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래
가물치
가지
간재미
갈근
갈치
감자
감태
감초
감홍로주
강활
강황
게장
고구마
고등어
고본
고사리
고슴도치
고추
고추장
곤쟁이
골풀
곰취
곱돌
과루인
곶감
과메기
곽향
광어
구기자
구리
국수
국화차
굴비
금불초
기장
김치
꼬막
꼴뚜기
꽃게
꿀풀
나물
나전칠기
낙죽장도
낙지
냉이
노루
녹두
녹용
녹차
농어
뇌록
누치
느룹나무
느타리버섯
다시마
다람쥐
다래
다슬기
닥나무
단감
단목
달래
담비
담쟁이
당귀
대게
대구
대나무
대발
대추
더덕
더덕주
도라지
도루묵
도마뱀
도미
도자기
돈육
돈차
돌미역
돔배기
동래파전
동백기름
동충하초
돚자리
돼지
된장
두꺼비
두릅
두충
딸기
들기름
마늘
마뿌리
만화석
막걸리
망둥어
매생이
매실
맥문동
맨드라미
머루
머루주
메밀차
멸치
명란젓
명설차
명태
모과
모란
모래무지
모시
모자
목기
목화
무명
무우
문배주
문어
미나리
미역
민속주
민어
밀랍
박하
방풍
백랍
백련잎차
백렴
백미
백반
백부자
백조어
백하수오
백합
밴댕이
뱅어
벼루
병어
법주
보골지
보리
복령
복분자
복숭아
복어
부들
부자
부채
부추
붉나무
붕어
비빔밥
비자
뽕나무
사과
사슴
산나물
산삼
삼림욕
산수유
살구
삼릉
삼배
삼치
상합
상황버섯
새우
새우젓
생강
석결명
석곡
석류
석영
석이버섯
석청
석창포
소금
소라
소주
속새
송어
송이버섯
송화가루
수달
수박
수정
숙주
순채
숭어
승검초
식해
안동포
안식향
앵두
야콘
야콘잎차
약쑥
양귀비
어란
어리굴젓
어육장
엄나무
연밥
연어
연엽주
열목어
염전
엽삭젓
오가피
오미자
오곡
오골계
오정주
오죽
오징어
옥돔
옥로주
옹기
옻칠
왕골
용문석
우무
우황
울금
웅어
위어
유기
유자
유자차
유황
육포
은어
은행
이강주
이스라지
익모초
인삼
인삼주
잉어
자단향
자두
자라
자라돔
자연동
자하젓
작설차
작약
장군풀
장아찌
전모
전복
전어
전어젓
전통주
젓갈
젓새우
정어리
조개
조기
조홍시
좁쌀
종어
종이
주꾸미
죽렴장
죽로차
죽순
죽순채
죽염멸치
죽엽청주
죽피
죽합
준치
중국차
지라돔
지치
질경이
찐빵
참가사리
참게
참기름
참죽나물
참외
찹쌀
창출
천궁
천남성
천문동
청각
청국장
청란석
청목향
청자
초콜릿
초피나무
초하주
추성주
취나물
치자
칠선주
콩잎
토마토
토끼
토사자
토주
토파즈
토하젓
파전
패랭이
편두
포도
포도주
표고버섯
표범
하늘타리
학슬
한과
한라봉
한우
한지
해구신
해달
해삼
해파리
해홍나물
향나무
호도
호로파
호두
홍삼
홍삼절편
홍시
홍어
홍주
홍합
화개차
화문석
황기
황률
황벽나무
황어
황옥
황진이주
황태
회양목
후박
후추
흑돼지
흑염소
흑한우
로그인 l 회원가입

