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래
가물치
가지
간재미
갈근
갈치
감자
감태
감초
감홍로주
강활
강황
게장
고구마
고등어
고본
고사리
고슴도치
고추
고추장
곤쟁이
골풀
곰취
곱돌
과루인
곶감
과메기
곽향
광어
구기자
구리
국수
국화차
굴비
금불초
기장
김치
꼬막
꼴뚜기
꽃게
꿀풀
나물
나전칠기
낙죽장도
낙지
냉이
노루
녹두
녹용
녹차
농어
뇌록
누치
느룹나무
느타리버섯
다시마
다람쥐
다래
다슬기
닥나무
단감
단목
달래
담비
담쟁이
당귀
대게
대구
대나무
대발
대추
더덕
더덕주
도라지
도루묵
도마뱀
도미
도자기
돈육
돈차
돌미역
돔배기
동래파전
동백기름
동충하초
돚자리
돼지
된장
두꺼비
두릅
두충
딸기
들기름
마늘
마뿌리
만화석
막걸리
망둥어
매생이
매실
맥문동
맨드라미
머루
머루주
메밀차
멸치
명란젓
명설차
명태
모과
모란
모래무지
모시
모자
목기
목화
무명
무우
문배주
문어
미나리
미역
민속주
민어
밀랍
박하
방풍
백랍
백련잎차
백렴
백미
백반
백부자
백조어
백하수오
백합
밴댕이
뱅어
벼루
병어
법주
보골지
보리
복령
복분자
복숭아
복어
부들
부자
부채
부추
붉나무
붕어
비빔밥
비자
뽕나무
사과
사슴
산나물
산삼
삼림욕
산수유
살구
삼릉
삼배
삼치
상합
상황버섯
새우
새우젓
생강
석결명
석곡
석류
석영
석이버섯
석청
석창포
소금
소라
소주
속새
송어
송이버섯
송화가루
수달
수박
수정
숙주
순채
숭어
승검초
식해
안동포
안식향
앵두
야콘
야콘잎차
약쑥
양귀비
어란
어리굴젓
어육장
엄나무
연밥
연어
연엽주
열목어
염전
엽삭젓
오가피
오미자
오곡
오골계
오정주
오죽
오징어
옥돔
옥로주
옹기
옻칠
왕골
용문석
우무
우황
울금
웅어
위어
유기
유자
유자차
유황
육포
은어
은행
이강주
이스라지
익모초
인삼
인삼주
잉어
자단향
자두
자라
자라돔
자연동
자하젓
작설차
작약
장군풀
장아찌
전모
전복
전어
전어젓
전통주
젓갈
젓새우
정어리
조개
조기
조홍시
좁쌀
종어
종이
주꾸미
죽렴장
죽로차
죽순
죽순채
죽염멸치
죽엽청주
죽피
죽합
준치
중국차
지라돔
지치
질경이
찐빵
참가사리
참게
참기름
참죽나물
참외
찹쌀
창출
천궁
천남성
천문동
청각
청국장
청란석
청목향
청자
초콜릿
초피나무
초하주
추성주
취나물
치자
칠선주
콩잎
토마토
토끼
토사자
토주
토파즈
토하젓
파전
패랭이
편두
포도
포도주
표고버섯
표범
하늘타리
학슬
한과
한라봉
한우
한지
해구신
해달
해삼
해파리
해홍나물
향나무
호도
호로파
호두
홍삼
홍삼절편
홍시
홍어
홍주
홍합
화개차
화문석
황기
황률
황벽나무
황어
황옥
황진이주
황태
회양목
후박
후추
흑돼지
흑염소
흑한우
로그인 l 회원가입

e8ccf7afdd6c52258b6fbe6c00a9fd6a_1443601259_4273.jpg
 
 가덕대구(嘉德大口),대구[大口魚], 대구고지해[大口古之醯], 건대구어[乾大口魚], 대구알(大口卵), 해착건대구어(海錯乾大口魚), 대구알젓(大口魚卵醢), 대구란해(大口卵醢), 황대구(黃大口), 동…
 



