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래
가물치
가지
간재미
갈근
갈치
감자
감태
감초
감홍로주
강활
강황
게장
고구마
고등어
고본
고사리
고슴도치
고추
고추장
곤쟁이
골풀
곰취
곱돌
과루인
곶감
과메기
곽향
광어
구기자
구리
국수
국화차
굴비
금불초
기장
김치
꼬막
꼴뚜기
꽃게
꿀풀
나물
나전칠기
낙죽장도
낙지
냉이
노루
녹두
녹용
녹차
농어
뇌록
누치
느룹나무
느타리버섯
다시마
다람쥐
다래
다슬기
닥나무
단감
단목
달래
담비
담쟁이
당귀
대게
대구
대나무
대발
대추
더덕
더덕주
도라지
도루묵
도마뱀
도미
도자기
돈육
돈차
돌미역
돔배기
동래파전
동백기름
동충하초
돚자리
돼지
된장
두꺼비
두릅
두충
딸기
들기름
마늘
마뿌리
만화석
막걸리
망둥어
매생이
매실
맥문동
맨드라미
머루
머루주
메밀차
멸치
명란젓
명설차
명태
모과
모란
모래무지
모시
모자
목기
목화
무명
무우
문배주
문어
미나리
미역
민속주
민어
밀랍
박하
방풍
백랍
백련잎차
백렴
백미
백반
백부자
백조어
백하수오
백합
밴댕이
뱅어
벼루
병어
법주
보골지
보리
복령
복분자
복숭아
복어
부들
부자
부채
부추
붉나무
붕어
비빔밥
비자
뽕나무
사과
사슴
산나물
산삼
삼림욕
산수유
살구
삼릉
삼배
삼치
상합
상황버섯
새우
새우젓
생강
석결명
석곡
석류
석영
석이버섯
석청
석창포
소금
소라
소주
속새
송어
송이버섯
송화가루
수달
수박
수정
숙주
순채
숭어
승검초
식해
안동포
안식향
앵두
야콘
야콘잎차
약쑥
양귀비
어란
어리굴젓
어육장
엄나무
연밥
연어
연엽주
열목어
염전
엽삭젓
오가피
오미자
오곡
오골계
오정주
오죽
오징어
옥돔
옥로주
옹기
옻칠
왕골
용문석
우무
우황
울금
웅어
위어
유기
유자
유자차
유황
육포
은어
은행
이강주
이스라지
익모초
인삼
인삼주
잉어
자단향
자두
자라
자라돔
자연동
자하젓
작설차
작약
장군풀
장아찌
전모
전복
전어
전어젓
전통주
젓갈
젓새우
정어리
조개
조기
조홍시
좁쌀
종어
종이
주꾸미
죽렴장
죽로차
죽순
죽순채
죽염멸치
죽엽청주
죽피
죽합
준치
중국차
지라돔
지치
질경이
찐빵
참가사리
참게
참기름
참죽나물
참외
찹쌀
창출
천궁
천남성
천문동
청각
청국장
청란석
청목향
청자
초콜릿
초피나무
초하주
추성주
취나물
치자
칠선주
콩잎
토마토
토끼
토사자
토주
토파즈
토하젓
파전
패랭이
편두
포도
포도주
표고버섯
표범
하늘타리
학슬
한과
한라봉
한우
한지
해구신
해달
해삼
해파리
해홍나물
향나무
호도
호로파
호두
홍삼
홍삼절편
홍시
홍어
홍주
홍합
화개차
화문석
황기
황률
황벽나무
황어
황옥
황진이주
황태
회양목
후박
후추
흑돼지
흑염소
흑한우
로그인 l 회원가입

e8ccf7afdd6c52258b6fbe6c00a9fd6a_1443601259_4273.jpg
 
 녹반(綠礬),청반(靑礬), 강반(絳礬), 조협반(皂莢礬), 조반(皂礬), 흑반(黑礬), 토록반(土綠礬), 수록반(水綠礬), 청명반(靑明礬), 남반(濫礬), 청반석(靑礬石)
 

약재명: 녹반(綠礬)   
학명: Melanterite
라틴명: Melanterium
일반명: 수록반
과명: 황산염류
약용부위: 광물
효능: 보혈소적(補血消積), 조습살충(燥濕殺蟲), 조습화담(燥濕化痰), 해독염창(解毒斂瘡) 동의보감(東醫寶鑑)
주치병증: 혈허위황(血虛萎黃), 감적(疳積), 복창비만(腹脹痞滿), 장풍변혈(腸風便血), 창양궤란(瘡瘍潰爤), 후비구창(喉痹口瘡), 개선(疥癬), 소양(瘙痒), 난현풍안(爛弦風眼) 동의보감(東醫寶鑑)
수치법: 초쉬녹반(醋淬綠礬): 녹반(綠礬)의 생품은 세도제(洗塗劑)로 많이 외용(外用)하는데 조습(燥濕), 지양(止痒), 살충(殺蟲) 작용이 있어 습진(濕疹), 개선(疥癬), 창독(瘡毒)에 적용함. 그러나 하(煆)하면 수분을 잃어 물에 녹지 않기 때문에 내복할때에 구토를 일으키므로 초쉬(醋淬)하여 구토를 감소시키고 간경(肝經)에 들어가 보혈해독(補血解毒) 작용을 하며 살충 효능도 강화시킴. 녹반을 미초(米醋)와 함께 내화(耐火) 용기에 넣고 센 불로 달굼. 녹반이 녹으면 대막대기로 잘 젓고 미초와 충분히 혼합하여 다시 가열해 벌겋게 되면 꺼내서 냉각시킴.
하녹반(煆綠礬): 녹반(綠礬)은 조습지양(燥濕止痒), 살충작용(殺蟲作用)이 있어 습진(濕疹), 개선(疥癬), 창독(瘡毒)에 외용(外用)한다. 그러나 하(煆)하면 수분(水分)을 잃어 물에 녹지않기 때문에 내복(內服)할 수 있고 구토(嘔吐)와 같은 부작용(副作用)이 없어지고 조습지양작용(燥濕止痒作用)이 강화된다. 녹반을 내화(耐火) 용기에 넣고 센 불로 하(煆)하여 벌겋게 투명해지면(홍투(紅透)) 꺼내어 식혀서 곱게 가루 냄. 운곡본초학(耘谷本草學)
이명: 청반(靑礬), 강반(絳礬), 조협반(皂莢礬), 조반(皂礬), 흑반(黑礬), 토록반(土綠礬), 수록반(水綠礬), 청명반(靑明礬), 남반(濫礬), 청반석(靑礬石)
성미: 산함(酸鹹), 한(寒), 무독(無毒)
작용부위: 간(肝), 비(脾)

