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각(枳殼), 광귤은 상록활엽 소교목으로 높이 7m에 달하고 지엽(枝葉)이 무성하며 가지에 가시가 있다. 잎은 호생하고 난상 장타원형으로 길이 7~10㎝이며 끝은 점차 뾰족해지고 많은 유점(油點)과 파상(波狀)의 톱니가 있으며 두껍고 엽병에 넓은 날개가 있다. 꽃은 5월에 백색으로 피며 향기가 있고 잎짬에 1개 또는 몇 개씩 달린다. 꽃받침 조각과 꽃잎은 각각 5개이고 수술은 20~24개이며 암술은 1개이고 자방은 둥글며 녹색이고 1개의 암술대가 있다. 과실은 장과로 구형이며 지름 6~8㎝이고 10월에 황적색으로 익으며 오랫동안 가지에 달려 있고 과피와 과육이 잘 떨어지지 않으며 내피는 10~12실(室)로 되고 중심부가 비어 있으며 과육이 매우 시다. 종자는 쐐기 모양의 난형이며 편평하다.
광귤(bitter orange)은 포멜로(중국자몽)와 밀감의 교배종인 나무와 그 열매를 의미한다. 광귤은 정유를 얻는데 사용하는데, 광귤의 정유는 향수, 비누, 화장품 등에서 착향료 및 용매 역할을 한다.
광귤에는 시네프린(synephrine)이라는 성분이 들어 있으며, 이는 의학적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다이어트제(식욕억제제)로 인기가 높은데, 시네프린은 신경계에 영향을 미치는 약물이므로 부작용이 심하고 사망을 유발할 수도 있어 일각에서는 광귤 추출물의 의학적 사용을 금지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음식
익지 않은 광귤은 인도 남부 요리에서 흔히 사용되는 요리 재료이다. 주로 나선형으로 자른 뒤에 소금에 절여 피클링(pickling)시킨다. 이렇게 만든 피클은 다른 음식과 함께 곁들어 먹는다. 니카라과, 쿠바, 도미니카, 아이티 등지에서는 익은 광귤로 만든 주스를 고기의 양념장으로 사용한다. 멕시코에서는 광귤 주스를 꼬치니따 삐빌(cochinita pibil, 타코의 일종)을 만드는 주 재료 중 하나로 사용한다.
의학
광귤과 그 껍질에서 얻은 추출물은 체중감소와 식욕억제 효과를 가진 건강보조제로서 판매되고 있다. 광귤에는 티라민의 대사물질인 N-메틸피라민, 옥토파민, 시네프린 등이 들어있으며 이는 α1 아드레날린 수용체에 작용하여 혈관 수축, 혈압 상승, 심장박동수 증가 등을 일으키는 에피네프린과 유사한 작용을 한다. 여러 신뢰도가 낮은 실험에서, 시네프린 단독 투여 혹은 카페인 등 다른 물질과의 병용투여는 어느 정도의 체중 감소를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때 우리나라에서 마황이 한방 다이어트제로 각광받다가 독성이 강하다는 이유로 퇴출되었는데, 시네프린은 마황과 비슷한 작용을 가지므로 마황의 자리를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문제는 광귤 추출물이 마황과 비슷한 부작용을 가지는 것으로 추정됨에도 불구하고 광귤 추출물이 포함된 건강보조제가 정식적인 안전 테스트를 받지 않는다는 것이다. 사례연구 결과에 따르면 광귤 추출물이 포함된 건강보조제는 뇌졸증 및 허혈성 대장염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의 국립보완대체의학센터(NCCAM)에서는 "현재 광귤이 마황보다 더 안전하다는 증거는 거의 없다"라고 언급하기도 하였다. 또한, 광귤은 스타틴 등의 다른 약물과의 상호작용을 일으켜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다. 건강한 성인 남성에서 광귤 추출물 함유 건강보조제를 먹고 심근경색증이 나타나는 사례도 보고된 바 있다. (누리위키)
진상품관련근거
기각, 광귤은 제주도 제주목에서 진상하였다는 기록이 역주탐라지, 제주풍토기에 기록되어있다.
분포; 제주 채취기간 7~8월
키; 4m 정도 취급요령 열매를 반으로 쪼개 햇볕에 말려 쓴다.
생지; 인가 부근 식재 성미 서늘하며, 쓰고 맵다.
분류; 상록 활엽 관목 독성여부 없다.
