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래
가물치
가지
간재미
갈근
갈치
감자
감태
감초
감홍로주
강활
강황
게장
고구마
고등어
고본
고사리
고슴도치
고추
고추장
곤쟁이
골풀
곰취
곱돌
과루인
곶감
과메기
곽향
광어
구기자
구리
국수
국화차
굴비
금불초
기장
김치
꼬막
꼴뚜기
꽃게
꿀풀
나물
나전칠기
낙죽장도
낙지
냉이
노루
녹두
녹용
녹차
농어
뇌록
누치
느룹나무
느타리버섯
다시마
다람쥐
다래
다슬기
닥나무
단감
단목
달래
담비
담쟁이
당귀
대게
대구
대나무
대발
대추
더덕
더덕주
도라지
도루묵
도마뱀
도미
도자기
돈육
돈차
돌미역
돔배기
동래파전
동백기름
동충하초
돚자리
돼지
된장
두꺼비
두릅
두충
딸기
들기름
마늘
마뿌리
만화석
막걸리
망둥어
매생이
매실
맥문동
맨드라미
머루
머루주
메밀차
멸치
명란젓
명설차
명태
모과
모란
모래무지
모시
모자
목기
목화
무명
무우
문배주
문어
미나리
미역
민속주
민어
밀랍
박하
방풍
백랍
백련잎차
백렴
백미
백반
백부자
백조어
백하수오
백합
밴댕이
뱅어
벼루
병어
법주
보골지
보리
복령
복분자
복숭아
복어
부들
부자
부채
부추
붉나무
붕어
비빔밥
비자
뽕나무
사과
사슴
산나물
산삼
삼림욕
산수유
살구
삼릉
삼배
삼치
상합
상황버섯
새우
새우젓
생강
석결명
석곡
석류
석영
석이버섯
석청
석창포
소금
소라
소주
속새
송어
송이버섯
송화가루
수달
수박
수정
숙주
순채
숭어
승검초
식해
안동포
안식향
앵두
야콘
야콘잎차
약쑥
양귀비
어란
어리굴젓
어육장
엄나무
연밥
연어
연엽주
열목어
염전
엽삭젓
오가피
오미자
오곡
오골계
오정주
오죽
오징어
옥돔
옥로주
옹기
옻칠
왕골
용문석
우무
우황
울금
웅어
위어
유기
유자
유자차
유황
육포
은어
은행
이강주
이스라지
익모초
인삼
인삼주
잉어
자단향
자두
자라
자라돔
자연동
자하젓
작설차
작약
장군풀
장아찌
전모
전복
전어
전어젓
전통주
젓갈
젓새우
정어리
조개
조기
조홍시
좁쌀
종어
종이
주꾸미
죽렴장
죽로차
죽순
죽순채
죽염멸치
죽엽청주
죽피
죽합
준치
중국차
지라돔
지치
질경이
찐빵
참가사리
참게
참기름
참죽나물
참외
찹쌀
창출
천궁
천남성
천문동
청각
청국장
청란석
청목향
청자
초콜릿
초피나무
초하주
추성주
취나물
치자
칠선주
콩잎
토마토
토끼
토사자
토주
토파즈
토하젓
파전
패랭이
편두
포도
포도주
표고버섯
표범
하늘타리
학슬
한과
한라봉
한우
한지
해구신
해달
해삼
해파리
해홍나물
향나무
호도
호로파
호두
홍삼
홍삼절편
홍시
홍어
홍주
홍합
화개차
화문석
황기
황률
황벽나무
황어
황옥
황진이주
황태
회양목
후박
후추
흑돼지
흑염소
흑한우
로그인 l 회원가입

