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래
가물치
가지
간재미
갈근
갈치
감자
감태
감초
감홍로주
강활
강황
게장
고구마
고등어
고본
고사리
고슴도치
고추
고추장
곤쟁이
골풀
곰취
곱돌
과루인
곶감
과메기
곽향
광어
구기자
구리
국수
국화차
굴비
금불초
기장
김치
꼬막
꼴뚜기
꽃게
꿀풀
나물
나전칠기
낙죽장도
낙지
냉이
노루
녹두
녹용
녹차
농어
뇌록
누치
느룹나무
느타리버섯
다시마
다람쥐
다래
다슬기
닥나무
단감
단목
달래
담비
담쟁이
당귀
대게
대구
대나무
대발
대추
더덕
더덕주
도라지
도루묵
도마뱀
도미
도자기
돈육
돈차
돌미역
돔배기
동래파전
동백기름
동충하초
돚자리
돼지
된장
두꺼비
두릅
두충
딸기
들기름
마늘
마뿌리
만화석
막걸리
망둥어
매생이
매실
맥문동
맨드라미
머루
머루주
메밀차
멸치
명란젓
명설차
명태
모과
모란
모래무지
모시
모자
목기
목화
무명
무우
문배주
문어
미나리
미역
민속주
민어
밀랍
박하
방풍
백랍
백련잎차
백렴
백미
백반
백부자
백조어
백하수오
백합
밴댕이
뱅어
벼루
병어
법주
보골지
보리
복령
복분자
복숭아
복어
부들
부자
부채
부추
붉나무
붕어
비빔밥
비자
뽕나무
사과
사슴
산나물
산삼
삼림욕
산수유
살구
삼릉
삼배
삼치
상합
상황버섯
새우
새우젓
생강
석결명
석곡
석류
석영
석이버섯
석청
석창포
소금
소라
소주
속새
송어
송이버섯
송화가루
수달
수박
수정
숙주
순채
숭어
승검초
식해
안동포
안식향
앵두
야콘
야콘잎차
약쑥
양귀비
어란
어리굴젓
어육장
엄나무
연밥
연어
연엽주
열목어
염전
엽삭젓
오가피
오미자
오곡
오골계
오정주
오죽
오징어
옥돔
옥로주
옹기
옻칠
왕골
용문석
우무
우황
울금
웅어
위어
유기
유자
유자차
유황
육포
은어
은행
이강주
이스라지
익모초
인삼
인삼주
잉어
자단향
자두
자라
자라돔
자연동
자하젓
작설차
작약
장군풀
장아찌
전모
전복
전어
전어젓
전통주
젓갈
젓새우
정어리
조개
조기
조홍시
좁쌀
종어
종이
주꾸미
죽렴장
죽로차
죽순
죽순채
죽염멸치
죽엽청주
죽피
죽합
준치
중국차
지라돔
지치
질경이
찐빵
참가사리
참게
참기름
참죽나물
참외
찹쌀
창출
천궁
천남성
천문동
청각
청국장
청란석
청목향
청자
초콜릿
초피나무
초하주
추성주
취나물
치자
칠선주
콩잎
토마토
토끼
토사자
토주
토파즈
토하젓
파전
패랭이
편두
포도
포도주
표고버섯
표범
하늘타리
학슬
한과
한라봉
한우
한지
해구신
해달
해삼
해파리
해홍나물
향나무
호도
호로파
호두
홍삼
홍삼절편
홍시
홍어
홍주
홍합
화개차
화문석
황기
황률
황벽나무
황어
황옥
황진이주
황태
회양목
후박
후추
흑돼지
흑염소
흑한우
로그인 l 회원가입

b6529f68139e14bba1d6273328e6caeb_1525709770_0996.jpg
 
 

카페인 알고 먹자
20-08-03 14:28

무심코 먹는사탕, 초콜릿에 성장 저하 주범인 카페인이 들어 있다는 것, 아세요?

커피를 마시는 아이들은 거의 없지만 커피 우유, 커피맛 사탕, 초콜릿 아이스크림… 등은 대부분의 아이들이 좋아하는 음식이다. 하지만 이처럼 무심코 먹는 간식에 카페인이 상당 분량 들어 있어 아이의 건강을 해치고 있다. 이제는 엄마가 팔을 걷어붙이고‘식탁 위의 카페인 소탕작전’을 벌여야 할 때이다.


