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래
가물치
가지
간재미
갈근
갈치
감자
감태
감초
감홍로주
강활
강황
게장
고구마
고등어
고본
고사리
고슴도치
고추
고추장
곤쟁이
골풀
곰취
곱돌
과루인
곶감
과메기
곽향
광어
구기자
구리
국수
국화차
굴비
금불초
기장
김치
꼬막
꼴뚜기
꽃게
꿀풀
나물
나전칠기
낙죽장도
낙지
냉이
노루
녹두
녹용
녹차
농어
뇌록
누치
느룹나무
느타리버섯
다시마
다람쥐
다래
다슬기
닥나무
단감
단목
달래
담비
담쟁이
당귀
대게
대구
대나무
대발
대추
더덕
더덕주
도라지
도루묵
도마뱀
도미
도자기
돈육
돈차
돌미역
돔배기
동래파전
동백기름
동충하초
돚자리
돼지
된장
두꺼비
두릅
두충
딸기
들기름
마늘
마뿌리
만화석
막걸리
망둥어
매생이
매실
맥문동
맨드라미
머루
머루주
메밀차
멸치
명란젓
명설차
명태
모과
모란
모래무지
모시
모자
목기
목화
무명
무우
문배주
문어
미나리
미역
민속주
민어
밀랍
박하
방풍
백랍
백련잎차
백렴
백미
백반
백부자
백조어
백하수오
백합
밴댕이
뱅어
벼루
병어
법주
보골지
보리
복령
복분자
복숭아
복어
부들
부자
부채
부추
붉나무
붕어
비빔밥
비자
뽕나무
사과
사슴
산나물
산삼
삼림욕
산수유
살구
삼릉
삼배
삼치
상합
상황버섯
새우
새우젓
생강
석결명
석곡
석류
석영
석이버섯
석청
석창포
소금
소라
소주
속새
송어
송이버섯
송화가루
수달
수박
수정
숙주
순채
숭어
승검초
식해
안동포
안식향
앵두
야콘
야콘잎차
약쑥
양귀비
어란
어리굴젓
어육장
엄나무
연밥
연어
연엽주
열목어
염전
엽삭젓
오가피
오미자
오곡
오골계
오정주
오죽
오징어
옥돔
옥로주
옹기
옻칠
왕골
용문석
우무
우황
울금
웅어
위어
유기
유자
유자차
유황
육포
은어
은행
이강주
이스라지
익모초
인삼
인삼주
잉어
자단향
자두
자라
자라돔
자연동
자하젓
작설차
작약
장군풀
장아찌
전모
전복
전어
전어젓
전통주
젓갈
젓새우
정어리
조개
조기
조홍시
좁쌀
종어
종이
주꾸미
죽렴장
죽로차
죽순
죽순채
죽염멸치
죽엽청주
죽피
죽합
준치
중국차
지라돔
지치
질경이
찐빵
참가사리
참게
참기름
참죽나물
참외
찹쌀
창출
천궁
천남성
천문동
청각
청국장
청란석
청목향
청자
초콜릿
초피나무
초하주
추성주
취나물
치자
칠선주
콩잎
토마토
토끼
토사자
토주
토파즈
토하젓
파전
패랭이
편두
포도
포도주
표고버섯
표범
하늘타리
학슬
한과
한라봉
한우
한지
해구신
해달
해삼
해파리
해홍나물
향나무
호도
호로파
호두
홍삼
홍삼절편
홍시
홍어
홍주
홍합
화개차
화문석
황기
황률
황벽나무
황어
황옥
황진이주
황태
회양목
후박
후추
흑돼지
흑염소
흑한우
로그인 l 회원가입

