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래
가물치
가지
간재미
갈근
갈치
감자
감태
감초
감홍로주
강활
강황
게장
고구마
고등어
고본
고사리
고슴도치
고추
고추장
곤쟁이
골풀
곰취
곱돌
과루인
곶감
과메기
곽향
광어
구기자
구리
국수
국화차
굴비
금불초
기장
김치
꼬막
꼴뚜기
꽃게
꿀풀
나물
나전칠기
낙죽장도
낙지
냉이
노루
녹두
녹용
녹차
농어
뇌록
누치
느룹나무
느타리버섯
다시마
다람쥐
다래
다슬기
닥나무
단감
단목
달래
담비
담쟁이
당귀
대게
대구
대나무
대발
대추
더덕
더덕주
도라지
도루묵
도마뱀
도미
도자기
돈육
돈차
돌미역
돔배기
동래파전
동백기름
동충하초
돚자리
돼지
된장
두꺼비
두릅
두충
딸기
들기름
마늘
마뿌리
만화석
막걸리
망둥어
매생이
매실
맥문동
맨드라미
머루
머루주
메밀차
멸치
명란젓
명설차
명태
모과
모란
모래무지
모시
모자
목기
목화
무명
무우
문배주
문어
미나리
미역
민속주
민어
밀랍
박하
방풍
백랍
백련잎차
백렴
백미
백반
백부자
백조어
백하수오
백합
밴댕이
뱅어
벼루
병어
법주
보골지
보리
복령
복분자
복숭아
복어
부들
부자
부채
부추
붉나무
붕어
비빔밥
비자
뽕나무
사과
사슴
산나물
산삼
삼림욕
산수유
살구
삼릉
삼배
삼치
상합
상황버섯
새우
새우젓
생강
석결명
석곡
석류
석영
석이버섯
석청
석창포
소금
소라
소주
속새
송어
송이버섯
송화가루
수달
수박
수정
숙주
순채
숭어
승검초
식해
안동포
안식향
앵두
야콘
야콘잎차
약쑥
양귀비
어란
어리굴젓
어육장
엄나무
연밥
연어
연엽주
열목어
염전
엽삭젓
오가피
오미자
오곡
오골계
오정주
오죽
오징어
옥돔
옥로주
옹기
옻칠
왕골
용문석
우무
우황
울금
웅어
위어
유기
유자
유자차
유황
육포
은어
은행
이강주
이스라지
익모초
인삼
인삼주
잉어
자단향
자두
자라
자라돔
자연동
자하젓
작설차
작약
장군풀
장아찌
전모
전복
전어
전어젓
전통주
젓갈
젓새우
정어리
조개
조기
조홍시
좁쌀
종어
종이
주꾸미
죽렴장
죽로차
죽순
죽순채
죽염멸치
죽엽청주
죽피
죽합
준치
중국차
지라돔
지치
질경이
찐빵
참가사리
참게
참기름
참죽나물
참외
찹쌀
창출
천궁
천남성
천문동
청각
청국장
청란석
청목향
청자
초콜릿
초피나무
초하주
추성주
취나물
치자
칠선주
콩잎
토마토
토끼
토사자
토주
토파즈
토하젓
파전
패랭이
편두
포도
포도주
표고버섯
표범
하늘타리
학슬
한과
한라봉
한우
한지
해구신
해달
해삼
해파리
해홍나물
향나무
호도
호로파
호두
홍삼
홍삼절편
홍시
홍어
홍주
홍합
화개차
화문석
황기
황률
황벽나무
황어
황옥
황진이주
황태
회양목
후박
후추
흑돼지
흑염소
흑한우
로그인 l 회원가입