“커피는 안 돼!” 엄마가 마시는 커피에 호기심을 보이며 맛 보고 싶어 하는 아이들. 엄마는 카페인이 몸에 나쁘다는 것을 알기 때문에 애초부터 강하게 단속한다. 하지만 정작 콜라나 초콜릿, 커피 우유와 같은 간식은 별 생각 없이 아이들이 원하는 대로 준다. 콜라 한 캔에는 40mg에 달하는 카페인이 들어 있고, 초코바 하나에도 30mg 이상의 카페인이 들어 있다는 사실을 아는 엄마는 많지 않다. 커피 한잔에 60∼80mg 정도의 카페인이 들어 있는 것과 비교해볼 때 적지 않은 양임에도 경계심을 쉽사리 풀어버린다. 아이들이 먹는 간식에는 제대로 된 식품 규정이 없기 때문에 엄마들 역시 경각심 없이 무심코 먹이게 되는 것.

현재 우리나라 현행 식품첨가물 관련 규정에 따르면 식품의 카페인 함유량 표시를 의무화하고 있지 않으며, 아이들을 대상으로 한 카페인 섭취 기준조차 따로 마련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아이들이 얼마나 많은 양의 카페인을 섭취하고 있는지 알 수 없는 상황. 캐나다의 기준으로 미루어볼 때 만 4∼6세는 하루 45mg 이하, 7∼9세는 62.5mg 이하, 10∼12는 85mg 이하로 카페인 양을 제한하고 있는 것을 참고할 뿐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청은 앞으로 커피 우유, 커피 아이스크림 등 일정량 이상의 카페인이 함유된 식품은 포장지에 ‘고카페인’이라고 표시해야 한다는 내용의‘식품 표시 기준’개정안을 연말까지 마련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하지만 이러한 개정안은 고시된 후 2년이 지난 후에야 시행된다. 따라서 엄마들이 자체적으로 식탁 단속에 들어가야 한다. 우선 아이에게 카페인이 왜 나쁜지 하나씩 짚어나가자. 그 사실부터 인지한다면 식탁 위에 카페인 1mg도 허용하지 않게 될 것이다.
Plus Information…
카페인을 많이 먹는 아이들의 특징


1 침착하지 못하고 잠시도 가만있지 못한다.
2 신경질적이고 예민하다.
3 쉽게 흥분하고 격앙된다.
4 불면증이 있다.
5 설사를 곧잘 한다.
6 기분이 좋아졌다 나빠졌다 변덕스럽다.
7 우울하고 의기소침해진다.
8 얼굴이 상기되며 홍조를 띤다.
9 소변을 자주 본다.
10 소화를 잘 못하고 더부룩해할 때가 많다.
11 때때로 근육 경련이 있다.
12 두서없이 생각하고 말한다.
13 조용한 상태로 있지 못하고 늘 어수선하다.


카페인 소탕 작전 1 단계
카.페.인이 왜 나쁜지 시시콜콜 파헤쳐라


하지만 아이들은 어른과 달리 몸속에 한번 들어온 카페인은 3, 4일은 지나야 분해가 된다. 낮은 농도의 카페인을 섭취했다 하더라도 아이들에게 미치는 영향력은 크다.
카페인은 적은 양을 섭취할 경우에는 기분이 전환되고 소화를 촉진시켜준다. 또한 신경을 각성해 나른할 때 자극이 되어 일의 능률이 오르기도 한다. 하지만 아이들의 경우 다음과 같은 부작용이 생길 수 있다.

1 성장을 저하시킨다 ▶카페인은 아이들의 성장 필수 영양소인 칼슘을 체외로 다량 배출시킨다. 카페인 섭취가 많으면 소변으로 다량의 칼슘이 빠져나가 성장을 저해하며 동시에 뼈가 약해진다.

2 신경이 예민해진다 ▶카페인을 많이 섭취하게 되면 신경이 예민해진다. 이는 어른에게도 해당되는 사항. 특히 아이의 경우 불안감을 느끼고 신경질적인 반응을 보일 수 있다. 심할 경우 물건을 던지고 엄마를 때리는 등 폭력적인 현상을 보이기도 한다.

3 소화 능력을 떨어뜨린다 ▶카페인을 많이 섭취하게 되면 위산의 분비가 과도하게 증가된다. 위장 기능이 약한 아이들의 경우 카페인을 많이 먹게 되면 위산이 과다 분비되어 토하거나 배탈이 나기도 한다.


4 빈혈이 생길 수 있다 ▶카페인은 철분의 흡수를 방해한다. 하루가 다르게 부쩍부쩍 커가는 아이들에게 철분은 꼭 필요한 성분. 카페인을 다량 섭취할 경우 몸에 필요한 철분의 흡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빈혈이 생길 수 있으므로 조심해야 한다.


5 집중력이 떨어진다 ▶집중력 저하로 학습 장애가 온다. 카페인은 중추 신경계를 자극해 정신을 각성시킨다. 어른에게는 적당한 각성이 자극이 될 수 있지만 아이들의 경우 안절부절못하게 된다. 이뇨 작용이 활발해져 소변량이 증가해 화장실을 자주 찾게 되어 밤중에는 수면 리듬이 깨질 수도 있다.


