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래
가물치
가지
간재미
갈근
갈치
감자
감태
감초
감홍로주
강활
강황
게장
고구마
고등어
고본
고사리
고슴도치
고추
고추장
곤쟁이
골풀
곰취
곱돌
과루인
곶감
과메기
곽향
광어
구기자
구리
국수
국화차
굴비
금불초
기장
김치
꼬막
꼴뚜기
꽃게
꿀풀
나물
나전칠기
낙죽장도
낙지
냉이
노루
녹두
녹용
녹차
농어
뇌록
누치
느룹나무
느타리버섯
다시마
다람쥐
다래
다슬기
닥나무
단감
단목
달래
담비
담쟁이
당귀
대게
대구
대나무
대발
대추
더덕
더덕주
도라지
도루묵
도마뱀
도미
도자기
돈육
돈차
돌미역
돔배기
동래파전
동백기름
동충하초
돚자리
돼지
된장
두꺼비
두릅
두충
딸기
들기름
마늘
마뿌리
만화석
막걸리
망둥어
매생이
매실
맥문동
맨드라미
머루
머루주
메밀차
멸치
명란젓
명설차
명태
모과
모란
모래무지
모시
모자
목기
목화
무명
무우
문배주
문어
미나리
미역
민속주
민어
밀랍
박하
방풍
백랍
백련잎차
백렴
백미
백반
백부자
백조어
백하수오
백합
밴댕이
뱅어
벼루
병어
법주
보골지
보리
복령
복분자
복숭아
복어
부들
부자
부채
부추
붉나무
붕어
비빔밥
비자
뽕나무
사과
사슴
산나물
산삼
삼림욕
산수유
살구
삼릉
삼배
삼치
상합
상황버섯
새우
새우젓
생강
석결명
석곡
석류
석영
석이버섯
석청
석창포
소금
소라
소주
속새
송어
송이버섯
송화가루
수달
수박
수정
숙주
순채
숭어
승검초
식해
안동포
안식향
앵두
야콘
야콘잎차
약쑥
양귀비
어란
어리굴젓
어육장
엄나무
연밥
연어
연엽주
열목어
염전
엽삭젓
오가피
오미자
오곡
오골계
오정주
오죽
오징어
옥돔
옥로주
옹기
옻칠
왕골
용문석
우무
우황
울금
웅어
위어
유기
유자
유자차
유황
육포
은어
은행
이강주
이스라지
익모초
인삼
인삼주
잉어
자단향
자두
자라
자라돔
자연동
자하젓
작설차
작약
장군풀
장아찌
전모
전복
전어
전어젓
전통주
젓갈
젓새우
정어리
조개
조기
조홍시
좁쌀
종어
종이
주꾸미
죽렴장
죽로차
죽순
죽순채
죽염멸치
죽엽청주
죽피
죽합
준치
중국차
지라돔
지치
질경이
찐빵
참가사리
참게
참기름
참죽나물
참외
찹쌀
창출
천궁
천남성
천문동
청각
청국장
청란석
청목향
청자
초콜릿
초피나무
초하주
추성주
취나물
치자
칠선주
콩잎
토마토
토끼
토사자
토주
토파즈
토하젓
파전
패랭이
편두
포도
포도주
표고버섯
표범
하늘타리
학슬
한과
한라봉
한우
한지
해구신
해달
해삼
해파리
해홍나물
향나무
호도
호로파
호두
홍삼
홍삼절편
홍시
홍어
홍주
홍합
화개차
화문석
황기
황률
황벽나무
황어
황옥
황진이주
황태
회양목
후박
후추
흑돼지
흑염소
흑한우
로그인 l 회원가입

1만원의기적.jpg
 
 
마음 한 자락 덜어놓고 갈수 있는 절 영월암

마음 한 자락을 덜어놓고 가도, 한 점 미련이 남지 않을 듯한 암자. 넓지 않은 경내에는 그저 어디서 털버턱 주저 앉아도 마음이 편한 것만 같다. 이천시 향토유적 제14호로 지정된 영월암. 1300여 년이라는 긴 역사를 자랑하고 있는 아름다운 암자다.
 
영월암은 원래는 ‘북악사’란 이름으로 문헌상에 나타나고 있는 고찰이다. 영월암 중건기에 따르면 신라 제30대 문무왕 때에 의상조사가 창건하였다고 하나, 이를 뒷받침할 문헌이나 금석문 등은 전하지 않는다.
    
흐르는 땀을 연신 닦아내며 오른 영월암. 입구에는 수령 640년이 되었다는 은행나무가 한그루 서 있다. 이 은행나무는 나옹대사가 식수하였다고 전한다. 수고는 37m에 둘레는 5m가 되는 보호수이다.
 
