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래
가물치
가지
간재미
갈근
갈치
감자
감태
감초
감홍로주
강활
강황
게장
고구마
고등어
고본
고사리
고슴도치
고추
고추장
곤쟁이
골풀
곰취
곱돌
과루인
곶감
과메기
곽향
광어
구기자
구리
국수
국화차
굴비
금불초
기장
김치
꼬막
꼴뚜기
꽃게
꿀풀
나물
나전칠기
낙죽장도
낙지
냉이
노루
녹두
녹용
녹차
농어
뇌록
누치
느룹나무
느타리버섯
다시마
다람쥐
다래
다슬기
닥나무
단감
단목
달래
담비
담쟁이
당귀
대게
대구
대나무
대발
대추
더덕
더덕주
도라지
도루묵
도마뱀
도미
도자기
돈육
돈차
돌미역
돔배기
동래파전
동백기름
동충하초
돚자리
돼지
된장
두꺼비
두릅
두충
딸기
들기름
마늘
마뿌리
만화석
막걸리
망둥어
매생이
매실
맥문동
맨드라미
머루
머루주
메밀차
멸치
명란젓
명설차
명태
모과
모란
모래무지
모시
모자
목기
목화
무명
무우
문배주
문어
미나리
미역
민속주
민어
밀랍
박하
방풍
백랍
백련잎차
백렴
백미
백반
백부자
백조어
백하수오
백합
밴댕이
뱅어
벼루
병어
법주
보골지
보리
복령
복분자
복숭아
복어
부들
부자
부채
부추
붉나무
붕어
비빔밥
비자
뽕나무
사과
사슴
산나물
산삼
삼림욕
산수유
살구
삼릉
삼배
삼치
상합
상황버섯
새우
새우젓
생강
석결명
석곡
석류
석영
석이버섯
석청
석창포
소금
소라
소주
속새
송어
송이버섯
송화가루
수달
수박
수정
숙주
순채
숭어
승검초
식해
안동포
안식향
앵두
야콘
야콘잎차
약쑥
양귀비
어란
어리굴젓
어육장
엄나무
연밥
연어
연엽주
열목어
염전
엽삭젓
오가피
오미자
오곡
오골계
오정주
오죽
오징어
옥돔
옥로주
옹기
옻칠
왕골
용문석
우무
우황
울금
웅어
위어
유기
유자
유자차
유황
육포
은어
은행
이강주
이스라지
익모초
인삼
인삼주
잉어
자단향
자두
자라
자라돔
자연동
자하젓
작설차
작약
장군풀
장아찌
전모
전복
전어
전어젓
전통주
젓갈
젓새우
정어리
조개
조기
조홍시
좁쌀
종어
종이
주꾸미
죽렴장
죽로차
죽순
죽순채
죽염멸치
죽엽청주
죽피
죽합
준치
중국차
지라돔
지치
질경이
찐빵
참가사리
참게
참기름
참죽나물
참외
찹쌀
창출
천궁
천남성
천문동
청각
청국장
청란석
청목향
청자
초콜릿
초피나무
초하주
추성주
취나물
치자
칠선주
콩잎
토마토
토끼
토사자
토주
토파즈
토하젓
파전
패랭이
편두
포도
포도주
표고버섯
표범
하늘타리
학슬
한과
한라봉
한우
한지
해구신
해달
해삼
해파리
해홍나물
향나무
호도
호로파
호두
홍삼
홍삼절편
홍시
홍어
홍주
홍합
화개차
화문석
황기
황률
황벽나무
황어
황옥
황진이주
황태
회양목
후박
후추
흑돼지
흑염소
흑한우
로그인 l 회원가입

e8ccf7afdd6c52258b6fbe6c00a9fd6a_1443601259_4273.jpg
 
 백저포(白苧布), 흰모시,포(두루마기), 유(저고리), 고(바지)
 

백저포(白苧布)
고려시대의 관복은 중국의 영향을 받았으나 일반 복식은 우리 고유 복식의 기본형 테두리 안에 머물러 있었으며 그다지 큰 변천이 있는 것은 아니었다.
고려 초에는 통일신라의 구제도를 그대로 사용하였고, 23대 고종 때는 원나라의 부마국이 된 이후로 머리 모양도 바꾸고 원나라의 복식을 따르던 기간이 100년이나 지속되었다. 고려 말 공민왕 이후 명나라의 복제와 같아졌다.
고려의 복식은 문헌이나 유물이 거의 없는데, 인종 때 고려를 다녀간 송나라의 서긍이 쓴 '고려도경'에 국왕도 평상시에는 조건과 백저포를 착용하여 민서(서민)와 구별이 없었다고 한다. 이것으로 볼 때 관모(쓰개)는 복두 대신 조건이 일반화되었고, 포는 가선(덧댄 선)이 없는 흰 모시 두루마기로 바뀐 것을 알 수 있다.
서 민(남)
고려 상류층 복식은 중국 복식의 영향을 많이 받았으나 일반 서민의 복식은 우리 나라 고유의 전통적인 풍속을 그대로 반영하며 큰 변화 없이 유지되어 왔다. 고려시대에는 남녀귀천의 차이 없이 백저포에 검은 건을 착용하였다.
남자 서민복은 포(두루마기), 유(저고리), 고(바지)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고려의 유는 오늘날의 저고리보다 약간 길었을 것으로 보인다. 건은 귀족층은 두 가닥 띠의 건을 착용하였으나 서민은 사대오건(네 가닥 띠의 검은 건)을 착용하였다