e8ccf7afdd6c52258b6fbe6c00a9fd6a_1443601259_4273.jpg
 
 백국(白菊), 백국화(白菊花), 감국(甘菊), 국화, 대국
 

약재명; 백국화(白菊花)   
학명; Chrysanthemum morifolium Ramat.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국화 Chrysanthemum morifolium의 꽃봉오리로, 열이 나고 머리가 아픈 것, 신경을 지나치게 써서 머리가 아픈 것, 눈이 충혈되고 아픈 것, 위열(胃熱)을 제거하여 복통(腹痛) 소화불량(消化不良) 입 냄새 제거에 쓰이는 약재임
라틴명; Chrysanthemi Flos
일반명;  국화
과명;  국화과(菊花科 : Asteraceae/Compositae)
약용부위;  꽃
효능;  명목(明目), 소풍(疎風), 청열(淸熱), 해독(解毒), 보간기(補肝氣), 안장위(安腸胃), 이혈맥(利血脈), 조사지(調四肢) 동의보감(東醫寶鑑)
주치병증; 누출(淚出) , 습비(濕痺) , 요통(腰痛) , 오풍(惡風) , 유풍(遊風) , 정독({정}毒) , 풍두현(風頭眩) , 흉중번열(胸中煩熱) 감모풍열(感冒風熱), 두통현훈(頭痛眩暈), 정창종독(疔瘡腫毒), 안목혼화(眼目昏花), 목적종통(目赤腫痛) 동의보감(東醫寶鑑)
이명;  백감국(白甘菊)
성미; 감신(甘辛), 양(凉)
작용부위;  간(肝), 폐(肺)
포함처방; 선국산(蟬菊散)A, 통성산(通聖散)A, 퇴운산(退雲散), 가감사물탕(加減四物湯)E, 선국산(蟬菊散)B, 통성산(通聖散)C, 소풍옥용산(消風玉容散), 조협환(皂莢丸), 월화환(月華丸) 
화합물; Chrysanediol A, Chrysanthediacetate C, Chrysanthediacetate B, Pseudotaraxasterol, Taraxasterol, 16-beta-Hydroxy-3-O-palmityl-pseudotaraxasterol, 16-beta-Hydroxypseudotaraxasterol, Diosmetin-7-O-beta-D-glucopyranoside, Apigetrin, Apigenin, Chlorogenic acid, 3,5-Di-O-caffeoylquinic acid
약재키워드; 백국화(白菊花), 국화(菊花), 백감국(白甘菊)(한국전통지식포털)

효능 주치
맑고 향이 있으며 성질이 가벼운 것이 특징. 간경의 풍열을 발산시키며, 간경의 열을 청설하는데, 후자의 효능이 더 강하다.
외감 풍열과 풍온 초기 증상을 치료하며, 평간(平肝)하는 효능으로 눈을 밝게 한다.
간경의 풍열과 간화의 상공으로 인한 목적종통, 현훈, 두통 등에 상용한다.
청열해독, 소종 기능이 있어 청열해독약과 함께 사용하면 옹종, 정창 등을 치료한다.
풍열을 소산함에는 황국화, 평간잠양하는 효과에는 백국화, 청열해독하는 효능에는 야국화가 적당하다.
방풍이 전신 골절의 풍을 치료한다면 국화는 상반신의 유풍(遊風)을 치료하는 것이 특징
잎: 어긋나고 잎자루가 있으며 달걀꼴인데 깃꼴로 가운데 부분까지 깊게 갈라진다. 갈라진 조각의 가장자리는 불규칙하게 패어 들어가거나 톱니가 있다.
꽃: 9~10월에 원줄기 윗부분의 가지 끝에 두상화가 달려 피는데 두상화의 가장자리 꽃은 혀꽃이고 복판의 꽃은 대롱꽃이다. 혀꽃은 암술만 가진 불완전화이고, 대롱꽃은 암술과 수술을 모두 가진 완전화이다. 꽃의 빛깔은 품종에 따라 노랑ㆍ하양ㆍ빨강ㆍ보라 등 다양하고 꽃의 크기나 모양도 품종에 따라 각양각색이다.
열매: 10~11월에 수과가 달려 익는다.

진상품관련근거
백국(白菊),백국화(白菊花)는  황해도(감영, 康翎, 곡산, 문화, 서흥, 송화, 수안, 신계, 신천, 안악, 연안, 은율, 長淵, 長連, 재령, 토산, 평산, 풍천, 해주, 황주) 충청도(거산, 석성(부여), 연산, 은진(논산))에서 진상하였다는 기록이 있고, 감국(甘菊) 경상도 경산 경주 고령 봉화 군위 금산 대구 문경 상주 선산 영산 영양 함안 함양 등에서 진상하였다는 기록이 여지도서에 기록되어있다.