번식; 실생ㆍ접목 1회사용량 6~8g
약효 나무껍질, 덜 익은 열매, 꽃 사용범위 null
잎;어긋나며 단신 겹잎으로서 길이 7~10cm의 달걀꼴이고 끝이 뾰족하다. 질이 두껍고 윤기가 나며 가장자리에 물결 모양의 톱니가 있다. 잎자루에 넓은 날개가 있다.
꽃;5~6월에 흰색으로 피며 잎겨드랑이에 총상 꽃차례로 1개 또는 몇 개씩 달린다. 꽃받침과 꽃잎은 각각 5개씩이고 20~24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다. 씨방은 둥글고 녹색이다.
열매;10월에 둥글면서도 편평한 황갈색의 장과가 지름 6~8cm의 크기로 달려 익는데 다음해 여름까지 가지에 매달려 있다. 씨는 쐐기 모양의 달걀꼴이며 편평하다.
특징 및 사용
광궤나무ㆍ산등ㆍ등자나무ㆍ등자목이라고도 한다. 줄기에 3개의 능선이 있고 가지에 가시가 있으며 잎이 많이 달려 무성하다. 방향성이 있다. 화장품의 향료(향수의 원료)와 관상용ㆍ약용으로 이용된다. 제주도에서 과수로도 심는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여 사용한다. 기혈이 부족하거나 비위가 허약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익생양술 효능
주로 소화기 질환과 부인병ㆍ호흡기 질환을 다스린다.건위,곽란,곽란,담,대하증,소갈증,소화불량,유방동통,유즙분비부전,자폐증,자한,정신분열증,졸도,진통,해수
기각(枳殼) / 광귤
라틴명; Aurantii Immaturus Fructus
약재의 효능; 이기(理氣) (행기해울(行氣解鬱), 강기조중(降氣調中), 보중익기(補中益氣)하여 기체(氣滯), 기허(氣虛), 기역(氣逆)등을 치료하는 것을 가리키는 용어임.)
관흉(寬胸); (가슴을 편안하게 하는 효능임)
소식(消食); (음식을 소화시키는 효능임)
화담(化痰); (담(痰)을 삭이는 방법을 말함)
하기(下氣); (인체 하부의 기(氣)를 말함.)
명목(明目); (눈을 밝게 하는 효능임)
건비(健脾); (비(脾)가 허(虛)한 것을 보(補)하여 운화기능(運化機能)이 약화된 것을 치료하는 방법)
개위(開胃); (위(胃)를 열어주는 효능임)
조오장(調五臟); (오장(五藏)을 조화롭게 하는 효능임)
통관절(通關節); (관절의 기운을 소통시켜 관절운동을 원활히 하는 효능임)
작용부위; 비(脾) , 위(胃)
성미; 고신산(苦辛酸) , 온(溫)
약전기재; 중국약전 , 한국생약규격집
주의사항; 미숙과(未熟果). 종자와 과육을 빼고 절편(切片)하여 말림. 기허자(氣虛者), 비위허자(脾胃虛者)는 복용하지 말 것.
독성; Caution ;during pregnancy 1). Significant adverse responses; intestinal colic, convulsions, and even death 2). Mild; active, but toxicity appears very mild unless used for long time 3,4).
1) Bensky, D. and A. Gamble, Chinese Herbal Medicine, Eastland Press, Inc., 1986.
2) Leung, A.Y., Encyclopedia of common natural ingredients used in food, drugs, and cosmetics, John Wiley & Sons, New York, 1996.
3) H.K. Do, Shin Rhong Bon Cho Kyung, 452.
4) H.T. Rhu, Hyang Yak Jip Sung Bang, 1431.
