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부자(Cyperus rotundus L.)는 바닷가의 모래땅이나 개울가 또는 들에 흔히 자라는 다년초 즉 여러해살이풀이다. 높이는 15~40cm이며 땅 속의 뿌리 줄기가 옆으로 길 게 뻗으며 끝 부분에 덩이 줄기가 생기고, 여기에서 새로운 개체가 생겨 수염뿌리를 내린다. 꽃은 7~8월에 핀다. 꽃줄기는 높이 20~30cm로 간혹 1회로 갈라지며, 포(포)는 2~3개로 잎 같고 꽃차례보다 짧다. 작은 이삭은 바늘 모양이며 길이 2~3cm, 너비 1.5~2mm로 20~40개의 꽃이 2줄로 달리며 적색이다. 열매는 수과로 긴 타원형이며 흑갈색이다. 사초과(방동사니과)는 전세계에 약 70속 3500여종이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13속에 약 192종이 분포되어 있다. 방동사니속은 전세계에 약 700종이 있으며 우리 나라에는 방동사니아재배(방동산이아재비), 알방동사니, 왕골, 병아리방동사니, 드렁방동사니, 물방동사니, 모기방동사니, 참방동사니, 방동사니(금방동사니), 푸른방동사니(나도방동사니), 쇠방동사니, 흰방동사니(서울방동사니), 중방동사니(갯방동사니), 향부자(약방동사니), 방동사니대가리, 나도방동사니, 우산방동사니가 자라고 있다. 우리나라 중남부지방에 특히 제주, 전남, 전북, 충남, 경기 해안에 분포되어 있다.
향부자의 쓰이는곳
진통작용(아픔멎이작용), 자궁 수축 억제 작용, 근육 이완 작용, 항염증 작용, 자궁과 장의 긴장성을 낮추는 작용, 항균작용, 자궁 수축 작용, 강심작용, 이뇨작용(오줌내기작용), 혈액순환작용, 우울증해소, 통경, 정혈, 월경불순, 월경아픔, 산전산후의 부인병, 해열진정약, 소화약, 감기, 숙취, 식욕부진, 머리아픔, 복통(배아픔), 하부복통, 각종울체, 편두통, 두통, 토혈, 혈뇨, 멎지 않는 하혈, 오색자궁출혈, 탈항, 고환종대, 태아 안정, 유산 방지, 부종, 동통, 급성유선염, 모든 부스럼, 갑작스런 난청, 계절적 유행성 전염병, 타박상, 사마귀, 티눈, 신경통, 간기가 몰려 옆구리가 결리면서 아픈데, 헛배가 부르며 아픈데, 대하, 소화장애, 밥맛이 없는데, 기의 순환을 조절하고 울결을 풀며 통증을 완하시키고 월경을 조절하는 효능이 있다.
진상품관련근
제주 향부자(香附子)는 제주도(제주목)에서 진상하였다는 기록이 여지도서-보유편, 제주대정정의읍지, 역주 탐라지, 세종실록지리지, 역주 탐라지, 신증동국여지승람에 기록되어있다.
향부자의 여러 가지 이름
향부[香附, 뇌공두:雷公頭: 본초강목(本草綱目)], 작두향[雀頭香: 강표전(江表傳)], 사초근[莎草根: 명의별록(名醫別錄)], 향부자[香附子: 당본초(唐本草)], 향부미[香附米: 본초구진(本草求眞)], 저통초여[猪通草茹: 육천본초(陸川本草)], 삼릉초근[三棱草根: 중약지(中藥誌)], 고강두[苦羌頭: 중약재수책(中藥材手冊)], 약방동사니 등으로 부른다.
향부자[ 香附子]효능과 복용법
감기: 덩이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해서 1일 2~3회씩 2~3일 복용한다.
건위(健胃): 덩이뿌리 8~9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주일 정도 복용한다.
경기(驚氣): 덩이뿌리 8~9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식 1주일 정도 복용한다.
기관지염: 덩이뿌리 7~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5~6회 복용한다.
만성기관지염: 향부자를 오래동안 달여 마시면 좋아진다. 무즙에 생강즙을 적당히 조금씩 섞어 4~5일 정도 마시면 대개는 낳는다고 한다. 잘게 썰은 도라지 한웅큼에 물 두 대접을 부어 작은 불에 반이 되도록 달여 1일 3회씩 10일 간을 복용하면 꼭 치료가 된다.
