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래
가물치
가지
간재미
갈근
갈치
감자
감태
감초
감홍로주
강활
강황
게장
고구마
고등어
고본
고사리
고슴도치
고추
고추장
곤쟁이
골풀
곰취
곱돌
과루인
곶감
과메기
곽향
광어
구기자
구리
국수
국화차
굴비
금불초
기장
김치
꼬막
꼴뚜기
꽃게
꿀풀
나물
나전칠기
낙죽장도
낙지
냉이
노루
녹두
녹용
녹차
농어
뇌록
누치
느룹나무
느타리버섯
다시마
다람쥐
다래
다슬기
닥나무
단감
단목
달래
담비
담쟁이
당귀
대게
대구
대나무
대발
대추
더덕
더덕주
도라지
도루묵
도마뱀
도미
도자기
돈육
돈차
돌미역
돔배기
동래파전
동백기름
동충하초
돚자리
돼지
된장
두꺼비
두릅
두충
딸기
들기름
마늘
마뿌리
만화석
막걸리
망둥어
매생이
매실
맥문동
맨드라미
머루
머루주
메밀차
멸치
명란젓
명설차
명태
모과
모란
모래무지
모시
모자
목기
목화
무명
무우
문배주
문어
미나리
미역
민속주
민어
밀랍
박하
방풍
백랍
백련잎차
백렴
백미
백반
백부자
백조어
백하수오
백합
밴댕이
뱅어
벼루
병어
법주
보골지
보리
복령
복분자
복숭아
복어
부들
부자
부채
부추
붉나무
붕어
비빔밥
비자
뽕나무
사과
사슴
산나물
산삼
삼림욕
산수유
살구
삼릉
삼배
삼치
상합
상황버섯
새우
새우젓
생강
석결명
석곡
석류
석영
석이버섯
석청
석창포
소금
소라
소주
속새
송어
송이버섯
송화가루
수달
수박
수정
숙주
순채
숭어
승검초
식해
안동포
안식향
앵두
야콘
야콘잎차
약쑥
양귀비
어란
어리굴젓
어육장
엄나무
연밥
연어
연엽주
열목어
염전
엽삭젓
오가피
오미자
오곡
오골계
오정주
오죽
오징어
옥돔
옥로주
옹기
옻칠
왕골
용문석
우무
우황
울금
웅어
위어
유기
유자
유자차
유황
육포
은어
은행
이강주
이스라지
익모초
인삼
인삼주
잉어
자단향
자두
자라
자라돔
자연동
자하젓
작설차
작약
장군풀
장아찌
전모
전복
전어
전어젓
전통주
젓갈
젓새우
정어리
조개
조기
조홍시
좁쌀
종어
종이
주꾸미
죽렴장
죽로차
죽순
죽순채
죽염멸치
죽엽청주
죽피
죽합
준치
중국차
지라돔
지치
질경이
찐빵
참가사리
참게
참기름
참죽나물
참외
찹쌀
창출
천궁
천남성
천문동
청각
청국장
청란석
청목향
청자
초콜릿
초피나무
초하주
추성주
취나물
치자
칠선주
콩잎
토마토
토끼
토사자
토주
토파즈
토하젓
파전
패랭이
편두
포도
포도주
표고버섯
표범
하늘타리
학슬
한과
한라봉
한우
한지
해구신
해달
해삼
해파리
해홍나물
향나무
호도
호로파
호두
홍삼
홍삼절편
홍시
홍어
홍주
홍합
화개차
화문석
황기
황률
황벽나무
황어
황옥
황진이주
황태
회양목
후박
후추
흑돼지
흑염소
흑한우
로그인 l 회원가입

e8ccf7afdd6c52258b6fbe6c00a9fd6a_1443601259_4273.jpg
 
 마름,흡수근(吸收根), 동화근(同化根),오릉[烏菱,왕마름,궐미[蕨攗],능각[菱角], 수능[水菱], 말즘, 물밤, 말밥, 능각[菱殼], 능피[菱皮], 오능각[烏菱殼], 풍릉각[風菱殼],능경[菱莖],능분[菱粉],능엽[菱葉],능체[菱蒂]
 

