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래
가물치
가지
간재미
갈근
갈치
감자
감태
감초
감홍로주
강활
강황
게장
고구마
고등어
고본
고사리
고슴도치
고추
고추장
곤쟁이
골풀
곰취
곱돌
과루인
곶감
과메기
곽향
광어
구기자
구리
국수
국화차
굴비
금불초
기장
김치
꼬막
꼴뚜기
꽃게
꿀풀
나물
나전칠기
낙죽장도
낙지
냉이
노루
녹두
녹용
녹차
농어
뇌록
누치
느룹나무
느타리버섯
다시마
다람쥐
다래
다슬기
닥나무
단감
단목
달래
담비
담쟁이
당귀
대게
대구
대나무
대발
대추
더덕
더덕주
도라지
도루묵
도마뱀
도미
도자기
돈육
돈차
돌미역
돔배기
동래파전
동백기름
동충하초
돚자리
돼지
된장
두꺼비
두릅
두충
딸기
들기름
마늘
마뿌리
만화석
막걸리
망둥어
매생이
매실
맥문동
맨드라미
머루
머루주
메밀차
멸치
명란젓
명설차
명태
모과
모란
모래무지
모시
모자
목기
목화
무명
무우
문배주
문어
미나리
미역
민속주
민어
밀랍
박하
방풍
백랍
백련잎차
백렴
백미
백반
백부자
백조어
백하수오
백합
밴댕이
뱅어
벼루
병어
법주
보골지
보리
복령
복분자
복숭아
복어
부들
부자
부채
부추
붉나무
붕어
비빔밥
비자
뽕나무
사과
사슴
산나물
산삼
삼림욕
산수유
살구
삼릉
삼배
삼치
상합
상황버섯
새우
새우젓
생강
석결명
석곡
석류
석영
석이버섯
석청
석창포
소금
소라
소주
속새
송어
송이버섯
송화가루
수달
수박
수정
숙주
순채
숭어
승검초
식해
안동포
안식향
앵두
야콘
야콘잎차
약쑥
양귀비
어란
어리굴젓
어육장
엄나무
연밥
연어
연엽주
열목어
염전
엽삭젓
오가피
오미자
오곡
오골계
오정주
오죽
오징어
옥돔
옥로주
옹기
옻칠
왕골
용문석
우무
우황
울금
웅어
위어
유기
유자
유자차
유황
육포
은어
은행
이강주
이스라지
익모초
인삼
인삼주
잉어
자단향
자두
자라
자라돔
자연동
자하젓
작설차
작약
장군풀
장아찌
전모
전복
전어
전어젓
전통주
젓갈
젓새우
정어리
조개
조기
조홍시
좁쌀
종어
종이
주꾸미
죽렴장
죽로차
죽순
죽순채
죽염멸치
죽엽청주
죽피
죽합
준치
중국차
지라돔
지치
질경이
찐빵
참가사리
참게
참기름
참죽나물
참외
찹쌀
창출
천궁
천남성
천문동
청각
청국장
청란석
청목향
청자
초콜릿
초피나무
초하주
추성주
취나물
치자
칠선주
콩잎
토마토
토끼
토사자
토주
토파즈
토하젓
파전
패랭이
편두
포도
포도주
표고버섯
표범
하늘타리
학슬
한과
한라봉
한우
한지
해구신
해달
해삼
해파리
해홍나물
향나무
호도
호로파
호두
홍삼
홍삼절편
홍시
홍어
홍주
홍합
화개차
화문석
황기
황률
황벽나무
황어
황옥
황진이주
황태
회양목
후박
후추
흑돼지
흑염소
흑한우
로그인 l 회원가입


 
6201374eb8d072c1c58f17174e771a15_1519807770_929.jpg
 
 
 
숙맥의 유래의 유래
18-10-04 15:37

크기변환_1pc001007434.jpg
 

                                           주희는 중국 송나라의 훌륭한 학자예요.

훗날 사람들은 주희를 높이 기리어 '주자'라 부르며 공자, 맹자의 뒤를

잇는 유교 성인의 반열에 올려놓았지요. 그가 집대성한 성리학은 조성 500

년 통치의 바탕이 되는 등 우리 나라에도 큰 영향을 끼쳤어요.

어느 날 주희는 형을 앉혀 놓고 방바닥에 콩과 보리를 주르르 쏟았어요.

주희와 달리 주희의 형은 콩과 보리도 구별하지 못할 정도로 모자랐어요.

"형님, 잘 보십시오.

요렇게 크고 둥들둥글하게 생긴 게 콩이란 말입니."

크기변환_1pc001009214.jpg
 

주희는 콩을 들고 자세히 설명했어요. 형은 질질 흐르는 콧물을 훌쩍이

고는 고개를 갸우뚱거렸어요.

"아니.... 그건 보리 아닌가?"

주희는 답답했지만 형에게 화를 낼 수는 없었어요. 주희가 이번에는 보

리를 들고 찬찬히 그리고 부드럽게 말했어요.

"형님, 이게 보리입니다. 보세요. 콩보다 작고, 생긴 것도 콩은 동글동글

한데 보이는 납작하죠."

주희는 몇 번이나 되풀이해서 콩과 보리를 설명했어요. 콩과 보리를 번

갈아 가며 한참 뚫어지게 쳐다보던 형은 그제야 구별이 간다는 듯 고개를

끄덕였어요.

크기변환_1pc001021484.jpg
 

", 이제 알았어. 둥글고 큰 것이 콩이고,

약간 납작하고 작은 것이 보리지?"

", 형님 맞습니다."

주희는 가르친 보람이 있자 마음이 흐뭇했어요.

다음 날이었어요. 주희가 형에게 부탁했어요.

"형님, 창고에서 콩 좀 꺼내다 주실래요?"

형은 얼른 창고로 들어가 주희가 얘기한걸 부대째 가져왔어요. 그런데

부대를 들여다본 주희는 할 말을 잊고 말았어요.

"형님...!"

"아니, 뭐가 잘못된 거야?"

크기변환_1pc001021551.jpg
 

"어제 그렇게 얘기해 주었는데도.... 형님, 이건 보리잖아요, 보리!"

형은 무안을 당하자 얼굴이 새빨개졌어요.

한자 숙어에 '숙맥 불변'이란 말이 있는데 이는 콩과 보리도 구별하지 못

한다는 뜻이지요. 여기서 콩과 보리를 한자말로 하면 '숙맥'이에요. 즉 주희

의 형처럼 콩과 보리도 분간하지 못할 정도로 어리석은 사람을 가리켜 숙

맥이라고 해요.

요즘에는 이 말을 서로 친숙한 사람끼리 애정이 깃든 핀잔으로 쓰기도

하지요.

   



   
                                             크기변환_13333.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