e8ccf7afdd6c52258b6fbe6c00a9fd6a_1443601259_4273.jpg
 
 석위(石韋), 바위옷, 석피(石皮), 금성초(金星草), 고란초, 석위의 효능
 

나무줄기와 바위면에 붙어서 자란다. 뿌리줄기가 옆으로 뻗고 길이 3mm이며 적색 또는 다갈색 비늘조각으로 덮인다. 잎자루는 지름 10∼26cm로 딱딱하고 홈이 있으며 성모(星毛:여러 갈래로 갈라져 별 모양의 털)로 덮인다. 잎몸은 넓은 바소꼴 또는 달걀 모양의 바소꼴로 양 끝이 좁고 두껍다.
잎 앞면은 짙은 녹색으로 털이 없으나 뒷면에는 갈색 성모가 밀생하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포자낭군은 포막(苞膜)이 없고 뒷면 전체에 밀생한다. 한방에서는 잎과 뿌리를 이뇨제로 사용한다. 한국·일본·타이완·인도차이나·중국에 분포한다


석위(石韋)는 고란초과의 상록 여러해살이 양치식물로 우리나라를 비롯해서 중국과 일본, 타이완, 동남아 지역의 나무줄기와 바위에 붙어서 자생한다. 석위는 주로 바위에 자생하기 때문에 예전부터 바위옷이라고도 불렀고, 한방에서는 잎과 뿌리를 약재로 사용하고 있으며, 학명은 Pyrrosia lingua이다.


석위 특성
석위는 키 높이가 13~30㎝이고, 뿌리 줄기는 가늘고 길며 가로로 뻗었고 길이 3mm 정도의 짙은 갈색 비늘조각으로 촘촘하게 덮여 있다. 뿌리는 수염 모양이고 비늘같은 털이 붙어 있고, 잎자루는 길이가 6∼15cm로 거의 사각기둥모양으로 딱딱한데 별 모양의 털로 덮여 있다. 잎은 넓은 바소꼴 또는 달걀 모양의 바소꼴로 길이가 7~20㎝, 너비는 1.5~3㎝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한 가죽질이다. 잎의 앞면은 짙은 녹색으로 털이 없으나 뒷면에는 갈색의 별모양 털이 빽빽하게 나 있고, 포자낭군은 잎의 밑면 전체나 뒷면 전체에 여러 줄로 배열되어 있다.

진상품관련근거
석위, 바위옷, 석피, 금성초는 충청도(청산현) 경상도(장기)에서 진상하였다는 기록이 세종실록지리지, 여지도서에 기록되어있다.


석위 성분과 약리작용
석위의 전초 속에는 모두 flavonoid가 들어 있고, 사포닌과 anthraquinones, tannin, hohen-b, β-sitosterol이 들어 있다. 석위추출물은 가래를 없애고 천식을 진정시키는 작용이 있고, 이산화황으로 유발한 흰쥐의 만성기관지염에 투여했더니 작은 기관지의 배세포가 작아졌는데 임상에서 기관지 내의 점액분비가 감소하는 것과 부합하는 결과였다.


석위의 효능
석위는 소변을 잘 나오게 하고 몸의 열을 내리며, 호흡기를 보강한다. 그래서 임질로 인한 통증, 요도 결석, 소변출혈, 소변이 시원하게 나오지 않을 때, 신염, 세균성 설사, 만성 기관지염, 기침, 피부질환 등에 사용한다.


석위의 부작용
석위는 성질이 서늘해서 몸에 열이 많은 사람에게 잘 맞고, 맥이 약하거나 설사를 자주하는 사람은 많이 먹지 않는 것이 좋다. 그래서 음허(陰虛)나 습열(濕熱) 환자에게 사용했고, 이런 증상이 아닐 때는 사용하지 말라고 했다.


석위 사용량과 주의사항
석위는 말린 것을 기준으로 한번에 4그램에서 8그램을 달여서 복용하거나 가루내어 먹는다.
또한 석위는 사용할 때 잎자루를 버리고, 솔로 융모를 제거하고 사용해야 한다. 실제 임상에서는 불에 볶아서 융모를 제거하기도 한다. 아래 사진은 [동의보감] 탕액편의 석위 항목이다.
작성자 체질박사