e8ccf7afdd6c52258b6fbe6c00a9fd6a_1443601259_4273.jpg
 
 청해[靑蟹], 톱날꽃게는 낙동강 하구 특산품종으로 지역 어업인들이 선호하는 품종이다
 

톱날꽃게는 낙동강 하구수역에 집단 서식하는 특산품종으로 육질이 단단하고 맛이 좋아 미식가들 사이에서는 가을철 별미로 알려져 있으며, 성수기는 9~10월로 수요량에 비해 어획량이 적어 고가에 판매되고 있는 품종으로 지역 어업인들의 선호도가 높다. 낙동강 하구 조간대의 수심 10m 전후에서만 발견되며, 간조 시에는 모래진흙 바닥에 흩어져 있는 돌 밑이나 하구역의 갈대 뿌리 근처에 구멍을 파고 그 곳에서 숨어 있다가 만조나 야간에 밖으로 나와 활발하게 활동한다. 전체적으로 녹색 또는 녹갈색을 띠며 집게다리의 밑부분은 노랑색 또는 주황색이다. 최대 갑각나비는 수컷에서 200mm 정도이다. 이전에 우리나라에서는 Scylla serrata(Forskal)로 알려져 있었다.
갑각길이 약 13.5cm, 갑각너비 약 19.7cm이다. 갑각은 옆으로 긴 부채꼴이다. 갑각 윗면은 매끈하고 1쌍의 가로 융기선과 뚜렷한 H자모양 홈이 있다. 이마에는 4개의 이모양 돌기가 있고, 갑각 앞쪽 옆가장자리에는 눈뒷니를 포함하여 9개의 톱니모양 돌기들이 늘어선다. 집게다리는 대칭이며 크고 억세게 생겼다. 긴마디 앞모서리에 3개, 뒷모서리에 2개의 가시가 있다. 발목마디에는 안쪽 모서리에 1개의 억센 가시가 있고 바깥면에 2개의 가시가 있다.  집게바닥은 볼록하며 기부에 1개, 윗모서리 끝에 나란히 2개의 가시가 있다. 걷는다리에는 가시가 없다. 제4걷는다리는 납작하여 헤엄치기에 알맞다. 한국에서는 거제도와 낙동강 하구, 해운대에서 1개체씩 채집되었을 뿐이다.
외국에서는 맛이 좋고 개체수가 많아 식용으로 중요시된다. 타이완에서는 양식이 활발하다고 한다. 난류성이며 한국 남해, 일본 사가미만 이남, 타이완, 필리핀, 베트남 및 아프리카의 동해안과 오스트레일리아·동인도양·서태평양의 열대와 아열대 해역에 널리 분포한다.(한국해양무척추동물도감, 2006.3.15, 아카데미서적)
○ 학 명 : Scylla serrata (Forskal, 1755)
○ 영 명 : Brown mud crab, 호  주 - Mud crab, Mangrove crab, 하와이 - Samoan crab, 필리핀 - Alimango, 대  만 - Tsai jim
○ 일 명 : ノコギリガザミ(노꼬기리가자미)

진상품관련근거
톱날꽃게는 강화도호부, 교동현, 김포현, 남양도호부(화성), 부평도호부, 수원도호부, 안산군, 인천도호부, 통진현에서 진상하였다는 기록이 신증동국여지승람에 기록되어있다.

형태적 특징
난류성 게로 색체는 암청색이며 갑각의 등면은 매끈하다. 그러나 원위 구역과 아가미 구역을 가로지르는 융기선이 있으며 등면 복판의 H자 모양의 홈은 뚜렸하다. 이마에는 4개의 이가 있고 갑각의 앞 옆가장자리에는 눈 뒷니를 포함하여 9개의 같은 크기의 뾰족한 이가 있다. 집게 다리의 긴마디 앞모서리에 3개, 뒷모서리에 2개의 가시가 있다. 발목마디에는 안쪽 모서리에 1개의 억센 가시가 있고 바깥면에 2개의 작은 가시가 있다. 손바닥은 매우 불룩하며 기부에 1개, 윗모서리 끝에 나란히 2개의 가시가 있다.