약재사용처방
가감감로음(加減甘露飮) / 구취(口臭) , 구창(口瘡) , 아선(牙宣)
가감도담탕(加減導痰湯) / 중풍불어(中風不語)
가감발운산(加減撥雲散) / 안병(眼病)
가감사물탕(加減四物湯)[1] / 장풍(腸風) , 변혈(便血)
가감향령산(加減香苓散) / 음란편추(陰卵偏墜)
가미강활산(加味羌活散) / 은진(癮疹) , 피부소양증(皮膚瘙痒症)
가미괴각환(加味槐角丸) / 장독(臟毒) , 치(痔) , 장풍(腸風)
가미시평탕(加味柴平湯) / 비괴(痞塊)
가미시호탕(加味柴胡湯) / 장역(瘴疫)
가미오령산(加味五苓散)[1] / 소변불통(小便不通)
가미이진탕(加味二陳湯)[2] / 기담(氣痰) , 매핵기(梅核氣)
가미이진탕(加味二陳湯)[4] / 매핵기(梅核氣)
가미전씨백출산(加味錢氏白朮散) / 소갈(消渴) , 불능식(不能食)
가미통심음(加味通心飮) / 퇴산(㿉疝)
가미패독산(加味敗毒散)[1] / 각기(脚氣)
가미패독산(加味敗毒散)[2] / 온독발반(溫毒發斑) , 온역(瘟疫)
가미패독산(加味敗毒散)[3] / 두창발열(痘瘡發熱)
가미함흉탕(加味陷胸湯) / 흉비통(胸痞痛)
가미향소산(加味香蘇散) / 기치(氣痔)
각독탕(却毒湯) / 치루(痔瘻)
강마탕(羌麻湯) / 파상풍(破傷風)
강활유풍탕(羌活愈風湯) / 풍중부(風中腑) , 풍중장(風中臟)
개기소담탕(開氣消痰湯)[1] / 담괴(痰塊)
개기소담탕(開氣消痰湯)[2] / 결핵(結核)
거풍도담탕(祛風導痰湯) / 중풍(中風) , 담연옹성(痰涎壅盛)
거풍제습탕(祛風除濕湯) / 수족탄탄(手足癱瘓)
건갈탕(乾葛湯) / 주치(酒痔)
결명원(決明元)[1] / 예막차정(藝膜遮睛)
결음단(結陰丹) / 결음변혈(結陰便血)
계지사칠탕(桂枝四七湯) / 냉심통(冷心痛)
계지탕(桂枝湯)[1] / 기울협통(氣鬱脇痛)
계출탕(桂朮湯) / 기분증(氣分證) , 혈분증(血分證)
고본환정환(固本還睛丸) / 난현풍(爛弦風) , 예막차정(藝膜遮睛)
곡신원(穀神元) / 식상(食傷)
과루기각탕(瓜蔞枳殼湯) / 담울(痰鬱)
과루실환(瓜蔞實丸)[1] / 흉비통(胸痞痛)
과루실환(瓜蔞實丸)[2] / 열격(噎膈)
관장환(寬腸丸)[1] / 치루(痔瘻) , 항문양통(肛門痒痛)
관장환(寬腸丸)[2] / 치루(痔瘻) , 항문양통(肛門痒痛)
광출화벽환(廣朮化癖丸) / 식징(食癥) , 유벽(乳癖)
괴각원(槐角元) / 오치(五痔)
괴화산(槐花散)[1] / 하혈(下血) , 변혈(便血)
괴화산(槐花散)[2] / 장독(臟毒)
괴화산(槐花散)[3] / 장독(臟毒) , 장풍(腸風)
괴황탕(槐黃湯) / 장독(臟毒) , 장풍(腸風)
교가산(交加散)[1] / 감모(感冒) , 감모(感冒) , 상한(傷寒) , 상한(傷寒)
구선탈명단(九仙奪命丹) / 열식(噎食) , 반위(反胃)
궁갈탕(芎葛湯) / 풍한협통(風寒脇痛)
궁신도담탕(芎辛導痰湯) / 담궐두통(痰厥頭痛)
궁하탕(芎夏湯) / 담음(痰飮)
궁활탕(芎活湯) / 담음비통(痰飮臂痛)
귀원산(歸元散)[2] / 오조(惡阻)
금련반하탕(芩連半夏湯) / 오조(惡阻)
금련소독음(芩連消毒飮) / 대두온(大頭瘟)
금로원(金露元) / 적취(積聚)
금불환산(金不換散) / 구천(久喘)
기각(枳殼)[1] / 기통(氣痛)