약재명; 석위(石葦)     
학명; Pyrrosia lingua (Thunb.) Farwell
라틴명; Pyrrosiae Folium
일반명;  석위
과명;  고란초과(Polypodiaceae) 
약용부위;  잎
약재성상;  이 약은 피침형-난상피침형으로 잎이 두껍고 길이 10-27cm, 너비 1-3cm이다. 잎의 윗면은 황록색이며 뒷면은 회백색-갈황색으로 갈색의 털이 있고 주맥이 융기되어 있으며 엷은 황색의 포자낭이 덮여 있다. 이 약은 거의 냄새가 없고 맛은 조금 쓰다.
효능;설열(泄熱), 이뇨(利尿), 익정(益精), 제번(除煩), 청폐(淸肺), 하기(下氣), 보오장(補五臟), 양혈지혈(凉血止血), 이수통림(利水通淋), 청열제습(淸熱除濕), 제단사반석(制丹砂礬石) 동의보감(東醫寶鑑)
주치병증;  붕루(崩漏), 소변불통(小便不通), 뉵혈(衄血)Z, 요혈(尿血), 임력삽통(淋瀝澁痛), 열림(熱淋), 석림(石淋), 폐열천해(肺熱喘咳), 혈림(血淋), 토혈(吐血) 동의보감(東醫寶鑑)
수치법;  배면(背面)의 가루와 같은 잡질(雜質)을 제거하고 절쇄(切碎)하여 생용(生用)한다. 운곡본초학(耘谷本草學)
이명;  석피(石皮), 석위(石韋), 금성초(金星草)
성미;  감고(甘苦), 고감(苦甘), 무독(無毒), 미한(微寒)
작용부위;  방광(膀胱), 폐(肺)
금기;  음허자(陰虛者)와 습열(濕熱)이 없는 자(者)는 복용(服用)을 기(忌)한다.
포함처방
석연환(石燕丸), 석위산(石葦散)A, 석위산(石韋散)A, 침향산(沈香散)A, 비해음(萆薢飮)A, 순경산(順經散)A, 침향산(沈香散)B, 육군자탕(六君子湯)E, 침향산(沈香散)C, 침향산(沈香散)E, 석위산(石韋散)B, 석연원(石燕圓)A, 규자탕(葵子湯)B, 활석산(滑石散)C, 순경산(順經散)B, 엄제계소음자(廣濟鷄蘇飮子), 차전산(車前散)C, 석위산(石葦散)B, 별갑전원(鱉甲煎圓), 석연원(石燕圓)B, 백악단(白堊丹), 무간호유탕(無間胡荽湯), 본초원이신산(本草院二神散), 금석오령산(金石五苓散), 활석산(滑石散)E, 중풍경험방1(中風經驗方1) 
약재키워드;금성초(金星草), 비도검(飛刀劍), 석란(石蘭), 석위(石葦), 석자(石䩾), 석피(石皮), 애기석위, 여산석위, 와위(한국전통지식포털)

꾸미기2석위.JPG
 
석위(石葦) / 석위
라틴명; Pyrrosiae Folium
분포; 제주도, 전라도 채취기간 봄~가을
키; 15~30㎝ 취급요령 햇볕에 말려 쓴다.
생지; 음습지의 바위ㆍ나무줄기 성미 서늘하며, 달고 쓰다.
분류; 상록 여러해살이풀(양치식물) 독성여부 없다.
번식; 뿌리줄기 1회사용량 3~5g
약효; 온포기ㆍ포자 사용범위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잎;뿌리에서 잎이 드문드문 돋는다. 잎자루는 긴데 딱딱하며 홈이 패이고 별 모양의 털로 덮여 있으며 뿌리줄기와 연결되어 있는 밑 부분은 비늘 조각으로 덮여 있다. 잎몸은 두꺼우며 넓은 댓잎피침형 또는 달걀 모양의 댓잎피침형으로서 양 끝이 좁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앞면은 짙은 녹색이고 털이 없으나 뒷면에는 별 모양의 갈색 털이 촘촘히 나 있다.
포자;6월에 포자를 형성하는데 포자주머니들은 잎의 뒷면 전체에 촘촘하게 퍼져서 분포한다. 포자주머니들을 싸는 얇은 막인 포막은 없다.


