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래
가물치
가지
간재미
갈근
갈치
감자
감태
감초
감홍로주
강활
강황
게장
고구마
고등어
고본
고사리
고슴도치
고추
고추장
곤쟁이
골풀
곰취
곱돌
과루인
곶감
과메기
곽향
광어
구기자
구리
국수
국화차
굴비
금불초
기장
김치
꼬막
꼴뚜기
꽃게
꿀풀
나물
나전칠기
낙죽장도
낙지
냉이
노루
녹두
녹용
녹차
농어
뇌록
누치
느룹나무
느타리버섯
다시마
다람쥐
다래
다슬기
닥나무
단감
단목
달래
담비
담쟁이
당귀
대게
대구
대나무
대발
대추
더덕
더덕주
도라지
도루묵
도마뱀
도미
도자기
돈육
돈차
돌미역
돔배기
동래파전
동백기름
동충하초
돚자리
돼지
된장
두꺼비
두릅
두충
딸기
들기름
마늘
마뿌리
만화석
막걸리
망둥어
매생이
매실
맥문동
맨드라미
머루
머루주
메밀차
멸치
명란젓
명설차
명태
모과
모란
모래무지
모시
모자
목기
목화
무명
무우
문배주
문어
미나리
미역
민속주
민어
밀랍
박하
방풍
백랍
백련잎차
백렴
백미
백반
백부자
백조어
백하수오
백합
밴댕이
뱅어
벼루
병어
법주
보골지
보리
복령
복분자
복숭아
복어
부들
부자
부채
부추
붉나무
붕어
비빔밥
비자
뽕나무
사과
사슴
산나물
산삼
삼림욕
산수유
살구
삼릉
삼배
삼치
상합
상황버섯
새우
새우젓
생강
석결명
석곡
석류
석영
석이버섯
석청
석창포
소금
소라
소주
속새
송어
송이버섯
송화가루
수달
수박
수정
숙주
순채
숭어
승검초
식해
안동포
안식향
앵두
야콘
야콘잎차
약쑥
양귀비
어란
어리굴젓
어육장
엄나무
연밥
연어
연엽주
열목어
염전
엽삭젓
오가피
오미자
오곡
오골계
오정주
오죽
오징어
옥돔
옥로주
옹기
옻칠
왕골
용문석
우무
우황
울금
웅어
위어
유기
유자
유자차
유황
육포
은어
은행
이강주
이스라지
익모초
인삼
인삼주
잉어
자단향
자두
자라
자라돔
자연동
자하젓
작설차
작약
장군풀
장아찌
전모
전복
전어
전어젓
전통주
젓갈
젓새우
정어리
조개
조기
조홍시
좁쌀
종어
종이
주꾸미
죽렴장
죽로차
죽순
죽순채
죽염멸치
죽엽청주
죽피
죽합
준치
중국차
지라돔
지치
질경이
찐빵
참가사리
참게
참기름
참죽나물
참외
찹쌀
창출
천궁
천남성
천문동
청각
청국장
청란석
청목향
청자
초콜릿
초피나무
초하주
추성주
취나물
치자
칠선주
콩잎
토마토
토끼
토사자
토주
토파즈
토하젓
파전
패랭이
편두
포도
포도주
표고버섯
표범
하늘타리
학슬
한과
한라봉
한우
한지
해구신
해달
해삼
해파리
해홍나물
향나무
호도
호로파
호두
홍삼
홍삼절편
홍시
홍어
홍주
홍합
화개차
화문석
황기
황률
황벽나무
황어
황옥
황진이주
황태
회양목
후박
후추
흑돼지
흑염소
흑한우
로그인 l 회원가입

e8ccf7afdd6c52258b6fbe6c00a9fd6a_1443601259_4273.jpg
 
 청상자, 들맨드라미, 계관화, 초결명, 구미파자,개맨드라미, 초결명(草決明), 구미파자(狗尾巴子)
 

