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과 천식을 치료하는 안신약 자석(磁石)은 일상생활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그런 자석을 말하는 것으로, 더 정확하게 하자면 첨정석족(尖晶石族)에 속한 자철광입니다. 채취 후 잡석을 제거하고 아주 잘게 분말을 내어 햇볕에 말리면 됩니다. 우리나라의 광산지대에서 산출되는데 특히 강원도 삼척과 경북 영덕이 유명합니다. 철(FeO)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중국에서는 빈혈을 치료할 때도 사용됩니다.
다른 이름(異名) : 현석(玄石), 흡침석(吸針石), 철석(鐵石)
생약명(生藥名) : Magnetitum
기원(基原) : 자철광 (Magnetite)
성미(性味) : 성은 한(寒)하고, 미는 신함(辛鹹)하다.
귀경(歸經) : 간, 심, 신경효능(效能) : 안신진경(安神鎭驚), 평간잠양(平肝潛陽), 총이명목(聰耳明目), 납기평천(納氣平喘)
주치(主治) : 번조실면(煩燥失眠), 경계(驚悸), 전간(癲癎), 두훈목현(頭暈目眩),시물혼화(視物昏花), 이명이롱(耳鳴耳聾), 신허천역(腎虛喘逆)자석, 자철광, 磁石, Magnetitum, magnetite, magnet광물성이라 재질이 무거워 침강하는 성질이 있어서 들뜬 양기(陽氣)를 진정시킵니다.자석의 짠 맛은 신경(腎經)으로 들어가 진음(眞陰)을 보호하고, 차가운 성질은 열을 꺼뜨려줍니다.신장은 귀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신을 보익(補益)하여 이명을 치료할 수 있고, 간은 눈과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간을 보익하여 눈이 혼탁한 것을 치료할 수 있습니다.간과 신장은 모두 음장(陰臟, 음에 속하는 장부)인데 이들이 허하면 허화(虛火, 가짜 火)가 치밀어 올라 정신이 불안해지게 됩니다. 그런데 자석은 차갑고 무거운 성질을 가진데다 맛이 짜서 신경(腎經)으로 들어갈 수 있기 때문에 이런 병증을 치료할 수 있는 것입니다. 자석은 생으로 쓰거나 불에 달궜다가 식초에 담금질하는 방법(醋淬)을 써서 부서지기 쉽게 한 다음 미세하게 갈아서 사용합니다. 정신을 안정시키거나 간열을 진정시킬 때는 생으로 쓰고, 눈과 귀가 어둡거나 천식을 치료할 때는 식초에 담금질하여 사용합니다.참고로 담금질하기 위해 불에 달굴 때는 섭씨 700도 정도가 적당합니다. 자석은 금속 물질이므로 기를 상하게 하고 소화를 방해하기 때문에 오래 복용하는 것은 좋지 않다고 하는데 실상은 쓸 일이 거의 없습니다. 자석은 일본에서는 사용되지 않는데 이런 광물 약재는 우리나라에서도 일반적으로 임상에서 잘 쓰이지 않는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합니다.
약재명: 자석(磁石)
학명: Magnetite
라틴명: Magnetitum
일반명: 자철광
과명: 산화물류
약용부위: 광물
약재성상: 이 약은 고르지 않은 덩어리 모양으로서 대부분은 팔면정체를 하고 그 밖에 일부분은 마름형의 십이면정체의 결정형이다. 바깥면은 회흑색-흑갈색의 철과 같은 금속 광택을 나타내며 가는 주름무늬가 있고, 군데군데 홍갈색의 물질이 있다. 무겁고 치밀하여 굳다.
효능: 강골(强骨), 명목(明目), 보신(補腎), 익정(益精), 총이(聰耳), 납기평천(納氣平喘), 진경안신(鎭驚安神), 평간잠양(平肝潛陽) 동의보감(東醫寶鑑))
주치병증: 이명이롱(耳鳴耳聾), 두훈목현(頭暈目昡), 불면경간(不眠驚癎), 심신불안(心神不安), 허천(虛喘), 심계정충(心悸怔忡) 동의보감(東醫寶鑑)
수치법: 불순물을 제거하고 부드럽게 갈던지 또는 홍투(紅透)하고 담초(淡醋)내에 10번 쉬(淬)하고 부드럽게 갈아쓴다. 운곡본초학(耘谷本草學)
이명: 지남석(指南石), 현석(玄石), 자군(磁君), 자석(慈石), 처석(處石), 연년사(延年沙), 속미석(續未石), 습침(拾針), 녹추(綠秋), 복석모(伏石母), 현무석(玄武石), 원무석(元武石), 제류장(帝流漿), 자석(瓷石), 협철석(燲鐵石), 흡철석(吸鐵石), 흡침석(吸針石), 영자석(靈磁石), 활자석(活磁石), 웅자석(雄磁石), 섭석(攝石), 철석(鐵石), 희철석(戱鐵石), 화협석(火劦石), 흡침(吸鍼), 현침자석(懸針慈石), 모자석(毛磁石), 지남철
성미: 신(辛), 한(寒), 함(鹹)
작용부위: 간(肝), 신(腎), 심(心), 폐(肺)
금기: 비위(脾胃)가 허약(虛弱)한 환자는 다복(多服), 장복(長服)하지 말아야 한다.
