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래
가물치
가지
간재미
갈근
갈치
감자
감태
감초
감홍로주
강활
강황
게장
고구마
고등어
고본
고사리
고슴도치
고추
고추장
곤쟁이
골풀
곰취
곱돌
과루인
곶감
과메기
곽향
광어
구기자
구리
국수
국화차
굴비
금불초
기장
김치
꼬막
꼴뚜기
꽃게
꿀풀
나물
나전칠기
낙죽장도
낙지
냉이
노루
녹두
녹용
녹차
농어
뇌록
누치
느룹나무
느타리버섯
다시마
다람쥐
다래
다슬기
닥나무
단감
단목
달래
담비
담쟁이
당귀
대게
대구
대나무
대발
대추
더덕
더덕주
도라지
도루묵
도마뱀
도미
도자기
돈육
돈차
돌미역
돔배기
동래파전
동백기름
동충하초
돚자리
돼지
된장
두꺼비
두릅
두충
딸기
들기름
마늘
마뿌리
만화석
막걸리
망둥어
매생이
매실
맥문동
맨드라미
머루
머루주
메밀차
멸치
명란젓
명설차
명태
모과
모란
모래무지
모시
모자
목기
목화
무명
무우
문배주
문어
미나리
미역
민속주
민어
밀랍
박하
방풍
백랍
백련잎차
백렴
백미
백반
백부자
백조어
백하수오
백합
밴댕이
뱅어
벼루
병어
법주
보골지
보리
복령
복분자
복숭아
복어
부들
부자
부채
부추
붉나무
붕어
비빔밥
비자
뽕나무
사과
사슴
산나물
산삼
삼림욕
산수유
살구
삼릉
삼배
삼치
상합
상황버섯
새우
새우젓
생강
석결명
석곡
석류
석영
석이버섯
석청
석창포
소금
소라
소주
속새
송어
송이버섯
송화가루
수달
수박
수정
숙주
순채
숭어
승검초
식해
안동포
안식향
앵두
야콘
야콘잎차
약쑥
양귀비
어란
어리굴젓
어육장
엄나무
연밥
연어
연엽주
열목어
염전
엽삭젓
오가피
오미자
오곡
오골계
오정주
오죽
오징어
옥돔
옥로주
옹기
옻칠
왕골
용문석
우무
우황
울금
웅어
위어
유기
유자
유자차
유황
육포
은어
은행
이강주
이스라지
익모초
인삼
인삼주
잉어
자단향
자두
자라
자라돔
자연동
자하젓
작설차
작약
장군풀
장아찌
전모
전복
전어
전어젓
전통주
젓갈
젓새우
정어리
조개
조기
조홍시
좁쌀
종어
종이
주꾸미
죽렴장
죽로차
죽순
죽순채
죽염멸치
죽엽청주
죽피
죽합
준치
중국차
지라돔
지치
질경이
찐빵
참가사리
참게
참기름
참죽나물
참외
찹쌀
창출
천궁
천남성
천문동
청각
청국장
청란석
청목향
청자
초콜릿
초피나무
초하주
추성주
취나물
치자
칠선주
콩잎
토마토
토끼
토사자
토주
토파즈
토하젓
파전
패랭이
편두
포도
포도주
표고버섯
표범
하늘타리
학슬
한과
한라봉
한우
한지
해구신
해달
해삼
해파리
해홍나물
향나무
호도
호로파
호두
홍삼
홍삼절편
홍시
홍어
홍주
홍합
화개차
화문석
황기
황률
황벽나무
황어
황옥
황진이주
황태
회양목
후박
후추
흑돼지
흑염소
흑한우
로그인 l 회원가입

e8ccf7afdd6c52258b6fbe6c00a9fd6a_1443601259_4273.jpg
 
 찹쌀(稌米), 나미(糯米), 점미(黏米),찹쌀을 충청도(보은), 경기도에서 세자궁, 왕대비전, 중궁전, 혜경궁, 대전에 진상하였다는 기록이 춘관통고, 공선전례, 세종실록지리지에 기록되어있다.
 