만성위염: 향부자 목향 계내금 들깨잎 건강 나복자 감초를 각각 같은 양으로 가루 내어 한 번에 4그램씩 하루 3번 밥 먹고 30분 뒤에 먹는다. 식욕부진, 오심, 소화장애, 윗배아픔 등이 90퍼센트 없어진다. 저산성이나 무산성위염에 쓴다.
대하증: 덩이뿌리 5~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4~5일 복용한다.
두통: 덩이뿌리 7~9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2~3일 복용한다.
복통: 덩이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회씩 5일 정도 복용한다.
부인붕루(婦人崩漏): 덩이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생리통: 덩이뿌리 8~9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복용한다.
생리통: 향부자와 홍화를 2 : 1의 비례로 섞어서 부드럽게 가루 내어 한 번에 4그램씩 하루 3번 밥먹고 나서 먹는다. 2-3개월 동안 먹는다.
설사: 덩이뿌리 7~9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복용한다.
신경통: 덩이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여드름: 향부자 목적 각각 50그램에 물 3-5사발을 붓고 달이면서 더운 증기를 쏘인다. 약물이 식을 때까지 연기를 쏘이고 식은 다음에는 약물로30분 동안 씻는다.
옹종(癰腫): 덩이뿌리를 달여서 그 물로 2~3회 환부를 닦는다.
월경이상: 덩이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씩 5~6일 복용한다.
위염: 덩이뿌리 7~9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2일 정도 복용한다.(급성).
위축신(萎縮腎): 덩이뿌리 7~9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위통: 돼지 쓸개 1개에 향부자(香附子) 3돈중을 넣고 태워 가루를 만들어 2번나누어 물로 마신다.
입덧: 덩이뿌리 7~9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4~5회 복용한다.
장출혈: 덩이뿌리 7~9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4~5일 복용한다.
진경(鎭經): 덩이뿌리 7~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4~5회 복용한다.
진통: 덩이뿌리 7~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복용한다.
토혈과 각혈: 덩이뿌리 8~9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3~4일 복용한다.
통경(通經): 덩이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2~3회 복용한다.
풍(風): 덩이뿌리 8~9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1일 2~3회씩 1주일 정도 복용한다.
행기(行氣): 덩이뿌리 8~9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1일 2~3회씩 3~4일 복용한다.
흉협팽만(胸脇膨滿): 덩이뿌리 7~9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1일 2~3회씩 1~2일 정도 복용한다.
머리를 다친 다음에 머리가 띵하면서 건망증이 심하게 나타날 때 : 향부자 10g, 복숭아씨 6g을 물에 달여 하루 2번에 나누어 끼니 사이에 먹는다