포함처방
가미자주환(加味磁朱丸)A, 냉보환(冷補丸)A, 보골지환(補骨脂丸)A, 보신환(補腎丸)A, 사신탕(瀉腎湯)A, 석자제니탕(石子薺苨湯)A, 소신산(燒腎散), 신력탕(腎瀝湯)A, 위피산(猬皮散)A, 익수고진단(益壽固眞丹), 익신산(益腎散)A, 자석양신환(磁石羊腎丸)A, 지황탕(地黃湯)A, 태을신정단(太乙神精丹), 투철관법(透鐵關法), 신력탕(腎瀝湯)B, 자석양신환(磁石羊腎丸)B, 가미자주환(加味磁朱丸)B, 냉보환(冷補丸)B, 단자석산(單磁石散), 보골지환(補骨脂丸)B, 사신탕(瀉腎湯)B, 양기단(養氣丹)A, 위피산(蝟皮散)A, 은우산(銀右散), 익신산(益腎散)B, 자석양신환(磁石羊腎丸)C, 자석탕(磁石湯), 조충흑백환(釣蟲黑白丸), 종용환(蓯蓉丸), 현빈태극환(玄牝太極丸), 증손흑석단(增損黑錫丹)A, 석자제니탕(石子薺苨湯)B, 옥쇄고진단(玉鎖固眞丹), 위피산(猬皮散)B, 안신원(安腎圓)F, 총용원(蓯蓉圓)B, 구성방(久聲方), 지황원(地黃圓)C, 자설(紫雪)C, 신력탕(腎瀝湯)C, 자석원(磁石圓)A, 가미자주원(加味磁朱圓), 대보신원(大補腎圓), 대자석원(代赭石圓), 신열탕(腎熱湯), 자설단(紫雪丹), 자설(紫雪)D, 가미자주환(加味磁朱丸)C, 자석환(磁石丸), 자주환(磁硃丸)
약재키워드: 자석(磁石), 녹추(綠秋), 마그네티트, 마그네틱철광석, 마그네틱철산화물, 모자석(毛磁石), 복석모(伏石母),
주치증상
"<本經(본경)>: 風濕(풍습)의 邪氣(사기)에 의하여 온몸이 저린 증상, 관절이 아프고 물건을 들지 못하는 증상, 머리가 시리고 아픈 증상을 치료한다. 고열과 가슴이 답답하고 귀가 잘 들리지 않는 증상을 치료한다.
<別錄(별록)>: 腎臟(신장)을 돕고 骨(골)을 튼튼하게 하고 精(정)을 북돋우며 가슴이 답답하고 열나는 증상을 치료하고 관절을 원활하게 만들고 부스럼과 임파선염을 가라앉힌다. 목 주위의 임파선염과 인후통증, 소아가 고열로 경련하는 경우에 제련하여 물에 타서 마신다. 또한 불임을 치료한다.
<甄權(견권)>: 남성의 성기능저하를 치료하고 쇠약해서 발생하는 경련이나 근육질환을 치료한다. 신체를 튼튼하게 하여 허리가 불편한 증상에 자석을 넣어 치료한다.
<池大明(지대명)>: 근육과 골격이 쇠약해지고 수척해지는 것을 치료하며 과로로 인한 쇠약, 눈 앞에 별이 반짝이는 증상을 치료하며 가슴이 답답하고 안절부절하는 증상을 없앤다. 어린아이가 바늘을 잘못 삼켰을 때 자석을 곱게 갈아서 근육을 손상시키니 않도록 하여 가루를 삼켜서 밖으로 배출시킨다.
<李時珍(이시진)>: 눈과 귀를 밝게 하고 창칼에 다친 상처를 지혈시킨다."
약물이름의 기원
"이명으로는 慈石(자석), 玄石(현석), 處石(처석), 熁鐵石(협철석), 吸鍼石(흡침석)이 있다.