찹쌀(glutinous rice, sticky rice, sweet rice, waxy rice)은 찰떡 등의 원료가 되는 쌀이다. 찰지고, 끈기가 많은 쌀의 한 종류이다. 상대적인 개념으로 ‘멥쌀’이라고 한다. 쌀은 크게 4개의 품종으로 분류된다. 인디카 쌀(인도쌀), 자포니카 쌀(일본쌀), 향미, 찹쌀이다. 멥쌀과 대응되는 말로, 나미(糯米) 또는 점미(黏米)라고도 한다. 보통 밥을 짓는 멥쌀은 배젖이 반투명한데, 찹쌀은 유백색으로 불투명하므로 구별할 수 있다. 또 찹쌀의 녹말은 대부분 아밀로펙틴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요오드 반응이 적갈색을 띠기 때문에 명백히 구별된다. 찹쌀은 차진 기운이 높고, 멥쌀보다 소화가 잘 된다.우리나라에서는 삼국시대에 이미 찹쌀을 재배했고, 떡이나 찰밥을 만들어 특별한 행사에 이용해왔다. 한방에서는 찹쌀을 나미(糯米)라 부르고, 멥쌀을 갱미(粳米)라고 부른다. 아래 사진은 찹쌀가루다.


100년경의 ≪설문해자 說文解字≫에서는 벼 가운데서 가장 찰기가 많은 것은 나(糯), 다음은 갱(粳), 찰기가 없는 것은 선(籼)으로 분류하고 있어 찰벼가 있었음을 나타내고 있다. 벼를 찧어서 쌀로 밥을 지을 때 찹쌀은 시루에 찌고, 멥쌀은 주로 쇠솥을 이용하여 짓는다.찹쌀에 물을 붓고 가열하면 솥 밑바닥 부분의 찹쌀이 풀처럼 변하여 밑바닥에 달라붙게 되므로 대류가 그치게 되어 바닥은 눌어붙고 윗부분은 설익게 된다. 그러나 수증기로 찌면 낟알 사이로 수증기가 스며나와서 골고루 익게 된다. 이 문제는 찹쌀이 먼저인가 멥쌀이 먼저인가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우리 나라에는 청동기시대에 벼가 들어왔고 시루도 이 시기에 비로소 나타난다. 밥을 지어보면 찹쌀이 멥쌀보다 찰기가 훨씬 많으므로 확연히 구분할 수 있다.찰기에 차이가 생기는 것은 찹쌀의 녹말이 아밀로펙틴(amylopectin)만으로 이루어지고 멥쌀은 아밀로스(amylose) 20%, 아밀로펙틴 80%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요오드반응에는 멥쌀이 청자색을 띠고 찹쌀은 적색을 띤다.


곡물의 차·메의 구별이 생긴 것은 동아시아의 난온대에서이다.우리 나라에는 삼국시대 때 쇠솥이 보급되고 또 ≪삼국유사≫에서는 까마귀에게 찰밥으로 제사를 지냈다는 전설이 나온다. 이것으로 미루어 평상시의 밥은 멥쌀밥이고, 행사가 있을 때에는 찰밥을 이용하였던 것으로 추측된다. 시루에 찐 찰밥은 떡의 형태로도 이용되었을 것이다.유리왕과 석탈해가 서로 왕위를 미루다가 마침내 떡을 깨물어 여기에 나타나는 잇자국으로 이빨의 수를 헤아려 유리가 왕위에 올랐다는 고사는 찐 찹쌀을 떡메로 쳐서 만든 절편·가래떡의 존재를 시사하여준다.찹쌀을 쪄서 낟알형태 그대로 먹거나 떡메로 쳐서 떡을 만들어 먹는다. 다르게는 찹쌀을 물에 담가 연하여지면 찧어서 가루로 만들어 시루에 쪄서 먹기도 하였다.이 때에 찹쌀 이외에 멥쌀을 쓰는 경우와 두 가지를 섞는 경우도 있었다. 이것은 삼국시대 초기로서 중국 남방의 영향을 받아 밀로 떡·과자를 만든 것보다 앞선 것이다. 이것이 일본에 전하여져서 ‘시토기’라는 이름으로 신에게 바치는 음식이 되었다.