e8ccf7afdd6c52258b6fbe6c00a9fd6a_1443601259_4273.jpg
 
 백미(白薇),백막(白幕), 미초(薇草), 골미(骨美), 석람(石藍),백미꽃, 초상산(草常山), 박주가리
 

백미(白薇)
학명; 
Cynanchum atratum Bunge     
라틴명;  Cynanchi Atrati Radix
일반명;  백미꽃, 겨울살이과-초상산(草常山)
과명;  박주가리과(Asclepiadaceae)
약용부위;  뿌리 
약재성상;  이 약은 엷은 황갈색의 가늘고 긴 뿌리가 짧은 뿌리줄기에 모여 붙어 말꼬리 모양을 이루고 길이 10-25cm, 지름 1-2mm이다. 이 약은 부스러지기 쉽고 꺾은 면은 황백색이며 피부와 목부의 구별이 된다. 이 약은 특이한 냄새가 있고 맛은 조금 맵다.
효능;  이기(利氣), 익정(益精), 지혈(止血), 하수(下水), 제혈열(除血熱), 청허화(淸虛火), 이수통림(利水通淋), 청열양혈(淸熱凉血), 해독요창(解毒療瘡) 동의보감(東醫寶鑑)
주치병증;  골증로열(骨蒸勞熱), 음허발열(陰虛發熱), 열림(熱淋), 온사상영발열(溫邪傷營發熱), 산후혈허발열(産後血虛發熱), 혈림옹저종독(血淋癰疽腫毒) 동의보감(東醫寶鑑)
수치법;  잡질(雜質)을 제거(除去)하고 세절(細切)하여 사용하거나, 미감침(米泔浸)한 후 잔 뿌리를 제거하고 증(蒸)하여 사용한다. 밀백미(蜜白薇) : 백미(白薇)의 생품은 양혈(凉血), 통림(通淋), 해독작용이 뛰어나 열림(熱淋), 혈림(血淋), 인후종통(咽喉腫痛)에 씀. 운곡본초학(耘谷本草學)(20040530)
이명;  백미(白微), 백막(白幕), 미초(薇草), 골미(骨美), 석람(石藍), 수약(嗽藥)
성미;  고(苦), 고함(苦鹹), 무독(無毒), 한(寒), 함(鹹)
작용부위;  간(肝), 신(腎), 위(胃)
금기;  상한(傷寒)과 유행성발병(流行性發病)등에 혈분(血分)에 열(熱)이 없거나, 한다망양증상(汗多亡陽證狀), 비위허한(脾胃虛寒)으로 식소변당자(食少便溏者) 등에 복용(服用)을 기(忌)한다.
포함처방;
백룡고(白龍膏), 백미원(白薇元), 백미탕(白薇湯)A, 보궁환(補宮丸), 옥약계영환(玉鑰啓榮丸), 정양탕(正陽湯), 종사환(螽斯丸)A, 가감위유탕(加減萎蕤湯), 축매탕(逐呆湯), 건강죽(乾薑粥), 백미탕(白薇湯)B, 백미환(白薇丸), 여금단(女金丹)B, 위유탕(萎蕤湯), 종사환(螽斯丸)B, 백미산(白薇散)A, 위유탕(萎㽔湯), 백미탕(白薇湯)C, 백미산(白薇散)B, 이백산(二白散), 대성산(大聖散)A, 우대성산(又大聖散), 통진원(通眞圓), 백미산(白薇散)C, 대성산(大聖散)B, 백미원(白薇圓)A, 난궁원(暖宮圓)A, 진계원(秦桂圓), 백미원(白薇圓)B, 독활탕(獨活湯)D, 위유산(萎蕤散), 이청산(二靑散), 죽피대환(竹皮大丸), 승금단(勝金丹)D, 승금단(勝金丹)F, 소보환(消補丸)B, 양폐탕(養肺湯), 철고산(鐵箍散)C, 묘응단(妙應丹)D, 소백미원(小白薇圓), 대통진원(大通眞圓), 대성산(大聖散)C 
약재키워드; 백미(白薇), 골미(骨美), 만생백미(蔓生白薇), 망초(亡草), 미(葞), 미초(米醋), 백막(白幕), 백미(白微), 백미꽃 (한국전통지식포탈)
분포; 전국 각지 채취기간 가을~이듬해 봄
키; 50cm 정도 취급요령 햇볕에 말려 쓴다.
자생지; 산과 들 성미 차며, 쓰다.
분류; 여러해살이풀 독성여부 없다.
번식; 씨 1회사용량 4~6g
약효; 뿌리 사용범위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동속약초; 민백미꽃ㆍ양반풀ㆍ호박주가리ㆍ은조롱의 뿌리
잎;마주나며 길이 6~15cm, 나비 3~10cm의 타원형으로서 끝이 뾰족하고 밑은 둥근 모양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잎자루는 길이 8~12mm로서 짧다.
꽃;5~7월에 검은빛을 띠는 자주색 꽃이 잎겨드랑이마다 모여 달려 핀다. 꽃줄기는 거의 없으며 우산 모양으로 달리는 작은 꽃자루는 꽃보다 짧다. 꽃받침은 녹색이고 5개로 갈라진다. 짙은 자주색 꽃부리가 5개로 깊게 갈라지는데 겉에 짧은 털이 드문드문 나고 안쪽에는 털이 없다. 덧꽃부리는 5개로 갈라지는데 갈라진 조각은 타원형이고 암술대와 길이가 같다.
열매;10월에 길이 7~8cm, 지름 1.5cm 정도 되는 짐승 뿔 모양을 한 넓은 댓잎피침형의 골돌과가 달려 익는데 겉에 털이 빽빽이 나며 씨에도 길고 흰 털이 난다.