한산모시와 백저포(흰모시)
모시는 오랜 기간동안 이용되어 온 직물로서 일명 저포·저치라고도 하며, 모시나무가지를 꺾어 그 껍질을 벗긴 것을 재료로 한다. 통일신라 경문왕(재위 861∼875) 때 당나라에 보낸 기록으로 보아 외국과의 교역품으로 이용되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모시풀은 다년생으로 뿌리쪽 줄기가 황갈색으로 변하며, 밑의 잎이 시들어 마를 때 수확한다. 보통 1년에 3번 정도 수확하는데 5월∼6월초, 8월초∼8월하순, 10월초∼10월하순이며 두번째 수확한 모시가 품질이 제일 좋다.
한산모시는 한산에서 만드는 모시로 예로부터 다른 지역에 비해서 품질이 우수하며 섬세하고 단아하여 모시의 대명사로 불리어 왔다. 제작과정은 재배와 수확, 태모시 만들기, 모시째기, 모시삼기, 모시굿 만들기, 모시날기, 모시매기, 모시짜기, 모시표백 순이다. 우선 재배하여 수확한 모시를 훑고 겉껍질을 벗겨 태모시를 만든 다음 하루쯤 물에 담가 말린 후 이를 다시 물에 적셔 실의 올을 하나하나 쪼갠다. 이것을 모시째기라고 한다. 쪼갠 모시올을 이어 실을 만드는데, 이 과정을 모시삼기라 한다. 이 모시삼기의 과정은 실의 균일도가 가름되는 과정으로 한산의 모시삼기기술은 우수하여 균일도가 일정하다. 이렇게 하여 만들어진 실을 체에 일정한 크기로 서려 담아 노끈으로 열 십(十)자로 담아 모시굿을 만든다. 모시날기는 실의 굵기에 의해 한 폭에 몇 올이 들어갈지 결정하는 것이다. 모시매기인 풀먹이기 과정을 거친 후 베틀을 이용해 모시를 짠다. 마지막으로 모시표백은 물에 적셔 햇빛에 여러 번 말려 백저포, 곧 흰 모시가 된다.

진상품관련근거
백저포(白苧布)는 전라도 임피에서 진상하였다는 기록이 여지도서보유편에 기록되어있다.
.
백저포는 고려의 의복. 동국대학교 박물관 소장. 문수사 금동여래좌상에서 나왔으며 충목왕 2년(1346년)의 기록이 있다.
임금부터 일반 백성까지 남녀의 구별 없이 입었다. 《고려도경(高麗圖經)》 《해동역사(海東繹史)》 등에 의하면 임금도 공무가 끝나면 사복으로 백저포를 입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백저포의 정확한 형태는 알 수 없고 단지 옷깃은 곧은 깃(직령), 즉 지금의 두루마기의 깃 모양이며, 소매는 넓었을 것이라는 추측이 정설로 되어 있다.
서긍(徐兢)의 ≪고려도경 高麗圖經≫에 의하면 고려시대에는 왕 이하 평민에 이르기까지 남녀 구별 없이 모두 다 백저포를 입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백저포는 빈부에 따라 옷감의 재질에 차이가 있었을 뿐이고 왕도 평상시에는 평민과 다름없이 조건(皁巾 : 검은색 건)에 백저포를 입었다고 한다. 이것은 중국복식과의 이중구조 속에서 왕공 귀족도 편복으로는 평민복을 그대로 착용하고 있어 우리 고유의 복식 전통이 이어지고 있음을 말해주는 것이다.
백저포는 고구려 벽화에서 볼 수 있는 포가 고려시대에 들어와서 중국의 영향을 받아 다소 변화되었을 것으로 보이나 우리 나라 고유의 두루마기형의 포에서 크게 벗어난 것은 아니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그러나 백저포의 실제적인 형태를 정확히 알 수는 없고 다만 직령(直領)의 포였을 것으로 추정한다. 한편, 동국대학교 박물관에는 문수사(文殊寺) 금동여래좌상 유물 포가 소장되어 있는데, 불상 조성 발원문에 명기된 것으로 충목왕 2년(1346)의 것임이 알려지고 있다.
고려복식의 유일한 유품인 이 포는 직령의 이중 깃에 반소매이며 포의 양옆에 맞주름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생저(生紵 : 생모시)로 된 반소매의 이 유물 포는 그동안 확실한 증거가 없었으므로 고려시대의 기본포인 백저포라고 계속 여겨왔으나 그 가능성은 희박하며 오히려 승려의 평상복인 단수편삼일 가능성이 크다.

