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래
가물치
가지
간재미
갈근
갈치
감자
감태
감초
감홍로주
강활
강황
게장
고구마
고등어
고본
고사리
고슴도치
고추
고추장
곤쟁이
골풀
곰취
곱돌
과루인
곶감
과메기
곽향
광어
구기자
구리
국수
국화차
굴비
금불초
기장
김치
꼬막
꼴뚜기
꽃게
꿀풀
나물
나전칠기
낙죽장도
낙지
냉이
노루
녹두
녹용
녹차
농어
뇌록
누치
느룹나무
느타리버섯
다시마
다람쥐
다래
다슬기
닥나무
단감
단목
달래
담비
담쟁이
당귀
대게
대구
대나무
대발
대추
더덕
더덕주
도라지
도루묵
도마뱀
도미
도자기
돈육
돈차
돌미역
돔배기
동래파전
동백기름
동충하초
돚자리
돼지
된장
두꺼비
두릅
두충
딸기
들기름
마늘
마뿌리
만화석
막걸리
망둥어
매생이
매실
맥문동
맨드라미
머루
머루주
메밀차
멸치
명란젓
명설차
명태
모과
모란
모래무지
모시
모자
목기
목화
무명
무우
문배주
문어
미나리
미역
민속주
민어
밀랍
박하
방풍
백랍
백련잎차
백렴
백미
백반
백부자
백조어
백하수오
백합
밴댕이
뱅어
벼루
병어
법주
보골지
보리
복령
복분자
복숭아
복어
부들
부자
부채
부추
붉나무
붕어
비빔밥
비자
뽕나무
사과
사슴
산나물
산삼
삼림욕
산수유
살구
삼릉
삼배
삼치
상합
상황버섯
새우
새우젓
생강
석결명
석곡
석류
석영
석이버섯
석청
석창포
소금
소라
소주
속새
송어
송이버섯
송화가루
수달
수박
수정
숙주
순채
숭어
승검초
식해
안동포
안식향
앵두
야콘
야콘잎차
약쑥
양귀비
어란
어리굴젓
어육장
엄나무
연밥
연어
연엽주
열목어
염전
엽삭젓
오가피
오미자
오곡
오골계
오정주
오죽
오징어
옥돔
옥로주
옹기
옻칠
왕골
용문석
우무
우황
울금
웅어
위어
유기
유자
유자차
유황
육포
은어
은행
이강주
이스라지
익모초
인삼
인삼주
잉어
자단향
자두
자라
자라돔
자연동
자하젓
작설차
작약
장군풀
장아찌
전모
전복
전어
전어젓
전통주
젓갈
젓새우
정어리
조개
조기
조홍시
좁쌀
종어
종이
주꾸미
죽렴장
죽로차
죽순
죽순채
죽염멸치
죽엽청주
죽피
죽합
준치
중국차
지라돔
지치
질경이
찐빵
참가사리
참게
참기름
참죽나물
참외
찹쌀
창출
천궁
천남성
천문동
청각
청국장
청란석
청목향
청자
초콜릿
초피나무
초하주
추성주
취나물
치자
칠선주
콩잎
토마토
토끼
토사자
토주
토파즈
토하젓
파전
패랭이
편두
포도
포도주
표고버섯
표범
하늘타리
학슬
한과
한라봉
한우
한지
해구신
해달
해삼
해파리
해홍나물
향나무
호도
호로파
호두
홍삼
홍삼절편
홍시
홍어
홍주
홍합
화개차
화문석
황기
황률
황벽나무
황어
황옥
황진이주
황태
회양목
후박
후추
흑돼지
흑염소
흑한우
로그인 l 회원가입

e8ccf7afdd6c52258b6fbe6c00a9fd6a_1443601259_4273.jpg
 
 평택 귀판(龜板), 남생이, 거북등껍질
 

귀판(龜板)은 남생이의 복갑 또는 배갑을 채취하여 잔육을 제거하고 볕에 말린 것. 연중 채집 가능한데 가을, 겨울에 주로 많이 포획한다. 복갑을 귀판, 배갑을 귀갑으로 구분해 부르기도 한다.녹용과 함께 신을 보익하고 골을 건강하게 하는 약인데, 귀판은 보음약으로 임맥을 통하게 하고 신음을 더하여 보혈/지혈시킴으로써 혈열로 인한 붕루를 치료하는 효과가 있고, 녹용은 보양약으로 허한으로 인한 붕루를 치료하는 효과가 있다. 음양이 모두 허하다면 배합하여 응용한다.귀판을 끓여(煎熬) 농축한 것은 귀판교, 귀교라 부르며 효능은 귀판과 비슷하다. 단 자음하는 힘은 비교적 약하고 지혈하는 힘이 강한 것이 특징이다.