진상품관련근거
백미는 황해도(감영,康翎,곡산,문화,서흥,송화,수안,신계,신천,안악,연안,은율,長淵,長連,재령,토산,평산,풍천,황주)에서 진상하였다는  기록이 여지도서에 기록되어있다.

특징 및 사용
미초(薇草)ㆍ백막(白幕)ㆍ백미ㆍ장초(長草)ㆍ망초ㆍ골미ㆍ아마존ㆍ춘초라고도 한다. 뿌리줄기는 짧고 가늘며 긴 뿌리가 많고 자르면 하얀 유즙이 나온다. 줄기는 곧게 자라고 가지가 갈라지지 않는다. 전체에 털이 촘촘하게 난다. 유사종으로 꽃이 초록빛을 띠는 것을 푸른백미꽃이라 한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여 사용한다.

익생양술 효능
주로 간경과 소화 기능을 돕고, 호흡기 질환을 다스린다.강장보호,냉병,늑막염,부종,어혈,폐결핵,풍비,풍습,해수,[소아질환]헛배 나온 데
백미(白薇) / 백미꽃 뿌리
라틴명; Cynanchi Atrati Radix
약재의; 효능 청열(淸熱)  (열기를 성질이 차거나 서늘한 약으로 식히는 효능임) 
양혈(凉血);  (청열법(淸熱法)의 일종으로서, 혈분(血分)의 열사(熱邪)를 제거하는 치법.) 
이뇨(利尿);  (소변이 잘 나오게 하는 효능임) 
통림(通淋);  (하초(下焦)의 습열(濕熱)을 없애고 결석(結石)을 제거하며, 소변 볼 때 깔깔하면서 아프거나 방울방울 떨어지면서 시원하게 나가지 않는 병증을 제거하는 방법임) 이기(利氣);  (기(氣)를 이롭게 하는 치료방법임.) 
익정(益精);  (정기(精氣)를 보익(補益)하는 효능임) 
하수(下水);  (몸 안의 수기(水氣)를 아래로 내리는 효능임) 
지혈(止血);  (출혈(出血)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청허화(淸虛火);  (음이 허해서 생긴 화를 내려주는 효능임) 
제혈열(除血熱);  (혈열(血熱)을 제거하는 효능임) 
작용부위; 간(肝) , 신(腎) , 위(胃) 
성미; 고함(苦鹹) , 한(寒) 
약전기재; 중국약전 , 한국생약규격집 
주의사항; 위허소식설사(胃虛少食泄瀉), 천해다한(喘咳多汗), 양기외설(陽氣外泄) 등의 증상이 있으면 복용하지 말 것.
독성; Mild; active, but toxicity appears very mild unless used for long time 1,2).
 1) H.K. Do, Shin Rhong Bon Cho Kyung, 452.
 2) H.T. Rhu, Hyang Yak Jip Sung Bang, 1431.
약재사용처방
백룡고(白龍膏) /  악창(惡瘡) 
백미원(白薇元) /  누정(漏睛) 
백미탕(白薇湯) /  울모(鬱冒) 
보궁환(補宮丸) /  백대(白帶) , 백음(白淫) 
승금단(勝金丹)[3] /  무사(無嗣) 
옥약계영환(玉鑰啓榮丸) /  무사(無嗣) 
정양탕(正陽湯) /  목적(目赤) , 기울(氣鬱) , 요수통(腰脽痛) , 황달(黃疸) 