향부자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
1, 모든 기(氣)에 의한 흉복(胸腹)의 창만(脹滿), 흉격열색(胸膈噎塞), 희기탄산(噫氣呑酸), 위중(胃中)의 담역(痰逆) 구토, 숙취, 식욕부진
볶아서 털을 제거한 향부자 32냥, 축사(縮砂: 생강과의 축사씨=사인) 8냥, 볶은 감초 2냥을 곱게 가루내어 1회 1돈을 염탕(鹽湯)으로 복용한다. [국방(局方), 쾌기탕(快氣湯)]
2, 심복자통(心腹刺痛)을 치료하고 조중쾌기(調中快氣)하는 처방
심(心)을 제거한 오약(烏藥: 중국 남쪽과 대만 및 일본 남쪽지방에서 나는 녹나무과의 상록관목 또는 소교목 오약의 뿌리로, 중국 절강성 천태에서 나오은 오약이 좋다고 하여 천태오약(天台烏藥)이라는 별명이 있음) 10냥, 볶은 감초 1냥 피모(皮毛)를 제거하고 약한 불에 쬐어 말린 향부자 20냥을 모두 곱게 가루내어, 1회 1돈에 소량의 소금을 넣거나 혹은 넣지 말고 끓인 물를 붓고 복용한다. [국방(局方), 소오침탕(小烏沈湯)]
3, 심기통(心氣痛), 복통, 하복부통, 참기 어려운 혈기통(血氣痛)
향부자 2냥, 점애엽(蔪艾葉), 0.5냥을 초탕(醋湯)으로 잘 달여서 애엽(艾葉)을 제거하고 볶아서 분말로 해서 미초(米醋)와 섞어서 벽오동씨 크기의 환을 만든다. 끓인 물로 1회 50알을 복용한다. [빈호집간방(瀕湖集簡方)]
4, 각종 울체(鬱滯)
창출(蒼朮), 향부(香附), 무궁(撫芎), 신국(神麴), 치자(梔子) 같은 양을 가루내어 물로 녹두 크기로 환제를 만든다. 1회 100알을 복용한다. [단계심법(丹溪心法)]
5, 담(痰)과 수액(水液)의 정체(停滯), 풍기상공(風氣上攻=호흡절박:呼吸切迫), 흉격(胸膈)
향부(香附: 조협수:皂莢水에 담근 것), 반하 각 1냥, 백반가루 0.5냥, 이상을 생강즙과 소맥분으로 벽오동씨 크기의 환제를 만든다. 1회 30~40환을 수시로 생강탕(生薑湯)으로 복용한다. [인존당 경험방(仁存堂 經驗方)]
6, 편두통, 두통
천궁(川芎) 3냥, 볶은 향부자 4냥을 가루내어 차로 복용한다. 맑은 납차(臘茶)로 복용하면 특히 좋다. [담료방(澹寮方)]
7, 토혈
사내아이 소변으로 향부자 또는 백급(白及) 분말을 복용한다. [단계치법심요(丹溪治法心要)]
8, 혈뇨
향부자, 신선한 지유(地楡) 각 같은 양을 따로 달인다. 먼저 향부탕(향부탕)을 3~5 모금 마시고 다음에 나중에 지유탕(地楡湯)을 마신다. 효과가 없으면 다시 복용한다. [전생지미방(全生脂迷方)]
9, 멎지 않는 하혈 또는 오색(五色) 자궁 출혈
피모(皮毛)를 제거하고 약간 볶은 향부자를 가루내어 1회에 2돈을 미음 윗부분의 맑은 액(液)으로 복용한다. [본사방(本事方)]
10, 탈항
향부자, 형개수(荊芥穗) 각 같은 양을 분말로 하여 1회에 3시(匙)를 한 사발의 물로 10수회 비등시켜, 항문에 바른다. [삼인방(三因方), 향형산(香荊散)]
11, 노인, 소아의 현벽(痃癖)으로 반복적으로 동통이 있는 증상
향부(香附), 남성(南星) 각 같은 양을 가루내어 생강즙(生薑汁)으로 벽오동씨 크기의 환제를 만든다. 1회에 20~30환을 생강탕으로 복용한다. [태평성혜방(太平聖惠方)]
12, 퇴산(疝=고환종대:睾丸腫大)의 창통(脹痛)과 소양기(小陽氣)
향부자 분말 2돈, 해조(海藻) 1돈을 술로 달여서 빈속에 복용한다. 해조(海藻)도 함께 복용한다. [빈호집간방(瀕湖集簡方)]
13, 태아를 안정시켜 유산을 방지하는 처방
향부자를 볶아 털을 제거하고 곱게 가루내어, 진한게 달인 자소탕(紫蘇湯)으로 1돈을 복용한다. [중장경(中藏經), 철단산(鐵單散)]
14, 신장의 허냉(虛冷), 월경 불순, 현기증(眩氣症), 식욕 감퇴, 혼신한열(渾身寒熱), 복중급통(腹中急痛), 적백대하, 심정기민(心怔氣悶), 혈중허한(血中虛寒), 태아(胎兒)가 불안정한 증상
향부 0.5근을 식초에 달여서 약한 불에 쬐어 말려 가루내어 식초로 벽오동씨 크기의 환제를 짓는다. 1회에 30~40환을 미음으로 복용한다. [부인양방(婦人良方), 초부환(醋附丸)]