은행나무 옆에 마련된 의자에 앉아 잠시 숨을 고른다. 영월암, 설봉산 주봉 아래에 고즈넉히 자리를 잡은 이 암자는 결코 자연을 벗어나지 않는 겸손함이 배어 있다. 그저 얼핏 구름을 닮았다는 생각이 든다. 오랜 세월 설봉산을 넘어 흐르는 구름을 따라, 그렇게 마음 편히 만날 수 있는 그런 암자이다.
 
대웅전을 지나 왼편 암벽 위에 서 있는 삼성각으로 오른다. 영월암 삼성각에는 중앙에 유리로 앞을 가리고 뒤편 암벽에 판 후 독성을 모셔놓았다. 그 독성이 혹 나옹선사가 아니었을까? 그저 혼자만의 생각이 멋 적어 허공에 빈 웃음을 날려본다.
 
삼성각 곁에는 와편을 쌓아 올린 굴뚝이 서 있어 멋스러움을 더한다. 전국의 수많은 고찰을 찾아다니면서 보면 그 하나하나가 다 아름답지만, 그 중에도 눈에 띠는 이러한 조형물 하나는 꼭 있기 마련이다.
 
구름에 떠가는 듯한 느낌이
 
삼성각 앞에서 내려다 본 영월암. 그저 조용하게 숨을 죽이듯 엎드려 있다. 그 많은 날들을 그렇게 조용히 앉아, 참선에 든 수도승처럼, 영월암은 그렇게 지내왔는가 보다. 가지런히 줄지어 있는 기와들이 참 정연하단 생각을 한다. 작은 것 하나라도 소중히 여기는 그러한 마음을 알려주려는 것인지, 누군가 도토리 몇 알을 게단 한편에 모아놓았다.
 
삼성각에서 내려오는 계단 밑을 보니 석조 안에 꽃들이 가득하다. 저런 것 하나도 저리 아름답게 꾸밀 수 있는 마음이 있어, 영월암은 구름을 닮았나보다. 우물 뚜껑 위에는 영월암 스님이 닦아서 말리려는 듯 다구들이 늘어져 있다. 깨끗하게 닦여진 다구들. 세상에 찌든 마음을 저렇게 닦아낼 수만 있다면. 오늘 영월암에 올라 나도 구름을 닮은 마음을 가져본다.
 
 
 
암벽에 새겨진 마애불, 그 앞에서 마음을 멈춘다.
 
보물 제822호 마애불을 바라보며 오르다가 보면 좌측에 이천시 향토유적 제3호로 지정이 되어있는 석조광배 및 연화좌대를 볼 수가 있다. 영월암 창건 당시에 조성한 것으로 추정되는 이 유물은 주불이 없어 안타깝다. 문화재 답사를 하기 위해 전국을 다니다가 보면, 이렇게 일부가 훼파되거나 사라진 문화재가 있어 마음이 아프다.
 
 
 
높이 9.6m의 거대한 이 마애불은 ‘마애여래불’로 명칭을 붙였지만, 민머리 등으로 보아 ‘마애조사상’으로 보인다. 둥근 얼굴에 눈, 코와 입을 큼지막하게 새겼다. 두툼한 입술에 넙적한 코, 지그시 감은 눈과 커다랗게 양편에 걸린 귀. 그저 투박하기만 한 이 마애불에서 친근한 이웃집 어른을 만난 듯하다. 두 손은 가슴에 모아 모두 엄지와 약지를 맞대고 있다. 오른손은 손바닥을 바깥으로, 왼손을 안으로 향했다.
 
고려 전기에 조성이 되었다고 하면 천년 세월을 이 자리에 서 있었다는 것이다. 그런데도 보존 상태가 양호하다. 전국을 돌면서 우리 문화재를 답사하다가 보면, 만나는 문화재마다 그 하나하나가 모두 소중하다.
 
 
문화는 느끼는 것이다. 그리고 바라보며 그 소중함을 일깨우는 것이다. 낙서에 훼파를 한다면 소중한 문화유산을 어떻게 지켜갈 수가 있을까? 영월암 대웅전 뒤편 암벽에 조성된 마애불은 그런 속된 세상이 보기 싫어 아예 눈을 감아 버렸나보다. 하늘을 바라보며 구름을 닮은 마음을 갖고 있는 영월암. 설봉산 위로 흘러가는 구름을 따라, 찌든 마음 하나를 훌훌 털어버린다.
출처 : http://rja49.tistory.com/
 
 

 
   
 

                                             크기변환_13333.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