청상자는 들맨드라미, 계관화라고도 한다. 밭둑이나 길가에서 자란다. 높이는 약 40∼80cm로 풀 전체에 털이 없다. 줄기는 원기둥 모양이고 부드러우며 흔히 밑동에서 가지를 치고 곧게 선다. 잎은 어긋나고 바소꼴 또는 좁은 달걀 모양이며 끝이 뾰족하고 길이 5∼8cm, 나비 1∼2.5cm로 잎자루는 거의 없다. 꽃은 양성화로 7∼8월에 피고, 가지 끝과 줄기 끝에서 총상꽃차례를 이룬다. 꽃차례는 길이 5∼8cm이고 원기둥 모양이다. 포와 작은 포는 흰색의 넓은 바소꼴이다. 꽃받침은 바소꼴이고 꽃이 진 뒤 흰색이 되며 수술은 5개이고 수술대 밑부분은 붙어 있다. 열매는 포과로 9월에 익으며 달걀 모양인데, 꽃받침보다 짧으며 가로로 갈라지고 지름 1.5mm 정도의 종자가 여러 개 들어 있다. 중남미 열대지방 원산으로 귀화식물이다. 관상용으로 심기도 한다. 한방에서는 잎과 줄기를 가려움증·종기·외상출혈 등의 치료에 쓰고, 종자를 눈병·가려움증·종기·고혈압 치료에 처방한다. 제주도·전라남도·경상북도·강원도·경기도·함경남도 등지에 분포한다.
잎:어긋나며 길이 5~18cm, 나비 1~2.5cm의 댓잎피침형 또는 좁은 달걀꼴이다. 끝이 뾰족하고 잎의 밑부분이 밑으로 처지며 잎자루는 거의 없다.
꽃:7~8월에 붉은색 또는 엷은 홍색으로 핀다. 양성화이다. 가지 끝과 줄기 끝에서 총상 꽃차례를 이루는데 여러 개의 자잘한 꽃이 모여난다. 꽃잎은 없고, 5조각인 꽃받침은 댓잎피침형 또는 긴 타원형이며 꽃이 진 뒤에 흰색을 띤다. 수술은 5개이며 꽃받침보다 짧고 암술은 1개이다.
열매:9~10월에 모서리가 있는 달걀꼴의 포과가 달리는데 익으면 가로로 열려 그 속에서 여러 개의 씨를 낸다.

진상품관련근거
청상자,들맨드라미, 계관화는 충청도 문의에서 진상하였다는 기록이 여지도서에기록되어있다.
약재명: 청상자(靑箱子)     
학명: Celosia argentea L.
라틴명: Celosiae Semen
일반명:  개맨드라미
과명:  비름과(莧科:Amaranthaceae) 
약용부위:  씨
약재성상:  이 약은 편원구형-둥근 콩팥 모양이고 지름 1-2mm이다. 바깥면은 흑색-적흑색이며 광택이 있고 중간부위는 조금 볼록하고 가장자리는 약간 파여져 있고 제점이 있다. 종피는 얇고 쉽게 부서진다.
효능: 거풍열(祛風熱), 청간화(淸肝火), 명목퇴예(明目退翳) 동의보감(東醫寶鑑)
주치병증:  장예(障翳), 고혈압(高血壓)Z, 개선(疥癬), 목적종통(目赤腫痛), 피부풍열소양(皮膚風熱瘙痒), 비뉵(鼻衄) 동의보감(東醫寶鑑)
수치법:  잡질(雜質)을 제거하고 세정(洗淨)한 다음 쇄건(晒乾)하여 사용하거나, 초용(炒用, 지방질을 제거하여 소화부담을 줄이고 교미(矯味)효과를 위한것)한다. 운곡본초학(耘谷本草學)(20040530)
이명:  초결명(草決明), 구미파자(狗尾巴子)
성미:  고(苦), 무독(無毒), 미한(微寒)
작용부위:  간(肝)
금기:  청열(淸熱)하는 힘이 비교적 강하므로, 간신(肝腎)이 허(虛)하거나 동공(瞳孔)이 확대(擴大)한 자는 복용을 기(忌)한다.
포함처방
결명원(決明元), 고본환정환(固本還睛丸)A, 대결명산(大決明散)A, 대명복광산(大明復光散), 만청자환(蔓菁子丸), 본사방양간원(本事方羊肝元), 서각산(犀角散)A, 석결명산(石決明散)A, 선화산(蟬花散)A, 웅황예산(雄黃銳散)A, 팔미환정산(八味還睛散)A, 석결명산(石決明散)B, 환정환(還睛丸)B, 뢰공환(雷公丸), 석결명산(石決明散)C, 선화산(蟬花散)B, 웅황예산(雄黃銳散)B, 환정산(還睛散)B, 활명양간환(活命羊肝丸), 웅황태산(雄黃兌散)A, 밀몽화산(蜜蒙花散)A, 사군병(史君餠)A, 사군병(史君餠)B, 웅황태산(雄黃兌散)B, 팔미환정산(八味還晴散), 대결명산(大決明散)B, 소결명산(小決明散), 개명원(開明圓), 결명원(決明圓)B, 고본환정환(固本還睛丸)B, 밀몽화산(密蒙花散)C, 웅황예산(雄黃銳散)C, 뇌공환(雷公丸), 환정환(還睛丸)D, 결명산(決明散)F, 녹풍환정환(綠風還睛丸), 묘령산(妙靈散), 석곡야광환(石斛夜光丸)A, 청상환(靑葙丸), 석곡야광환(石斛夜光丸)B, 웅황태산(雄黃兌散)C, 조전고본환정환(祖傳固本還睛丸), 팔미환정산(八味還睛散)B, 환정환(還睛丸)F, 가미자주환(加味磁朱丸)D, 진간원(鎭肝圓), 환정원(還睛圓)B 
화합물 
alpha-Spinasterol, beta-Sitosterol, Ancistrocladine, Hordenine
약재키워드:개맨도램이, 개맨드라미, 계관현(鷄冠莧), 계관현자(鷄冠莧子), 곤륜초자(昆侖草子), 구미파자(狗尾巴子), 들맨드라미, 들맨드래미, 야계관화자(野鷄冠花子), 우미파화자(牛尾巴花子), 처호(萋蒿), 처호자(萋蒿子), 청상
분포: 제주도, 전라남도, 경상북도, 강원도, 경기도 채취기간 가을(열매 성숙기)
키: 80cm 정도 취급요령 햇볕에 말려 쓴다. 
생지: 밭둑, 길가 성미 약간 차며, 쓰다.
분류: 한해살이풀 독성여부 없다.
번식: 씨 1회사용량 8~15g
약효: 씨ㆍ꽃줄기ㆍ잎 사용범위 해롭지는 않으나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특징 및 사용
들맨드라미ㆍ청상ㆍ야계관(野鷄冠)ㆍ계관화라고도 한다. 줄기는 원기둥 모양이고 부드러우며 흔히 밑동에서 가지를 치고 곧게 선다. 전체에 털이 없다. 관상용ㆍ식용ㆍ약용으로 이용된다. 줄기와 잎을 청상화서(靑箱花序)라 하고 씨는 강남조 또는 청상자라 하여 약재로 쓴다. 어린잎은 식용한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생즙을 내어 사용한다.