백저포관련이야기
정종 2권, 1년(1399 기묘 / 명 건문(建文) 1년) 9월 10일(정축) 10번째기사  일본 대마도 총관 종정무의 사신으로 온 중들이 예궐하여 배사하다
일본(日本) 대마도(對馬島) 총관(摠管) 종정무(宗貞茂)의 사승(使僧) 등이 예궐(詣闕)하여 배사(拜辭)하니, 각각 흑마포(黑麻布) 3필, 백저포(白苧布) 3필, 호피(虎皮) 1영(領)을 하사하였다.
 
태종 5권, 3년(1403 계미 / 명 영락(永樂) 1년) 3월 10일(정해) 2번째기사  사신에게 옷감을 하사하다
사신에게 저마포(紵麻布)·백저포(白紵布) 각각 5필, 흑마포(黑麻布) 각각 5필씩을 주고, 반인(伴人)에게 백저포 각각 1필, 흑마포 각각 1필씩을 주었다.
 
세종 1권, 즉위년(1418 무술 / 명 영락(永樂) 16년) 8월 14일(신묘) 3번째기사  유구 국왕의 아들이 사람을 보내어 단목·백반 등을 바치다
유구(琉球) 국왕의 둘째 아들 하통련(賀通連)이 사람을 보내어 좌·우 의정에게 편지하고, 단목(丹木) 5백 근(斤), 백반(白磻) 5백 근, 금란(金襴) 1단(段), 단자(段子) 1단(段), 청자기(靑磁器) 열 가지, 심황(深黃) 50근, 천궁(川芎) 50근, 곽향(藿香) 50근, 청자화병(靑磁花甁) 하나, 침향(沈香) 5근을 바치므로, 우리 나라에서는 회답으로 구승 백저포(九升白紵布) 20필(匹), 흑마포(黑麻布) 30필, 백주포(白紬布) 20필, 칠승 면포(七升綿布) 40필, 6승 면포 1백 11필, 5승 면포 2백 필을 주고, 예조 판서로 하여금 답서를 하게 하니, 그 글에는,
“사신이 이르러 보내 주신 글을 받아 보아 존체가 평안하시고 다복하심을 살펴 알게 되며, 보내신 예물은 삼가 이미 국왕께 아뢰어 바치었습니다. 험난한 바닷길을 건너와 국교를 돈목(敦睦)하게 하시니, 어찌 기뻐하지 않을 수 있으리오. 그러므로 돌아가는 사신 편에 우리 토산물을 부쳐 보내오며, 변변치 못함을 부끄러워합니다.”

