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래
가물치
가지
간재미
갈근
갈치
감자
감태
감초
감홍로주
강활
강황
게장
고구마
고등어
고본
고사리
고슴도치
고추
고추장
곤쟁이
골풀
곰취
곱돌
과루인
곶감
과메기
곽향
광어
구기자
구리
국수
국화차
굴비
금불초
기장
김치
꼬막
꼴뚜기
꽃게
꿀풀
나물
나전칠기
낙죽장도
낙지
냉이
노루
녹두
녹용
녹차
농어
뇌록
누치
느룹나무
느타리버섯
다시마
다람쥐
다래
다슬기
닥나무
단감
단목
달래
담비
담쟁이
당귀
대게
대구
대나무
대발
대추
더덕
더덕주
도라지
도루묵
도마뱀
도미
도자기
돈육
돈차
돌미역
돔배기
동래파전
동백기름
동충하초
돚자리
돼지
된장
두꺼비
두릅
두충
딸기
들기름
마늘
마뿌리
만화석
막걸리
망둥어
매생이
매실
맥문동
맨드라미
머루
머루주
메밀차
멸치
명란젓
명설차
명태
모과
모란
모래무지
모시
모자
목기
목화
무명
무우
문배주
문어
미나리
미역
민속주
민어
밀랍
박하
방풍
백랍
백련잎차
백렴
백미
백반
백부자
백조어
백하수오
백합
밴댕이
뱅어
벼루
병어
법주
보골지
보리
복령
복분자
복숭아
복어
부들
부자
부채
부추
붉나무
붕어
비빔밥
비자
뽕나무
사과
사슴
산나물
산삼
삼림욕
산수유
살구
삼릉
삼배
삼치
상합
상황버섯
새우
새우젓
생강
석결명
석곡
석류
석영
석이버섯
석청
석창포
소금
소라
소주
속새
송어
송이버섯
송화가루
수달
수박
수정
숙주
순채
숭어
승검초
식해
안동포
안식향
앵두
야콘
야콘잎차
약쑥
양귀비
어란
어리굴젓
어육장
엄나무
연밥
연어
연엽주
열목어
염전
엽삭젓
오가피
오미자
오곡
오골계
오정주
오죽
오징어
옥돔
옥로주
옹기
옻칠
왕골
용문석
우무
우황
울금
웅어
위어
유기
유자
유자차
유황
육포
은어
은행
이강주
이스라지
익모초
인삼
인삼주
잉어
자단향
자두
자라
자라돔
자연동
자하젓
작설차
작약
장군풀
장아찌
전모
전복
전어
전어젓
전통주
젓갈
젓새우
정어리
조개
조기
조홍시
좁쌀
종어
종이
주꾸미
죽렴장
죽로차
죽순
죽순채
죽염멸치
죽엽청주
죽피
죽합
준치
중국차
지라돔
지치
질경이
찐빵
참가사리
참게
참기름
참죽나물
참외
찹쌀
창출
천궁
천남성
천문동
청각
청국장
청란석
청목향
청자
초콜릿
초피나무
초하주
추성주
취나물
치자
칠선주
콩잎
토마토
토끼
토사자
토주
토파즈
토하젓
파전
패랭이
편두
포도
포도주
표고버섯
표범
하늘타리
학슬
한과
한라봉
한우
한지
해구신
해달
해삼
해파리
해홍나물
향나무
호도
호로파
호두
홍삼
홍삼절편
홍시
홍어
홍주
홍합
화개차
화문석
황기
황률
황벽나무
황어
황옥
황진이주
황태
회양목
후박
후추
흑돼지
흑염소
흑한우
로그인 l 회원가입

e8ccf7afdd6c52258b6fbe6c00a9fd6a_1443601259_4273.jpg
 
 냉이,나이, 나세이, 나세,나시,제채, 호생초, 천채, 계심채, 정장초, 능각채, 지미채, 계각채, 가수채, 지지채, 연합초, 상사채, 제지채, 포승화, 향선채, 청명초, 반초두초, 향근낭, 향과낭, 향전제, 침두초, 람시채
 