익생양술 효능
주로 간증을 다스리며, 심장 질환에 효험이 있다.고혈압,명목,목적동통,발열,보간·청간,설염,염제,안구통증,안질,족근통,지방간,풍,피부소양증
청상자(靑箱子) / 개맨드라미 씨
라틴명 Celosiae Semen
약재의 효능
명이목(明耳目): (눈과 귀를 밝게 하는 효능임) 
거풍열(祛風熱): (풍열(風熱)을 제거하는 효능임) 
보뇌수(補腦髓): (뇌수(腦髓)를 보하는 효능임) 
청간화(淸肝火): (간화(肝火)를 식혀주는 효능임) 
익근골(益筋骨): (근골(筋骨)을 보익(補益)하는 효능임) 
작용부위: 간(肝) 
성미: 고(苦) , 양(凉) 
약전기재: 중국약전 , 한국생약규격집 
독성: Low / toxic class of herbaceous folk medicine.(toxic; active but toxic, cautious/very toxic, at small dose, usually used for emergency case) 1,2).
 1) H.K. Do, Shin Rhong Bon Cho Kyung, 452.
 2) H.T. Rhu, Hyang Yak Jip Sung Bang, 1431.
약재사용처방
결명원(決明元)[1] /  예막차정(藝膜遮睛) 
고본환정환(固本還睛丸) /  예막차정(藝膜遮睛) , 난현풍(爛弦風) 
대명부광산(大明復光散) /  예막(翳膜) , 내장(內障) 
만청자환(蔓靑子丸) /  안목혼암(眼目昏暗) 
밀몽화산(密蒙花散)[2] /  두후생예막(痘後生瞖膜) 
본사방양간원(本事方羊肝元) /  청맹(靑盲) , 내장(內障) 
서각산(犀角散) /  추정안(墜睛眼) 
석결명산(石決明散)[1] /  해정(蟹睛) , 선라풍(旋螺風) 
선화산(蟬花散)[1] /  유루(流淚) , 안목적종(眼目赤腫) , 예막(翳膜) 
웅황예산(雄黃銳散) /  호혹(狐惑) 
청상자(靑箱子)[1] /  간실열(肝實熱) 
청상자(靑箱子)[2] /  청맹(靑盲) 
팔미환정산(八味還睛散) /  내장(內障) , 산예(散翳) 
환정환(還睛丸)[3] /  안병(眼病) 
처방구성
청상자(靑箱子)
처방효능 : 강혈압(降血壓), 청간화(淸肝火)
제재법 : 말(末)
용법 : 가루로 복용
참고 :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

처방의 질병효능
간실열(肝實熱):간에 사열(邪熱)이 실한 증. 열증 증상과 함께 소변이 누렇고, 복통이 나고, 누워 있으려고만 하며, 몸에 열이 남. 심하면 헛소리를 하고, 잘 놀라고, 옆구리가 그득하면서 아프고, 손발을 버둥거리며 편히 누워있지 못함.

동일효능처방
간실열(肝實熱)
결명자(決明子)[1]  / 청간해독(淸肝解毒)
당귀용회환(當歸龍薈丸)  / 사간청열(瀉肝淸熱)
시호음자(柴胡飮子)  / 청간이기(淸肝理氣)
창이자(蒼耳子)[1]  / 발한지통(發汗止痛)

참고문헌
두산백과, 여지도서, 한국전통지식포탈, 익생의자연건강턴텐츠,

로고_임금님진상품_카페용150.jpg
 

   

                                            크기변환_13333.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