분 포
인도 서태평양(남아프리카 동부~하와이, 호주 북부~일본 남부) 연안
우리나라 : 대한해협
일    본 : 사가미만~토사만
기    타 : 필리핀, 베트남, 아프리카의 동해안, 오스트레일리아

서식 환경
서식처 : 내만, 하구 또는 하구 근처 민물의 진흙 밑바닥

크 기
갑장 135mm, 갑폭 197mm 정도
※ 꽃게류 중 가장 큰 종류로서 열대수역에서의 식용게임

산 란
부화기간 : 산란에서 부화까지 16~17일 (수온 23~25℃)
※ 갑장 11~12cm(체중 200~250g) → 800,000~ 500,000의 조에아 1기 생산 (부화율 100%)
참 고 문 헌
1. Cowan,L.(1984) : Crab farming in Japan, Taiwan and the Philippines. Queensland Department of Primary Industries, Information Series Q184009, 84pp.
2. Taylor,M.L.(1984) : New Species of Mud Crab found in Western Australia. Fins Vol.17 No.2, 15 - 17.
3. 岡田 要(1981) : 新日本動物圖鑑(中) Vol.2, 803pp.
4. 堀內敏明(1990) : ノコギリガザミの種苗生産. 養殖 5月號, 114-119.
5. 김훈수(1973) : 한국동식물도감 동물편(집게.게류) Vol.14, 694pp.
6. 三宅貞양(1983) : 原色日本大型甲殼類圖鑑 (Ⅱ). 保育社 刊, 277pp.
7. 全 日本水産寫眞資料協會(1983) : 日本の水産, 蟹. 凸版印刷株式會社 刊.

톱날꽃게, Scylla paramarmosain (Estampador)의 성숙과 유생발생
신효진* . 민병희
부산광역시 수산자원연구소

◎ 연구의 배경 및 목적
톱날꽃게는 갑각강, 십각목, 꽃게과에 속하며 꽃게류 중 가장 큰 난류성 게로 같은 Scylla속에는 4종(S. serrata, S. olivacea, S. tranquebarica, S. paramarmosain)이 알려져 있다. 톱날꽃게는 전 세계적으로 넓은 지역에 분포하며 주로 조간대에서부터 수심 10m 전후의 내만, 하구나 하구 근처 진흙바닥에 주로 서식하며, 간조 시에는 바닥에 구멍을 파고 숨어 있다가 만조나 야간에 밖으로 나와 활발하게 활동한다. 톱날꽃게는 전체적으로 녹색 또는 녹갈색을 띠며 집게다리의 밑부분은 노랑색 또는 주황색을 띈다. 갑각의 등면은 매끈하며 등면 복판에 알파벳 ‘H'자 모양의 홈이 뚜렷한 것이 특징이다.톱날꽃게는 국내에서 거제, 금강 하구 등에서도 발견되었다는 보고가 있으나 현재 낙동강 하구 지역