종사환(螽斯丸) /  무사(無嗣)  (익생의 자연건강컨텐츠)
백미(白薇)
성질은 평(平)하고(차다[寒]고도 한다) 맛은 쓰고 짜며[苦옣] 독이 없다. 온갖 사기와 헛것에 들려[百邪鬼魅] 깜박깜박 잠들거나 사람을 알아보지 못하거나 미친 짓을 하는 것과 추웠다 열이 났다 하는 온학(溫얋)을 낫게 한다. 
○ 들과 벌판에 나는데 줄기와 잎은 다 푸르러 마치 버들잎과 같고 뿌리는 누르면서 흰빛이어서 쇠무릎(우슬) 비슷하나 짧고 작다. 음력 3월 초에 뿌리를 캐 그늘에서 말려 쌀 씻은 물에 담갔다가 잔뿌리를 버리고 쪄서 쓴다[본초] (한글동의보감)
백미 白薇
起源:蘿 科(박주가리과;Asclepiadaceae)식물인白薇(백미꽃;Cynanchum atratum Bge.)의 根.
形態: 다년생의  직립하는 초본으로 높이는 70cm에 달하고  전체는 가늘고 얇은  털이 나오며 수염모양의  뿌리가 많고  줄기는  가운데가 비어 있다. 잎은 마주나며  卵形 혹은 卵狀 長圓形으로 너비는 3~4cm 이고  엽저는  圓形 이다. 傘形狀의  聚傘花序가 줄기의 끝에 모여서 달리며, 꽃은 가늘고 얇은 털로 덮여 있고 直徑 10mm이며, 花冠은 幅狀으로 꽃받침과 더불어  均等하게 5갈래로 갈라지고 深紫色이며, 副花冠의裂片은盾狀이고,花鷗都잔매 室마다 1개가있다. 열매는 골돌果로 單生하며 鍾毛는 白色이다. 分布:산비탈의 풀밭이나 숲밑의 풀밭에서 자란다. 중국의 新疆, 西藏을 除外한 中國 各地에 고르게 분포 採取 및 製法:봄과 가을에 채취하여 雜質을 제거하고 햇볕에 말린다.
成分:cynanchol, 芳香性 精油, cardiac, glucoside .
氣味:苦, 鹹, 寒. 淸熱凉血, 利尿.
主治:陰虛潮熱, 熱病後期 微熱不退, 熱淋尿澁.
用量:6~15g. (본초사전종합)
다른이름; 骨美(골미),薇草(미초),白幕(백막),白薇(백미),白龍鬚(백용수),春草(춘초),巴子根(파자근),葞(미)
주치; 久熱不退, 毒蛇咬傷, 産後虛熱, 熱淋, 溫病灼熱, 溫邪入營, 溫瘧, 陰虛發熱, 咽喉腫痛, 瘴瘧, 瘡癰腫痛
금기; 汗多亡陽證과 內虛로 인한 食慾不振, 消化不良, 下痢內虛, 腹中冷感, 下痢不止한 者
효능;利尿通淋,淸熱凉血,解毒療瘡
문헌근거(본초강목)

주치증상
<本經(본경)>: 風邪(풍사)의 침입으로 인한 발열, 사지부종, 인사불성, 發狂(발광), 寒熱往來(한열왕래), 온몸이 쑤시고 아픈 증상 및 瘧疾(학질)을 치료한다.
<別錄(별록)>: 소변이 시원하지 않은 증상을 치료하고 수분을 배출시키고 陰氣(음기)를 순조롭게 하고 精氣(정기)를 돕는다. 그리고 오래 복용하면 사람에게 이롭다.
陶弘景(도홍경): 놀란 증상과 風邪(풍사)로 인하여 狂亂(광란)을 일으키는 風病(풍병)과 귀신에 홀린 증상을 치료한다.
李時珍(이시진): 風邪(풍사)로 인하여 타는 듯한 발열증상과 잠이 쏟아지는 증상, 소변이 시원하지 않고 잔뇨감이 있으며 배뇨시 작열감이 있는 증상, 金瘡(금창)으로 인한 출혈을 치료한다."