≪ 마름 무엇인가? ≫  
마름은 마름과의 한해살이풀이다. 뿌리에는 흡수근(吸收根)과 동화근(同化根)의 두가지 있는데 동화근에는 엽록소가 있고 줄기의 마디에서 나며 깃꼴로 잘 게 갈라졌다. 줄기는 가늘고 긴데 물깊이에 따라 길이가 다르다. 잎은 줄기의 윗끝에 빽빽이 있고 연화좌 모양이며 마름모꼴의 삼각형 모양이며 길이가 2.5~4cm, 너비는 2~4.5cm이고 가장자리 상반부에 거친 톱니가 있으며 기부(基部) 근처가 밋밋하며 녹색이고 잎 앞면에는 털이 없고 잎 뒷면에는 어릴 때가는 털이 있지만 후에 점차 떨어지며 잎맥을 따라 털이 있다. 잎자루는 길이가 2.5~5cm이고 털이 있거나 없으며 윗끝 가까이에 팽대된 해면처럼 생긴 큰 기실(氣室: 공기주머니)이 있다.
꽃은 양성이고 잎맥이 하나만 있다. 꽃받침통의 볼록한 부분은 짧고 털이 있으며 열편(裂片)이 4개이다. 꽃잎이 4개이다. 수술도 4개이다. 씨방은 반하위이고 2실이며 실마다 밑씨가 하나씩 있다. 암술대는 끌모양이며 암술머리는 사람의 머리와 같은 형상이며 꽃받침은 닭의 볏모양이다. 열매는 조금 편평한 거꾸로 세워 놓은 삼각형이고 양측에 가시가 있으며 가시 사이의 거리는 3~4cm이고 위아래의 꽃받침의 열편(裂片)이 탈락되어 있다. 종자는 한 개이다. 개화기는 6~7월이고 결실기는 9~10월이다. 늪이나 소택에서 자란다. 각지에서 대부분 재배한다. 전국에 자라며 지리적으로 일본, 대만, 중국, 만주, 우수리 등지에 분포되어 있다.
 
오릉[烏菱: 본초강목(本草綱目)=중국왕마름, Trapa bicornis Osbeck]이라고 하는 것이 있는데 열매에 2개의 뿔이 옆으로 퍼졌고 끝이 아래를 향하여 굽어있으며 두뿔사이의 거리가 4~6cm이다. 양자강(揚子江) 이남 각지에서 재배한다.
마름의 잎과 꽃에 관해서 이시진이 쓴 <본초강목>에서는 말하기를 "잎은 물위에 떠서 납작하고 뾰족한 마름모꼴의 삼각형 모양이 있다. 표면은 거울처럼 빛나고, 잎 아래의 줄기에는 새우처럼 생긴 넓적다리가 있다. 한 줄기에 한 잎인데 둘씩 둘씩 서로 어긋나서 나비의 날개 모양을 하고 있다. 5~6월에 작은 흰꽃이 피는데, 해를 등지고 피어 있는데 낮에는 꽃봉오리가 오므린채 있다가 저녁이 되어 꽃봉오리가 벌어지면서 밤중에는 달을 따라 돌면서 꽃을 피운다."라고 기록하고 있다.
또한 마름의 성질과 맛에 대해서 <본초강목>에서는 "이시진이 말하기를 구지필기(仇池筆記)에는 '마름의 꽃은 해를 등지고 피며, 가시연꽃은 해를 향해 핀다. 그래서 마름은 성질이 차고 가시연꽃은 따뜻한 것이다.'라고 하였다."고 적고 있다.
상술한 식물의 줄기를 능경(菱莖), 잎을 능엽(菱葉), 열매 꼭지를 능체(菱蒂), 열매 껍질을 능각(菱殼), 과육으로 만든 녹말을 능분(菱粉: Starch)이라고하여 모두 약용한다.

마름, 물밤 항암효능과 부작용, 주의사항
마름은 마름과의 한해살이 풀로 우리나라 전국의 볕이 잘 드는 연못이나 소택지에 자생하는 수생 관엽식물이다. 마름은 잎모양이 마름모꼴이라서 마름이라고 불리며, 열매의 과육은 전분이 많아서 밤과 같은 맛이 나기 때문에 물밤이라고도 부르며, 구황식품으로도 사용되었다. 한방에서는 마름의 열매와 잎을 한약재 릉(菱)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학명은 Trapa japonica이다.