동의보감
-감국화(甘菊花, 단국화)는 성질은 평(平)하고 맛이 달며[甘] 독이 없다. 장위를 편안하게 하고 5맥을 좋게 하며 팔다리를 잘 놀리게 하고 풍으로 어지러운 것과 두통에 쓴다. 또 눈의 정혈을 돕고 눈물이 나는 것을 멈추며 머리와 눈을 시원하게하고 풍습비(風濕痺)를 치료한다. 어느 곳에나 심는다. 국화의 종류가 매우 많은데 오직 홀잎꽃(單葉)이면서 작고 누르며 잎은 진한 풀빛이고 작으며 엷다. 늦은 가을에 꽃이 피는 것이 진짜이다. 단것은 약에 쓰고 쓴 것은 쓰지 못한다.
-고의(苦意, 들국화)는 맛은 쓴데[苦] 어혈을 헤친다. 부인의 뱃속에 있는 어혈을 치료한다[본초]. 들국화는 의국(薏菊)이라고도 하는데 단국화는 달고 의국은 쓰다. 단국화는 오래 살게 하고 들국화는 기운을 사(瀉)하게 한다. 꽃은 작으면서 몹시 향기롭다. 줄기가 푸른 것이 들국화이다. 음력 1월에 뿌리를 캐며 3월에 잎을 따고 5월에 줄기를 베며 9월에 꽃을 따고 11월에 씨를 받아 그늘에서 말려 쓴다[본초].
-백국화(白菊花, 흰국화)는 잎과 줄기가 단국화와 비슷한데 오직 꽃만 희다. 역시 풍으로 어지러운데 주로 쓴다. 그리고 머리가 희지 않게 한다. 잎의 크기는 쑥잎과 비슷하다. 줄기는 푸르고 뿌리는 가늘며 꽃은 희고 꽃술은 누렇다. 흰국화의 성질은 평(平)하고 맛이 매우며[辛] 독이 없다. 풍으로 어지러운 데 주로 쓴다. 음력 8-9월에 꽃을 따서 햇볕에 말린다[본초].

한방의 약리해설(박영순)
① 모세혈관 투과성항진작용과 혈액순환촉진작용이 있다.
② 관상동맥의 혈액순환을 촉진한다.
③ 항균작용이 강하다.
 
국화차의 효능
국화차 효능과 함께 국화차 부작용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국화에는 크리산테논 등의 정유와 아데닌, 콜린, 스타키드린, 크리산테민 등이 함유되어 있어  해열, 해독, 두통, 현기증, 이명, 부스럼 등에 좋은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답니다. 또한 국화차는 혈압강하, 항균작용, 풍열, 어지럼증 등을 해소하고 소염작용, 이뇨작용 등의 효능이 보고되고 있다고 합니다. 소풍(疎風), 청열(淸熱), 명목(明目), 해독(解毒), 보간기(補肝氣), 안장위(安腸胃), 이혈맥(利血脈), 조사지(調四肢), 구복(久服): 이혈기(利血氣), 경신(輕身), 연년(延年), 국화차의 효능들을 국화꽃의 종류별로 구분하여 보면 각각 특징적인 효능이 다르다고 하네요. 일반적으로 백국화는 간에 주로 작용하는데 간기 상승을 억제하며 눈을 밝게 하는 작용이 있고 어지럼증이나 눈이 빨갛게 충열되고 안구통증이 있을 때 좋은 효능을 발휘하게 된다고 합니다.
또한 황국화차의 효능으로는 풍열을 없애주는 작용이 있어 풍열감기나 온병초기에 사용한다고 합니다. 그리고 들국화는 다른 국화에 비해 차가운 성질이 제일 강하여 열을 내리고 독을 풀어주는 작용이 있어 부스럼, 종기 등의 치료에 효능이 있고 오르는 기를 내려주고 차가운 성질로 열을 내려주는 뛰어난 효능이 있답니다. 국화차 효능을 동의보감의 기록에 의하면 새벽에 긷는 우물물 정화수를 사용할 경우 그 효능이 으뜸이라고 한다는군요.

