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래
가물치
가지
간재미
갈근
갈치
감자
감태
감초
감홍로주
강활
강황
게장
고구마
고등어
고본
고사리
고슴도치
고추
고추장
곤쟁이
골풀
곰취
곱돌
과루인
곶감
과메기
곽향
광어
구기자
구리
국수
국화차
굴비
금불초
기장
김치
꼬막
꼴뚜기
꽃게
꿀풀
나물
나전칠기
낙죽장도
낙지
냉이
노루
녹두
녹용
녹차
농어
뇌록
누치
느룹나무
느타리버섯
다시마
다람쥐
다래
다슬기
닥나무
단감
단목
달래
담비
담쟁이
당귀
대게
대구
대나무
대발
대추
더덕
더덕주
도라지
도루묵
도마뱀
도미
도자기
돈육
돈차
돌미역
돔배기
동래파전
동백기름
동충하초
돚자리
돼지
된장
두꺼비
두릅
두충
딸기
들기름
마늘
마뿌리
만화석
막걸리
망둥어
매생이
매실
맥문동
맨드라미
머루
머루주
메밀차
멸치
명란젓
명설차
명태
모과
모란
모래무지
모시
모자
목기
목화
무명
무우
문배주
문어
미나리
미역
민속주
민어
밀랍
박하
방풍
백랍
백련잎차
백렴
백미
백반
백부자
백조어
백하수오
백합
밴댕이
뱅어
벼루
병어
법주
보골지
보리
복령
복분자
복숭아
복어
부들
부자
부채
부추
붉나무
붕어
비빔밥
비자
뽕나무
사과
사슴
산나물
산삼
삼림욕
산수유
살구
삼릉
삼배
삼치
상합
상황버섯
새우
새우젓
생강
석결명
석곡
석류
석영
석이버섯
석청
석창포
소금
소라
소주
속새
송어
송이버섯
송화가루
수달
수박
수정
숙주
순채
숭어
승검초
식해
안동포
안식향
앵두
야콘
야콘잎차
약쑥
양귀비
어란
어리굴젓
어육장
엄나무
연밥
연어
연엽주
열목어
염전
엽삭젓
오가피
오미자
오곡
오골계
오정주
오죽
오징어
옥돔
옥로주
옹기
옻칠
왕골
용문석
우무
우황
울금
웅어
위어
유기
유자
유자차
유황
육포
은어
은행
이강주
이스라지
익모초
인삼
인삼주
잉어
자단향
자두
자라
자라돔
자연동
자하젓
작설차
작약
장군풀
장아찌
전모
전복
전어
전어젓
전통주
젓갈
젓새우
정어리
조개
조기
조홍시
좁쌀
종어
종이
주꾸미
죽렴장
죽로차
죽순
죽순채
죽염멸치
죽엽청주
죽피
죽합
준치
중국차
지라돔
지치
질경이
찐빵
참가사리
참게
참기름
참죽나물
참외
찹쌀
창출
천궁
천남성
천문동
청각
청국장
청란석
청목향
청자
초콜릿
초피나무
초하주
추성주
취나물
치자
칠선주
콩잎
토마토
토끼
토사자
토주
토파즈
토하젓
파전
패랭이
편두
포도
포도주
표고버섯
표범
하늘타리
학슬
한과
한라봉
한우
한지
해구신
해달
해삼
해파리
해홍나물
향나무
호도
호로파
호두
홍삼
홍삼절편
홍시
홍어
홍주
홍합
화개차
화문석
황기
황률
황벽나무
황어
황옥
황진이주
황태
회양목
후박
후추
흑돼지
흑염소
흑한우
로그인 l 회원가입

임자도전장포새우젓 1.jpg
 
 
궁궐의 담장에 꽃이 봉긋한 꽃망울
15-07-06 12:00

 궁궐의 담장에 꽃이 봉긋한 꽃망울을 터트리고, 또 어느 절집에 노란 햇살 비껴들어 함초롬히 피어난다. 그윽한 향기 그대로 아름다운 꽃을 피워온 우리네 꽃담은 바람에 떨어지지 않아 천년만년 피어난다. 조상들의 담은 집을 안팎으로 아름답게 만들어주는 공간이면서 세상과 소통하기 위한 열린 공간이다. 담의 높이는 안방 마루에 앉아 밖을 볼 때 눈높이보다 낮다. 아늑함을 주지만 외부인에게 담의 존재는 열린 공간이면서 내외, 성역, 신역 공간의 의미를 느끼는 무한 경계의 환경 예술로, 이 속에는 삶의 쉼표와 함께 정한과 열정 그리고 무욕무문의 기도가 숨쉰다. KT&G가 전주시에 기증한 전주 태평문화공원의 하이라이트는 경복궁 자경전을 닮은 꽃담이다. 길상문자인 수복, 강령, 부귀, 다남, 만수, 쌍희(囍) 등을 벽돌로 무늬를 놓아 쌓은 까닭에 더욱 운치를 더한다. 태평문화공원을 둘러싸고 있는 현대적 디자인의 꽃담은 소중한 문화유산을 후손들이 어떻게 활용하고 발전시켜 가야 할지 무언의 텔레그라피(Telegraphy)를 보내고 있다. 이 공원은 KT&G가 지난 2002년 전주연초제조창 폐창 이후 아파트 신규 공급사업을 추진하면서 관련법에 따라 단지 부지 3곳에 총 1만 2,126㎡ 규모의 개방형 근린공원을 조성, 전주시에 기부한 것이다. 이에 전주 시민들이 전통문화도시의 이미지와 옛 전주연초제조창이 자리했던 공간의 상징성을 언제든 편안하게 엿보고 즐길 수 있는 도심 속 휴식공간으로 자리할 것으로 믿어 의심치 않는다.  