가덕대구(嘉德大口)는 대구중에서도 최고로 쳐주는 것이 부산 가덕도 앞바다에서 잡히는 가덕대구이다 11월말에서 다음해 2월말까지 많이 잡히는 으로 동국여지승람에 경상도 웅천현 가덕도의 특산물로는 “대구”라고 되어 있으며 가덕대구가 임금님의 수랏상에 오를 정도의 진상품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그동안 가덕도는 섬으로 교통이 불편하여 가덕도에서 잡은 대구를 진해 용원동에 내다 팔았으나 거가대교의 개통으로 가덕도 천성까지는 통행료 없이 진입할 수가 있다. 입이 커 대구(大口)라고 이름이 붙여진 이 어종은 겨울철 보양식으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육질이 담백한데다 국물맛이 시원해 속풀이용으로도 애주가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낙동강 하구를 끼고 있어서 다른 바다에 비해 어종이 풍부한 가덕도 주변의 대구는 색깔이 진하고, 다른 해역에서 잡힌 대구보다 맛이 있다고 하여 특별히 분류하여 가덕대구로 명명하게 되면서 가덕대구가 전국적으로 유명해진 것이다.   
 

대구 관련문헌   
신증동국여지승람 등에 의하면 경경상도 웅천현 가덕도의 특산물로는 “대구”라고 되어 있으며 가덕대구가 임금님의 수랏상에 오를 정도의 진상품으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경상도·강원도·함경도에서 어획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조선시대는 명태가 동해안을, 조기가 서해안을 대표하는 어류라면, 대구는 남해안을 대표하는 어류라고 할 수 있었다. 1776년(정조 즉위년)에 간행된 공선정례 供膳定例에 의하면 진상품 중에 건대구어(乾大口魚)· 반건대구어(半乾大口魚)· 대구어란해(大口魚卵疫)· 대구고지해(大口古之疫) 등이 보인다. 대구 건제품과 알이나 내장으로 담근 젓갈이 고급식품으로 취급받았음을 알 수 있다. 
 
경상남도 진해에서는 알이 든 채로 말려서 약대구라는 이름의 통대구를 만든다. 이 약대구는 알은 알대로 머리와 몸은 건곰을 만들어 보신용으로 먹는 귀한 영양식품이다. 그 밖에 국을 끓이거나 구워서 먹기도 하며 생선회로도 일품이다. 또, 간은 간유의 원료로 쓰인다. 
 
동의보감에서는 “고기의 성질이 평하고 맛이 짜고 독이 없다. 먹으면 기운을 보하는데 내장과 기름의 맛이 더욱 좋다.”고 하였다.  
    
진상품관련근거  
대구(大口)는 대구[大口魚], 대구고지해[大口古之醯], 건대구어[乾大口魚], 대구알(大口卵), 해착건대구어(海錯乾大口魚), 대구알젓(大口魚卵醢), 대구란해(大口卵醢), 황대구(黃大口), 동대구어(凍大口魚), 황대구어(黃大口魚), 백대구어(白大口魚) 이름으로 함경도(감영, 경성도호부, 경원도호부, 경흥도호부, 길성현, 길주, 단천, 덕원, 명천현, 부녕, 부령도호부, 북정도호부, 안변, 온성도호부, 이성현, 종성도호부, 함흥, 홍원현, 회령도호부) 강원도(간성, 감영, 강릉대도호부, 고성, 삼척도호부, 양양도호부, 울진현, 통천군, 평해군, 회양, 흡곡현) 경상도(거제현, 경주부, 고성현, 곤양군, 기장현, 김해도호부, 남해현, 동래현, 안동, 연일, 영덕현, 영일현, 영해도호부, 울산군, 장기현, 진주목, 진해현, 창원도호부, 청하현, 칠원현, 하동형, 흥해군)에서 대전, 왕대비전, 혜경궁, 중궁전, 세자궁에 진상하였다는 기록이 신증동국여지승람, 여지도서, 춘관통고, 공선정례에 기록되어있다.
 

  
생태적 특성  
분 포 : 우리나라 동.서해, 오오츠크해, 베링해.   
서식장 : 수온 5~12도C 되는 수심 45~450m 되는 깊은 바다에 떼를 지어 살며, 야행성으로 낮에는 바닥에 몸을 숨긴다.   
회 유 : 동해안산 대구는 겨울철에 냉수층을 따라 남해안의 진해만까지 산란하기 위해 이동해 왔다가 봄이 되면 북쪽 해역 또는 깊은 수층으로 이동해 가는 산란 회유를 한다.   
산 란 : 동해안산 대구의 산란장은 경남 진해만과 경북 영일만으로 산란기는 12~4월이며, 체장 65cm이면 약 200만개의 알을 산란한다.   
성 장 : 동해산은 부화 후 만 1년이면 체장 20~27cm, 2년이면 30~48cm, 5년이면 80cm, 6년이면 90cm 내외로 자라며, 최대 몸길이는 100cm, 서해산은 최대 체장 41.5cm.   
식 성 : 전형적인 탐식성 어류로 어릴 때에는 주로 동물성 플랑크톤을 먹지만 성장하면 고등어, 청어, 가자미 등 어류뿐 아니라 두족류, 게류, 갯 지렁이류 등을 닥치는 대로 먹는다.   
 