이른봄에 방석처럼 퍼진 어린잎과 뿌리를 통째로 캐서 냉이국을 끓이거나 나물로 무쳐 먹으면 대단히 향기롭고 맛이 좋다. 봄철에 냉이는 입맛을 돋구어 주고 냉이국의 향긋한 맛은 춘곤증을 몰아내어 준다.  냉이를 중국에서는 제채(薺菜)라고 부른다. 냉이는 옛날에 나물보다는 약초로 많이 이용되어 왔다. 중국에서 펴낸 <본초강목> 에서는 냉이를 경기하는데 좋고 뱃속을 고르게 하며 오장에 이롭다고 했으며 또 겨울에도 냉이죽을 먹으면 혈액순환을 좋게 하고 간을 도와서 눈이 밝게 해 준다고 했다. 민간요법으로는 냉이의 줄기와 잎을 태운 재를 이질에 사용하였고, 뿌리를 다려 먹으면 눈병을 낫게한다고 했다. 특히 냉이는 자궁의 출혈, 폐출혈의 지혈제로서 이용되었는데 이뇨, 해열, 지열의 효과가 뛰어나다. 냉이 줄기를 검게 태워서 밥에 개어서 유방의 종기에 붙이면 특효약이다. 
 
가을에 밭에 냉이가 많이 나면 그 해 겨울은 눈이 많이 오고 적게 나는 해는 눈이 적게 온다고 옛사람들은 냉이를 보고 일기예보를 내다보기도 하였다. 냉이는 춘궁기를 이기는 귀중한 구황식량이다. 냉이씨는 허기를 잊게 해주는데, 옛날에 어느 가난한 선비가 글을 읽을 때 냉이씨를 씹어서 허기를 견디었다는 이야기도 있다. 냉이씨는 극히 작으므로 씨주머니를 따 비벼서 물에 저어 풀어 두면 씨가 밑에 가라앉는다. 이때 선비들은 굶주린 배를 물과 함께 냉이씨로 요기하면서 배고픔을 참았다고 전해진다.
냉이씨는 죽에도 넣고 떡에도 넣었다. 냉이를 음력 4월 8일에 채취하여 그늘에 말린 것은 풍독사기를 없애는 효과가 있고 눈이 아파 눈물이 흐를 때, 눈이 잘 보이지 않을 때 약효가 있다고 전해진다.
 
냉이는 단백질과 전분 함유량이 비교적 높아 혈압을 하강시키는 작용도 하고 단백질과 당분은 시금치의 2배, 칼슘은 3배나 더 많이 들어 있다. 청나라때 육식을 하는 사람은 냉이를 먹으면 위장을 씻어 준다고 하여 정장초(淨腸草)라고 불렀다. 현대인의 식생활이 육식으로 바뀌고 있으므로 냉이를 적극적으로 권하고 싶다. 유럽에서도 냉이를 약초로 사용하였다. 코피가 날 때 냉이즙을 먹어서 지혈시켰다. 또한 치통에 오른쪽 이가 아프면 왼쪽에, 왼쪽 이가 아프면 오른쪽에 냉이잎을 붙여 진통제로 유럽에서 사용하였다.
 
냉이의 특성
냉이는 온대지방의 들이나 밭에서 자라는데 전체에 털이 있고, 뿌리는 하얀색이고 곧게 뻗으며, 줄기는 곧게 서고 가지를 친다. 냉이는 키 높이가 10∼50cm에 이르고, 긴 잎자루가 있으며, 5월에서 6월에 걸쳐 하얀색의 꽃이 피는데 긴 꽃대에 꽃자루가 있는 여러 개의 꽃이 어긋나게 붙어서 밑에서부터 피기 시작하여 끝까지 십자화(十字花)가 많이 달린다. 냉이의 어린 순이나 잎은 뿌리와 함께 먹는데, 냉이국은 뿌리도 함께 넣고 끓여야 참다운 맛이 난다.
 