15, 나력유주종괴(瘰癧流注腫塊), 풍한(風寒)이 경락에 침입한 증상, 부종 및 동통
향부를 가루내어 술을 섞어서 창(瘡)의 대소에 따라서 적당히 떡처럼 빚고 환부를 덮고 뜨거운 인두로 누른다. 아직 형성되지 않은 창(瘡)은 소실되고 다 형성된 창(瘡)은 바로 곪아 터진다. 풍한습독(風寒濕毒)에 의한 것은 생강즙(生薑汁)으로 떡무양을 만들어 붙인다. [외과발휘(外科發揮)]
16, 급성 유선염, 모든 부스럼
향부의 미세한 분말 1냥, 사향(麝香) 2푼을 잘 갈아 섞어서 포공영(蒲公英: 민들레) 2냥을 가하여 술로 달여서 찌꺼기를 제거한 후 술을 섞어서 환부에 온습포한다. [의학심오(醫學心悟), 향부병(香附餠)]
17, 갑작스러운 난청
토기에 넣어 볶은 향부자를 가루내어 나복자(蘿蔔子)와 함께 달여서 아침 저녁으로 2돈씩 복용한다. 쇠그릇을 사용하면 안된다. [위생이간방(衛生易簡方)]
18, 정이(聤耳)로 귀에서 분비물이 나오는 증상
향부를 가루내어 면봉으로 귓속에 넣는다. [경험양방(경험양방)]
19, 계절적 유행성 전염병, 외감(外感) 발열병
백색 부분을 제거하지 않은 진피(陳皮) 2냥, 향기가 날 때까지 볶아 털을 제거한 향부자, 자소엽(紫蘇葉) 각 4냥, 구운 감초 1냥을 모두 거칠 게 가루낸다. 1회 3돈을 물 1컵으로 7할이 되게 달여서 찌꺼기를 버리고 뜨거울 때에 복용한다. 복용하는 시간에는 관계없이 1일 3회 복용한다. 미세한 분말로 했을 때는 1회 2돈을 소량의 소금을 가하여 복용한다. [국방(局方)]
20, 타박상
볶은 향부 4돈, 강황(薑黃) 6돈을 미세한 분말로 한다. 1일 3회, 1회에 1돈씩 복용한다. 임신부는 복용하면 안된다. [서주(徐州), 단방험방신의료법선편(單方驗方新醫療法選編)]
21, 계안(鷄眼: 티눈, 못), 사마귀
향부, 목적(木賊) 각 5돈을 취한다.
제법: 300ml의 물을 강한 불로 100ml가 되게 달여 놓는다.
용법: ① 먼저 환부를 깨끗이 씻어서 출혈하지 않을 정도로 굳은 사마귀를 잘라 버린다. 소량의 약액을 가열하여 약솜에 묻혀서 1일 2회 환부를 바른다.
② 약액 2~5ml를 작은 용기에 넣어 가열하여 사마귀 위에 3~5분간 덮어 놓는다. 5회 계속하면 좋다. [내몽고(內蒙古), 중초약신의료법자료선편(中草藥新醫療法資料選編)]
향부자는 옛부터 활혈약, 피를 잘 돌 게 하며 아픔을 멈추게하는 효능 때문에 애용되어 온 약초이다. 여성들의 월경을 잘 통하게 하며 건위작용도 가지고 있다. 주로 옆구리가 결리고 아픈데, 가슴이 답답하고 배가 불어나며 아픈 데, 월경이 고르지 못한 때나 월경때의 배아픔, 음식을 먹고 체한데나 살갗이 곪는 병에도 효험이 있으며 익모초와 마찬가지로 여성의 부인 질환에 큰 효험이 있는 약초이다. 민간에서는 향부자의 덩이뿌리를 신경통 치료제로 널리 이용되어 온 약초이기도 하다.
[채취]
봄, 여름, 가을에 채취한다. 일반적으로 가을에 뿌리 줄기를 캐내어 불로 뿌리 수염과 비늘잎을 태워 버리고 잠시 동안 열탕에 담그거나 시루로 충분히 찐 다음 햇볕에 말린다. 그리고 대바구니 안에 넣고 비빈다. 체로 회(灰: 재)나 가는 털을 제거한 것이 광향부(光香附)이다. 불에 태우지 않고 뿌리 줄기를 마대에 넣어서 찧거나 비비고 부셔서 햇볕에 말린다.
맷돌로 갈아서 털이나 껍질을 제거한 것은 향부미(香附米)라고 한다. [중약대사전]
뿌리는 어떤 종류의 진균의 발육을 억제하는 물질을 함유한다. [중약대사전]
[약리작용]
1, 자궁에 대한 작용: 향부자(香附子: 남경:南京에서 구매한 것인데 광동:廣東에서 생산된 것이고 한다)의 5%의 액체성 엑스(liquid extract)는 guinea pig, 토끼, 고양이, 개 등의 적출 자궁(임신 및 미임신)의 수축을 억제하여 자궁부의 긴장력에 대한 이완 작용은 당귀(當歸)의 액체성 엑스(liquid extract)와 비슷하지만 효력이 조금 약하다. 향부(香附)에 함유된 지방유에는 미약하지만 여성 호르몬과 같은 작용이 있다.