 
대구의 대표적 음식 
 
대구포 
 
맥주 안주로 흔히 쓰이는 대구포는 대중적인 식품이다. 대구포는 머리와 내장을 제거한 것을 절반으로 갈라서 말리는데 소금으로 절였다가 말려서 만든다. 사용하는 소금의 양은 대구 120마리에 대해서 소금 50kg 가량이다. 
 
대구 매운탕 
 
대구는 몸이 무르지만 버리지 않고 구수하다. 냄비에 파, 마늘, 생강 등을 넣고 고추장을 풀어 간을 맞춘 국물을 붓고 끓이다가 대구와 참기름을 넣어 약한 불에 천천히 끓이면 맛좋은 대구 매운탕이 된다. 
 
옛날에는 청원군 가덕 대구가 맛이 제일 좋은 것으로 알려져 왔으나 요즈음은 어획량이 많이 줄어들어 아쉽게 되었다. 
 


대구를 이용한 맛있는 요리법 
 
대구매운탕 
 
[준비물] '대구(소) 1마리, 생굴 200g, 배춧잎 2장, 파 2뿌리, 물 6컵, 소금 1큰술, 청장 2작은술, 다진 마늘 2큰술, 다진 생강 1큰술, 고춧가루 1큰술' 
 
 [만드는 법] 
 
1. 대구는 깨끗이 손질하여 내장을 빼고 5㎝ 정도로 토막을 낸다. 생굴은 씻어서 체에 건진다. 2. 배춧잎 줄기는 4㎝ 길이로 썰고, 파는 다듬어 어슷하게 썬다. 3. 냄비에 대구 머리와 꼬리를 담고 물을 부어서 끓이다가 맛이 들면 건더기를 건져 낸다. 4. 대구 삶은 국물에 대구 토막과 배추를 넣고 양념을 넣어 끓여서 익으면 생굴과 파를 넣고 끓인다. 5. 굴이 익어서 맛이 어우러지면 바로 불에서 내린다. 
 
대구지리 
 
[준비물]'대구 1마리, 조개 100g, 봄배추 2잎,팽이버섯 1봉지, 당근 1/4개, 표고버섯 6개, 두부 1/4모, 무순 10g, 홍 고추 1개, 소금 약간, 진간장 3큰술, 레몬즙 2큰술, 식초 1큰술, 청주 2큰술,   
    
 [만드는 법]   
1. 대구는 머리를 자르고 내장을 꺼내어 깨끗이 씻은 후 3~4㎝ 길이로 토막을 낸 다음 끓는 물에 끼얹어 덜 손질된 잡티를 없앤다. 그 다음 체에 받쳐 물기를 빼 주어야 특유의 냄새를 없앨 수 있다. 2. 조개는 연한 소금에 담궈 해감을 토하게 한다. 3. 배추는 끓는 물에 데치고 찬물에 헹구어 물기를 꼭 짜고, 팽이버섯은 지저분한 밑기둥을 자른 뒤 데친 배추를 넓게 펴서 팽이버섯을 놓고 돌돌 말아 2㎝ 폭으로 썰어 둔다. 4. 당근은 모양내어 2㎜ 두께로 썰어 둔다. 두부는 도톰하게 2㎝폭으로 썰고 표 고는 모양을 내어 큰 것은 2등분이나 4등분 하고, 홍고추는 둥글게 썰고 무순은 씻어 홍고추에 꿰어 둔다. 5. 다시마는 깨끗이 닦아 가위로 가장자리를 자르고 물을 부어 끓인다. 6. 그릇에 분량의 간장소스 재료를 모두 넣고 잘 섞어 둔다. 7. 냄비에 재료들을 담고 육수를 붓고 소금으로 간을 맞춰 생선이 익을 때까지 끓인다. 
 