진상품관련근거
찹쌀을 충청도(보은), 경기도에서 세자궁, 왕대비전, 중궁전, 혜경궁, 대전에 진상하였다는 기록이 춘관통고, 공선전례, 세종실록지리지에 기록되어있다.


찹쌀의 특성
찹쌀은 멥쌀에 비해 성질이 따뜻해서 소화기능이 약한 사람이 먹으면 소화가 잘 되고 속이 편안해진다. 찹쌀의 주성분인 전분은 주로 아밀로펙틴 구조로 되어있어서 멥쌀보다 소화가 용이하고 속을 데워주는 효과가 있으며 요오드 반응이 적갈색을 띠게 된다. 그래서 예전부터 위가 약하거나 속이 쓰릴 때는 멥쌀보다는 찹쌀로 밥을 해서 먹거나 찹쌀 떡을 해서 먹었고, 죽을 쑬 때도 찹쌀을 이용한다. 또한 보통 밥을 짓는 멥쌀은 배젖이 반투명한데, 찹쌀은 유백색으로 불투명하므로 구별할 수 있다. 아래 사진은 찹쌀 고추장이다.


활용음식
찰떡 인절미 경단 단자 등 여러 가지 떡을 만들며 찰밥 약식 식혜 술 고추장 등을 만드는 데도 쓴다. 찹쌀미수는 여름에 조갈을 덜어주며 예부터 젓이 안나오는 유모가 먹으면 젓이 잘 나온다고 하였다


찹쌀의 이용
찹쌀은 차진 기운이 많고, 멥쌀보다 소화가 잘 되기 때문에 찰떡이나 인절미, 경단, 단자 등의 여러 가지 떡을 만들고, 찰밥이나 약식, 식혜, 술, 고추장 등을 만들 때도 찹쌀을 이용한다. 찹쌀에는 지방이 적고, 칼슘과 철분, 섬유소도 적은 편이다. 이런 찹쌀의 결점을 보완해 주는 재료가 바로 대추인데 약밥이나 찰밥에 대추를 넣었던 것도 찹쌀의 이런 특성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아래 사진은 찹쌀 부꾸미다.


찹쌀의 성분
찹쌀은 멥쌀과 성분에서 거의 비슷하며, 멥쌀에 비해 점성도를 결정하는 다량의 덱스트린이 들어 있다. 찹쌀의 주성분은 전분(76.8%)과 단백질(7~8%)인데 주요 단백질은 오리자닌으로서 전체 단백질의 60~70%를 점유한다. 지방은 0.6%이며 이 밖에 인, 칼슘, 칼륨은 많지만 철은 적은 편이다. 섬유질(0.3%)도 적다. 비타민 A는 거의 없고, C와 D는 전혀 없다. 비타민 B1은 쌀겨층에 많은데 물에 녹기 쉬워 찹쌀밥에는 거의 없다. 아래 사진은 찹쌀 도너츠다.

 
찹쌀과 멥쌀의 차이점
찰기에 차이가 생기는 것은 찹쌀의 녹말이 아밀로펙틴(amylopectin)만으로 이루어지고 멥쌀은 아밀로스(amylose) 20%, 아밀로펙틴 80%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요오드반응에는 멥쌀이 청자색을 띠고 찹쌀은 적색을 띤다. 쌀 이외에 차와 메의 차이가 생기는 곡물로는 조와 기장, 옥수수 등이 있는데, 곡물에서 차와 메의 구별이 생긴 것은 동아시아의 난온대에서이다. 아래 사진은 [동의보감] 탕액편의 찹쌀 항목이다.