기각(枳殼)[4] / 협통(脇痛)
기각산(枳殼散)[1] / 기울협통(氣鬱脇痛)
기각산(枳殼散)[2] / 장독(臟毒)
기각산(枳殼散)[3] / 애기(噯氣)
기각자산(枳殼煮散) / 기울협통(氣鬱脇痛)
기각좌산(枳殼剉散) / 열창(熱脹)
기각탕(枳殼湯) / 태루(胎漏) , 하혈(下血)
기각환(枳殼丸)[1] / 삼초약(三焦約)
기각환(枳殼丸)[2] / 귀배(龜背)
기귤탕(枳橘湯) / 기체흉비(氣滯胸痞)
길경기각탕(桔梗枳殼湯) / 흉비통(胸痞痛)
길경탕(桔梗湯)[5] / 폐옹(肺癰)
노학음(老瘧飮) / 학모(瘧母)
단홍원(斷紅元) / 장풍(腸風)
당귀연교음(當歸連翹飮) / 아주공(牙蛀孔)
당귀활혈탕(當歸活血湯) / 혈울(血鬱) , 기체(氣滯)
대마인환(大麻仁丸) / 대변비결(大便秘結)
대명부광산(大明復光散) / 예막(翳膜) , 내장(內障)
대영수탕(大寧嗽湯) / 노수(勞嗽)
대이향산(大異香散) / 곡창(穀脹) , 기창(氣脹)
대정기산(大正氣散) / 창만(脹滿)
대황음자(大黃飮子) / 대변비결(大便秘結)
대황좌경탕(大黃左經湯) / 각기(脚氣)
도기기각환(導氣枳殼丸) / 기역(氣逆) , 심흉비통(心胸痞痛)
도담탕(導痰湯) / 풍담(風痰)
도적탕(導赤湯) / 소변백탁(小便白濁)
만병무우산(萬病無憂散) / 중서(中暑)
만응환(萬應丸)[2] / 적취(積聚)
명안지황환(明眼地黃丸) / 노인안혼(老人眼昏)
목향기각환(木香枳殼丸) / 탄산(呑酸) , 적취(積聚)
목향분기환(木香分氣丸) / 창만(脹滿) , 담수(痰嗽) , 천급(喘急)
목향빈랑환(木香檳榔丸)[1] / 기통(氣痛) , 기체흉비(氣滯胸痞)
목향빈랑환(木香檳榔丸)[4] / 기창(氣脹) , 곡창(穀脹)
목향소창원(木香消脹元) / 창만(脹滿) , 적취(積聚)
목향순기산(木香順氣散) / 기창(氣脹)
목향순기환(木香順氣丸)[1] / 기통(氣痛)
목향조기산(木香調氣散) / 기울(氣鬱)
목향화중환(木香和中丸) / 담적(痰積)
반과환(半瓜丸) / 담수(痰嗽)
반온반열탕(半溫半熱湯) / 주달(酒疸)
방풍온담탕(防風溫膽湯) / 급경풍(急驚風)
백엽탕(柏葉湯) / 장풍(腸風)
백합단(百合丹) / 귀흉(龜胸)
별갑산(鱉甲散) / 상한괴증(傷寒壞症)
보신지황원(補腎地黃元) / 신소(腎消)
보허음(補虛飮) / 기훈(氣暈) , 담연옹성(痰涎壅盛)
복령보심탕(茯苓補心湯)[1] / 노심토혈(勞心吐血)
복령조혈탕(茯苓調血湯) / 요혈(尿血)
분기음(分氣飮) / 수종(水腫) , 천급(喘急)
분심기음(分心氣飮) / 대소변불통(大小便不通)
비방양장탕(秘方養臟湯) / 오색리(五色痢)
비전강기탕(秘傳降氣湯) / 기역(氣逆)
비전순기산(秘傳順氣散) / 탄탄(癱瘓) , 중풍구안와사(中風口眼喎斜)
사물조경탕(四物調經湯) / 혈가(血瘕) , 월경불통(月經不通)
사성산(四聖散)[2] / 두출불쾌(痘出不快)
사위탕(瀉胃湯)[1] / 순종(脣腫) , 순창(脣瘡)
사초기각환(四炒枳殼丸) / 적취(積聚) , 창만(脹滿)
사합탕(四合湯) / 기체복통(氣滯腹痛) , 담음복통(痰飮腹痛)
사황음자(瀉黃飮子) / 견순(繭脣)
산울탕(散鬱湯) / 식울(食鬱)
산취탕(散聚湯) / 육취(六聚) , 징가(癥瘕)
삼소음(蔘蘇飮) / 상한해수(傷寒咳嗽)