세종 8권, 2년(1420 경자 / 명 영락(永樂) 18년) 7월 19일(을유) 4번째기사  예조에서 왕대비의 재를 올리는 물품에 대해 아뢰다
예조에서 계하기를, “대행 후덕 왕대비의 재를 올리는 물품은 초재(初齋)로부터 삼재(三齋)에 이르기까지, 불전 첫줄[佛前第一行]에는 백미(白米) 일곱 분[七盆], 좌우준화(左右樽花)·전주목단(專柱牧丹)·밀잠(蜜潛)이요, 둘째 줄에는 개화거식방기(開花車食方機) 아홉이요, 세째 줄에는 각색실과방기(各色實果方機) 아홉과 화초유잠(花草油潛)이요, 네째 줄에는 청홍사화통(靑紅紗火桶) 열이요, 다섯째 줄에는 소문보시생초(疏文布施生綃)·백저포(白苧布) 각 두 필이요, 여섯째 줄에는 화대촉(畫大燭) 두 가락과 동건촉(同巾燭) 두 가락이요, 지장전(地藏前)에는 백미증반(白米蒸飯) 각 한 분(盆), 병(餠), 실과(實果)·유과(油果) 각 한 반(盤), 보시백저포(布施白苧布) 한 필, 소촉(小燭) 두 가락이요, 시왕전(十王前)에는 증반 각 한 발(鉢), 병·유과·실과 각 한 반(盤), 정포(正布) 각 한 필, 소촉 각 한 가락이며, 네째 번 재로부터 여섯째 번재에 이르기까지는 불전 첫째 줄에는 백미 열한 분과 좌우준화요, 둘째 줄에는 유밀과방기 열 둘이요, 세째 줄에는 개화거식방기 열 둘이요, 네째 줄에는 각색실과방기 열 둘과 화초밀잠이요, 다섯째 줄에는 청홍사화통 열 넷이요, 여섯째 줄에는 보시사라중(布施紗羅中) 한 필, 단자(緞子) 한 필이요, 일곱째 줄에는 대화촉 두 가락, 동건촉 두 가락이요, 지장전(地藏前)에는 백미 두 분, 반(飯) 한 분, 다(茶)·과(果)·병(餠) 각 한 반, 보시백저포 한 필, 소촉 두 가락이요, 시왕전(十王前)에는 우근계(亐斤桂) 각 한 반, 실과·병·반·각 한 반, 보시정포 각 한필, 소촉 각 한 가락이요, 중을 이바지하는 데[供僧用]에 잡색다과(雜色茶果) 세 그릇 상[三器床]이며, 일곱 번째의 재는, 불전 첫째 줄에는 백미 열 다섯 분과 좌우준화요, 둘째 줄에는 다식방기(茶食方機) 열 일곱이요, 세째 줄에는 유밀과방기 열 일곱이요, 네째 줄에는 각색실과방기 열 일곱과 화초밀잠이요, 다섯째 줄에는 청홍사화통 열 여섯이요, 여섯째 줄에는 보시단자(布施段子) 두 필과, 생초 두 필이요, 일곱째 줄에는 대화촉 두 가락, 동건촉 여덟 가락, 현촉(懸燭) 두 가락이고, 지장(地藏)·시왕전(十王殿) 배설(排設)과 중을 이바지하는 물품은 일체로 사·오재의 예에 따라 한다.”
고 하여, 그대로 좇았다.

세조 10권, 3년(1457 정축 / 명 천순(天順) 1년) 11월 20일(경진) 2번째기사  평안도 관찰사에게 왕상의 부물(賦物)을 보내도록 하다
평안도 관찰사에게 유시하기를, “이제 전사립(全思立)에게 왕상(王祥)의 부물(賦物)로 흑마포(黑麻布) 10필, 백저포(白苧布) 10필, 후지(厚紙) 5권(卷), 백주지(白奏紙) 1백 권을 주어서 주문사(奏聞使)에게 부치려고 한다. 그 행정(行程)을 헤아려 보니, 아직 연산 파절(連山把截)을 통과하지 아니하였을 것이니 들여보내도록 하라.”
 