익생양술 효능
주로 신장 질환을 다스리며, 호흡기 병증에 효험이 있다.
기관지염,방광염,방광염,보폐·청폐,붕루,옹저,요로결석,요혈,종독,출혈,해수,


약재의 효능
이뇨(利尿);  (소변이 잘 나오게 하는 효능임) 
통림(通淋);  (하초(下焦)의 습열(濕熱)을 없애고 결석(結石)을 제거하며, 소변 볼 때 깔깔하면서 아프거나 방울방울 떨어지면서 시원하게 나가지 않는 병증을 제거하는 방법임) 
제번(除煩);  (번조(煩躁)한 것을 제거하는 효능임) 
하기(下氣);  (인체 하부의 기(氣)를 말함.) 
익정(益精);  (정기(精氣)를 보익(補益)하는 효능임) 
보오장(補五臟);  (오장(五臟)을 보하는 효능임) 
청폐(淸肺);  (열기에 의해 손상된 폐기를 맑게 식히는 효능임) 
설열(泄熱);  (열을 내리는 효능임) 
지혈(止血);  (출혈(出血)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제단사반석(制丹砂礬石);  (단사(丹砂)와 반석(礬石)을 약재로 사용 할 수 있도록 만드는 약재 가공법을 말함.) 
청열제습(淸熱除濕);  (열기를 식히고 습기를 제거하는 효능임) 


작용부위; 방광(膀胱) , 폐(肺) 
성미; 고감(苦甘) , 미한(微寒) 
약전기재; 중국약전 , 한국생약규격집 
주의사항; 음허(陰虛), 무습열자(無濕熱者)는 복용하지 말 것.
독성 Mild; active, but toxicity appears very mild unless used for long time 1,2).
 1) H.K. Do, Shin Rhong Bon Cho Kyung, 452.
 2) H.T. Rhu, Hyang Yak Jip Sung Bang, 1431.
약재사용처방 석연환(石燕丸) /  석림(石淋) 
석위(石韋)[1] /  방광실열(膀胱實熱) 
석위(石韋)[2] /  융폐(癃閉) , 오림(五淋) 
석위산(石韋散) /  임(淋) 
침향산(沈香散) /  기림(氣淋) 
침향음(沈香飮)[1] /  기림(氣淋) 
활석산(滑石散)[2] /  사림(沙淋) , 석림(石淋)(익생의 자연건강 닷컴)


석위 石韋, 石蘭, 大石韋 Japanese Felt Fern Leaf Prosia lingua (Farwell)

고사리과 다년생 상록 양치류. 근경은 철사모양이며 길게 가로로 뻗는다.
잎은 드물게 총생하며 적갈색의 피침형 비늘 조각이 덮여 있고,
엽병은 철사모양으로 길이 20∼40㎝,
나비 2∼6㎝ 가량이며, 성상(星狀)의 가는 인편이 흩어져 나 있다.
피침형의 잎은 두꺼운 혁질이며 길이 10∼27㎝, 나비 2∼6㎝ 가량으로 표면은 진한 녹색이다.
중맥은 잎의 뒷면에 돋아나고 지맥은 깃모양으로 비스듬히 고르게 난다.
경엽(莖葉)을 석위(石韋) Linguae Herba라 한다.
성분 : triterpenoid인 hopane계 hop-23(29)-ene(主成分), diploptene
생지 : 따뜻한 지방의 바위 위 또는 나무에 착생한다.
분포 : 제주(서귀포 돈내코 계곡상부 일대), 전남(매가도)에 야생하며,
지리적으로는 일본, 오키나와, 대만, 중국, 인도차이나 등지에 분포한다.
약효 : 잎은 이뇨통림(利尿痛淋), 청열지혈(淸熱止血), 열림(熱 ),
석림(石淋), 토혈, 뉵혈, 뇨혈(尿血), 붕루,
폐열해수(※ 性은 微寒, 味甘, 苦)해열 이뇨제(利尿劑) 및 임질 치료제
동속약초 : 애기석위 P. petiolosa Ching, P. shaereri Ching, (中國石韋, 戶山石韋) P. pekinensis Ching(小石韋)
번식 : 근경
비고 : 민간약으로 잎을 뇨혈, 지혈, 소변불리에 사용되고 있다.(민통선 토종약초 연구소 운수스님)