삼신환(三神丸)[3] / 치(痔)
삼인총백산(三因蔥白散) / 방광병(膀胱病) , 한산(寒疝)
삼합탕(三合湯)[1] / 배통철심(背痛徹心)
삼호작약탕(蔘胡芍藥湯) / 상한괴증(傷寒壞症)
삼화탕(三和湯)[3] / 기창(氣脹) , 대소변불리(大小便不利)
상피산(桑皮散) / 혈수(血嗽)
상하분소도기탕(上下分消導氣湯) / 기울(氣鬱)
생료오적산(生料五積散) / 상한태양병(傷寒太陽病)
생지황산(生地黃散) / 안피물타당(眼被物打撞)
생지황음자(生地黃飮子) / 소갈(消渴)
서시시탕(鼠屎豉湯) / 상한노복발열(傷寒勞復發熱)
성산자(聖散子) / 습온(濕溫) , 풍온(風溫) , 역려(疫癘)
소감환(消疳丸) / 오감(五疳)
소고탕(消蠱湯) / 고창(蠱脹)
소담복령환(消痰茯苓丸) / 담음유주(痰飮流注) , 담음비통(痰飮臂痛)
소마인환(小麻仁丸) / 대변비결(大便秘結)
소식청울탕(消食淸鬱湯) / 조잡(嘈雜)
소아초생구급방(小兒初生救急方)[7] / 초생구토(初生嘔吐)
소조각원(小皂角元) / 노인대변비결(老人大便秘結)
소풍순기원(疏風順氣元) / 노인대변비결(老人大便秘結)
소풍해독산(疎風解毒散) / 편신생창(遍身生瘡)
소화환(消化丸) / 허로(虛勞) , 폐위(肺痿)
속효산(速效散)[1] / 예장(翳障)
송예단(松蘂丹) / 귀배(龜背)
수자목향고(水煮木香膏) / 이질(痢疾)
수태기감산(瘦胎枳甘散) / 태기(胎氣)
수풍윤장환(搜風潤腸丸) / 대변비결(大便秘結)
수화분청음(水火分淸飮) / 적백탁(赤白濁)
숙료오적산(熟料五積散) / 상한태양병(傷寒太陽病)
순기도담탕(順氣導痰湯)[2] / 중풍불어(中風不語)
승마탕(升麻湯)[1] / 비사(鼻齄)
승마화기음(升麻和氣飮) / 개선(疥癬)
시경반하탕(柴梗半夏湯) / 흉비통(胸痞痛)
시경탕(柴梗湯) / 지결(支結)
시호기각탕(柴胡枳殼湯) / 임신상한(妊娠傷寒)
시호기길탕(柴胡枳桔湯) / 화수(火嗽)
시호연교탕(柴胡連翹湯) / 상한섬어(傷寒譫語) , 발열(發熱)
신비좌경탕(神秘左經湯) / 각기(脚氣)
신성복기탕(神聖復氣湯) / 신심통(腎心痛)
신수태을산(神授太乙散) / 온역(瘟疫) , 상한양감(傷寒兩感)
신효산(神效散)[2] / 냉심통(冷心痛)
실비음(實脾飮) / 수종(水腫)
십미궁소산(十味芎蘇散) / 온역(瘟疫)
십미화해산(十味和解散) / 기혈구손(氣血俱損) , 상한(傷寒)
십육미유기음(十六味流氣飮)[1] / 유암(乳巖)
십육미유기음(十六味流氣飮)[2] / 신옹(腎癰)
안태산(安胎散)[1] / 태동불안(胎動不安) , 하혈(下血)
야광육신환(夜光育神丸) / 노인안혼(老人眼昏)
양혈음(凉血飮)[1] / 치루(痔瘻)
연각환(連殼丸) / 변혈(便血)
연교패독산(連翹敗毒散) / 옹저(癰疽)
연심산(蓮心散)[2] / 노채(勞瘵)
영신도담탕(寧神導痰湯) / 중풍혼도(中風昏倒)
영위반혼탕(榮衛返魂湯) / 발배(發背) , 옹저(癰疽)
영위산(寧胃散) / 열리(熱痢) , 적백리(赤白痢)
오매환(烏梅丸)[2] / 열리(熱痢)
오백환(烏白丸) / 주적(酒積)
오약순기산(烏藥順氣散)[1] / 일체풍질(一切風疾)
오약순기산(烏藥順氣散)[2] / 유주(流注) , 근맥구련(筋脈拘攣)
오적산(五積散) / 상한음증(傷寒陰證)