 대구찜 
 
[만드는 법] 1.대구를 토막내어 깨끗이 씻어 소금으로 약간의 간을 한다. 2.적당히 익은 김장김치를 잘게 썰고 내장(고이)을 가위로 자르고 된장 1스푼과 마늘을 넣어 버무린다. 3.생 콩나물과 고춧가루, 양파, 전분, 소금을 조금 넣어 ①과②를 모두 넣고 골고루 섞는다. 4.찜 솥에 물을 넣어 끓인다. 5.잘 버무려진 재료 중 채반위에 고기를 먼저 깔고 그 위로 버무린 양념과 콩나물 등을 골고루 펴 얹고 뚜껑을 잘 덮어 대구와 콩나물이 충분히 익을 때까지 기다린다. 6.당근, 팽이버섯, 대파, 미나리를 모두 채 썰어 둔다. 7.대구 찜이 충분히 익고 난 후 ⑥을 골고루 펴 얹는다. 8. 한번더 살짝 익힌 후 주걱을 이용해 접시에 담아낸다. 
 
 대구알젓 
 
[만드는 법] 1. 생대구의 배를 가른다. 2. 알과 내장이 들어 있는데 알을 조심스레 꺼내어 물이 가지 않게 해서 그릇에 담아 둔다. 3. 아가미와 내장을 꺼낸다. 4. 그릇에 담아둔 알 500g에 소금을 맥주 1컵정도 골고루 뿌려 10일정도 둔다. 5. 숙성된 알에 마늘, 파, 고춧가루 100g, 깨소금, 물엿등 양념을 하여 약 3일정도 두었다고 익은 다음에 먹으면 된다. 6. 알젓을 좀 오래 먹기 위해서 무를 네모나고 얇게 썰거나 채를 쳐서 소금과 양념을 버물러 알젓과 섞어 두고 알젓 무로 해서 먹기도 한다   
 
대구포 
 
[만드는 법] 1. 머리와 내장을 제거한 대구를 절반으로 가른다. 2. 가른 대구1마리에 소금 약 400g을 골고루 뿌려 둔다. 3. 간이 배인 대구를 통풍이 잘되고 햇빛이 잘드는 장소에서 건조 한다   
 
고니 젓 
 
[만드는 법]1. 생대구의 배를 가른다. 2. 고니와 내장이 들어 있는데 고니를 조심스레 꺼내어 물이 가지 않게 해서 그릇에 담아 둔다. 3. 아가미와 내장을 꺼낸다. 4. 그릇에 담아둔 고니 500g에 소금을 맥주 1컵 정도 골고루 뿌려 10일정도 둔다. 5. 숙성된 알에 마늘, 파, 고춧가루 100g, 깨소금, 물엿등 양념을 하여 약 3일정도 두었다고 익은 다음에 먹으면 된다.   
 
대구 내장 젓 
 
[만드는 법]1. 생대구의 배를 가른다. 2. 내장이 들어 있는데 내장을 꺼내어 물로 깨끗이 씻은 후 물기를 제거한 후 그릇에 담아 둔다. 3. 그릇에 담아둔 내장에 소금을 맥주 1컵정도 골고루 뿌려 10일정도 둔다. 5. 숙성된 알에 마늘, 파, 고춧가루 100g, 깨소금, 물엿등 양념을 하여 약 3일정도 두었다가 익은 다음에 먹으면 된다.     


민간요법에서의 대구 
 
 회충에는 큰 대구 한마리를 물로 씻지 않고 달여먹으면 구충이 잘 된다고 하며, 유종에는 껍질을 물에 담갔다 붙이면 잘 듣는 다고 한다. 여하간 대구는 몸이 허약한 사람의 보신제로 권장할만한 식품이다.대구 매운탕은 찬바람이 부는 겨울에 온몸을 훈훈하게 해주며, 해장국으로 먹어도 시원하고 주독이 잘 풀리는 음식이다.   
 
대구의 영양성분 
 
수분 80.5% 단백질 17.6g 칼슘 64mg 인 197mg 철 0.6mg 비타민 B₁0.12mg B₂0.16mg 
 
1)칼슘 - 칼슘이 부족하면 구루병. 골연화증. 골다공증에 걸리기 쉬우며, 칼슘은 특히 임산부 및 출산횟수가 많고 칼슘이 부족한 식사를 하는 부인에게 좋다. 칼슘이 부족하면 혈중 칼슘이온 농도가 감소하여 근육이 계속적인 신경자극을 받아 근육경련을 일으킴으로써 테타니가 생길 수 있다. 
 