진상품관련근거
냉이는 경기도에서  대전, 왕대비전, 혜경궁, 중궁전, 세자궁에 진상하였다는 기록이 춘관통고, 공선정례에 기록되어있다.
 
냉이의 성분
냉이는 수분이 81.5%, 단백질이 4.70g, 당질 3.80g, 지질 0.70g, 베타카로틴 1,136.00㎍,
비타민 A 189.00㎍RE, 비타민 C 74.00mg, 식이섬유 5.70mg, 엽산 16.10㎍, 인 88.00mg, 칼륨 288.00mg, 칼슘 145.00mg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채소중에서 단백질 함량이 가장 많고 비타민 A와 C, 칼슘이 풍부해서 나른한 봄날에 입맛을 돋궈주는 채소이다. 그리고 콜린과 아세틸콜린, 푸마르산, 이노시톨 등이 함유되어 있어서 우엉과 흡사한 독특한 향기를 낸다. 참고로 시금치의 비타민 C는 60.00mg이다. 냉이씨앗의 열매껍질은 diosmin이 들어 있는데 비타민 P와 같은 작용을 하며, 모세혈관 투과성을 낮추는 작용은 rutin보다 강하고, 독성도 약한 편이다.
 
춘곤증에는 냉이가 제격
봄에 접어들면 식욕부진·피로감·수면부족 등의 증상이 나타나곤 하는데, 이때 봄나물을 먹으면 회복되기도 한다. 이는 봄나물이 함유한 풍부한 비타민과 무기질 덕분이다. 달래·냉이·씀바귀 등의 나물류는 한마디로 비타민과 무기질의 보고다. 실제로 냉이 100g을 먹으면 성인이 하루에 필요한 양의 비타민A를 섭취할 수 있다.
 
냉이의 효능
냉이는 소화기능을 보강하고 소변을 잘 나가게 하고, 시력을 좋게 하며 지혈작용을 한다. 그래서 만성적인 설사나 이질, 임질, 소변곤란, 토혈, 대변출혈, 자궁출혈, 월경과다, 안구건조나 안구의 통증, 나른한 사람에게 좋다. 냉이 씨는 시력을 좋게하고, 눈물이 말라서 눈이 아플 때, 녹내장에도 효과가 있으며, 예전에는 청맹으로 물체를 잘 보지 못하는 경우에도 사용했다.
 
냉이의 부작용
냉이는 별다른 부작용이 없다. 다만 냉이는 칼슘이 145.00㎎이나 들어 있어서 시금치의 칼슘 40.00mg보다 3.5배나 많기 때문에 결석이 있는 사람은 많이 먹지 않는 것이 좋다.
냉이 사용시 주의사항
냉이는 말린 것을 기준으로 한번에 10그램에서 15그램(싱싱한 것은 한번에 20그램에서 30그램)을 달여서 먹거나 알약, 가루약 형태로 먹고, 즙을 내서 먹거나 짓찧어서 눈 주위에 붙이기도 한다.
 
냉이의 쓰임
자궁수축작용, 지혈작용, 혈압강하작용, 이뇨작용, 진정작용, 심장혈관확장작용, 강압작용, 자궁출혈, 월경과다, 출혈성 질병, 부종, 눈이 충혈되면서 붓고 아픈 데, 혈관에 대한 작용, 지혈작용, 전신이 붓고 소변을 잘 못보고 색이 우유빛으로 나타날 때, 대변출혈, 생리량이 많을 때, 눈에 충혈이 지고 아픈 것, 해산 후에 전신부종, 산후자궁출혈, 마진, 이질, 수종, 임병, 토혈, 혈붕, 유미뇨, 홍역예방, 동통을 동반한 목적, 눈아픔, 녹내장, 황달, 이뇨, 시력을 아주 좋게 하는 냉이
 