옷감의 색깔 및 무늬
옷의 바탕을 이루는 옷감은 옷 발전의 물질적 조건의 하나이다. 우리 선조들은 대대로 농사를 짓고 살아온 민족으로서 옷감의 기본 원료도 주로 삼, 모시, 목화, 누에고치 등을 이용하였다. 우리 선조들이 처음으로 이용한 옷감은 삼을 원료로 한 베였다. 베는 원시시대에 가락고동을 이용하여 실을 낳아 짰는데 베의 생산은 사람들의 옷을 생활에 편리하게, 보다 문화적으로 지어 낼 수 있게 하는 데서 커다란 의의를 가졌다. 베의 생산수준은 원시시대 말기에 비하여 고대에 보다 높은 발전단계에 이르렀다.
고대의 주민들은 베실의 생산량을 늘리기 위하여 가락고동보다 더 능률적인 베짜는 도구인 나무로 된 자새 또는 물레 같은 것을 창안하였다. 새로운 실생산도구의 창안 도입은 베실과 옷감 생산을 훨씬 늘릴 수 있게 하였다. 그러나 고대 주민들은 베만으로는 추운 계절의 옷을 해결할 수 없었고 늘어나는 옷감의 수요를 충족시킬 수 없었으므로 짐승의 털가죽을 이용하는 한편 새로운 옷감을 만들어내기 위하여 끊임없는 창조적 활동을 벌였다. 이 과정에서 그들은 누에를 치고 거기에서 실을 뽑아 명주나 비단을 짜는 기술을 창조하였으며 짐승의 털로 모직천을 짜는 방법도 발견하였다.
옛 기록들에는 고대 주민들이 누에를 치고 명주나 비단을 짠 이야기와 모직에 관한 이야기가 전하고 있다.
명주, 비단, 모직 등 동물성 섬유로 된 옷감의 생산은 우리 조상들의 옷감 생산에서 획기적인 성과였다. 옷감 생산에서의 이러한 성과는 추운 계절의 옷감을 보다 원만히 해결할 수 있게 하고 여러 가지 생활환경에 맞게 옷을 다양하게 지어 입을 수 있는 가능성도 가지게 하였다.
옷감 생산에서 이루어진 새로운 성과는 또한 천을 짜는 기술을 더 높은 수준에 이르게 하였다. 이시기에 벌써 ‘금(錦)’으로 불리는 고급비단이 있었다는 사실은 당시에 비단옷감도 다양하게, 높은 수준에서 짜고 있었으며 그 생산기술이 또한 대단히 높았음을 말해 준다.
고대시대의 주민들은 여러 가지 옷을 더 쉽고 맵시있게 만들기 위해 천의 폭을 종전보다 넓게 짜고 실도 보다 가는 것으로 짜기 위해 힘썼다. 『삼국지』 변진관계 기록에 변진에서는 폭이 넓고 가는 천(광폭세포)을 짰다고 한 것은 그러한 사실을 반영한 것이다.
삼국시대 이후 옷감생산 수준은 전에 비하여 계통적으로 높아졌다. 고구려나 백제, 신라 등 당시 우리나라의 전반적 지역들에서 경작지가 더 개간되고 삼밭이나 뽕밭도 이전보다 훨씬 늘어나 누에를 치는 일이 더욱 활발히 진행되었다. 기록에는 고구려에서 583년에 군, 읍들에 관리를 보내어 농사와 함께 양잠업을 장려하였으며 신라에서도 양잠을 적극 장려했다고 전해지고 있다. 이와 함께 이 시기에 실 생산도구와 천을 짜는 베틀 등도 이전보다 더 발전하여 조선시대의 베틀과 비슷한 것이 이미 갖추어져 있었다. 대안리1호무덤 벽화에 그려져 있는 베틀의 구조는 후세의 것과 기본적으로 같다. 천 생산 도구의 이러한 발전에 기초하여 베 생산과 명주 생산이 전국적 범위에서 널리 진행되었으며 천 생산을 전문으로 한 관영 직조소들도 설치되었다.
백제에서는 주부라는 관영 직조소가 설치되어 비단을 전문적으로 생산하였으며 신라에서도 조하방, 금전, 기전, 마전, 모전 등의 관영 전문직조소들이 설치되어 여러 가지 재질의 옷감을 생산하였다. 고구려에서도 응당 전문직조소가 설치되어 운영되었을 것이다. 고구려가 5세기 전반기에 일본에 우수한 옷제작 기술자들을 보내주었다는 사실은 고구려의 옷감 생산이 매우 높은 수준에 있었음을 말하여 준다.
삼국시대 옷감에서 가장 비중이 컸던 것은 베였는데 이때의 베는 이전에 비하여 발이 더 가늘고 고운 것이었다. 당시에 새로 생산된 베옷감에는 청포, 금총포 등이 있었으며 올이 매우 가는 28새도 있었다. 삼국시대에는 견직물 생산도 발전하였다. 당시 견직물 생산이 발전하였다는 사실은 그 종류가 이전에 비하여 훨씬 늘어나 10가지나 되었다. 그리고 비단의 질이 높아졌다는 것은 1959년에 평양시 대성산에서 2개의 소상과 함께 출토된 누에고치의 풀솜으로 짠 비단 쪼가리와 일본 법륭사에 소장되어 있는 ‘천수국수장’등을 통하여 잘 알 수 있다.