마름, 물밤의 특성
마름은 진흙 속에 뿌리를 박고 가늘고 긴 줄기가 수면까지 자라나 잎을 펼치는데 잎자루 속은 스펀지와 같아서 물 위에 뜨게 된다. 마름의 잎은 마름모꼴 비슷한 삼각형으로 길이가 2.5~4㎝, 나비가 2~4.5㎝이며, 윗부분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고, 표면에는 광택이 있다. 잎자루의 굵은 부분에는 공기가 들어 있어서 물 위에 뜰 수 있고, 7월에서 8월에 걸쳐 하얀색 또는 약간 붉은 색이 도는 꽃이 피고, 10월이 되면 까만색의 딱딱하고 역삼각형이면서 중앙부가 도드라진 열매가 익는다. 

마름, 물밤의 성분
마름의 과육에는 단백질 5.80g, 당질 40.00g, 지질 0.50g, 철분 1.10mg, 칼륨 430.00mg, 칼슘 45.00mg, 베타카로틴 7.00㎍, 비타민 A 1.00㎍RE, 비타민 B1 0.42mg, 니아신 1.20mg, 식이섬유 2.90g, 엽산 48.40㎍, 인 150.00mg, 회분 1.30g이 들어 있으며 열량은 190kcal다. 마름의 가루 속에는 amyloserk 15% 들어 있고, 또한 최근 연구에서 ergosta-4,6.8(14),22-tetraen-3-one, 22-dihydrostigmast-4-en-3, 6-di-one, β-citosterol이 분리되었다.

 마름, 물밤의 항암효능
마름의 전분 속에는 복수간암 AH-13에 저항하는 작용이 있고, Ehrlich's 복수암에 대한 체내 항암 screening시험에서 마름 열매의 알콜 침출액에 항암작용이 있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마름, 물밤의 효능
마름은 신선한 것을 먹으며 몸의 열기를 풀어주고, 가슴이 답답하거나 갈증이 나는 것을 해소하면서 소변이 시원하게 나가게 해주고, 삶은 것은 기운을 보강하고 소화기능을 튼튼하게 해준다. 또한 마름은 근육통과 관절의 통증에 효과가 있고, 술독을 풀어준다. 마름의 잎은 피부염에 사용하고, 마름의 줄기는 위궤양이나 사마귀에 효과가 있고, 마름의 열매껍질은 치질이나 탈항에 가루내어 바른다. 아래 사진 속에서 도토리처럼 팽대된 것은 공기주머니다.

마름, 물밤의 부작용
맹선은 [식료본초]에서 마름을 많이 먹으면 뱃속에 가스가 차서 아프게 되며, 이럴 때는 생강을 따뜻한 술과 함께 먹으면 낫는다고 기록하고 있다. 또한 설사를 자주 하는 사람도 많이 먹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자는 어릴 때 마름을 무척 많이 먹었다. 단단한 껍질을 반으로 가르고, 그 속의 하얀 전분가루를 빼 먹으면 속도 편안했었는데 지금보니 체질에 잘 맞았기 때문인듯하다.

마름, 물밤 복용시 주의사항
마름의 열매는 생식하거나 삶아서 먹고, 잎이나 줄기는 신선한 것을 기준으로 한번에 20그램에서 40그램을 달여서 먹거나 피부질환에는 짓찧어서 바른다. 마름 열매껍질은 달여서 먹거나 두껑을 덮고 태운 재를 유채 기름에 개어서 바른다.

진상품관련근거
마름은 전라도(김제군, 만경현) 충청도(청주목)에서 진상하였다는 기록이 신증동국여지승람, 세종실록지리지에 기록되어있음

마름의 쓰임새
항암작용(각종암, 위암, 간암, 식도암, 유선암, 자궁암, 자궁경부암, 편평상피암 등), 자양강장약, 소화촉진, 보약, 위장병약, 수렴성 설사멎이약, 진경진정약, 땀내기약, 담즙분비약, 청서해열, 제번지갈, 익기, 건비, 안중보장, 모든 요퇴의 근골통, 전신과 사지마비, 풍습입규증, 알코올해독, 혹, 소갈증, 사망독해독, 설사, 오두의 독을 푸는데, 치질, 탈항, 정종, 황수창, 천포창, 변혈, 여러 종독, 손가락에 생긴 천사, 위궤양, 다발성 사마귀, 비위보양, 무릎과 발을 튼튼하게 함, 힘을 굳세게 하고 기를 보충함, 더위를 물리치게 함, 해독, 어린아이의 주마감, 어린아이의 머리에 난 부스럼, 시력증진, 위궤양, 피부에 난 사마귀를 다스리며 해를 등지고 달을 따라 돌면서 꽃이 피는 마름
 
