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래
가물치
가지
간재미
갈근
갈치
감자
감태
감초
감홍로주
강활
강황
게장
고구마
고등어
고본
고사리
고슴도치
고추
고추장
곤쟁이
골풀
곰취
곱돌
과루인
곶감
과메기
곽향
광어
구기자
구리
국수
국화차
굴비
금불초
기장
김치
꼬막
꼴뚜기
꽃게
꿀풀
나물
나전칠기
낙죽장도
낙지
냉이
노루
녹두
녹용
녹차
농어
뇌록
누치
느룹나무
느타리버섯
다시마
다람쥐
다래
다슬기
닥나무
단감
단목
달래
담비
담쟁이
당귀
대게
대구
대나무
대발
대추
더덕
더덕주
도라지
도루묵
도마뱀
도미
도자기
돈육
돈차
돌미역
돔배기
동래파전
동백기름
동충하초
돚자리
돼지
된장
두꺼비
두릅
두충
딸기
들기름
마늘
마뿌리
만화석
막걸리
망둥어
매생이
매실
맥문동
맨드라미
머루
머루주
메밀차
멸치
명란젓
명설차
명태
모과
모란
모래무지
모시
모자
목기
목화
무명
무우
문배주
문어
미나리
미역
민속주
민어
밀랍
박하
방풍
백랍
백련잎차
백렴
백미
백반
백부자
백조어
백하수오
백합
밴댕이
뱅어
벼루
병어
법주
보골지
보리
복령
복분자
복숭아
복어
부들
부자
부채
부추
붉나무
붕어
비빔밥
비자
뽕나무
사과
사슴
산나물
산삼
삼림욕
산수유
살구
삼릉
삼배
삼치
상합
상황버섯
새우
새우젓
생강
석결명
석곡
석류
석영
석이버섯
석청
석창포
소금
소라
소주
속새
송어
송이버섯
송화가루
수달
수박
수정
숙주
순채
숭어
승검초
식해
안동포
안식향
앵두
야콘
야콘잎차
약쑥
양귀비
어란
어리굴젓
어육장
엄나무
연밥
연어
연엽주
열목어
염전
엽삭젓
오가피
오미자
오곡
오골계
오정주
오죽
오징어
옥돔
옥로주
옹기
옻칠
왕골
용문석
우무
우황
울금
웅어
위어
유기
유자
유자차
유황
육포
은어
은행
이강주
이스라지
익모초
인삼
인삼주
잉어
자단향
자두
자라
자라돔
자연동
자하젓
작설차
작약
장군풀
장아찌
전모
전복
전어
전어젓
전통주
젓갈
젓새우
정어리
조개
조기
조홍시
좁쌀
종어
종이
주꾸미
죽렴장
죽로차
죽순
죽순채
죽염멸치
죽엽청주
죽피
죽합
준치
중국차
지라돔
지치
질경이
찐빵
참가사리
참게
참기름
참죽나물
참외
찹쌀
창출
천궁
천남성
천문동
청각
청국장
청란석
청목향
청자
초콜릿
초피나무
초하주
추성주
취나물
치자
칠선주
콩잎
토마토
토끼
토사자
토주
토파즈
토하젓
파전
패랭이
편두
포도
포도주
표고버섯
표범
하늘타리
학슬
한과
한라봉
한우
한지
해구신
해달
해삼
해파리
해홍나물
향나무
호도
호로파
호두
홍삼
홍삼절편
홍시
홍어
홍주
홍합
화개차
화문석
황기
황률
황벽나무
황어
황옥
황진이주
황태
회양목
후박
후추
흑돼지
흑염소
흑한우
로그인 l 회원가입

e8ccf7afdd6c52258b6fbe6c00a9fd6a_1443601259_4273.jpg
 
 누에알껍질 잠퇴지, 누애나방 마명퇴(馬名退), 잠련(蠶連) , 잠자고지, 잠포지, 잠연지
 

누에 알껍질(잠퇴지) 무엇인가?
누에알껍질은 누에나방과 곤충 집누에나방(Bombyx mori L.)의 난자(卵子)가 부화(孵化)한 후의 난각(卵殼) 즉 알껍질이다. 또는 누에알껍질에 깔아서 붙어있는 종이까지 포함한다.Bombyx mori의 알이 부화한 후의 껍질로 피를 토하는 증상이나 코피, 대변에서 피가 나오는 것과 치통 등을 치료하는 약재임