냉이의 다른 이름
제채[薺菜: 천금, 식치(千金, 食治)], 제[薺: 명의별록(名醫別錄)], 호생초[護生草: 본초강목(本草綱目)], 천채[芊菜, 계심채:鷄心菜: 의림찬요(醫林纂要)], 정장초[淨腸草: 식물명실도고(植物名實圖考)], 능각채[菱角菜: 광주식물지(廣州植物誌)], 지미채[地米菜, 계각채:鷄脚菜: 귀주민간방약집(貴州民間方藥集)], 가수채[假水菜: 육천본초(陸川本草)],지지채[地地菜, 연합초:煙盒草: 사천중약지(四川中藥誌)], 상사채[上巳菜, 제지채:薺只菜, 포승화:蒲蠅花: 민동본초(閩東本草)], 향선채[香善菜, 청명초:淸明草, 반초두초:飯鍬頭草, 향근낭:香芹娘, 향과낭:香科娘, 향전제:香田薺: 절강민간상용초약(浙江民間常用草藥)], 침두초[枕頭草: 상해상용중초약(上海常用中草藥)], 람시채[欖豉菜: 광서중초약(廣西中草藥)] 등으로 부른다.
 
우리나라에서 냉이의 옛 이름은 '나이'이다. 냉이는 우리나라에 골고루 분포되어 있어서 지역에 따라 부르는 이름이 조금씩 다르게 부른다. 예를 들어 황해도에서는 '내이', 평안도에서는 '냉이', 경상도에서는 '난생이', '나수랭이', 충청도에서는 '나상이', '나승갱이', '나싱이', 전라도에서는 '나세', '나상구', '나생개', 충청도 전라도 경상도에서 공용으로 '나숭개', '나승개', 충청도 경상도에서 공용으로 '나새이', 충청도 전라도 공용으로 '나싱개', 충청도 전라도 경상도 함경도에서 공용으로 '나시'등으로 부른다.
 
냉이꽃의 다른 이름은 제채화[薺菜花: 이참암본초(履巉岩本草)], 지미화[地米花: 귀주민간방약집(貴州民間方藥集)] 등으로 부른다. 냉이씨의 다른 이름은 제채자[薺菜子: 천금(千金), 식치(食治)], 차[蒫, 제실:薺實: 이아(爾雅)], 석명자[菥蓂子: 식성본초(食性本草)], 차실[蒫實: 본초강목(本草綱目)], 종자[粽子: 동북약식지(東北藥植誌)] 등으로 부른다. 
건조한 전초로 뿌리는 수염 모양으로 분지하고 구부러졌거나 일부는 끊어져 없으며 연한 갈색 또는 젖빛이다. 뿌리에서 난 잎은 깃꼴 분열하고 쪼그라져 감겨 있으며 질이 약하여 잘 부스러지고 회녹색 또는 적황색이다. 줄기는 가늘고 분지가 있으며 황록색이고 구부러졌고 일부는 부러져 있다. 과실은 줄기 끝에 가까이에 소생하고 삼각형이며 연한 황록색의 가느다란 자루가 있다. 냄새가 약간 있고 맛은 싱겁다. 잘 마르로 줄기는 거의 녹색에 가까우며 잡초가 붙어 있지 않은 것이 양품이다. [중약대사전]
 