에 집단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낙동강 하구에 서식하는 톱날꽃게는 이전까지 Scylla serrata(Forskal)로 알려져 왔으나 Keenan et al. (1998)에 의해 S. paramarmosain이 잘못 동정되어 온 것으로밝혀졌다. 톱날꽃게는 낙동강 하구 특산품종으로 지역 어업인들이 선호하는 품종이다. 2006년도 톱날꽃게의 어획량은 약 6개월간 153일의 어획 일수를 통해 5,884마리가 어획 및 판매되었다.국외에서는 톱날꽃게에 관한 연구가 많이 수행되었으나 국내에서는 낙동강에 서식하는 톱날꽃게 S.paramarmosain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또한 S. paramarmosain의 서식분포, 성숙, 산란시기등 생활사에 관해서도 전혀 알려진 바가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S. paramarmosain의 탈피와 교미,암컷의 성숙을 파악하고 유생사육을 통해 유생발생과정과 탈피기간 및 성장을 조사하여 낙동강에 서식하는 톱날꽃게, S. paramarmosain의 생태에 관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실험 재료 및 방법
1. 톱날꽃게 성숙
갑폭 8~10㎝의 톱날꽃게 암.수 각 20마리를 30 ㎝두께로 모래가 깔려있는 FRP 사각수조(2×3×1m, 수량 5톤)에 수용한 후 탈피과정 관찰과 탈피에 걸리는 소요시간을 육안으로 확인하여 측정하였고 탈피 전, 후의 갑폭을 측정하였다. 교미습성 확인은 톱날꽃게 암.수 각 20마리(암컷 : 갑폭6~10㎝, 수컷 : 갑폭 8~13㎝)를 모래가 깔려있는 FRP 사각수조(2×3×1m, 수량 5톤)에 수용한 후육안으로 교미행동을 관찰하고 교미한 개체의 갑폭을 측정하였다. 사육환경은 수온 23~25℃, 염분 30~32, 환수율 5회전/일이였고, 먹이는 냉동굴을 해동한 후 전중의 10%를 하루 1회 공급하였다. 교미한 암컷 중 부속지의 탈락이 없는 8마리(안병절단 4마리, 미절단 4마리)는 같은 수조에서동일한 방법으로 사육(수온 24~25℃)하여 산란일까지의 소요기간을 측정하고, 산란 후 복지에 포란한 수정란이 성숙하여 부화까지 소요되는 기간을 측정하였다.
2. 톱날꽃게 유생발생
부화에 임박한 톱날꽃게, S. paramarmosain 어미 1마리를 여과해수가 채워진 사각 콘크리트 수조(6×2×1m, 수량 10톤, 수온 22℃, 염분 29.6)에 수용하여 수정란이 모두 zoea Ⅰ기 유생으로 부화한 것을 확인 후 어미를 수조에서 제거하였다. 수온은 유생 부화 후부터 가온하여 27℃를 유지하였다. 부화한 유생은 수온 26~27℃, 염분 29~30 psu, 조도 500 lux, 자연광주기에서 사육하였다. 환수량은 zoea Ⅱ기까지는 지수식으로 사육하였고, zoea Ⅲ기부터는 매일 30%씩 환수하였다. 유생발생과정은 매일 오전 수조 내에서 유생 50개체를 무작위로 추출하여 zoea에서 crab Ⅰ기까지는 실29 체현미경(SZX16/M2500, OLYMPUS)하에서, crab Ⅱ기에서 Ⅳ기까지는 육안 및 디지털카메라로 관찰 및 촬영하였다. 탈피기간은 탈피와 탈피사이의 간격을 일 단위로 측정하였고, 유생 탈피에 따른 성장은 zoea 기는 갑장, 배극, 액극, 배극에서 액극까지의 길이를(Hartnoll and Mohamedeen,1987) megalopa와 crab Ⅰ~ Ⅳ기는 갑장과 갑폭을 측정하였다.