누애나방 마명퇴(馬名退)의 효능
각종출혈 두통 복통 이질 창상에 효험, 토혈, 비출혈, 혈변, 붕루, 백대하, 후풍, 후비, 아감, 치통, 정종, 치루하혈, 소아 두창, 소변삽통, 두통, 복통, 이질, 코피, 창상에 효험있는 누에 알껍질

진상품관련근거
누애나방 마명퇴는 황해도(감영,곡산,서흥,수안,신계,토산,평산)에서 진상하였다는 기록이 여지도서에 기록되어있다.


특징 및 사용
누에나방의 애벌레로 알에서 나올 때는 검고 털이 있으나 첫번째 탈피(脫皮) 때 털을 벗고 흰색이 된다. 13개의 마디가 있으며 전부 4번에 걸쳐 잠잘 때마다 꺼풀을 벗는다. 크면 실을 토해 고치를 만들며 그 안에서 탈피하여 번데기가 된다. 유충기는 25일 쯤이며 우화(羽化)하여 나방이 된다. 나방이 되면 고치를 뚫고 나와 알을 낳고 죽는다. 날개 길이는 40cm 가량이다. 암컷은 날개가 희고 몸이 굵고 촉각이 회색, 수컷은 날개가 회색이고 몸이 좀 작으며 촉각이 검다. 교정하여 알을 낳은 뒤에 죽는다. 고치에서 견사(絹絲)를 얻는다. 기르는 누에를 가잠(家蠶), 뽕누에를 상잠(桑蠶), 누에나방을 잠아(蠶蛾) 또는 원잠아(原蠶蛾)라고 한다.


잠퇴지(蠶退紙) / 누에가 알을 깐 종이
라틴명; Bombycis Ovi Periostracum
약재의 효능; 청열(淸熱)  (열기를 성질이 차거나 서늘한 약으로 식히는 효능임) 
해독(解毒);  (독성(毒性)을 풀어주는 효능임) 
양혈(凉血);  (청열법(淸熱法)의 일종으로서, 혈분(血分)의 열사(熱邪)를 제거하는 치법.) 
지혈(止血);  (출혈(出血)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성미; 평(平) 
독성; Mild; active, but toxicity appears very mild unless used for long time 1,2).
 1) H.K. Do, Shin Rhong Bon Cho Kyung, 452.
 2) H.T. Rhu, Hyang Yak Jip Sung Bang, 1431.
약재사용처방
벽력단(霹靂丹) /  자간(子癎) , 난산(難産) 
삼퇴음(三退飮) /  포의불하(胞衣不下) 
소아초생구급방(小兒初生救急方)[9] /  초생소변불통(初生小便不通) 
이퇴산(二退散) /  난산(難産) 
잠퇴지(蠶退紙)[1] /  대하(帶下) , 붕루(崩漏) 
잠퇴지(蠶退紙)[2] /  사수(邪祟) , 광간(狂癎) 
잠퇴지(蠶退紙)[3] /  고독(蠱毒) 
통치백물독일방(通治百物毒一方)[7] /  제반중독(諸般中毒) 
해백물독일방(解百物毒一方)[4] /  백물독(百物毒)(익생의 자연건강 컨텐츠) 