[약리작용]
1, 자궁에 대한 작용: 제체(薺菜: 냉이)에는 맥각(麥角)과 비슷한 작용이 있다. 그 농축액을 동물의 적출 자궁 또는 장관에 시험한 결과 모두 현저한 수축을 일으켰다. 전초의 알코올 추출물은 옥시토신과 같은 자궁 수축 작용이 있다. 전초의 유효 성분은 마우스, rat의 적출 자궁을 수축시켰다.
탕제와 액체성 엑스(liquic extract)는 모두 동물의 자궁을 흥분시키는데 rat의 적출 자궁(비=非임신), 토끼의 체내 자궁(임신과 비임신), 고양이의 체네 자궁(비임신)에서 모두 그 수축을 강화했다. 생약 0.08~0.8g/kg에 상당하는 양을 자궁 누관(瘻管)을 만든 토끼에게 정맥 주사하면 자궁 수축이 강해지고 근육의 긴장도 및 수축 파수(波數)도 어느 정도 증가했다. 탕제(생약 5.26g/kg에 상당)를 위에 주입해도 같은 작용이 있었다. 자궁을 흥분시키는 유효 성분은 물이나 물이 함유된 알코올에는 용해되지만 무수 알코올, 벤젠, 무스에테르 또는 무수 클로로포름에는 용해되지 않거나 매우 용해되기 힘들다. 제체(薺菜: 냉이)의 추출물은 교미한적이 없는 모르모트의 자궁에서도 비교적 강한 작용을 나타냈다(신선한 즙과 건조한 약재는 거의 차이가 없다).
 
2, 지혈 작용: 제체(薺菜: 냉이)에는 지혈 작용이 있는 Bursic acid가 함유되어 있다. 제체(薺菜) 추출물(질산을 포함)을 각종 출혈 환자에게 정맥 또는 근육에 주사(2~4시간마다 1회 2~3ml, 1일 투여량은 최대 15ml)하면 뚜렷한 지혈 작용을 볼 수 있다. 혈우병 환자에서 응혈괴(凝血塊)의 저항력을 증가시킨다. 제체(薺菜)의 탕제를 마우스의 위에 주입하면 소량(생약 0.02g/10g 체중에 상당)에서는 반수 이상 마우스의 출혈 시간이 단축되고 다소 많은 양(생약 0.06g/10g 체중에 상당)에서는 반대로 출혈 시간이 연장된다. 농축 휘발액을 마우스의 복강 내에 주사하면 특히 출혈 시간이 단축된다. 대량 투여의 경우에 현저하다. 농축 휘발액을 토끼에게 정맥 주사하면 혈액 응고 시간이 단축된다. 대량 투여의 경우에 현저하다. 농축 휘발액을 토끼에게 정맥 주사하면 혈액 응고 시간이 단축된다. 그러나 이와 반대되는 보고도 있다. 무더운 기후나 사마르칸트와 같은 건조한 토양 조건에서 자란 제체(薺菜)로 10%의 침액을 만들어 래트의 피하에 주사하니 혈액 응고 시간이 뚜렷하게 연장되고 오히려 출혈을 일으켰다. 제체(薺菜)의 10% 추출물 0.1ml은 토끼의 혈액 응고에 대해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3, 심장, 혈관에 대한 작용: 제체(薺菜)의 알코올 추출물을 개, 고양이, 토끼, rat에게 정맥 주사하면 혈압에 일과성 하강이 나타나는데 이 작용은 80㎍/kg의 아트로핀에서는 길항되지 않았다. 전초의 유효 성분도 쥐, 고양이, 토끼, 개에서 일과성 혈압 하강을 일으키고 아트로핀에 역시 길항되지 않는다. 그러나 proomethanol에 의해 억제된다. 심전도에서는 변화가 없었으며 개의 in vivo 심장 및 모르모트 적출 심장의 관상 혈관에 대한 확장 작용을 나타낸다. 또 고양이 적출 심장의 ouabain에 의한 세동(細動)을 억제한다. 제체(薺菜)의 추출물은 토끼에게 정맥 주사하면 혈압을 낮추는 작용이 나타나지만 아드레날린의 작용을 억제하지 못한다. 제체(薺菜)의 탕제 또는 농축 휘발액에는 마취한 개의 혈압을 극히 단시간 동안 하강시키는 작용이 있으나 사전에 아트로핀을 쓰면 혈압 하강이 억제된다. 건조한 제체(薺菜)의 침액을 주사하면 개의 혈압을 원래 수준의 40~50%까지 하강시키고 병아리의 혈압도 하강시킨다. 개구리의 하지 혈관에 제체(薺菜) 추출물(20%~50ml)을 관류하여도 작용이 없었다. 건조한 제체(薺菜)의 침제는 고농도(10%)일 때 혈관을 수축시키고 저농도(2% 이하)에서는 혈관을 확장시킨다. 알코올 추출물은 개의 하지 혈관에 대해 확장 작용이 있다. 이전부터 이 혈압을 낮추는 작용은 약에 함유된 콜린과 아세틸콜린과 관계 있다고 생각되어 왔는데 제체(薺菜)의 알코올 추출물 중에 이 두 성분은 없고 아세틸콜린과 다른 한 종류의 제 4급 암모늄 화합물이 발견되었다.
 