마름의 여러 가지 이름
능[菱=líng=링↗, 기실:芰實=jì shí=지↘스↗: 명의별록(名醫別錄)], 궐미[蕨攗: 이아(爾雅)], 수율[水栗: 풍속통(風俗通)], 기[芰: 이아(爾雅),곽박주(郭璞注)], 능각[菱角: 주례의소(周禮義疏)], 수능[水菱: 본초품회정요(本草品滙精要)], 능[蔆, 사각:沙角: 본초강목(本草綱目)], Singhara-Nut[영명(英名)], 히시[ヒシ: 일본명(日本名)], 골뱅이, 말즘, 물밤, 말밥, 마름 등으로 부른다.
열매껍질의 여러 가지 이름은 능각[菱殼: 본초강목습유(本草綱目拾遺)], 능피[菱皮: 전남본초(滇南本草)], 오능각[烏菱殼: 본초강목(本草綱目)], 풍릉각[風菱殼: 의종회편(醫宗滙編)] 등으로 부른다.
줄기의 이름은 능경[菱莖: 본초추진(本草推陳)]이라고 부른다.
녹말의 이름은 능분[菱粉: 본초강목습유(本草綱目拾遺)]이라고 한다.
잎의 이름은 능엽[菱葉: 전남본초(滇南本草)]이라고 한다.
열매꼭지의 이름은 능체[菱蒂: 본초강목습유(本草綱目拾遺)]라고 한다.

[약효와 주치]
<과육>
신선한 것을 먹으면 청서해열(淸署解熱), 제번지갈(除煩止渴)하는 효능이 있다. 삶은 것을 먹으면 익기(益氣), 건비(健脾)하는 효능이 있다.
1, <명의별록>: "안중보장(安中補臟)한다."
2, <전남본초>: "모든 요퇴(腰腿)의 근골통, 전신과 사지마비, 풍습입규증(風濕入竅證)을 치료한다."
3, <전남본초도설>: "성비(醒脾), 해주(解酒), 완중(緩中)한다."
4, <본초강목>: "상한적열(傷寒積熱)을 풀고 소갈증을 멎게 하며 주독(酒毒), 사망독(射罔毒: 오두독=烏頭毒)을 푼다."
<열매 껍질>
설사, 탈항, 치질, 정종(疔腫), 황수창, 천포창(天泡瘡)을 치료한다.
1, <전남본초>: "태운 재를 가루내어 유채기름에 개어서 치질에 바른다."
2, <본초강목>: "설리(泄痢)를 멎게 한다."
3, <본초강목습유>: "얼굴의 황수창을 치료한다."
4, <본초추진>: "변혈을 멎게 한다."
<줄기>
위궤양 및 다발성 사마귀를 치료한다.
<녹말>
1, <주권(朱權)>: "보중(補中)한다."
2, <본초강목습유>: "비위(脾胃)를 보양하며 무릎과 발을 튼튼하게 하고 힘을 굳세게 하며 기를 보충하고 행수(行水)하며 더위를 물리치고 해독하는 효능이 있다."
<잎>
1, <전남본초>: "햇볕에 알려 갈아서 가루로 만들어 어린 아이의 주마감(走馬疳)에 바른다."
2, <중국약식도감>: "어린 아이의 머리에 난 부스럼을 치료하며 시력을 돋군다."
<열매 꼭지>
1, <본초강목습유>: "사마귀에는 깨끗한 물에 담근 열매 꼭지를 1~2번 바르면 자연히 자연히 떨어진다."
2, <본초추진>: "위궤양을 치료한다."
[용법과 용량]
<과육>
내복: 생식하거나 삶아 먹는다.
<열매 껍질>
내복: 달여서 복용한다.
외용: 약성이 남을 정도로 태운 다음 가루내어 개어서 바르거나 달인 물로 씻는다.
<줄기>
내복: 신선한 것을 37~55.5g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바르거나 문지른다.
<잎>
내복: 3.75~5.55g을 물로 달여서 먹는다.
외용: 가루를 개어서 바른다.
 