약물이름의 기원
이명으로는 薇草(미초), 白幕(백막), 春草(춘초), 葞(미), 骨美(골미)가 있다.
李時珍(이시진): 微(미)는 가늘다는 것이다. 그 뿌리가 가늘고 희다. <爾雅(이아)>에 의하면 葞(‘미)는 春草(춘초)이다. 微(미)는 葞(미)와 音(음)이 비슷하므로 白微(백미)는 葞(미)의 음이 변한 것이다. <別錄(별록)>에서는 葞(미)가 莽草(망초)라고 하였는데 틀린 말이다." (문화콘텐츠닷컴)

효능/주치
①청열량혈(淸熱凉血)②리뇨통림(利尿通淋)③해독료창(解毒療瘡)
온사입영혈(溫邪入營血) 고열번갈(高熱煩渴) 신혼설강(神昏舌絳); 온병후기(溫病後期) 음액이상(陰液已傷) 여열미청인기적야열조량(餘熱未淸引起的夜熱早凉) 열퇴무한(熱退無汗); 음허저열(陰虛低熱) 골증조열(骨蒸潮熱) 수족심열(手足心熱) 도한유정(盜汗遺精); 산후혈허발열(産後血虛發熱) 혹혼궐불지인(或昏厥不知人); 폐열해수(肺熱咳嗽) 해담황조(咳痰黃稠)퇴열온결방광치열림(退熱蘊結膀胱致熱淋) 소변불리(小便不利) 림력삽통(淋瀝澁痛); 습열(濕熱) 작상혈락도치혈림(灼傷血絡導致血淋)혈열독성소치적창양종독(血熱毒盛所致的瘡瘍腫毒) 인후종통(咽喉腫痛); 독사교상(毒蛇咬傷)
기원
蘿藦科(박주가리과)-다년생초본-백미꽃-근
약물특징/비교
-虛熱을 退熱케 하는 가운데 透解하는 性이 있어 熱病後期에 餘邪가 未盡하고 內熱로 陰液이 損傷되어 低熱이 不退하거나 혹은 産後虛熱 및 一切의 原因不明의 虛性發熱 등 證에 모두 隨證加減하면 현저한 退熱作用이 있다.-血分에 熱이 없거나 또는 脾胃虛寒으로 인한 便溏者는 服用을 忌 (한의학위키피디아)
白薇 백미
藥用;本品為蘿藦科植物白薇的根及根莖。
性味與歸經;苦、鹹,寒。入肝、胃經。
功效;清熱涼血。
臨床應用;用於熱病邪入營血、身熱經久不退,肺熱咳嗽,以及陰虛內熱、產後虛熱等症。白薇既能清實熱,又能清虛熱,故能治療上述諸症。在臨床上,一般用於清虛熱者居多,常與青蒿、銀柴胡等配伍同用;治肺熱咳嗽,可與前胡、枇杷葉等同用。此外,本品還有利尿作用,可用治小便赤澀熱痛。
處方用名;嫩白薇、香白薇(洗淨,曬乾,切碎用)
一般用量與用法;一錢至三錢,煎服。
按語;白薇是一味清血熱的藥物,與銀柴胡、地骨皮、青蒿等的功效相近,都能用於清虛熱,故這四味藥之間,經常配合應用。但本品長於清解,能透邪外達,這一點與青蒿相似;而銀柴胡、地骨皮僅能清血熱於內,不能透達血熱於外。本品又能清泄肺熱,可用治肺熱咳嗽,這一點與地骨皮相似;而銀柴胡、青蒿則無此作用。又白薇尚有利尿作用,尤為它的特點。
方劑舉例;白薇湯《本事方》:白薇、當歸、人參、甘草。治產後血虛發熱暈厥,亦治一般虛熱(WordPress.com)

참고문헌
(한의학위키피디아), (문화콘텐츠닷컴), (WordPress.com), 본초강목, 본초사전종합, 한글동의보감, 익생의 자연건강컨텐츠, 한국전통지식포탈,여지도서

로고_임금님진상품_카페용150.jpg
 

   

                                            크기변환_13333.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