4, 기타 작용: 제체(薺菜)의 추출물은 cyclobarbital에 의한 수면 시간을 연장한다. 마취한 개에게 제체(薺菜)의 탕제나 농축 휘발액을 정맥 주사하면 모두 호흡을 흥분시키고 먼저 아트로핀을 투여해도 이 작용에는 영향이 없었다. 또 보고에 의하면 건조한 제체(薺菜)의 침액은 개의 호흡 운동을 역으로 원래 수준의 20~50%까지 감퇴시키며 때로는 훨씬 강한 작용이 있었다고 한다. 제체(薺菜) 전초의 유효 성분은 기관 및 소장의 평활근을 수축시키다. 먼저 아트로핀을 투여하면 모르모트의 소장이 경도로 억제되고 또 알코올 추출물을 투여하면 장관이 수축되며 그 후에 원상태로 돌아온다. 이밖에 제체(薺菜)의 알코올 추출물을 복강 내 주사하면 래트의 하지에 대해 dextran성, carragenin 부종 및 serotonin에 의한 모세 혈관의 투과성의 증가를 억제한다. Shay 궤양에 대한 억제율은 90%이고 동시에 스트레스성 궤양의 유합을 가속시킨다. 마우스에 대해서는 이뇨 작용이 있다. 인공적으로 발열시킨 토끼에 대하여 제체(薺菜)는 약간의 해열 작용을 나타냈다. [중약대사전]
 