마름의 항암작용에 대해 상민의의 <항암본초>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능(菱: 마름)
맛은 달고 평하며 독이 없다. 주로 안중(安中)하고 장(臟)을 보(補)한다. [명의별록(名醫別錄)]
이 약은 마름과 마름속 식물로서 참마름(Trapa bispinosa, 양각릉:兩角菱: 그림 163 참조), 네뿔마름(T. quadrispinosa, 사각릉:四角菱), 오릉(烏菱: T. bicornis, 중국왕마름-역자)을 약으로 쓴다. 오릉(烏菱)은 중국 강남(江南) 각성(各省)에서 심고 있다. 마름열매속의 종자에는 에르고스타-4, 6, 8(14), 22-테트렌-3-1(Ergosta-4, 6, 8(14), 22-tetraen-3-one), β-시토스테롤(β-sitosterol), 직쇄전분(直鎖澱分)이 들어 있다. 줄기, 잎, 과병(果柄), 열매를 약으로 쓴다.
[항암 약리]
1, 종자의 수침용액(水浸溶液)은 좀흰생쥐엘릿히복수암과 간암AH-13에 대한 억제활성작용이 있다.
2, 네뿔마름의 열수침출물(熱水浸出物)의 좀흰생쥐육류(肉瘤)-180에 대한 억제율은 60%이며 50% 에타놀침출물(浸出物)은 38.8%였다. 참마름의 열수침출물(熱水浸出物)과 에타놀침출물(浸出物)에서는 항암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외국에서 잔열매마름(T. maximowiczii-역자)에 항암활성이 있음을 동물실험을 통해 증명하였다.
[시용 방제]
위암: 마름 껍질(속살도 좋다) 30~60g을 가루로 하여 6g씩 물 또는 꿀물로 먹는다. 본방은 식도암, 자궁암, 유선암에도 좋다. [변증시치(辨證施治)]
식도암: 능실(菱實), 자등(紫藤), 가자(訶子), 의이인(薏苡仁) 각 9g. 하루 3차 달여 마신다. [식물중약여편방(食物中藥與便方)]
각종암증(各種癌症): 능각(菱角) 60g, 의이인(薏苡仁), 번행초① 각 30g, 등류(藤瘤) 9g. 하루 1첩씩 달여 마신다. 이상스러울 정도로 효과가 있다고 한다. [강소중의(江蘇中醫), 1962년 (1).]
유선암, 자궁암, 식도암: 능경엽(菱莖葉) 또는 과병(果柄), 과실(果實) 30~60g, 의이인(薏苡仁) 30g. 달여서 찻물 마시듯 조금씩 자주 먹되 수일간 연달아 복용한다. [전국중초약회편(全國中草藥匯編)]
자궁경부암: 생릉육(生菱肉) 20~30개, 물을 많이 붓고 약한 불로 달여 하루 2~3차 먹는다. 연달아 복용하여도 좋고 위암에도 유효하다. [근세부과중약처방집(近世婦科中藥處方集)]
[역대 평의]
1, <도경본초(圖經本草)>: "단석독(丹石毒)을 푼다."
2, <본초강목(本草綱目)>: "상한(傷寒)의 적열(積熱)을 풀며 소갈(消渴)을 그치고 술독, 사망(射罔: 오두즙:烏頭汁으로 만든 고제:膏劑-역자)독을 푼다."
3, <강목습유(綱目拾遺)>: "신선한 마름열매 꼭지로 사마귀를 1~2차례 문지르면 저절로 떨어진다."
4, <중약대사전(中藥大辭典)>: "능경(菱莖)은 다발(多發)사마귀를 다스린다."
[편자 주해]
 
일본의 축전씨(築田氏)가 지은 <가정간호의 비결>에는 다음과 같은 사실을 소개하고 있다.
능육(菱肉: 신선한 것 또는 건조한 것) 30알을 토기 약탕관을 사용하여 약한 불로 달인 짙은 차색의 탕액을 하루에 3~4차 나누어 복용한다. 또는 달인 물로 음도(陰道), 자궁(子宮)을 세척한다. 약물은 비록 흙냄새를 풍기지만 부작용은 결코 없다. 내외치(內外治)를 겸용함이 좋다. 병원에서 절망적인 암증이라고 포기한 환자라면 이 처방을 씀이 좋다. 이 처방은 자궁암에 좋을 뿐더러 위암에도 좋다. 세척용으로 하는 탕액은 내복하는 것보다 3~5배 희석하여 쓴다. <중의약연구자료(中醫藥硏究資料) 1978년 6월호>에서도 능각(菱角)을 분쇄하여 달여 마시면 각종암증(各種癌症)을 치료할 수 있다고 하였다. 
 