이름;石韋, Pyrrosiae Folium
기원;고란초과 석위 또는 기타 동속 식물의 잎. 봄, 여름, 가을에 채취해 근경과 뿌리를 제거하고 햇볕에 말리거나 음건한 것
성미;성질은 약간 차고 맛은 달고 쓰다.
귀경;폐경, 방광경
효능 주치 해설;위로는 청폐시키고, 아래로는 방광을 통리한다. 이를 통해 청열, 리수, 통림에 상용할 수 있다.림증 중에서도 열림에 유효하며, 폐열을 청열하므로 화담, 지해, 평천의 작용이 있다.량혈지혈의 효과가 있어 혈림에도 유효하다.
용량;6~12g
금기;음허한 자, 습열이 없는 자 (haniwiki)


애기석위 / 석위(石葦)
● 약용부위 : 잎
● 효능 : 설열(泄熱), 이뇨(利尿), 익정(益精), 제번(除煩), 청폐(淸肺), 하기(下氣), 보오장(補五臟), 양혈지혈(凉血止血), 이수통림(利水通淋), 청열제습(淸熱除濕), 제단사반석(制丹砂礬石)
● 주치병증 : 붕루(崩漏), 소변불통(小便不通), 뉵혈(衄血)Z, 요혈(尿血), 임력삽통(淋瀝澁痛), 열림(熱淋), 석림(石淋), 폐열천해(肺熱喘咳), 혈림(血淋), 토혈(吐血)
● 수치법 : 배면(背面)의 가루와 같은 잡질(雜質)을 제거하고 절쇄(切碎)하여 생용(生用)한다.
● 이명 : 석피(石皮), 석위(石韋), 금성초(金星草)
● 성미 : 감고(甘苦), 고감(苦甘), 무독(無毒), 미한(微寒)
● 작용부위 : 방광(膀胱), 폐(肺)
● 금기 : 음허자(陰虛者)와 습열(濕熱)이 없는 자(者)는 복용(服用)을 기(忌)한다.

<바위나 절벽틈에 가죽처럼 붙어 자라는 지혈, 이뇨제>
<애기석위>
고란초과의 상록 여러해살이풀. 석위와 비슷하나 작고 잎자루가 더 길다. 전체를 약용하는데 바위나 늙은 나무에 붙어서 자란다. (Pyrrosia petiolosa)

<석위>
나무줄기와 바위면에 붙어서 자란다.
뿌리줄기가 옆으로 뻗고 길이 3mm이며 적색 또는 다갈색 비늘조각으로 덮인다.
잎자루는 지름 10∼26cm로 딱딱하고 홈이 있으며 성모(星毛:여러 갈래로 갈라져 별 모양의 털)로 덮인다.
잎몸은 넓은 바소꼴 또는 달걀 모양의 바소꼴로 양 끝이 좁고 두껍다.
잎 앞면은 짙은 녹색으로 털이 없으나 뒷면에는 갈색 성모가 밀생하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포자낭군은 포막(苞膜)이 없고 뒷면 전체에 밀생한다. 한방에서는 잎과 뿌리를 이뇨제로 사용한다.
한국·일본·타이완·인도차이나·중국에 분포한다.


약효
잎은 이뇨통림(利尿痛淋), 청열지혈(淸熱止血), 열림(熱淋), 석림(石淋), 토혈, 뉵혈, 뇨혈(尿血), 붕루, 폐열해수
(※ 性은 微寒, 味甘, 苦)해열 이뇨제(利尿劑) 및 임질 치료제
 

석위(石韋)는 맛은 쓰고도 달며, 성질은 평하고(微寒) 폐경, 방광경에 작용한다고 합니다
석위의 잎은 설열, 이수, 통림배석, 청폐, 지혈의 효능이 있어 임질, 혈뇨, 요로결석, 신염, 폐열로 인한 해수, 만성기관지염, 창상, 옹저를 치료하며, 석위의 뿌리는 통림, 소종, 제노열, 지혈 등에 사용하고, 석위모(잎의 작은 털)은 화상에 바른다고 합니다.