약재명; 잠퇴지(蠶退紙) 누애알껍질  
학명; Bombyx mori L. (= Carthamus tinctoria, Batrytis bassianav)
라틴명; Bombycis Ovi Periostracum
약용부위;  누에가 알을 깐 종이
효능;  양혈(凉血), 지혈(止血), 청열(淸熱), 해독(解毒) 동의보감(東醫寶鑑)(1613)
주치병증;  토혈(吐血), 육혈(衄血), 붕루(崩漏), 장치하혈(腸痔下血), 적백이질(赤白痢疾), 아감(牙疳), 구창(口瘡), 정이(聤耳), 창양(瘡瘍), 정종(疔腫), 인후종비(咽喉腫痹) 동의보감(東醫寶鑑)(1613)
이명;  잠련(蠶連)
성미;  평(平)
작용부위;  심(心), 간(肝)
포함처방
벽력단(霹靂丹)A, 벽력탈명단(霹靂奪命丹)A, 삼퇴음(三退飮)A, 이퇴산(二退散), 애탕(艾湯), 단방(單方)I, 소오퇴산(小五退散), 삼퇴음(三退飮)B, 벽력탈명단(霹靂奪命丹)B, 칠보환(七寶丸), 대통진원(大通眞圓) 

화합물; Pheophytin A, 13-(2)-(S)-Hydroxypheophytin A, 13-(2)-(R)-Hydroxypheophytin A, Stearyl alcohol, Pheophytin B, 13-(2)-(S)-Hydroxypheophytin B, 13-(2)-(R)-Hydroxypheophytin B, N-[2-(4-Hydroxyphenyl)ethyl]acetamide, Bombycosterol, 10,12-Hexadecadienal; (10E,12Z)-form, 3-Hydroxykynurenine; (S)-form, 3-Hydroxykynurenine; (S)-form, O-Glucoside, Lanthionine; (R,R)-form, 2,22-Dideoxy-20-hydroxyecdysone, Cholesterol, Campesterol, 7-Dehydrocampesterol, Provitamin D3, 7-beta-Hydroxycholesterol, 7-alpha-Hydroxycholesterol, 7-Dehydrositosterol, 7-beta-Hydroxysitosterol, Ikshusterol, 2,22-Dideoxy-20-hydroxyecdysone 3-phosphate, Bombycosterol-3-phosphate, 2-Deoxy-22-ecdysone-phosphate, 2-Deoxy-20-hydroxyecdysone-22-phosphate, Ecdysone-22-phosphate, 20-Hydroxyecdysone-22-phosphate, Putrescine, Spermidine, Protocatechuic acid, p-Hydroxybenzoic acid
약재키워드; 잠퇴지(蠶退紙), 누에나방, 잠련(蠶連)


누에알껍질의 여러가지 이름
잠퇴지[蠶退紙: 가우본초(嘉祐本草)], 잠자고지[蠶子故紙: 천금방(千金方)], 잠지[蠶紙: 근효방(近效方)], 잠포지[蠶布紙: 일화자제가본초(日華子諸家本草)], 잠태지[蠶蛻紙: 태평성혜방(太平聖惠方)], 만연[蠶連: 본초연의(本草衍義)], 잠연지[蠶連紙: 본초강목(本草綱目)], 잠사지[蠶沙紙: 본초구원(本草求原)], 마명퇴[馬鳴退, 잠련:蠶連: 동의보감(東醫寶鑑), 향약채취월령(鄕藥採取月令)], 누에알껍질 등으로 부른다.

[성분]
집누에나방 난각(卵殼) 즉 알껍질의 외층에는 폴리페놀류가 들어 있고 중간층, 내층에는 리포이드가 들어 있으며 제일 내층에는 리포이드 및 단백질이 들어 있다.
[성미]
<일화자제가본초>: "성질이 평하다."

[약의 효능과 주된 치료]
토혈, 비출혈, 혈변, 붕루, 백대하, 후풍(喉風), 후비, 아감(牙疳), 치통, 정종(疔腫), 창양(瘡瘍)을 치료한다.
1, <일화자제가본초>: "토혈, 비홍(鼻洪), 장풍사혈(腸風瀉血), 붕중대하(崩中帶下), 적백리(赤白痢)를 치료하며 정종창(疔腫瘡)에는 바른다."
2, <본초연의>: "난각(卵殼)을 태운 재로 부인의 혈로(血露)를 치료한다."
3, <본초강목>: "아선(牙宣), 치통, 아옹(牙癰), 아감(牙疳), 두창(頭瘡), 후비(喉痺), 전광(癲狂), 약물중독, 사증복통(沙證腹痛), 소변임비(小便淋閟), 부인의 난산 및 취유(吹乳) 동통을 치료한다."