‘천수국수장’은 고급비단에 15가지 이상의 색실을 써서 수를 놓은 자수품이다. 이 화려한 자수품의 원화를 그리고 수를 놓은 기술자는 모두 한민족이었다. 당시 생산된 비단들 가운데서 ‘금’에는 무늬, 색깔에 따라 조하금, 운포금, 오색금, 자지힐문금 등 여러 종류가 있었다. 조하금, 운포금, 자지힐문금 등은 무늬형태에 따라 붙인 이름이었고 오색금은 비단빛깔의 특징을 살려 단 이름이었다.
삼국시대 모직물 생산도 이전보다 훨씬 발전하였다. 모직물로는 종래에 있었던 ‘계’ 외에 새로 구유, 장일, 백첩포 등이 생산되었다. 모직물 생산이 늘어난 것은 추운 겨울날씨에 밖에서 활동할 때와 난방시설이 갖추어지지 않았던 당시의 살림집 조건에서 추위를 막는 데 큰 의의를 가졌다. 그러나 당시 모직물의 생산량은 다른 옷감들에 비하면 많지 못하였다.
삼국시대의 옷감을 전반적으로 놓고 볼 때 베와 견직물이 주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베와 견직물 가운데서도 베가 당시 일반주민들의 기본 옷감이었으며 견직물은 대부분 통치자들의 옷감으로 이용되었다. 발해 및 통일신라시대 옷감 생산도 높은 수준에서 진행되었다. 발해에서 새로 생산한 베옷감으로는 황명세포, 60종포 등이 있었다. 황명세포는 황색의 밝은 빛깔을 가진 발이 가는 고급베였으며 60종포도 그 이름으로 보아 발이 매우 가는 베였을 것이다.
발해에서는 이밖에도 현주(중경현덕부의 수주)에서 생산된 베가 질좋은 것으로 이웃 나라들에까지 명성이 높았다. 이 시기 견직물 생산도 발전하여 발해에서는 용주(상경용천부 관하)의 명주, 옥주(남경남해부 관하)의 풀솜이 널리 알려지게 되었으며 통일신라에서는 야초라, 승천라, 월라, 표방라, 급라, 계라 등의 ‘라’ 종류와 대화어아금, 소화어아금 등의 ‘금’ 종류 등 고급비단이 생산되고 있었다. 이 시기 새로운 옷감으로서 특별히 주목을 끈 것은 모시였다.
모시는 더운 고장에서 자라는 모시풀을 원료로 하여 짜는 천이므로 통일신라에서 생산되었다. 당시에 통일신라에서 모시 생산량이 급속히 늘어났을 뿐 아니라 보다 질 좋은 30새나 40새의 희고 발이 가는 모시도 생산되었으며 고급모시는 다른 나라에까지 수출되었다. 모시 생산은 우리나라 옷감 종류를 보다 다양하게 하는 데서와 무더운 여름철의 고급옷감을 해결하는 데서 큰 의의를 가졌다. 모시는 빳빳한 맛이 있고 질기며 광택이 좋을 뿐 아니라 통풍도 잘되는 옷감이었으므로 당시 여름옷감으로 고급스러운 것이었다.
고려 사람들은 선행 시기의 옷감 생산기술을 이어받아 그것을 더욱 발전시켰다. 고려에서는 11세기 중엽에 직물 생산을 전문으로 맡아보는 국가기관이 재정비되고 강화되었다. 중앙에는 잡직서와 도염서가 설치되고 각 도에는 잡직잡방이 있게 되었다. 그리고 이 기관들에는 능장, 나장, 금장, 계장 등의 장공인들을 두어 능, 라, 금, 계 등의 고급옷감을 전문적으로 생산하였다.
고려시대에는 앞선 시기에 생산되던 베, 모시, 명주, 비단, 모직 등 천 종류에 따른 가짓수가 훨씬 많아지고 다채로워졌으며 질도 높아졌다. 특히 비단의 질이 매우 높아졌다. 개성 불일사 5층석탑 안에서 나온 비단과 조선중앙역사박물관에 보존되어 있는 고려비단 유물은 그 질이 매우 높은 수준에 이르렀음을 보여준다. 이 유물들을 분석한 것에 의하면 비단올이 매우 가늘고 실이 균일하며 천조직은 평조직이었다. 그리고 무늬 조직을 결합하는 데서 문직기와 자수직기의 원리가 적용되었다. 이처럼 고려시대 비단장공인들은 매우 섬세하고 높은 수준의 직조기술을 가지고 아름다운 무늬가 있는 여러 가지 비단옷감을 생산하였다. 그리하여 그것이 이웃 나라는 물론 멀리 아라비아에까지 수출되어 ‘고려비단’이라는 이름으로 알려졌다.
고려시대에는 베옷감생산도 발전하였다. 당시의 베에는 염색을 한 것과 하지 않은 것, 가는 것과 굵은 것, 폭이 좁은 것과 넓은 것 등 여러 가지가 있었다. 각종 베옷감 가운데서 푸른 색깔의 베인 청포는 주로 이속, 군인, 뱃사람들이 입는 옷감으로 이용되었고 그밖의 것들은 일반 주민들의 옷감으로나 화폐 대용으로 이용되었다.