2, 진통작용: 전반 자극법으로 향부자(香附子: 귀양:貴陽 채집품)의 20% 알코올 추출물 0.5ml/20g을 마우스에게 피하 주사한 후 마우스의 동통 역가(閾値)가 뚜렷하게 상승하였다.
3, 항균작용: 뿌리 줄기는 항균 작용이 있고 그 추출물은 어떤 종류의 진균에 대하여 억제 작용이 있다. [중약대사전]
4, 약리작용: 에탄올 추출물은 기니 피그의 적출 장관에 대하여 항히스타민 작용이 있고, 자궁 수축 억제 작용, 근육 이완 작용, 항염증 작용이 있는데, 이는 hydrocortisone의 8배 정도의 효능이 있다. 쥐에게 에탄올 추출물을 피하 주사 하면 진통 작용이 관찰된다. [한국의 약용식물 582면]
[성미]
맛은 맵고 약간 쓰고 달다. 성질은 평하다.
1, <명의별록>: "맛은 달고 성질은 약간 차고 독이 없다."
2, <본초연의>: "맛이 쓰다."
3, <전남본초>: "맛은 맵고 성질은 따뜻하다."
4, <본초강목>: "기(氣)는 평(平)하며 맛은 맵고 약간 달다."
[귀경]
간(肝), 삼초경(三焦經)에 작용한다.
1, <본초강목>: 수족궐음(手足厥陰), 수소양경(手少陽經), 합하여 12경(經), 8맥(맥)의 기분(氣分)으로 들어간다.
2, <뇌공포제약성론>: "폐(肺), 간(肝), 비(脾), 위(胃)의 4경(經)에 들어간다."
향부자에 대해 안덕균의 <CD-ROM 한국의 약초>에서는 이렇게 알려주고 있다.
[향부자(香附子)
[기원] 사초과의 여러해살이 초본식물인 향부자 Cyperus rotundus L.의 뿌리줄기이다.
[성미] 맛은 맵고 약간 쓰며, 약성은 따뜻하다.
[효능주치] 소간이기(疏肝理氣), 조경지통(調經止痛)한다.
[임상응용]
1. 간(肝)기능장애로 인한 협늑부동통, 복창통에 사용한다.
2. 우울증을 해소시키므로 일체의 정신신경성질환에 널리 응용된다.
3. 부인의 생리조절작용에 유효하며 생리통, 자궁출혈, 산후복통에도 통증을 완화시킨다.
4. 한습(寒濕)을 제거시키므로 여름철 토사곽란, 습각기에도 활용된다.
[임상연구]
위염 및 경련성 위장병에 유효율이 높았다. 사마귀에도 치료율이 나타났다.
[약리]
1. 자궁억제작용을 나타냈고, 항염증, 진통 및 일정한 해열작용과 중추신경억제작용이 있었다.
2. 강심작용과 혈압강하작용이 나타났고, 알코올추출물은 회장평활근에 직접 억제작용을 보였다.
3. 황색포도상구균, 이질균에 억제작용을 나타냈고 피부진균에 억제효과도 나타냈다.
[화학성분]
Glucose, fructose, starch, essential oil, β-pinene, camphene, 1,8-cineole, limonene, p-cymene, cyperene, selinatriene, β-selinene, cyperone, patchoulenone, rotunol, cyperol, isocyperol, copadience, epoxy, guaine, cyperolone, rotundone, kobusone, isokobusone, sugetriol copaene, β-elemene, caryophyllene, α-humulene, σ-cadinene, calamenene, cyperotundone, patchoulenyl acetate, sugeonyl acetate, rhamnetin-3-O-raamnosyl(1→4)-rhamnopyranoside 등을 함유하고 있다.
향부자에 대해서 북한에서 펴낸 <약초의 성분과 이용>
[약방동사니(Cyperus rotundus L.)
다른 이름: 향부자, 사초, 작두향
식물: 높이 30~50cm 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에는 3개의 모서리가 있다. 꽃은 줄기 끝에 모여 핀다. 잎은 좁은 줄 모양이다. 뿌리 줄기는 옆으로 뻗으며 끝이 굵어져서 덩어리를 이룬다. 중부와 남부의 바닷가 모래땅에서 자란다. 각지에서 심기도 한다.