국화차 부작용
국화차 부작용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답니다. 국화의 독특한 향이 좋아서 국화차를 마시게 되는데 어떤 국화를 이용해서 차를 마셔야 하는지 또 꾸준히 많이 마셔도 별다른 부작용은 없는지에 대해 자세히 알아볼 필요가 있다고 합니다. 즉 체질에 맞지 않는다면 국화차을 즐기는 경우에 부작용이 있게 되므로 주의가 필요하다는군요.
국화차 부작용에 대해 보면, 일반적으로 국화는 기를 내려주고 차가운 성질이 있기 때문에 몸에 열도 없고 양기가 상승하지도 않는 사람이 지속적으로 복용하게 되면 효능은 물론 오히려 부작용을 유발하게 된다는 것이랍니다. 또한 국화차를 마실 때는 백국화를 이용하는 것이 좋고 풍열감기나 편도선염, 종기 등이 있을 때에 같이 청혈해독이 필요할 땐 황국화나 들국화를 음용하는 것이 좋은 효능을 보고 부작용을 막을 수 있답니다.

진존인
-菊花는 疏風散熱하며, 發汗力은 비교적 弱, 淸熱作用은 상당히 强하여 風熱감기로 高熱이며 畏風‧微汗증상 있는 경우 사용하며 비타민A를 함유하여 慢性眼疾에 사용
-菊花와 山査는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고, 茄子는 혈관의 경화를 방지하는데 부작용이 전혀 없다.(動脈硬化와 高脂血症에 국화와 산사를 茶로, 茄子를 부식으로 복용)
-대량의 건조국화를 포대에 넣어 베개로 사용하면, 安眠‧鎭靜‧신경쇠약에 의한 두통치료, 시력증강, 몽유병발작의 방지에 좋다.

특징 및 사용
많은 원예 품종이 있다. 줄기는 밑 부분이 목질화(木質化)하며 겨울에 땅 위의 부분이 말라죽어 뿌리로만 겨울을 난다. 잎을 국화엽, 뿌리를 국화근이라 한다. 관상용ㆍ향신료ㆍ약용으로 이용된다. 말린 꽃을 베개 속에 넣으면 두통에 유효하고, 이불솜에 넣으면 그윽한 향기를 즐길 수 있으며, 국화술[延命酒 : 연명주]을 빚어 먹기도 한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꽃으로 술을 담가 사용한다. 복용 중에 깽깽이풀과 측백나무를 금한다.
백국화(白菊花) / 흰 국화
라틴명; Chrysanthemi Flos
약재의 효능; 소풍(疎風)  (풍사(風邪)가 인체에 침입한 것을 거풍해표약(祛風解表藥)을 사용하여 소산(疎散)시키는 방법임) 
청열(淸熱);  (열기를 성질이 차거나 서늘한 약으로 식히는 효능임) 
명목(明目);  (눈을 밝게 하는 효능임) 
해독(解毒);  (독성(毒性)을 풀어주는 효능임) 
보간기(補肝氣);  (간기(肝氣)를 보충하는 치료 방법임) 
안장위(安腸胃);  (장(腸)과 위(胃)의 기능을 좋게 하는 효능임) 
이혈맥(利血脈);  (혈맥(血脈)을 원활하게 하는 효능임) 
조사지(調四肢)  (사지(四肢)를 조화롭게 하며 조절하는 효능임) 
이혈기(利血氣) 
경신(輕身);  (몸을 가볍게 하는 효능임) 
연년(延年) 
작용부위; 간(肝) , 폐(肺) 
성미; 감신(甘辛) , 양(凉) 
약재사용처방
사피음(四皮飮) /  두후생예막(痘後生瞖膜) 
선국산(蟬菊散) /  두후생예막(痘後生瞖膜) 
천궁석고산(川芎石膏散) /  중풍열증(中風熱證) 
통성산(通聖散) /  두후생예막(痘後生瞖膜) 
퇴운산(退雲散) /  예막(翳膜) (익생의 자연건강 컨텐츠)

참고문헌
한국전통지식포탈, 익생의 자연건강 컨텐츠, 한국전통지식포털, 동의보감

로고_임금님진상품_카페용150.jpg

   

                                            크기변환_13333.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