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래
가물치
가지
간재미
갈근
갈치
감자
감태
감초
감홍로주
강활
강황
게장
고구마
고등어
고본
고사리
고슴도치
고추
고추장
곤쟁이
골풀
곰취
곱돌
과루인
곶감
과메기
곽향
광어
구기자
구리
국수
국화차
굴비
금불초
기장
김치
꼬막
꼴뚜기
꽃게
꿀풀
나물
나전칠기
낙죽장도
낙지
냉이
노루
녹두
녹용
녹차
농어
뇌록
누치
느룹나무
느타리버섯
다시마
다람쥐
다래
다슬기
닥나무
단감
단목
달래
담비
담쟁이
당귀
대게
대구
대나무
대발
대추
더덕
더덕주
도라지
도루묵
도마뱀
도미
도자기
돈육
돈차
돌미역
돔배기
동래파전
동백기름
동충하초
돚자리
돼지
된장
두꺼비
두릅
두충
딸기
들기름
마늘
마뿌리
만화석
막걸리
망둥어
매생이
매실
맥문동
맨드라미
머루
머루주
메밀차
멸치
명란젓
명설차
명태
모과
모란
모래무지
모시
모자
목기
목화
무명
무우
문배주
문어
미나리
미역
민속주
민어
밀랍
박하
방풍
백랍
백련잎차
백렴
백미
백반
백부자
백조어
백하수오
백합
밴댕이
뱅어
벼루
병어
법주
보골지
보리
복령
복분자
복숭아
복어
부들
부자
부채
부추
붉나무
붕어
비빔밥
비자
뽕나무
사과
사슴
산나물
산삼
삼림욕
산수유
살구
삼릉
삼배
삼치
상합
상황버섯
새우
새우젓
생강
석결명
석곡
석류
석영
석이버섯
석청
석창포
소금
소라
소주
속새
송어
송이버섯
송화가루
수달
수박
수정
숙주
순채
숭어
승검초
식해
안동포
안식향
앵두
야콘
야콘잎차
약쑥
양귀비
어란
어리굴젓
어육장
엄나무
연밥
연어
연엽주
열목어
염전
엽삭젓
오가피
오미자
오곡
오골계
오정주
오죽
오징어
옥돔
옥로주
옹기
옻칠
왕골
용문석
우무
우황
울금
웅어
위어
유기
유자
유자차
유황
육포
은어
은행
이강주
이스라지
익모초
인삼
인삼주
잉어
자단향
자두
자라
자라돔
자연동
자하젓
작설차
작약
장군풀
장아찌
전모
전복
전어
전어젓
전통주
젓갈
젓새우
정어리
조개
조기
조홍시
좁쌀
종어
종이
주꾸미
죽렴장
죽로차
죽순
죽순채
죽염멸치
죽엽청주
죽피
죽합
준치
중국차
지라돔
지치
질경이
찐빵
참가사리
참게
참기름
참죽나물
참외
찹쌀
창출
천궁
천남성
천문동
청각
청국장
청란석
청목향
청자
초콜릿
초피나무
초하주
추성주
취나물
치자
칠선주
콩잎
토마토
토끼
토사자
토주
토파즈
토하젓
파전
패랭이
편두
포도
포도주
표고버섯
표범
하늘타리
학슬
한과
한라봉
한우
한지
해구신
해달
해삼
해파리
해홍나물
향나무
호도
호로파
호두
홍삼
홍삼절편
홍시
홍어
홍주
홍합
화개차
화문석
황기
황률
황벽나무
황어
황옥
황진이주
황태
회양목
후박
후추
흑돼지
흑염소
흑한우
로그인 l 회원가입

e8ccf7afdd6c52258b6fbe6c00a9fd6a_1443601259_4273.jpg
 
 편두(제비콩, 까치콩, 나물콩),변두,작두(鵲豆),남편두,연리두,아미두,양연두,양안두,팽피두,다두,남두,소도두,수두,등두,백편두, 흑편두, 작두(鵲豆), 편두콩, 까치콩, 나물콩, 제비콩
 