마름으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
1, 피부에 난 사마귀의 치료(임상보고)
신선한 마름 열매 꼭지로 1일 6~8회, 1회 약 2분간 환부를 계속 문지른다. 청년의 평평한 사마귀 56례는 전부 치유되었고 보통의 사마귀 18례중 17례가 치유되었으며 1례가 무효였다. 뾰족한 습우(濕疣) 3례중 2례가 치유되었고 1례는 무효였다. 전염성 연우(軟疣) 5례중 4례가 치유되었고(그중 1례가 재발되었다) 1례는 무효였다. 유효병례에서는 일반적으로 15일 내외에 사마귀가 완전히 탈락되었다. [중약대사전(中藥大辭典)]
2, 탈항
먼저 참기름으로 장을 축축하고 매끄럽게 하면 자연히 부의(浮衣)가 없어지는데 다시 풍릉각수(風菱殼水)로 깨끗이 씻는다. [장씨필험방(張氏必驗方)]
3, 얼굴의 황수창
1년이 지난 노릉각(老菱殼)을 약성이 남을 정도로 태운 다음 참기름에 개어서 바른다. [의종회편(醫宗滙編)]
4, 여러 종독 및 천포창(天泡瘡)
노릉각(老菱殼)을 태운 재를 참기름에 개어서 바른다. [황판옹(黃販翁), 의초(醫抄)]
5, 손가락에 생긴 천사(天蛇)
풍릉각(風菱殼)을 호롱불에 약성이 남을 정도로 태운 재를 가루내어 참기름에 개어서 바른다. 곪지 않는 것은 흩어지며 곪은 것은 통증이 멎게 된다. [의종회편(醫宗滙編)]
6, 간암
마름 열매는 모든 암증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경증에는 하루에 껍질 있는 마름 10여개, 중환자는 20여개를 물 3~4 사발로 달여 반이 되면 이것을 매일 차 마시듯이 수시로 마시면 된다. 장복하면 효력이 있다. 여기에 율무쌀 약 19g과 결명자 12g을 넣으면 더욱 좋다. [현대인의 생활한방 318면]
7, 위암
마름 껍질(속살도 좋다) 30~60g을 가루로 하여 6g씩 물 또는 꿀물로 먹는다. 본방은 식도암, 자궁암, 유선암에도 좋다. [변증시치(辨證施治)]
8, 식도암
능실(菱實), 자등(紫藤), 가자(訶子), 의이인(薏苡仁) 각 9g. 하루 3차 달여 마신다. [식물중약여편방(食物中藥與便方)]
9, 각종암증(各種癌症)
능각(菱角) 60g, 의이인(薏苡仁), 번행초① 각 30g, 등류(藤瘤) 9g. 하루 1첩씩 달여 마신다. 이상스러울 정도로 효과가 있다고 한다. [강소중의(江蘇中醫), 1962년 (1).]
10, 유선암, 자궁암, 식도암
 능경엽(菱莖葉) 또는 과병(果柄), 과실(果實) 30~60g, 의이인(薏苡仁) 30g. 달여서 찻물 마시듯 조금씩 자주 먹되 수일간 연달아 복용한다. [전국중초약회편(全國中草藥匯編)]
11, 자궁경부암
 생릉육(生菱肉) 20~30개, 물을 많이 붓고 약한 불로 달여 하루 2~3차 먹는다. 연달아 복용하여도 좋고 위암에도 유효하다. [근세부과중약처방집(近世婦科中藥處方集)]
           출 처 : 약초연구 전동명, 김달래한의원 체질박사
 
로고_임금님진상품_카페용150.jpg
 

   

                                            크기변환_13333.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