뿌리줄기(향부자): 가을에 뿌리를 캐어 뿌리 줄기의 겉에 있는 털을 태우고 말린다. 뿌리 줄기가 잇닿아 붙어 있으면서 향기가 있기 때문에 향부자라 한다.
성분: 덩어리진 뿌리 줄기에는 정유 약 1%, 쿠마린, 탄닌질, 기름, 당분(포도당, 과당), 녹말이 있다.
정유에는 시페렌 C15 H24(32~37%), 시페롤 C15 H24 O(40~49%), 이소시페롤, α-, β-시페론 C25 H22 O, 시페
로툰돈, 슈게놀, 슈게트리올, 시페롤론, 코부손, 이소코부손 등이 있다.
뿌리 줄기 전체에는 정유 0.5~0.6%, 알칼로이드 0.21~0.24%, 강심 배당체 0.6~0.8%, 플라보노이드 1.25%, 당분 13%, 펙틴 8~9%, 기름 2~3%, 수지 약 4%와 유기산이 있다.
작용: 뿌리 줄기의 유동엑스는 아픔멎이작용과 자궁의 긴장성을 낮추는 작용이 있다. 일부 실험자들은 자궁을 수축한다도 한다. 또한 강심작용과 오줌내기작용이 있으며 피를 잘 돌 게 한다.
응용: 동의치료에서 통경약, 정혈약으로 월경불순, 월경아픔, 산전산후의 부인병에 널리 쓴다. 또한 해열진정약, 소화약으로 처방에 넣어 감기, 머리아픔, 배아픔, 밥맛이 없을 때 쓴다.
약방동사니뿌리줄기 달임약(5~7g:200cc): 하루 3번 나누어 먹는다. 월경통, 월경불순에 쓴다.
약방동사니뿌리줄기 엑스: 70% 알코올을 써서 배출식 추출법으로 만든 유동엑스 또는 마른엑스는 플라보노이드와 폴리페놀 화합물이 들어 있으며 강심작용과 피순환을 좋게 한다. 달임약과 같은 목적에 쓴다.
향소산: 약방동사니뿌리줄기 4g, 차조기잎 1g(또는 차조기씨 3g), 귤껍질 2.5g, 생강 3g, 감초뿌리 1g으로 달임약 200ml를 만든다. 감기, 배아픔, 심한 배아픔, 신경쇠약, 월경이상 등에 하루 3번 나누어 뜨거울 때 먹는다.
사궁산: 약방동사니뿌리줄기 150g, 궁궁이뿌리줄기 75g, 피멎이약, 아픔멎이약을 한번에 3~5g씩 하루 3번 뜨거운 물에 타서 먹는다.]
[법제]
① 생향부(生香附): 불순물을 제거하고 맷돌로 갈아 분쇄하여 체로 쳐서 가는 털과 분말을 제거한다.
② 제향부(製香附): 맷돌로 간 향부(香附)를 항아리 속에 넣고 황주(黃酒)와 미초(米醋)로 잘 섞고 설탕에 물 적당량을 가하여 가열해서 녹이고 향부(香附)를 냄비에 넣고 설탕물과 잘 혼합하여 초(炒)해서 건조시킨다(향부:香附 100근에 황주:黃酒, 미초:米醋 각 20근, 사탕 6근).
③ 사제향부(四製香附): 깨끗한 향부(香附)를 미초(米醋), 동변(童便), 황주(黃酒), 백탕(白湯)을 가하여 녹인 연밀(煉蜜)로 충분히 혼합하면서 가열하여 속까지 건조하면 꺼낸다(생향부:生香附 100근에 미초:米醋, 황주:黃酒, 동변:童便 각각 12.5g, 연밀:煉蜜 6근).
④ 초향부(醋香附): 깨끗한 향부립(香附粒)에 초(醋)를 가하여, 혼합하고 하룻밤 불려서 냄비로 약간 누렇게 초(炒)하여 통풍이 잘 되는 곳에서 풍건(風乾)한다(향부립:香附粒 100근에 초:醋 20근).
⑤ 향부탄(香附炭): 깨끗한 향부(香附)를 냄비에 넣고 약성이 남을 정도로 표면은 흑색, 내부는 황색이 되게 강한 불로 초(炒)하여 물을 분무한 다음 꺼내어 햇볕에 말린다.
<뇌공포구론(雷公炮灸論)>: "향부(香附)를 채취하여 그늘에서 말려 돌절굿공이로 찧는다. 철(鐵)을 꺼리기 때문에 철(鐵)이 닿지 않게 해야 한다."