[임상응용]
1. 이질에 효력이 있다.
2. 이뇨작용이 있어서 전신이 붓고 소변을 잘 못보고 색이 우유빛으로 나타날 때 효력이 있다.
3. 토혈, 대변출혈, 자궁출혈, 생리량이 많을 때에 지혈(止血)반응이 있다.
4. 눈에 충혈이 지고 아픈 것을 다스린다.
5. 해산 후에 전신부종을 치료할 때에 20g씩 쓴다.
냉이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
<전초>
1, 이질
1) "냉이의 잎을 약성이 남을 정도로 남을 정도로 태워 꿀물에 타서 복용한다." [일용본초(日用本草)]
2) "냉이 75그램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광서중초약(廣西中草藥)]
2, 양증(陽症) 수종
냉이뿌리 37.5그램, 질경이 37.5그램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광서중초약(廣西中草藥)]
3, 종만(腫滿), 복대(腹大), 손발 여윔, 소변이 뿌옇고 혼탁한데
종이 위에 놓고 볶은 감정력(甛葶藶), 냉이뿌리 각 같은 양을 가루내어 꿀로 탄알 크기의 환을 지어 1회 1알씩 진피탕(陳皮湯)과 함께 입에 물고 씹어서 삼킨다. [삼인방(三因方), 정력대환(葶藶大丸)]
4, 내상에 의한 토혈
냉이 37.5그램, 밀조(蜜棗) 37.5그램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호남약물지(湖南藥物誌)]
5, 붕루(崩漏) 및 월경 과다
냉이 37.5그램, 짚신나물 37.5그램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광서중초약(廣西中草藥)]
6, 급성 적안(赤眼)으로 까칠까칠한 느낌이 있고 동통이 있는 증상
냉이뿌리를 찧은 즙을 눈에 넣는다. [태평성혜방(太平聖惠方)]
7, 익상편(翼狀片)
냉이 적당량을 잘 씻고 약한 불에 쬐어 말려 돌절구에 찧고 다시 곱게 갈아 매일 밤 취침 전에 눈을 깨끗이 싯은 후 쌀 반알 크기로 만들어 양쪽 눈꼬리에 넣는다. 삽통(澀痛)이 있으나 염려하지 않아도 된다. [성제총록(聖濟總錄)]
8, 소아마진(홍역)으로 화성(火盛)한 증상
신선한 냉이 37.5~75그램(마른 것은 30~40그램), 띠뿌리 150~190그램을 물로 달여서 차를 대신하여 복용한다. [복건민간초약(福建民間草)]
9, 마진(홍역) 예방(임상보고)
냉이 전초 1,200그램에 물 1,200그램을 넣고 600그램이 되게 달인다. 매주 1회, 1회 100ml씩 복용한다. 예방을 목적으로 실험한 150명 중 발병은 7명이었다. 대조군 130명에서는 56명이 발병하였다. [중약대사전]
10, 유미뇨(乳糜尿: 소변 색깔이 우유빛인 증상)(임상보고)
뿌리가 붙어 있는 냉이 190~600그램을 깨끗이 씻고 달여서(기름이나 소금은 넣지 않는다) 돈복하거나 3번에 나누어 복용하는데 1~3개월 계속하여 복용한다. 9례를 관찰한 결과 빠른 것은 복용 후 3~4일에 효과가 나타나기 시작했고 제일 늦은 것은 45일째에 낫기 시작하여 차츰 맑아졌으며 완전히 치유되었다. 9~30개월 관찰했는데 재발되지 않았다.
다른 유미혈뇨(乳糜血尿) 1례에서는 복용한지 4일째에 복통이 경감되고 소변도 정상으로 회복되었다(육안과 현미경 검사). 2개월 동안 계속 치료했는데 1년 동안 재발되지 않았다. [중약대사전]
11, 산후 출혈(임상보고)
신선한 냉이 37.5그램을 물로 달여서 1일 1첩을 2번에 나누어 복용한다. 3례의 치료에서 모두 효과가 있었다. [중약대사전]
<종자>
12, 황달
냉이씨 37.5~75그램, 대청근(大靑根) 또는 대청엽(大靑葉) 1~2냥(37.5~75g)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호남약물지(湖南藥物誌)]
<꽃>
13, 자궁출혈
신선한 냉이꽃 37.5g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또는 단삼(丹蔘) 8g, 당귀(當歸) 15g을 가해 그 탕액을 복용한다. [강서, 초약수책(江西, 草藥手冊)]
[비고(備考)]
<본초강목(本草綱目)>: "제(薺)는 크기에 따라 몇 종류가 있다. 소제(小薺)는 잎, 꽃, 줄기가 편평하고 맛이 좋다. 그 가운데 제일 작은 것을 사제(沙薺)라고 한다. 대제과(大薺科)는 잎이 모두 크고 맛은 소제(小薺)만 못하다. 줄기는 딱딱하고 털이 있는 것을 석명(菥蓂)이라고 하는데 맛은 그다지 좋지 않다. 동지(冬至) 후에 싹이 나오고 2~3월에는 줄기가 5~6치가 된다. 작고 흰 꽃이 피는데 밀집되어 있어서 1송이처럼 보인다. 소평(小萍)과 같은 협(莢)을 맺으며 삼각형이다. 협내(莢內)에 정력자(葶藶子: 꽃다지씨)와 같은 작은 종자가 있다. 종자를 차(蒫)라고 하며 4월에 수확한다."
어린이 노래인 "달래, 냉이, 씀바귀 나물캐오자"의 가사에 들어있는 것처럼, 가장 흔하고 지천에 널려있는 냉이를 잘 활용한다면 국민건강증진에 큰 유익을 줄 것임을 믿어 의심치 않는다.
                  출처:김달해한의원 체질박사, 약초연구가 & 동아대 대체의학 외래교수 전동명
 
로고_임금님진상품_카페용150.jpg
 

   

                                            크기변환_13333.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