고려시대의 옷감에서 특별히 눈에 띄게 발전한 것의 하나는 모시였다. 고려시대에 생산된 모시옷감에는 백저포, 향저포, 홍저포, 흑저포 등이 있었다. 이런 옷감의 이름은 주로 모시의 색깔에 따라 붙여진 것이었다. 그 가운데서 유명한 것은 백저포(흰 모시)였다. 백저포는 생모시를 표백한 것으로서 당시 여름의 바지, 치마, 저고리는 물론 겉옷 등을 만드는 데 널리 이용되었다.
흰 모시는 당시 우리나라에 사절단으로 온 외국인들의 인상에 깊이 남을 정도로 질좋은 옷감으로 알려졌다. 12세기초에 우리나라에 왔다간 송나라의 사신이 “고려에서는 모시와 삼을 심으며 사람들이 포를 많이 입는다. 그 가운데서 가장 좋은 것을 시라고 하는데 옥처럼 희다. 왕과 높은 관리들이 모두 이것으로 옷을 지어 입는다”고 하였다. 또한 같은 시기의 송나라 역사책에도 고려에서 모시옷을 많이 입는다고 하였다.
고려시대에 모시생산기술에서 특히 주목되는 것은 직조할 때에 직접 무늬를 놓는 기술을 창안 도입한 것이었다. 이렇게 짠 모시를 문저포라고 하였는데 이것은 전에 볼 수 없었던 새로운 직조기술이었다. 1276년에 한 중이 가늘기가 매미날개와 같고 꽃무늬도 섞여 있는 흰 모시를 바쳤다고 한 기록은 문저포가 얼마나 아름답고 고급스런 모시였는가를 말해주고 있다. 『고려사』와 『고려사절요』에 나오는 것만 하여도 모시 종류는 10여 종이나 되며 그 질도 우수하여 다른 나라에 많이 수출되었다. 고려시대 옷감 생산에서 새로운 것은 또한 베와 모시를 섞어서 교직물을 짠 것이었다. 성질이 유사한 섬유를 섞어 짜는 기술이 창안 도입된 것은 옷감의 다양성을 보장하는 데서 새로운 진전이었다. 고려시대 옷감 생산에서 가장 큰 의의를 가지는 것은 이전에 볼 수 없던 새로운 옷감인 무명을 생산한 것이었다.
14세기 중엽 원나라에 갔던 고려의 이름난 학자 문익점은 돌아오는 길에 몰래 목화씨를 붓대 속에 감추고 와서 여러 차례의 실험을 거듭한 후 끝내 우리나라에서 목화를 재배하는 데 성공하였다. 이어 목화를 가공하기 위한 토리개(씨앗)와 문래(소사차) 등이 새로 만들어지고 무명을 짜는 직기도 창안 제작됨으로써 무명생산기술이 급속히 보급되었다. 이리하여 우리나라에서는 또 하나의 새로운 종류의 옷감이 태어났다. 목화와 무명의 생산은 우리 민족의 옷생활에서 새로운 변화를 가져왔다. 베나 모시에 비하여 더 부드럽고 따스한 무명은 추위를 막는 데 효과적인 옷감이었으며 특히 목화 솜으로 솜옷을 만들어 입을 수 있게 됨으로써 겨울철 옷을 더 잘 해결할 수 있게 되었다.
조선시대에 들어와서 민간에서 목화, 삼, 모시의 재배와 양잠업이 광범히 진행되고 관청전문직조업이 발전된 결과 질좋은 옷감이 많이 생산되었다. 조선시대에 생산된 옷감은 이전부터 있던 옷감들인 베, 견직물, 모시, 무명, 모직물 등이었으나 매 종류에 따르는 가짓수가 더 늘어나고 그 질도 개선되었다. 특히 고려 말기부터 새로 생산되기 시작한 목화와 무명이 실생활을 통하여 그 우월성이 확증되자 그 생산량은 다른 옷감들보다 몇배나 더 늘어났다. 그리하여 무명은 조선시대의 옷감에서 베와 함께 가장 주요한 옷감의 하나가 되었다.
우리 조상들은 옷감의 원료가 생산되는 지역에 따라 주로 무명옷과 베옷을 해입었다. 기후가 온화한 남쪽 지방에서는 주로 목화와 모시를 재배하여 무명 생산과 모시 생산을 특별히 많이 하였으며 기후가 찬 북쪽 지방에서는 삼을 재배하여 베 생산을 광범히 진행하였다. 그리고 뽕이 많이 나고 물이 좋은 곳에는 유명한 비단생산지가 생겨났다. 그리하여 조선시대에 옷감 종류에 따르는 이름난 생산지가 형성되었다.
베는 주로 함경도, 평안도, 황해도 지방에서 많이 생산되었으며 그 가운데서도 함경도 명천, 경성, 회령, 종성에서 생산된 가는 베는 그 질이 특별히 좋아서 ‘북포’라는 이름으로 알려졌다. ‘북포’의 보름새베는 발이 매우 가늘고 고왔으므로 18세기의 학자인 홍양호(1724~1802년)는 가는 베의 얇기가 매미의 날개와 같고 한 필의 부피는 한 줌에 쥘 수 있을 정도라고 하였다. 베는 이밖에 강원도 , 경상도 지방에서도 생산되었는데 경상도 지방에서 생산된 베는 ‘영포’라고 불렸으며 특히 안동지방에서 생산된 베는 고급베로 알려져 ‘안동포’라는 이름까지 붙었다.