2)인 - 임산부에게 인이 부족하면 미숙아가 태어날 수 있다. 장기적으로 인이 부족하게 되면 식욕부진, 근육약화, 뼈의 약화 및 통증이 생길 수 있다. 
 
3)철 - 철이 부족하면 철분 결핍성 빈혈이 생길 수 있으며 철분 결핍성 빈혈의 임상적 증상으로는 피부색이 창백해지고, 손톱이 움푹 패이며, 피로, 허약, 호흡곤란, 체온조절이상, 식욕부진이 생길 수 있다.그리고 철분이 부족하면 피로가 누적되게 되며, 학습능력이나 작업능률, 면역기능이 저하되기 쉬우므로 철분은 성장기 어린이나 수험생에게 좋은 영양소라 할 수 있다. 또한 철분이 부족하면 육체 및 정신의 전반적인 성장장애가 생길 수 있다. 
 
4)비타민B1 - 비타민B1(티아민)이 부족하면 각기병이 생길 수 있다. 
 
 *각기병 - 티아민 결핍증으로서 근육의 약화, 식욕부진, 신경조직의 퇴화, 때로는 부종을 수반한다. 
 
티아민이 결핍되었을 경우 심근의 약화와 심부전증이 나타나며 혈관벽의 평활근이 약화되어 말초 혈관이 이완된다. 티아민은 심부전증 환자에게 좋은 영양소라 할 수 있겠다. 
 
5) 비타민B2 - 비타민B2(리보플라빈)이 부족하면 설염, 구각염, 지루성 피부염, 구내염이 생길 수 있다. 
 


효능 및 성분 
 
민간요법에서의 대구 
 
대구는 몸이 허약한 사람의 보신제로 권장할만한 식품이다. 대구 매운탕은 찬바람이 부는 겨울에 온몸을 훈훈하게 해주며, 해장국으로 먹어도 시원하고 주독이 잘 풀리는 음식이다. 회충에는 큰 대구 한 마리를 물로 씻지 않고 달여 먹으면 구충이 잘 된다고 하며, 유종에는 껍질을 물에 담갔다 붙이면 잘 듣는 다고 한다. 
 
원기 회복 
 
대구는 고단백 식품에 비타민과 각종 영양소가 풍부한데요. 특히 곤이라고 불리는 것에는 무기질과 아르기닌이 많아 원기 회복에 도움이 된다. 
 
비타민B가 풍부하여 몸에 활력을 불어넣고 면역력을 증가시켜 우리 몸을 튼튼하게 만들어준다.   
 
간 보호. 
 
숙취를 해소하는 것은 대표적인 대구의 효능으로 많은 분들이 찾고 있다. 
 
대구에는 알코올이나 독성물질 해독 기능이 있으며, 간 세포의 재생을 돕는 단백질이 풍부한 식품이다. 
 
더욱이 탕에 아스파라긴산이 풍부한 콩나물과 미나리까지 함께 먹으면 간을 보호하는데 도움이 된다.    
 
노화 방지 
 
대구의 간유는 비타민 A가 무척이나 풍부합니다. 1g에는 비타민 A가 약 1천~1만 IU가 들어 있어 시력보호 및 피부 탄력 유지에도 도움이 되어 대구의 효능 중 하나는 바로 노화를 어느 정도 막아주는 것이다. 다만 간은 대게 식용으로 사용되지 않고 비타민제와 같은 의약품 원료로 사용되고 있다. 
 
우리가 쉽게 접하는 대구 알에는 비타민E이 많아 노화방지에 도움이 된다. 
 
살을 빼는데 좋음 
 
대구는 고단백, 저지방 식품입니다. 단백질 함량이 17.6%으로 높은 반면 지방은 0.5%로 다이어트 중인 사람도 부담 없이 먹을 수 있는 식품이다.   
 
야맹증, 관절염 완화 
 
대구의 간에는 비타민 A,D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서 야맹증 예방에 좋다. 
 

 
참고문헌 및 출처   
동의보감, 신증동국여지승람, 여지도서, 춘관통고, 공선정례, 한국수산지(농상공부수산국, 1908), 한국수산업사(박구병, 정음사, 1975), 한국어도보(정문기, 일지사, 1977), 해양수산통계연보(해양수산부, 1998), 식품과학기술대사전, 한국식품과학회, 한국현대문학대사전, 공선정례 


   

                                            크기변환_13333.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