 

최근 미술의 공공성을 중시하는 건축가들이 담장에 팝아트풍의 그래피티를 그려 넣곤 하지만 우리의 현대 건축물에서 담은 그저 건축물의 내부와 외부를 구분하거나, 주거의 안정성을 담보하는 기능만이 강조돼왔다. 하지만 우리가 이 담에 높은 예술성을 부여한 유구한 전통이 있었음을 혹시라도 아는지? 우리 선조들은 담에 길상(吉祥)적인 의미를 담은 글자나 꽃, 동물 등의 무늬를 새기곤 했는데 이 화려하고 아름다운 담들을 ‘꽃담’이라 부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러 무늬를 놓아 독특한 치장을 한 벽체나 굴뚝, 합각(지붕 위 용마루 옆면에 삼각형 벽으로 꾸민 부분), 담장의 통칭’으로 쓰고 있는 꽃담이 관광자원화가 되고 있지 않는 등 실생활에 활용 또는 적용되지 못해 아쉬움이 크다. 관계 당국의 무관심으로 인해 다양한 선의 굵기와 모양 등을 비교해 살펴볼 수 있는 임실 사선대의 꽃담은 와편을 활용한 대표적인 사례로 유명하지만 최근 들어 자취를 감추어 아쉬움을 주고 있다. 높아가는 문화산업적 수요에도 불구하고 지금에도 문화원형 사업은 성공 사례를 찾기 어려운, 여전히 많은 숙제를 안고 있다. 그 대안의 하나를 꽃담을 통해 찾아보았으면 한다. 그렇다면 한국의 꽃담이 세계로의 진입이 가능한가?

 

단언컨대, 꽃담은 요즘 바람이 불고 있는 ‘걷고 싶은 길’의 새로운 테마가 될 것이 분명하며 건축, 디자인, 인테리어, 한국 소개 달력으로 활용됨은 물론 다큐멘터리, 간행물, 소설, 영화, 드라마, 음악, 게임의 부재료 및 주재료의 소재 등 OSMU(One Source Multi Use, 하나의 콘텐츠를 영화, 게임, 책 등 다양한 방식으로 개발하여 판매하는 전략)로 널리 활용될 수 있다. 한국문화재보호재단의 경우, 꽃담을 응용한 여러종류의 문화상품을 개발·판매하고 있다. 경복궁 자경전의 꽃담을 다양한 재료와 기법으로 상품화 해 원형의 미를 살리면서 현대적 가치를 입히고있는 것이다. 안쪽에 글을 쓰고 종이를 접어 꽃담형태를 완성해 가는 접지형 카드를 비롯해 일러스트레이션 카드, 명함지, 경복궁 꽃담 엽서, 나전 명함함 등이 바로 그것이다. ‘해안선 따라 권역별 한국의 꽃담관광투어’를 상품으로 개발하면 어떨까. 서울 중구 태평 강북삼성병원 종합검진센터는 환자들이 환자복으로 갈아입은 후 대기하는 중앙휴게실에 황토로 만든 전통 꽃담을 설치해 그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게 했다.  

2010년 서울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 참석한 각국 정상, 국제기구 대표의 부인들은 꽃담, 창살무늬 등 한옥 특유의 아늑함을 느낄 수 있는 한국 전통 건축 디자인 및 실내 장식을 통해 한국의 아름다움을 만끽했다. 담과 석등 등 옛 궁궐의 전통조경을 테마로 정원을 만든 서울시내 한 아파트. 자연을 벗할 수만 있다면 어디든 ‘나의 정원’이 되는 까닭이다. 용인시 호암미술관 앞 전통정원 ‘희원’은 조경 전문가들이 근대 한국정원의 원형으로 꼽는 곳이다. 일본 가나가와현 요코하마시 미쓰이케 공원에 1994년 6월 4일 한국정원이 준공돼 꽃담을 통해 가나가와현에 사는 교민 3만여 명의 향수를 달래주는 명소가 됐다. 하지만 문화재(등록문화재 등)로 지정된 것은 4종에 불과한 실정으로, 체계적인 실태 조사가 절실하다. 꽃담은 이처럼 손가락에 꼽을 정도지만 보존을 위한 등록문화재(登錄文化財)로서의 가치가 충분하지 않을까 싶다.

 

이와 함께 꽃담을 만드는 화문장(花紋匠)도 하나둘씩 사라지고 있는 만큼 국가 문화재 지정을 서둘러야 할 때이다. 꽃담은 우리는 세계적으로도 천민과 백성, 양반, 그리고 황실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5,000년의 스펙트럼을 한눈에 볼 수 있는 드문 소재다. 대한민국의 흙으로 만든 마지막 문화유산인 꽃담이 건물의 일부로 판단돼 그 가치를 충분히 인정받지 못하고 있는 현실 속에 살고 있지 않나. 일례로 각급 기관의 화계(花階), 한국 전통정원조성, 정원박람회 등 축제에 꽃담 스토리텔링 미션, 꽃담의 문양을 활용한 내장 타일 개발 등 이를 활용한 각종 생활 소품 개발로 널리 활용되었으면 한다. 담이란 게 묘해 남을 배제하려고 쌓은 것이 결국 나를 종종 가두기도 한다. 하지만 나와 남을 가르는 구분이 이토록 아름답고 남과 나를 배려한 꽃담만 같다면 굳이 온갖 철학적 이념들을 끌어들여 머리 아파하지 않아도 될 듯하다. 따라서 한국의 꽃담은 분명히 세계시장에 내놓을만한 콘텐츠로 충분히 각광받을 수 있는 만큼 이에 따른 각종 대책 마련이 절실한 오늘이다.   

              글˚이종근 (새전북신문 문화교육부장) 출처: 한국문화재재단


   

                                      크기변환_13333.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