위피환(蝟皮丸) / 치루(痔瘻)
육마탕(六磨湯)[1] / 대변비결(大便秘結)
육마탕(六磨湯)[2] / 기천(氣喘)
육신환(六神丸) / 이질(痢疾)
육울탕(六鬱湯)[2] / 육울(六鬱)
윤마환(潤麻丸) / 대변비결(大便秘結)
윤장환(潤腸丸)[1] / 대변비결(大便秘結)
윤장환(潤腸丸)[2] / 노인대변비결(老人大便秘結)
윤폐제수음(潤肺除嗽飮) / 구수(久嗽)
이기거풍산(理氣祛風散) / 중풍구안와사(中風口眼喎斜)
이기환(利氣丸) / 식적복통(食積腹痛)
이인원(二仁元) / 노인대변비결(老人大便秘結)
인삼강활산(人蔘羌活散)[1] / 중풍열증(中風熱證)
인삼강활산(人蔘羌活散)[2] / 상한발열(傷寒發熱)
인삼강활산(人蔘羌活散)[3] / 상풍발열(傷風發熱)
인삼사폐탕(人蔘瀉肺湯)[1] / 폐실열(肺實熱)
인삼사폐탕(人蔘瀉肺湯)[2] / 열수(熱嗽)
인삼산(人蔘散)[2] / 주상(酒傷)
인삼산(人蔘散)[3] / 담수(痰嗽)
인삼오미자산(人蔘五味子散) / 음허천급(陰虛喘急)
인삼음자(人蔘飮子) / 천행해수(天行咳嗽)
인삼이격환(人蔘利膈丸) / 열격(噎膈) , 천만(喘滿)
인삼전호탕(人蔘前胡湯) / 담훈(痰暈)
인삼청폐산(人蔘淸肺散) / 실음(失音) , 담수(痰嗽)
인삼패독산(人蔘敗毒散) / 상한표증(傷寒表證)
인삼형개산(人蔘荊芥散)[2] / 혈풍(血風)
인숙산(仁熟散) / 담허(膽虛)
입효산(立效散)[4] / 농혈리(膿血痢) , 적백리(赤白痢)
자비환(滋脾丸) / 식상(食傷)
자윤탕(滋潤湯) / 이변폐삽(二便閉澁) , 풍중장(風中臟)
자음지황환(滋陰地黃丸)[1] / 목혼(目昏) , 혈소신로(血少神勞) , 신허(腎虛)
장풍흑산(腸風黑散) / 장풍(腸風) , 장독(臟毒)
저령탕(猪苓湯)[1] / 열결(熱結) , 소변불통(小便不通)
전진환(全眞丸)[2] / 대소변불통(大小便不通) , 삼초옹체(三焦壅滯)
전호기각탕(前胡枳殼湯) / 두창담천(痘瘡痰喘)
전호반하탕(前胡半夏湯) / 기담(氣痰)
정폐탕(定肺湯) / 기천(氣喘)
제생자소자탕(濟生紫蘇子湯) / 복창(腹脹) , 대소변불통(大小便不通)
조각원(皂角元) / 대변비결(大便秘結)
조강탕(調降湯) / 기천(氣喘)
조도음(調導飮) / 산전후대변불통(産前後大便不通)
조장환(釣腸丸) / 탈항(脫肛) , 치(痔)
조중이기탕(調中理氣湯) / 허리(虛痢)
조중탕(調中湯)[1] / 음증발반(陰證發斑)
조태산(罩胎散)[2] / 임신두창(妊娠痘瘡)
조해산(調解散) / 두창도함(痘瘡倒陷)
증손여성탕(增損如聖湯) / 인후종통(咽喉腫痛) , 실음(失音)
지골피산(地骨皮散)[2] / 골증(骨蒸)
지부자탕(地膚子湯)[2] / 자림(子淋)
지지환(地芝丸) / 원시(遠視)
지황탕(地黃湯) / 이중청(耳重聽)
진식환(進食丸) / 벽적(癖積)
집향탕(集香湯) / 허종(虛腫)
창름탕(倉廩湯) / 금구리(噤口痢)
천근환(茜根丸) / 고주리(蠱疰痢)
천금누로탕(千金漏蘆湯) / 발배(發背) , 내저(內疽) , 정창(釘瘡)
천금지미환(千金指迷丸) / 담음(痰飮)
천민도담탕(千緡導痰湯) / 담천(痰喘)
천태산(天臺散) / 중풍(中風) , 탄탄(癱瘓)
청금강화탕(淸金降火湯) / 화울수(火鬱嗽)
청기산(淸肌散) / 은진(癮疹)