약리 실험에서 진해 거담작용,  이뇨작용, 결석용해와 배석작용, 황색포도상구균, 이질균,변형간균의 억제작용이 강력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합니다.

 
중국에서 석위의 임상결과는 아래와 같이 나타났다고 합니다.
급성신염과 신우신염에 석위 20-30g 물 500-1리터를 넣고 1시간 전탕하여 1일 2회 공복에복용하거나 차 대용으로 마시면 매우 높은 치유율을 얻을 수 있다고 하는데 103증레의 환자중에서 급성 사구체신염 39증례 에서 유효율이 92.3% 신우염 20중에 유효율 85%로 나타났다고 합니다.

요로 결석에 석위 30-60g 차전자 30-60g 생치자30g 감초 8-15g 물 3-3,5리터를 붓고  40분 전탕하여 차로 복용한 결과 33증레에서 결석이 배출되였고 46증례에서는 증상이 완화되였고 전체적으로 보면 97.5%의 유효율을 나타냈다고 하는데 일반적으로 3일에서 21일사이에 배출이 된다는 것입니다.
 
만성기관지염에 석위 30g 설탕 30g을 쓰는데 먼저 석위를 3회에 걸처 다려서 매 1시간마다 한번씩  다릴 때에 농축액이 500미리리터가 되게하여 설탕을 넣고 복용한다고 합니다.
이를테면 3회 복용량이 1개월분에 해당하는데 500증례의 환자 중에서 98%의 유효율를 기록했다는 보고가 있었답니다.
 
기관지 천식에 석위 45g 을 다려서 농축하고 여기에 설탕을 넣고 1일 3회로 나누어 복용하면 81.8%의 유효율을 보였는데  어린이는 나이와 체중을 가려서 복용하며, 백혈구 감소증에 석위 30g 대추 10개를 환자 증상에 알 맞게 배합해서 복용하면 탁월한 반응을 얻게 된다고 합니다.
신장결석에는 석위, 산약, 산수유, 오미자, 호장근은, 목통을 다려 먹으면 결석이 삭아서 나온다고 합니다. (REJUWELL.com)


석위
고사리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 근경은 옆으로 길게 벋으며,인편은 선상피침형으로서 가장자리에 털 같은 돌기가 있다. 잎과 뿌리는 진해, 거담, 평천작용이 있어 약재로 쓰인다.주로 암벽의 음습지에 붙어서 살기 때문에 고려 때의 이두향명으로는 석화(石花)라 하였으며, 『물명고(物名考)』에는 바위옷이라 하였다. 근경은 옆으로 길게 벋으며 지름 3㎜이고, 적색 또는 다갈색 인편(鱗片)으로 덮인다. 인편은 선상피침형으로서 길이 4㎜ 정도이며, 밑부분은 흑갈색이지만 끝과 가장자리로 갈수록 연해져서 회갈색으로 되고 가장자리에 털 같은 돌기가 있다. 잎과 뿌리는 진해·거담·평천작용이 있어 약재로 쓰인다. 비뇨생식기질환으로서 임질·요도염·방광염·신염 등의 증상에 이뇨·해열효과를 나타내고, 요도결석에도 다른 약물과 배합하여 이용한다. 만성기관지염에도 효과가 인정되며, 급만성신염·신우신염에도 소염·이뇨작용을 나타낸다.


참고문헌
세종실록지리지, 여지도서, 체질박사 김달래한, 한국전통지식포털, 익생의 자연건강 닷컴, 민통선 토종약초 연구소 운수스님, haniwiki, REJUWELL.com, 향약채취월령(안덕균,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83), 대한식물도감(大韓植物圖鑑)(이창복, 향문사, 1982), 中藥大辭典(江蘇新醫學院, 上海 科技出版社, 1979), 두산백과
 

로고_임금님진상품_카페용150.jpg
 


   

                                            크기변환_13333.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