[용법과 용량]
내복: 약성이 남을 정도로 강한 불로 태워 환을 짓거나 가루내어 먹는다.
외용: 태워서 가루내어 개어 바른다
누에알껍질에 대해서 허준이 쓴 <동의보감>에서는 이렇게 알려주고 있다.

[잠포지(蠶布紙)
○ 성질이 평(平)하다. 혈풍(血風)을 치료하는데 부인인 환자에게 좋다. 일명 마명퇴(馬鳴退) 또는 잠련(蠶連)이라고도 하는데 부인의 혈로(血露)를 치료한다. 부인들에게 쓰는 약에 많이 넣는다.
○ 이것은 누에가 갓 까나간 누에알껍질이 붙어 있는 종이를 말한다. 또는 잠퇴(蠶退)라고도 하는데 약에 넣을 때에는 약간 볶아서 쓴다[본초].]


누에알껍질(잠퇴지)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
1, 토혈이 멎지 않는 경우의 치료
잠퇴지(蠶退紙)를 약성이 남을 정도로 태우고 꿀로 검실(芡實) 크기의 환제를 짓는다. 입에 물고 타액으로 용해하여 복용한다. [요승탄집험방(姚僧坦集驗方)]

2, 치루 하혈
잠지(蠶紙) 반장을 사발에 넣고 그것을 태운 재를 술에 넣어 복용한다. [해낭비급방(奚囊備急方)]

3, 붕루(崩漏) 하혈이 멎지 않는 경우의 치료
잠퇴지(蠶退紙), 종려피(棕櫚皮)를 각각 약성이 남을 정도로 태워 곱게 가루내서 각 2돈을 더운술로 개어 복용한다. [해상명방(海上名方), 잠퇴산(蠶退散)]

4, 전후풍(纏喉風) 및 후비(喉痹)의 치료
잠퇴지(蠶退紙)를 양의 사소에 관계없이 약성이 남을 정도로 태서 재를 꿀로 개어 가시연밥 크기의 환제를 만든다. 입에 물고 타액으로 용해하여 복용한다. [요승탄집험방(姚僧坦集驗方)]

5, 주마아감(走馬牙疳)의 치료
잠퇴지(蠶退紙)를 태운 재에 사향(麝香)을 조금 넣고 환부에 바른다. [요승탄집험방(姚僧坦集驗方)]

6, 아선(牙宣), 아옹(牙癰)의 치료
잠퇴지(蠶退紙)를 태운 재를 잇몸에 비빈다. [요승탄집험방(姚僧坦集驗方)] 

7, 소아 두창
잠퇴지(蠶退紙)를 약성이 남을 정도로 태워 경분(輕粉)을 조금 넣고 참기름으로 개어 바른다. [태평성혜방(太平聖惠方)]

8, 소변삽통(小便澀痛)
잠퇴지(蠶退紙)를 양의 관계없이 태운 재를 가루내어 사향(麝香)을 약간 넣고 고루 혼합한다. 1회 2돈을 미음으로 개어 복용한다. [박제방(博濟方), 서회산(犀灰散); 성제총록(聖濟總錄), 작잠회산(作蠶灰散)]

9, 사증장열(痧證壯熱), 두통, 구악(嘔惡), 수족지말궐냉(手足指末厥冷), 복통, 민란(悶亂)한 경우의 치료
잠퇴지(蠶退紙)를 잘라 부셔 병 안에 넣고 뜨거운 물을 넣고 밀폐하여 잠시 두면 좋다. 뜨거울 때 복용하고 누워서 땀을 낸다. [유증활인서(類證活人書)]


참고문헌
익생의 자연건강 컨텐츠, 한국전통지식포탈, (한국전통지식포탈) , 동의보감, 약초연구가 정동명


로고_임금님진상품_카페용150.jpg

   

                                            크기변환_13333.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