여 있는 한옥마을은 외국관광객 1천만 시대를 맞은 지금 빼놓을 수 없는 관광명소로 자리 잡고 있죠. 외국인관광객뿐만 아니라 젊은이들 사이에서도 인기가 많은데 돌담길과 한옥이 어우러진 거리는 연인들의 데이트 코스로 제격입니다. 특히 북촌한옥마을은 삭막한 도심 가운데 문화의 장소로 휴식처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해외 관광객과 연인들의 데이트 장소로 인기를 끌고 있는 북촌한옥마을>

관광명소가 된 한옥에는 우리 선조의 지혜가 고스란히 담겨 있습니다. 널찍한 마당을 두고 자연과 조화를 강조했고 여름 햇빛은 물리치고 겨울 햇빛은 방안으로 들이는 지혜도 담겨 있습니다. 한옥의 처마는 여름에는 시원한 그늘과 겨울에 따뜻한 햇볕이 방에 머물도록 해줍니다. 천장과 지붕 사이의 넓은 공간은 여름엔 시원하고 겨울엔 따뜻하게 하는 역할을 해주죠. 난방시설이 없던 시절 선조의 지혜가 느껴집니다.



가장 한국적인 건축물인 한옥은 현재 쉽게 접할 수 없는 주거공간입니다. 주거문화가 바꼈고, 경제 발전을 이루면서 편리한 주거문화가 정착하면서 아파트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졌기 때문이죠. 또한 지역을 개발하는 것에 치중하다 보니 많은 한옥들이 사라질 수밖에 없었죠. 한옥은 부엌과 화장실이 외부에 있어 생활이 불편하고 겨울이면 웃풍이 심해 관리가 쉽지 않다는 인식 탓도 있습니다.

<한국의 미를 잘 보여주는 전통가옥 한옥>

한옥에 관심을 갖게 된 최근에는 높은 건축비용이 문제였죠. 몇 년 전까지만 해도 한옥을 건축하는 비용은 3.3㎡(1평)당 최소 1,200만원으로 높았습니다. 최근엔 한옥 건축비용이 3.3㎡(1평)당 600~700만원으로 과거에 비해 절반 수준으로 줄어들었지만 여전히 고급주택을 짓는 것과 비슷한 수준입니다. 

그럼에도 환경호르몬이 없는 친환경 거주공간으로 꼽히면서 많은 사람들이 찾고 있습니다. 한옥은 목재를 주요 골격으로 사용하고 흙으로 벽을 구성하기 때문에 친환경 주거공간으로 손색이 없습니다. 자연에서 얻은 재료를 사용해 자연과의 조화가 돋보이고 골격을 이루는 목재는 한옥만의 고유한 숨결을 느끼게 해줍니다. 또한 한옥에서만 느낄 수 있는 고즈넉한 분위기도 매력적입니다.

<한옥을 접목한 아파트의 실내 인테리어 모습 /사진- 목포 우미파렌하이트>

한옥이 매력적인 주거공간으로 부상하면서 한옥에 대한 수요가 꾸준히 늘고 있습니다. 국토해양부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까지 8만9000여 가구로 2008년에 비해 3만 4천여 가구가 늘었습니다. 심지어 아파트에 접목되기도 합니다. 마당을 만들고 사랑채를 만들어 한옥을 그대로 옮겨 놓은 것 같은 분위기를 자아냅니다. 또한 전남 영암의 ‘영산재’와 경북 경주의 ‘라궁호텔’과 같은 한옥호텔은 관광객들에게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최근 새로운 전성기를 맞고 있는 한옥의 가장 큰 매력은 바로 한옥을 구성하는 기본 뼈대인 나무에 있습니다. 나무가 한옥에 생명을 불어 넣는 주요 요소입니다. 환경 친화적인 목재는 한옥을 더욱 돋보이게 해 주죠.

<한옥의 가장 큰 매력은 나무로 한국임업진흥원은 한옥용 목재를 품질인증 해 주고 있다>

때문에 한옥을 짓는데 어떤 목재를 사용하느냐는 아주 중요한 문제입니다. 그래서 한국임업진흥원에서는 한옥의 주재료인 목재에 대한 품질인증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우수한 한옥 목재를 품질인증하여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죠. 지금까지는 주로 내장재와 바닥재 위주로 품질 인증이 돼 오고 있습니다. 현재 6개 업체가 품질 인증을 받아 일부 생산하고 있죠. 향후 한옥의 건축 자재로 사용되는 다양한 목재에 대한 품질 인증을 늘릴 계획으로 한옥의 인기와 더불어 품질인증을 받으려는 노력이 늘어 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습니다. 

반면, 전통 한옥에 사용되는 부재료는 주로 대단면(大斷面) 구조재가 사용되므로, 대단면재의 건조 문제를 최대한 빠른 시일 내에 해결하고 대량 공급할 수 있는 시스템이 갖추어지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목수에 의존하던 가공방식을 현대의 기계(프리커트, Pre-Cut)를 이용한 가공방법의 도입도 검토되어야 할 것입니다.

친환경 주거 공간으로 인기를 끌고 있는 한옥. 같은 한옥이라도 어떤 재료를 쓰느냐에 따라 한옥의 가치도 차이가 날 것입니다. 한국임업진흥원이 품질인증을 통해 명품 한옥을 만들어갈 수 있도록 돕겠습니다.   출처: 한국임업진흥원블로그
 
   

                                      크기변환_13333.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