≪ 편두(까치콩) 무엇인가? ≫
검은콩 사이의 흰색이 까치를 닮아서 까치콩
 편두(까치콩) Dolichos lablab  
▶ 혈당을 낮추는 작용, 혈청 콜레스테롤을 낮추는 작용, 서열신혼, 습체중초, 화위화습, 건비지사, 비허복사, 오심구토, 식욕부진, 하리농혈, 여름철 배아프로 설사하는데, 비위허약, 식욕이 없고 구토와 설사가 있을 때, 소갈증, 부종, 적백대하, 비상중독, 악창이 딱지가 되어 통증이 있을 때, 변혈, 치루, 임탁, 대장출혈, 배뇨가 곤란하여 소변이 뿌연 증상, 세균성이질(임상보고), 콜레라, 타박상, 뱃속에 덩어리가 생기는 병, 뱀에 물린데, 벌레에 물린데, 금창농혈, 각기, 식중독성 구토, 알코올 중독, 발의 각기성 부종, 수양성 하리, 모든 약물 중독, 어혈 제거, 대사 촉진, 푸른 멍을 없애는데, 위를 조화시키는데, 비장을 튼튼하게 하는데, 해열, 습을 제거하는데, 곽란, 각종 설사, 구토, 쥐가 나는 경우, 풀과 나무의 독, 복어독, 소(송편이나 만두 속에 넣는 재료), 콩자반, 낫토, 요리용, 당뇨병을 다스리는 편두(까치콩)
편두(扁豆: kidney bean)는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덩굴성 한해살이풀이다.
학명은 <Dolichos lablab>이다. 주로 남부지방에서 심어 기르며 7~9월에 꽃피는 남미 원산이다. 까치콩, 나물콩, 제비콩, 변두라고도 한다. 흑편두의 검은 콩 사이에 흰 줄무늬가 있어서 까치와 비슷하다는 의미에서 작두(鵲豆)라고도 한다. 남아메리카 열대 원산이며 한국에서는 한해살이풀로 털이 다소 있거나 없다. 잎은 3개의 작은잎으로 이루어지며 잎자루가 길다. 작은잎은 넓은 달걀 모양으로 길이 5∼7㎝이고 끝이 갑자기 뾰족해지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7∼9월에 나비 모양의 흰색 또는 자주색 꽃이 핀다. 흰꽃의 씨를 백편두라고 하고 자주색꽃의 씨를 흑편두라고 한다. 꽃받침은 종 모양으로 끝이 4개로 얇게 갈라지고 밑부분 안쪽에 귀같은 돌기가 있다. 꼬투리는 낫 같고 길이 6cm, 나비 2cm이며 종자가 5개 정도 들어 있다. 종자가 마르기 전에는 육질의 종피(種皮)가 있고 태좌(胎座)가 흰색이다. 어린 꼬투리는 식용한다.
 
진상품관련근거
백편두는 강원도(간성, 감영, 강릉, 삼척, 영월, 이천, 춘천, 홍주, 회양) 제주도(제주) 황해도(감영, 康翎, 곡산, 문화, 서흥, 수안, 신계, 신천, 안악, 연안, 은율, 長淵, 長連, 재령, 토산, 평산, 풍천, 해주, 황주)에서 진상하였다는 기록 여지도서, 세종실록지리지 기록되어있다.
 
《동의보감》에 의하면 흰꽃의 씨는 백편두라고 하고, 자주꽃의 씨는 흑편두라고 하는데, 약으로 사용하는 것은 백편두라고 한다. 백편두는 성질이 따뜻하고, 흑편두는 약간 차다. 맛은 달며 독이 없다. 삼초 중 중초를 조화시키고, 기를 내린다. 곽란, 설사, 구토, 쥐가 나는 경우에 효과가 있다. 풀과 나무의 독, 술독, 복어독 등을 풀어준다. 그러나 추위에 상하여 열병이 난 사람은 먹지 말아야 한다. 보통 약으로 쓰는 경우에는 껍질을 버리고, 생강즙에 버무렸다가 볶아서 사용한다.
 