귀판의 효능 및 쓰이는곳
보익하는 효능과 더불어, 질이 무거워 뜬 양을 잠양시키고 수렴시킨다. 신음부족에 의한 골증열, 도한, 음허양항으로 인한 현훈, 이명, 음허하여 풍이 동해 생긴 탄탄 등을 치료한다. 또한 신음이 오래 휴손되어 생긴 요슬산연, 근골연약, 소아의 천문이 닫히지 않는 증상 등을 치료한다. 그 외에 오랜 기침, 오랜 이질, 골위 등을 치료한다.
음허혈열로 인한 붕루, 대하 및 여러 출혈 증상을 치료한다. 토혈, 뉵혈, 건골(健骨), 거어혈(祛瘀血), 보심신(補心腎), 익대장(益大腸), 익음보혈(益陰補血), 익음자혈(益陰滋血), 자음잠양(滋陰潛陽) 동의보감(東醫寶鑑)

특징 및 사용
생명력이 매우 강해 몇개월을 굻어도 죽지 않는다. 육식성이며 연못에 무리지어 산다. 개체수가 줄어드는 동물로 적극 보호 증식할 필요가 있다. 사용할 때는 등딱지와 내장을 제거한 뒤 머리와 살코기를 다져 끓는 물에 2~3분 데친 다음 구기자 100g, 황기 120g, 맥문동 50g, 물 4되를 함께 넣어 절반이 될 때까지 달여 냉장고에 보관해 두고, 1회 1컵씩 1일 2회 따뜻하게 데워 공복에 복용한다.


익생양술 효능

각혈,보정,보혈,소변간삽,스태미나강화,원기부족,유실,좌섬,치질출혈,탈항,혈우병

진상품관련근거
귀판(龜板), 남생이는 경기도(평택)에서 진상하였다는 기록이 여지도서에 기록되어있다.

주치병증
대하(帶下), 붕루(崩漏), 유정(遺精), 골위(骨痿), 골증노열(骨蒸勞熱), 혈리(血痢), 징가(癥瘕)Z, 난산(難産), 음창(陰瘡), 심복통(心腹痛), 염창(臁瘡), 육혈(衄血), 오치(五痔), 학질(瘧疾), 토혈(吐血), 산후설사(産後泄瀉), 탈항(脫肛), 월식창(月蝕瘡) 동의보감(東醫寶鑑)

수치법
귀판음편(龜板飮片) : 귀판(龜板)을 물에 담가 불려서 붙은 살과 근막(筋膜)이 썩으면 떼어내고 냄새가 안 나면 볕에 말린 후 작게 자름.
수자귀판(酥炙龜板) : 귀판(龜板)에 수(酥)를 발라서 구움. 귀판의 재질이 바삭바삭해지고 비린내가 제거된다. 또 유효성분의 용출이 용이하다.
주자귀판(酒炙龜板) : 귀판(龜板)에 술을 발라서 구움.
초귀판(醋龜板) : 귀판(龜板)의 생품은 재질(材質)이 단단하고 비린내가 남. 그러나 사초초쉬(砂炒醋淬)하면 재질이 바삭바삭해지고 쉽게 부서져서 유효성분의 전출(煎出)이 쉽고 냄새도 줄이며 보신건골(補腎健骨), 자음지혈(滋陰止血) 작용이 뛰어나서 노열객혈(勞熱喀血), 각슬위약(脚膝萎弱), 조열도한(燥熱盜汗), 치창종통(痔瘡腫痛)에 많이 씀. 모래를 솥에서 볶다가 뜨거워지면 귀판을 넣고 저으면서 표면이 노릇할 때까지 볶은 후 꺼내어 모래를 제거하고 식초가 든 그릇에 담갔다가 꺼내서 물로 헹구고 볕에 말림. 운곡본초학(耘谷本草學)
이명: 귀각(龜殼), 귀갑(龜甲)
성미: 감함(甘鹹), 평(平)
작용부위: 간(肝), 신(腎)