◎ 결과 및 고찰
1. 톱날꽃게 성숙
톱날꽃게 탈피는 뒷면 갑각의 윗부분과 아랫부분이 갈라지면서 시작되어 새로운 몸체가 이전의갑각을 나오게 되면 탈피를 마치게 된다. 탈피에 소요되는 기간은 1~2일, 탈피 후 연갑상태가4~5일간 지속된 후 완전한 갑각으로 변태하였다. 8~9월 채포된 톱날꽃게 중 수컷은 탈피 후 크기의 증가 외에 형태적인 변화가 없었으나 암컷은 탈피 후 배갑의 변화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탈피 전에는 배갑의 폭이 좁고 단단한 갑각상태였으나 탈피 후에는 배갑의 폭이 넓은 연갑상태를유지하였다. 이는 산란한 알을 복지에 부착하기 위해 탈피 후 배갑의 변화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며 이 시기에 탈피한 암컷은 대부분 탈피 후 배갑의 변화가 발생하였다.톱날꽃게는 교미를 시작하게 되면 먼저 수컷이 제 1보각으로 암컷을 감싸 안았다, 암컷이 탈피를시작하면 다리를 이용하여 탈피를 도운 후, 탈피를 마친 암컷에 다시 접촉하였다. 수컷은 다리를 이용하여 암컷의 배면이 위로 오도록 뒤집어 올라탄 후, 암컷의 배갑을 열어 생식기를 암컷의 생식공에 삽입하여 교미를 시작하였다. 교미에 소요되는 시간은 18~24시간이였고 수조에 수용한 20쌍의 톱날꽃게 중 18쌍이 교미를 하였다. 교미한 톱날꽃게의 갑폭은 암컷 9 ㎝, 수컷 11 ㎝였고,최소갑폭은 수컷 7.2 ㎝, 암컷 8.2 ㎝이였다. 톱날꽃게의 교미 후 산란까지의 소요기간은 수온24~25℃에서 87.5일(안병절단), 228일(안병미절단), 수정란은 산란 후 부화까지 성숙하는데 11~13일이 소요되었다(수온 26~27℃). 이는 Chaoshu (2007)가 보고한 S. paramarmosain의 수정란이 산란에서 부화까지 12일이 소요된다는 결과와 유사하였다.
2. 톱날꽃게 유생발생
S. paramarmosain 유생은 zoea 기에서 5번의 탈피를 한 후 megalopa로 변태하였고 megalopa에서crab Ⅰ기로 탈피하였다. 이는 같은 톱날꽃게 S. serrata의 유생탈피과정과 동일하였다(Yi et al.,2009). 탈피에 걸리는 소요기간은 zoea Ⅰ기에서 Ⅱ기 4일, Ⅱ기에서 Ⅲ기 3일, Ⅲ기에서 Ⅳ기 3일, Ⅳ기에서 Ⅴ기 3일, Ⅴ기에서 megalopa로 탈피하는데 4일이 소요되었다. megalopa 유생은 8일후 crab Ⅰ기로 탈피하였다. crab Ⅰ기는 3~4일 간격으로 탈피하여 crab Ⅱ~Ⅳ기까지 탈피하였다. S. serrata 유생의 탈피 간격은 이보다 짧게 나타났는데(Yi et al., 2009) 이는 사육수온이 본 연구에 비해 높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톱날꽃게 유생은 zoea Ⅰ기 갑장 523.5㎛, Ⅱ기 642.9㎛, Ⅲ기 813.5㎛, Ⅳ기 1103.9㎛, Ⅴ기1498.8㎛로 성장하였다. megalopa 갑장 : 갑폭은 2.9 : 1.5 ㎜, crab Ⅰ기 3.0 : 3.2 ㎜, Ⅱ기 3.9 :4.9 ㎜, Ⅲ기 5.7 : 7.4 ㎜, Ⅳ기 7.6 : 10.6 ㎜로 성장하였다. 이는 Yi et al. (2009)이 보고한 S.serrata 유생의 성장과 유사하였다.
◎ 참고문헌
Chaoshu Zeng. 2007. Induced out-of-season spawning of the mud crab, Scylla paramarmosain
(Estampador) and effects of temperature on embryo development. Aqua Res 38, 1478-1485.
Hartnoll RG and Mohamedeen H. 1987. Laboratory growth of the larvae of six British crabs. J
Exp Mar Biol Ecol 107, 155-170.
Keenan CP, Davie JF and Mann DL. 1998. A revision of the genus scylla de haan, 1833 (Crustacea:
Decapoda: Brachyura: Portunidae). The Raf Bull of Zool 46, 217-245.
Yi SK, Lee SK and Lee, JM. 2009. Preliminary study of seed production of the micronesian mud
crab Scylla serrata(crustacea : portunidae) in Korea. Oce and Pol Res 31(3), 257-264.

약재명:  청해(靑蟹)
학명:  Scylla serrata Forskal   
라틴명:  Scyllae Caro
일반명:  톱날꽃게
과명:  꽃게과(Portunidae)
약용부위:  전체
효능:  이수소종(利水消腫), 자보강장(滋補强壯), 활혈화어(活血化瘀) 운곡본초학(耘谷本草學)
주치병증:  유즙부족(乳汁不足), 수종(水腫), 산후어혈복통(産後瘀血腹痛) 운곡본초학(耘谷本草學)
수치법:  4계절 언제나 채취하여 생용하거나 소금에 절여 사용한다. 운곡본초학(耘谷本草學)
성미:  미량(微凉), 함(鹹)
작용부위:  간(肝), 신(腎)
약재키워드: 청해(靑蟹), 톱날꽃게 (한국전통지식포탈)


로고_임금님진상품_카페용150.jpg

   

                                            크기변환_13333.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