청기선풍산(淸氣宣風散) / 중풍열증(中風熱證)
청량산(淸凉散)[2] / 인후종통(咽喉腫痛) , 실화(實火)
청상방풍탕(淸上防風湯) / 절풍(癤風) , 두면창(頭面瘡)
청서화중산(淸暑和中散) / 중서(中暑)
청열도담탕(淸熱導痰湯)[2] / 중풍(中風)
청열사습탕(淸熱瀉濕湯) / 습각기(濕脚氣)
청열여성산(淸熱如聖散) / 설종(舌腫)
청열해울탕(淸熱解鬱湯) / 위완통(胃脘痛)
청영괴화음(淸榮槐花飮) / 장독(臟毒) , 장풍(腸風)
청폐산(淸肺散)[2] / 목적종통(目赤腫痛)
청폐음(淸肺飮) / 화수(火嗽)
청화탕(淸火湯) / 삼초열(三焦熱)
청화화담탕(淸火化痰湯) / 담결(痰結) , 담궐(痰厥)
추기산(推氣散) / 우협통(右脇痛)
축어탕(逐瘀湯) / 치(痔)
치산후혈붕일방(治産後血崩一方) / 산후혈붕(産後血崩)
치시기황탕(梔豉枳黃湯) / 발열(發熱) , 상한식복(傷寒食復)
치혈붕일방(治血崩一方) / 산후혈붕(産後血崩)
침향음(沈香飮)[2] / 복창(腹脹)
택사산(澤瀉散) / 수종(水腫)
택사탕(澤瀉湯)[2] / 자림(子淋)
통간산(通肝散) / 빙예(氷翳)
통경탕(通經湯) / 월경불통(月經不通)
통기구풍탕(通氣驅風湯) / 반신불수(半身不遂) , 중풍(中風) , 언어건삽(言語蹇澁)
통도산(通導散) / 대소변불통(大小便不通) , 손상어혈(損傷瘀血)
퇴열청기탕(退熱淸氣湯) / 기역(氣逆)
투격탕(透膈湯) / 탄산(呑酸)
파적도음환(破積導飮丸) / 담적(痰積)
평위분소음(平胃分消飮) / 조잡(嘈雜) , 탄산(呑酸)
평폐탕(平肺湯) / 수천(水喘)
평혈음(平血飮) / 편신생창(遍身生瘡)
필효산(必效散)[1] / 임(淋)
해독방풍탕(解毒防風湯) / 성아(聲啞) , 두출과밀(痘出過密) , 장열(壯熱)
해울화중탕(解鬱和中湯) / 흉비통(胸痞痛)
행기향소산(行氣香蘇散) / 적심통(積心痛)
향각환(香殼丸)[1] / 장벽(腸澼) , 치루(痔瘻)
향각환(香殼丸)[2] / 식상(食傷)
향릉환(香稜丸) / 육취(六聚) , 오적(五積)
향부산(香附散)[2] / 장풍(腸風)
향사평위산(香砂平胃散)[2] / 식울(食鬱)
형개연교탕(荊芥連翹湯)[1] / 이롱(耳聾)
형방패독산(荊防敗毒散)[1] / 상한태양병(傷寒太陽病)
형방패독산(荊防敗毒散)[2] / 대두온(大頭瘟)
형봉전원(荊蓬煎元) / 비괴(痞塊) , 적취(積聚)
호박산(琥珀散)[3] / 결핵(結核) , 나력(瘰癧)
홍설통중산(紅雪通中散) / 구창(口瘡) , 중설(重舌)
화피산(樺皮散) / 은진(癮疹) , 피부소양증(皮膚瘙痒症)
환정환(還睛丸)[3] / 안병(眼病)
활혈구풍산(活血驅風散)[1] / 음낭습양(陰囊濕痒)
활혈구풍산(活血驅風散)[2] / 신장풍창(腎臟風瘡)
활혈윤조환(活血潤燥丸) / 대변비결(大便秘結)
황금이격환(黃芩利膈丸) / 열담(熱痰)
회수산(回首散) / 항강(項强)
회춘양격산(回春凉膈散) / 구설생창(口舌生瘡)
회향(茴香)[3] / 소장산(小腸疝)
후박귤피전(厚朴橘皮煎) / 한창(寒脹)
참고문헌
원색한국기준식물도감, 1996.11.15, 아카데미서적, 익생의 자연건캉컨텐츠, 누리위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