편두의 여러 가지 이름은 편두[扁豆=biǎn dòu=삐앤V또우↘: 명의별록(名醫別錄)], 변두[藊豆: 당본초(唐本草)], 남편두[南扁豆: 전남본초(滇南本草)], 연리두[沿籬豆, 아미두:蛾眉豆: 본초강목(本草綱目)], 양연두[涼衍豆: 본초승아반게(本草乘雅半偈)], 양안두[羊眼豆: 약품화의(藥品化義)], 팽피두[膨皮豆: 광주식물지(廣州植物誌)], 다두[茶豆: 강소식약지(江蘇植藥誌)], 남두[南豆: 육천본초(陸川本草)], 소도두[小刀豆, 수두:樹豆: 사천중약지(四川中藥誌)], 등두[藤豆: 중국약식도감(中國藥植圖鑑)], 백편두, 흑편두, 작두(鵲豆), 편두콩, 까치콩, 나물콩, 제비콩 등으로 부른다.
편두의 효능에 대해서 일본인 이시하라 유미가 지은 <병 안 걸리는 식사 & 음식> 212~213면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편두(Kidney Bean)
● 효능: 당뇨병에 좋음
남아메리카 지역이 원산지인 콩과 한해살이 작물. 일본에서는 17세기에 중국을 거쳐 전해졌다. '인겐마메(隱元豆)'라는 일본 이름은 인겐 선사(1592~1673)가 중국에서 가지고 들어온 데서 유래한 것이다. 하지만 실제로 인겐 화상이 가지고 온 것은 <히야신스콩: Hyacinth Bean(Lablab purpureus)이었다고 추측된다.
전 세계에서 재배되고 있으며, 일본에서는 주로 홋가이도에서 산출돼 소(송편이나 만두 따위를 만들 때 속에 넣는 재료-옮긴이), 콩자반, 낫토 등에 사용되고 있다. 유럽에서는 덜 익은 살과 부드러운 꼬투리를 요리에 많이 사용한다.
편두에는 당질과 단백질, 미네랄 등이 균형을 이루며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다.
주목할 만한 것은 당뇨병에 효과가 있다는 점이다. 유럽의 자연요법 병원에서는 편두가 당뇨병 치료에 사용되고 있다. 꼬투리 안에 미네랄인 아연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인슐린의 합성 재료로 사용된다. 인슐린 비슷한 물질이 함유되어 있는 것이 그 이유인 듯하다. 당뇨병 환자는 당근, 사과에 편두의 꼬투리를 더한 주스를 만들어 매일 마시면 좋을 것이다.]
편두의 효능에 대해서 중국에서 펴낸 <중국본초도록> 제 3권 112면 1207호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백편두(白扁豆)
기원: 두과(豆科=콩과: Leguminosae)식물인 편두(扁豆=까치콩: Dolichos lablab L.)의 종자(種子)이다.
형태: 일년생 덩굴성 초본이다. 줄기는 털이 없다. 잎은 3출복엽(出複葉)으로 호생(互生)하는데 중앙소엽(中央小葉)은 관삼각상(寬三角狀) 난형(卵形)이고 측생소엽(側生小葉)은 비교적 크고 비스듬한 난형(卵形)이며, 탁엽(托葉)은 작고 피침형(披針形)이다. 총상화서(總狀花序)는 액생(腋生)하며 꽃이 2-여러송이가 직립해서 달리며, 소포편(小苞片)은 2개이나 떨어져나가고, 꽃받침은 통상(筒狀)으로 5개의 톱니가 있으며, 화관(花冠)은 접형(蝶形)이며 백색(白色) 또는 자홍색(紫紅色)이고, 수술은 10개로 2체(體)이며, 자방은 선형(線形)이고 유모(柔毛)가 나는데 기부(基部)에 선체(腺體)가 있고 암술머리에 백색(白色)의 단모(短毛)가 성기게 난다. 협과(莢果)는 도란상(倒卵狀) 장타원형(長橢圓形)이고 약간 굽어 있으며 납작하다. 종자(種子)는 2-5개이고 백색(白色)이며 편구원형(扁矩圓形)이다.
분포: 중국의 각지에서 재배한다.
채취 및 제법: 9-10월에 종자(種子)가 익었을 때 협과(莢果)를 따서 종자(種子)를 채취하며 햇볕에 말린다.
성분: 당류(糖類), 지방(脂肪), protein, nicotine산(酸), amino acids, 비타민(vitamin) A, B, C 및 alkaloid, Nitrile glycoside, tyrosine 효소 및 미량의 칼슘, 철, 인.
기미: 맛은 달고 성질은 약간 따뜻하다.
효능: 화위화습(和胃化濕), 건비지사(健脾止瀉).
주치: 비허복사(脾虛腹瀉), 오심구토(惡心嘔土), 식욕부진(食慾不振), 백대하(白帶下).
용량: 10-20g.
부주: 보통 흰 꽃이 핀 식물에서 채취한 종자(種子)의 품질(品質)이 우수하다.
 
참고문헌: 회편(滙編), 하권, 209면 ; 중약대사전, 하권, 3577면.]
상기 자료는 약초연구가로서 지구상에 존재하는 천연물질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질병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환우들에게 희망을 주며 기능성 식품과 신약을 개발하는데 통찰력을 갖게하고 약초를 사랑하는 모든 사람에게 정보의 목적으로 공개하는 것임을 밝혀 둔다.   
(글/ 약초연구가 & 동아대 대체의학 외래교수 전동명)
 
로고_임금님진상품_카페용150.jpg
 

   

                                            크기변환_13333.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