찹쌀의 효능
찹쌀은 기운을 보강해서 소화기능을 튼튼하게 해준다. 그래서 기운이 약해 식은 땀을 흘리거나 설사를 할 때나 식욕저하, 구역질을 할 때 먹으면 효과가 있다. 또한 혈액순환을 촉진하고 어혈을 없애주기 때문에 치질에 좋다. 또 찹쌀을 볶아서 먹거나 떡으로 만들어 먹으면 나이가 많은 사람이 소변을 힘없이 자주 보는 증상을 치료한다. 임신부가 아랫배가 아프거나 아래로 피가 비칠 때에 기운을 보강하기 위해 찹쌀을 넣고 황기와 함께 달여 마시면 좋고, 종기가 있을 땐 찹쌀떡에 소금을 조금 넣어 붙이면 종기의 뿌리가 빠진다
1.혈중 콜레스테롤을 낮춰주는 효과가 있어 혈액을 원활히 순환시켜주어 동맥경화와 고혈압, 뇌졸증 등 각종 혈관계질환 및 성인병 예방에 도움이되는 찹쌀효능있다.
2.찹쌀에는 식물성 식이섬유을 다량 함유하고있으며 수분 유지력이 강해 장운동을 원활하게 해주며 변비예방 및 해소에 도움이되는 찹쌀효능있다.
3.비타민E성분을 풍부하게 함유하고있어 피부노화방지에 효과적이며 심장질환예방에 도움ㅁ이되는 찹쌀효능이 있다.
4.아이를 출산한 산모의 모유가 부족할경우 젖을 잘 나오게 해주는 찹쌀효능이 있어 모유수유에 불편하을 겪는 분들은 계속해서 섭취해주면 좋다.
5.찹쌀효능으로 뼈를 강화시켜주는데 효과적인데요 이는 찹쌀에 다량의 비타민D성분이 함유되어있기 때문에 뼈를 튼튼하게 해주며 또한 몸이 아픈후 회복기에 먹으면 소화에도 잘되고 체력을 빠르게 회복시켜주는데 아주 도움된다.


찹쌀의 부작용
찹쌀은 몸이 차가운 소음인 체질에게 좋은 음식이다. 그렇기 때문에 몸에 열이 많은 소양인 체질의 사람이 너무 많이 먹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초강목]에서는 평소에 담열(痰熱)이나 풍병(風病)이 있는 사람이 먹으면 병이 도지고 뱃속에 덩어리가 생긴다고 기록하고 있다. 아래는 찹쌀 마들렌이다.
 

찹쌀 복용시 주의사항
찹쌀을 약으로 사용할 때는 한번에 30그램에서 50그램을 달여서 먹거나 가루약 형태로 먹고, 피부질환이 있을 때는 가루내어 개어서 바른다. 위나 장이 나빠 설사를 하고 위궤양이 있는 사람이 찹쌀을 계속 먹으면 병이 나을 수 있다. 또한 찹쌀은 멥쌀에 비해 딱딱해서 정백이 용이하기 때문에 여러 영양소와 비타민이 들어 있는 피질과 배아를 깍아내는 단점도 있으니 너무 많이 정백하지 않는 것이 좋다. 아래는 찹쌀 막걸리다.


참고문헌
체질박사 김달래, 한국료리문화사(이성우, 향문사, 1985), 照葉樹林文化(上山春平·佐佐木高明·中尾佐, 中公新書, 1976), 中國の稻作文化(陳文華·度部武 編, 六興出版, 1989), (문화콘텐츠닷컴 (문화원형백과 조선시대 식문화), 2003, 한국콘텐츠진흥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사진으로 보는 전문조리용어 해설, 2008.8.25, 백산출판사), 춘관통고, 공선전례


로고_임금님진상품_카페용150.jpg

   

                                            크기변환_13333.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