과거에 농촌에서 베천을 짜는 공정은 매우 복잡하였는데 그러한 공정에서 삼사미와 베짜기는 전적으로 여성들의 가내노동에 의하여 진행되었다. 그러나 힘겨운 삼사미는 혼자서 하지 않고 대체로 동네 여인들이 한데 모여서 하는 것이 하나의 풍속으로 되어 있었다. 삼사미와 베짜기에 대한 여러 가지 노래들이 창작되어 널리 불리게 되었다. 다음의 ‘삼사미 타령’도 바로 그런 노래의 하나이다.
동산 위에 밝은 달 보름달이 솟는데
동네방네 처녀들 삼사미 놀러나 가자
음음음 음음음
고비고비 풀어서 갈기갈기 찢어서
동지나 섣달 긴긴 밤에 삼고나 삼고 또 삼아보자
음음음 음음음
요새 삼은 아홉새 열두새 놓았다가
농속에 깊이 두었다가 그 어느 님께 드리려나
음음음 음음음
견직물은 전국 각지에서 생산되었지만 그 가운데서도 평안도와 황해도, 함경도 등 우리나라의 서북부 지방과 동북부 지방이 유명하였다. 특히 평안도의 영변·성천, 함경도의 금야·정평·고원·덕원·이원·홍원·북청·단천·길주·명천, 강원도의 철원, 황해도의 수안 등지에서 생산된 비단의 질이 높았다. 남쪽지방에서는 전라도의 나주, 경상도의 안동 등지에서 생산된 비단과 색명주가 우수하였다.
조선시대에 생산된 견직물로는 사(紗), 능(綾), 라(羅), 금(錦) 등 종전부터 생산되던 것 외에 새로 ‘단(緞)’이라는 비단이 첨가되었는데 옛기록들에 보이는 단의 이름은 거의 30가지에 이른다. 그 대표적인 것으로는 운문홍단, 운문단, 용문단, 대단, 소단, 장단, 운단, 채단, 사색대단, 법단, 금사단, 모본단, 설한단, 초단, 백조봉채금단, 별문오채단, 칠보문단, 운학문단, 수복문단, 운학룡봉문단, 공단 등을 들 수 있다. 단의 이 여러 가지 이름들은 주로 색깔과 무늬의 특징에 따라 붙인 것이었다.
무명은 초기에 주로 목화가 잘된 삼남지방에서 많이 생산되어 전국 각지에 보급되었다. 무명은 사시장철 어느 계절이나 입을 수 있는 옷감이었지만 특히 겨울철 옷감으로 널리 이용되었으며 그 생산 원가도 견직물보다 눅었으므로 대중용 옷감으로 발전하였다. 그리하여 목화의 재배와 무명의 생산은 삼남지방에서부터 점차 중부지역에까지 확대되어 갔다. 무명생산지로 유명한 곳은 경상도와 전라도였다. 특히 전라도의 해남목, 강진목, 나주목이 유명하였으며 개성의 송도목도 질이 좋고 고운 것으로 알아주었다.
모시도 주로 삼남지방에서 많이 생산되었다. 모시는 베와 함께 여름철 옷감으로 적합하였으나 베와는 달리 원료가 주로 더운 지방에서만 생산되었으므로 그 생산량이 베보다 제한 되어 있었으며 값도 비쌌다. 그러므로 모시는 베처럼 널리 쓰이지 못하였다.
기록에 의하면 충청도의 임천, 한산, 서천, 남포, 비인, 정산, 홍산, 석성, 부여, 서산, 해미, 청양 등지가 이름난 모시생산지였으며 그 가운데서도 특히 한산, 임천 지방의 모시가 질이 좋았다. 이 고장에서 생산된 모시는 가늘면서도 발이 고르고 탄탄한 맛이 있어 사람들에게서 호평을 받았으며 중국에까지 널리 알려졌다.
조선시대에 모직은 종전과 같이 많이 생산되지 못하였으므로 옷감으로 널리 쓰이지 않았다.
조선시대 옷감 생산을 전반적으로 볼 때 이전에 비하여 베, 모시, 비단 등의 생산이 더 늘어나고 그 질도 높아졌으며 이름난 옷감생산지들이 생겨나게 되었다. 특히 새로운 옷감으로서 무명과 목화의 생산이 급속히 성장함으로써 우리나라 민족옷 발전의 물질적 조건이 이전 시기보다 훨씬 더 좋아졌다.

참고문헌
두산백과,한국복식사연구(유희경,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1980),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고려도경(高麗圖經),해동역사(海東繹史),여지도서보유편, 민속문화관

로고_임금님진상품_카페용150.jpg

   

                                            크기변환_13333.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