포함처방
가감보음환(加減補陰丸), 가미보음환(加味補陰丸)A, 가미이묘환(加味二妙丸)A, 가미호잠환(加味虎潛丸)A, 감리기제환(坎离旣濟丸), 고암심신환(古庵心腎丸)A, 대보음환(大補陰丸)A, 대조환(大造丸)A, 두충환(杜仲丸), 백배환(百杯丸)B, 보음환(補陰丸)A, 보천환(補天丸)A, 삼일신기환(三一腎氣丸)A, 신구자음환(神龜滋陰丸), 양혈장근건보환(養血壯筋健步丸)A, 용호환(龍虎丸), 유향진통산(乳香趁痛散), 제음환(濟陰丸), 조원다자방(調元多子方), 호잠환(虎潛丸)A, 대조환(大造丸)B, 고암심신환(古庵心腎丸)B, 고경환(固經丸)B, 고암심신환(古菴心腎丸), 녹각교환(鹿角膠丸)B, 두중환(杜仲丸), 백배환(百倍丸), 보음환(補陰丸)C, 호잠환(虎潛丸)B, 가미이미환(加味二味丸), 보천육사단(補天育嗣丹), 양혈장근건보환(養血壯筋健步丸)B, 유령원(乳靈圓), 보천환(補天丸)E, 보음환(補陰丸)F, 정통산(定痛散)C, 접골단(接骨丹)C, 창귀환(蒼龜丸), 단계 보음환(丹溪 補陰丸), 보음환(補陰丸)E, 호경골환(虎脛骨丸), 환골단(換骨丹)E, 승양제습탕(升陽除濕湯)I, 간장담낭질환경험방6(肝臟膽囊疾患經驗方6), 진간식풍탕(鎭肝熄風湯), 침중단(枕中丹) 
약재키워드: 귀판(龜板), 귀각(龜殼), 귀갑(龜甲), 남생이, 남생이딱지  (한국 전통지식 포탈)

귀판(龜板) / 남생이 등딱지 
라틴명 Testudinis Carapax
약재의 효능 자음잠양(滋陰潛陽)  (음기(陰氣)를 기르고 양기(陽氣)를 잠기게 하는 효능임) 
보심신(補心腎)  (심(心)과 신(腎)을 보하는 효능임) 
익대장(益大腸)  (대장(大腸)을 보익(補益)하는 효능임) 
거어혈(去瘀血)  (어혈(瘀血)을 제거하는 효능임) 
건골(健骨)  (뼈를 튼튼하게 하는 효능임) 
익음보혈(益陰補血)  (음기(陰氣)를 보익(補益)하고 혈(血)을 보(補)하는 효능임) 
익음자혈(益陰滋血)  (음기(陰氣)를 보익(補益)하고 혈(血)을 더하는 효능임) 
경신(輕身)  (몸을 가볍게 하는 효능임) 
불기(不飢)  (배고픔을 없게 하는 효능임) 
작용부위 간(肝) , 신(腎) 
성미 감함(甘鹹) , 평(平) 
약재사용처방 가감보음환(加減補陰丸) /  음허(陰虛) 
가미보음환(加味補陰丸) /  음허(陰虛) 
가미이묘환(加味二妙丸) /  족위(足痿) 
가미호잠환(加味虎潛丸) /  음양구허(陰陽俱虛) 
감리기제환(坎離旣濟丸) /  노손(勞損) , 음허화동(陰虛火動) 
고경환(固經丸) /  경수과다(經水過多) 
고암심신환(古庵心腎丸) /  심허(心虛) , 경계(驚悸) , 정충(怔忡) 
공자대성침중방(孔子大聖枕中方) /  건망(健忘) 
녹각교환(鹿角膠丸)[2] /  족위(足痿) 
대보음환(大補陰丸) /  음허화동(陰虛火動) 
대조환(大造丸) /  기혈구허위(氣血俱虛痿) 
두충환(杜仲丸) /  신허요통(腎虛腰痛) 
백배환(百倍丸) /  절상(折傷) , 신허요통(腎虛腰痛) , 좌섬(挫閃) 
보신환(補腎丸)[1] /  신음허(腎陰虛) 
보음환(補陰丸)[1] /  음허화동(陰虛火動) 
보음환(補陰丸)[2] /  몽설(夢泄) , 도한(盜汗) , 조열(潮熱) , 객혈(喀血) , 음허화동(陰虛火動) 
보천환(補天丸)[1] /  골증(骨蒸) 
보천환(補天丸)[2] /  음허(陰虛) 
삼일신기환(三一腎氣丸) /  신허(腎虛) 
신귀자음환(神龜滋陰丸) /  각슬위약(脚膝痿弱) 
양혈장근건보환(養血壯筋健步丸) /  양각위연(兩脚痿軟) 
유향진통산(乳香趂痛散) /  좌섬요통(挫閃腰痛) 
이류유정환(異類有情丸) /  음양구허(陰陽俱虛) 
이지환(二至丸) /  음양구허(陰陽俱虛) 
정통산(定痛散)[2] /  역절풍(歷節風) 
제음환(濟陰丸) /  음허노손(陰虛勞損) 
창귀환(蒼龜丸) /  학슬풍(鶴膝風) 
호잠환(虎潛丸) /  음허노손(陰虛勞損) 
 (익생의 자연건강 포털)

참고문헌
운곡본초학(耘谷本草學), 여지도서, 익생의 자연건강포털, 동의보감, 한국전통지식포탈

로고_임금님진상품_카페용150.jpg

   

                                            크기변환_13333.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