카페인 소탕 작전 2단계
무심코 카.페.인 먹이는 생활 습관을 바꿔라


1 카페인이 들어간 간식의 리스트를 작성한다
카페인이 나쁘다는 것을 알면서도 아이에게 먹이게 되는 것은 어떤 간식에 카페인이 들어갔는지 아닌지를 잘 잊어버리기 때문. 우선 어떤 간식에 카페인이 들어 있는지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초콜릿, 녹차 아이스크림, 초코칩 과자, 초코볼, 코코아, 커피 아이스크림 등의 카페인이 함유된 간식의 리스트를 작성해 잘 보이는 데 붙여놓고 아이들에게 먹이지 않도록 한다.

2 커피나 초콜릿으로 맛을 낸 제품은 피한다
대부분의 초콜릿과 커피로 맛을 낸 과자나 아이스크림, 사탕에는 콜라보다도 많은 양의 카페인이 함유되어 있다. 제품의 성분상 초콜릿이 들어간 과자나 아이스크림, 커피가 들어간 먹을거리는 아이 간식 리스트에서 과감하게 빼도록 한다. 아이스크림도 바닐라나 딸기 아이스크림을 먹이도록 하며 과자나 사탕도 초콜릿이 섞이지 않은 것을 먹인다.


3 어차피 먹일 초콜릿이라면 옅은 색을 먹인다
단번에 초콜릿을 끊는다는 것은 사실 쉽지 않다. 처음에는 아이스크림과 초콜릿을 사줄 때 짙은 색보다 옅은 색의 밀크 초콜릿을 사주면서 서서히 초콜릿을 끊게 한다. 옅은 색상의 초콜릿이 진한 색상보다 카페인이 적게 들어 있기 때문이다. 또한 딱딱한 초콜릿보다는 부드럽게 씹히는 초콜릿이 카페인이 적은 편이다.

4 냉장고 속의 청량음료를 버려라
언제부터인지 냉장고에 청량음료를 넣어두는 것이 당연하게 여겨지고 있다. 불과 얼마 전까지만 해도 냉장고에 시원한 냉수나 보리차, 결명자차가 있었던 것과는 사뭇 다른 현실. 따라서 아이들은 자연스레 청량음료를 집어들게 된다. 아이들을 위해 냉장고에서 청량음료를 없애자. 평소 깨끗하고 맑은 물을 자주 마시는 습관을 갖도록 한다. 그 밖에도 미숫가루, 현미 식혜 등 영양가 높고 갈증을 달래주는 전통음료를 넣어두면 자연스럽게 청량음료와 멀어지게 된다.


5 카페인 함유 음료는 최대한 작은 용량을 구입한다
탄산음료나 커피가 들어간 음료 역시 단번에 끊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특히 갑작스레 못 먹게 하면 아이는 떼를 쓰게 된다. 집에서 안 주면 밖에서라도 언제든지 먹을 수 있는 게 현실이기도 하다. 막무가내로 조르는 아이에게는 카페인이 최대한 적게 든 음료를 주는 것도 카페인 음료를 서서히 줄여나갈 수 있는 방법이다.

6 영양 만점 자연 간식을 만들어준다
‘만점 간식’이라 함은 첫째, 몸에 좋은 자연의 재료로 간식을 만들어 식사 시간까지 배가 고프지 않을 정도로 먹이는 것이다. 과일, 빵, 고구마, 저지방 우유, 달걀 등을 골고루 먹이면 좋다. 자연 간식에 입맛이 길들면 인공 간식과는 저절로 멀어지게 된다.
Plus Information…
간식 속 카페인 양 얼마나 될까?

보통 밀크 커피 한 잔에 들어 있는 카페인은 66∼140mg이며, 홍차의 경우 30∼100mg이 들어 있다. 하지만 일상 속에서 아이들이 흔하게 먹는 간식들의 카페인 함유량도 만만치 않다. 캐나다의 경우 만 4∼6세 유아를 대상으로 한 유아 카페인 권장 섭취량은 하루 45mg 이하다. 그보다 어린 유아들의 경우 훨씬 적은 양의 카페인에도 민감하게 마련이다. 아이들의 다양한 군것질거리에 함유된 카페인 양을 체크해보자.

커피 우유 1잔 20.4∼54.4mg
콜라 250ml 1캔 25∼55mg
코코아 1잔 4mg
커피맛·초코맛 빙과류 1개 4∼44mg
초콜릿 100g 18.3~23.1mg
알맹이 초콜릿 1봉투 13.7mg
초코바 1개(40g) 30∼40mg
커피 아이스크림 1컵 17.7mg



   
                                             크기변환_13333.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