진상품관련근거
녹반은 강원도(금화현) 경기도(지평현,가평현,삭력군, 양주목,여주목,장단도호부,포천현) 충청도(단양군,청주목,청산현,청풍군,연산현, 진잠현) 전라도(고산현(완주) 평안도(순천군) 함경도(갑산도호부,길성현) 황해도(평산도호부)에서 진상하였다는 기록이 신증동국여지승람에 기록되어있다.

포함처방
녹반환(綠礬丸)C, 소식산(消食散)B, 오현산(五玄散), 유조입효산(油調立效散)B, 조자녹반환(棗子綠礬丸), 조장환(釣腸丸), 녹반환(綠礬丸)A, 조장원(釣腸圓)A, 조장원(釣腸圓)B, 조장원(釣腸圓)C, 첨자창(簽刺瘡)의우방(又方), 녹반산(綠礬散), 취후산(吹喉散)D, 조반환(棗礬丸), 록반환(緑礬丸), 아감산(牙疳散), 녹반환(綠礬丸)B, 조경분법(造輕粉法), 조장원(釣腸圓)D, 웅황산(雄黃散)F, 퇴황환(退黃丸)D, 조장원(釣腸圓)E, 유조입효산(油調立效散)A, 무기환(戊己丸)F, 가미오령산(加味五笭散)I 

약재키워드:녹반(綠礬), 강반(絳礬), 남반(濫礬), 수록반(水綠礬), 조반(皂礬), 조협반(皂莢礬), 청명반(靑明礬), 청반(靑礬

약재의 효능
조습(燥濕)  (고조(苦燥)한 약물로 습사(濕邪)를 제거하는 방법으로 중초습증(中焦濕證)에 적용.) 
화담(化痰)  (담(痰)을 삭이는 방법을 말함) 
소적(消積)  (적취(積聚)를 제거하는 효능임) 
살충(殺蟲)  (기생충을 없애는 효능임) 
해독(解毒)  (독성(毒性)을 풀어주는 효능임) 
지혈(止血)  (출혈(出血)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보혈(補血)  (보법의 하나로서 혈허증(血虛證)을 치료하는 방법임.) 
염창(斂瘡)  (창(瘡)을 아물고 수렴시키는 효능을 가리키는 용어임.)
약재사용처방 녹반환(綠礬丸) /  황달(黃疸) 
소식산(消蝕散) /  옹저(癰疽) 
유조입효산(油調立效散) /  습개(濕疥) 
조자녹반환(棗子綠礬丸) /  황달(黃疸) , 황반(黃胖) 
조장환(釣腸丸) /  치(痔) , 탈항(脫肛) 
취후산(吹喉散)[3] /  후폐(喉閉) 

起源: 硫酸鹽類의 광물인 水綠礬(melanterite)의 鑛石 혹은 화학합성물.
形態: 인공적으로 만든  함수황산철이다.  불규칙한  粒狀을 보이며 크기가 일정하지 않다. 綠色이고 반투명 내지 투명하다. 質은 비교적 푸석거리고 쉽게 부숴지며, 단면은 엷은 綠色이고  유리와 비슷한 광 택이 난다. 옐醮잔없고 맛은 酸澁하며, 공기중에서쉽게 수분을 잃어버려서 無 水 황산철로 변하고 분말처럼 되며 퇴색한다.
分布: 중국의 甘肅의 白銀廠 등지에서 일찍부터 생산되었다.
採取 및 製法: 인공적으로 만든다. 밀폐저장하여 변색되거나 습기차는 것을 방지한다.
成分: 함수황산철.
氣味: 酸, 澁, 凉.
效能: 燥濕化痰, 消積殺蟲, 止血補血, 解毒斂瘡.
主治: 疳積久痢, 腸風便血, 血虛萎黃, 濕瘡疥癬, 咽喉口瘡, 爛弦風眼.
用量:3-5g. 外用할 때에는 가루로 내어 患部에 뿌리거나 바르며 綠礬을 녹인 물로 씻어 내기도 한다.

참고문헌
신증동국여지승람, 문화컨텐츠닷컴, 한국지식전통포탈, 익생닷컴, 동의보감,운곡본초학(耘谷本草學)


로고_임금님진상품_카페용150.jpg

   

                                            크기변환_13333.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