陳藏器(진장기): 慈石(자석)은 鐵(철)을 끌어당기는 것이 자애로운 어머니가 자식을 부르는 것과 같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李時珍(이시진): 돌이 자애롭지 못하다면 鐵(철)을 끌어당길 수 없을 것이다. 이것을 玄石(현석)이라고도 하는데, <名醫別錄(명의별록)>에서는 玄石(현석)이라는 조문 아래에 慈
石(자석) 거듭 기재되어 있다."
진상품관련근거
자석은 강원도(철원도호부,고성군,최양도호부)에서 진상하였다는 기록이 여지도서,신증동국여지승람에 기록되어있다,
자석(磁石) / 자석
라틴명: Magnetitum
약재의 효능
보신(補腎): (신(腎)을 보하는 효능임)
평간잠양(平肝潛陽): (간장(肝臟)의 기운을 조화롭게 유지하여 비정상적으로 부월(浮越)하는 양사(陽邪)를 잠재우는 효능임)
납기평천(納氣平喘): (신(腎)이 허한 것을 보하여 납기(納氣)기능이 장애된 것을 치료하여 천식을 멈추는 효능임)
익정(益精): (정기(精氣)를 보익(補益)하는 효능임)
강골(强骨): (뼈를 강하게 하는 효능임)
진경안신(鎭驚安神): (잘 놀라는 것을 진정시키고 안신(安神)하는 효능임)
명목(明目): (눈을 밝게 하는 효능임)
총이(聰耳): (귀가 잘 들리지 않을때 귀를 밝게 하는 효능임)
작용부위: 간(肝) , 신(腎) , 심(心)
성미: 한(寒) , 함(鹹)
약전기재: 중국약전 , 한국생약규격집
주의사항: 산화철
약재사용처방
가미자주환(加味磁朱丸) / 안목혼암(眼目昏暗)
냉보환(冷補丸) / 신허요통(腎虛腰痛) , 이롱(耳聾)
보골지환(補骨脂丸) / 노롱(勞聾)
보신환(補腎丸)[2] / 안목혼암(眼目昏暗) , 내장(內障)
사신탕(瀉腎湯) / 임(淋)
석자제니탕(石子薺苨湯) / 강중(强中)
소신산(燒腎散) / 노롱(勞聾)
숙지황환(熟地黃丸) / 안화(眼花)
신력탕(腎瀝湯) / 신장풍(腎臟風)
위피산(蝟皮散) / 탈항(脫肛)
익수고진단(益壽固眞丹) / 허로(虛勞)
익신산(益腎散) / 신허이롱(腎虛耳聾)
자석(磁石)[1] / 신허이롱(腎虛耳聾)
자석(磁石)[2] / 구롱(久聾)
자석(磁石)[3] / 철기입복자통(鐵器入腹刺痛)
자석(磁石)[4] / 신허요통(腎虛腰痛)
자석양신환(磁石羊腎丸) / 이롱(耳聾)
지황탕(地黃湯) / 이중청(耳重聽)
태을신정단(太乙神精丹) / 온학(溫瘧) , 곽란(霍亂) , 전광(癲狂) , 객오(客忤)
투철관법(透鐵關法) / 이롱(耳聾)
해금은동석철독(解金銀銅錫鐵毒) / 금은동석철독(金銀銅錫鐵毒)
자석 磁石
起源: 산화물류의 광물인 磁鐵鑛 Magnotite 의 광석.
形態: 等軸晶系이다. 結晶은 菱形 十二面體, 八面體 등이고 대부분 粒塊狀의 집합체이다. 鐵黑色 혹은 暗藍色의 녹빛을 띤다. 條痕은 흑색이고 반금속광택을 가진다. 解理되지 않고,斷口(깨어진 면)는 평탄치 않다. 경도는 5.5~6.5이고, 밀도는 5.16~5.18g/cm3이며, 强磁性이 있고, 부스러지기 쉽다. 無臭,無味이다.
分佈: 화성암, 변성암 중에서 많이 생산되며 또한 해변의 모래 중에도 흔히 존재한다.중국의 江蘇,山東,遼寧, 廣東, 安徽, 河北 등에 분포. 採取 및 製法:채취후 雜石을 제거하고 吸鐵力이 강한 것을 골라 약으로 쓴다.
成分: 주로 사산화삼철을 함유한다.
氣味: 辛, 鹹, 平.
效能: 鎭驚安神, 潛陽納氣.
主治: 頭目眩暈, 耳鳴, 耳聾, 虛喘, 驚癎,
用量: 煎湯은 15~50g을 쓴다. 外用時에는 適量을 가루내어 고루 바른다.
참고문헌
한국전통지식포털, 익생의 자연건강, 본초사전, 본초강목, 문화콘텐츠닷컴, 팔공산건강원, 여지도서,신증동국여지승람, 명의별록, 甄權(견권), 池大明(지대명), 李時珍(이시진), 陳藏器(진장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