<동약법제 315면>: "경험자료: 향부자의 가공법제에 대한 임상 실천 경험자료들을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① 약재의 잔수염 뿌리를 다듬고 겉껍질을 벗겨 버린다. 다음 절구에 넣고 짓찧어 쌀을 내어 쓰는데 이때 나오는 가루는 버린다고 하였다. 일반적으로 법제 처리는 하지 않고 그대로 썼다. ② 일련의 보조약재로 처리하여 볶아서 썼는데 주로 술, 식초, 소금물 등에 담갔다가 볶는다. 또는 그대로 볶아서 쓰는 방법도 많이 써왔다. 그밖에 쌀 씻은 물에 담갔다가 볶거나 꿀에 담갔다가 볶는 등 방법들은 일부 임상가들이 써온 경험들이다.
총괄: 문헌 내용들이 그후 동의임상에서 많이 정리되었지만 아직도 보조약재를 비롯하여 해명되어야 할 문제들이 적지 않게 있다고 본다. 그러므로 향부자의 가공법제는 약재를 잘 고르고 껍질을 벗긴 다음 잔수염 뿌리를 다듬고 물로 깨끗이 씻어서 말리는 것이 합리적이다. 이밖의 가공법제들은 임상가들의 요구에 따라 그때 그때 만들어 쓸 수 있다고 본다."
[약효와 주치]
기의 순환을 조절하고 울결을 푼다. 통증을 완화시키고 월경을 조절하는 효능이 있다. 간위불화(肝胃不和), 기울부서(氣鬱不舒), 흉복(胸腹), 협늑(脅肋)의 창통(脹痛), 담음비만(痰飮痞滿), 붕루(崩漏) 대하를 치료한다.
[사용법과 용량]
내복: 2.5~3돈을 물로 달여서 복용하거나 환을 만들어 먹거나 가루내어 먹는다.
외용: 가루내어 산포하거나 개어서 바른다. 또는 떡 모양을 만들어 뜨겁게 해서 환부에 붙인다. [중약대사전 10권 4752면]
사용법: 뿌리 줄기 10g에 물 700ml를 넣고 달인 액을 반으로 나누어 아침 저녁으로 복용하거나 술에 담가 복용한다. [한국의 약용식물 582면]
[주의사항]
기허(氣虛)하여 체(滯)가 없고 음허혈열(陰虛血熱)인 사람은 복용하면 안 된다.
1, <본초강목>: "동변(童便), 초(醋), 궁궁(芎藭), 창출(蒼朮)을 합하면 좋다."
2, <신농본초경소>: "월경이 앞당겨지는 것은 혈열(血熱) 때문이며 적절한 치료법은 양혈(凉血)이기 때문에 이 약을 쓰면 안 된다."
3, <본초휘언>: "단독으로 쓰든 많이 쓰든 장기간에 걸쳐서 사용하면 기(氣)를 소모하고 혈이 상한다."
4, <한국의 약용식물 582면>: "음허혈열자는 금하고,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다량 사용하면 기(氣)를 소모시키고 혈(血)을 감한다."
향부자에 대해 북한에서 펴낸 <동의학사전>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향부자(香附子) //사초근(莎草根), 후사(候莎), 작두향(雀頭香)// [본초]
사초과에 속하는 다년생 풀인 향부자(Gyperus rotundus L.)의 뿌리줄기를 말린 것이다. 우리 나라 중부 이남의 바닷가 모래땅에서 자라며 각지에서 심기도 한다. 가을에 뿌리 줄기를 캐서 잔뿌리를 다듬어 버리고 햇볕에 말린다.
맛은 달고 성질은 차다. 주로 간경, 삼초경에 작용하며 십이경맥(十二經脈), 기경팔맥(奇經八脈)에도 작용한다. 기(氣)를 잘 돌 게 하고 통증을 멈추며 월경을 고르게 한다. 약리실험에서 자궁과 장의 긴장성을 늦추는 작용, 강심작용, 이뇨작용 등이 밝혀졌다. 간기(肝氣)가 몰려 옆구리가 결리면서 아픈데, 헛배가 부르며 아픈 데, 월경부조, 월경통, 대하, 소화장애 등에 쓴다.
하루 4~10g을 물로 달여 먹거나 환을 지어 먹거나 가루내어 먹되 쓰는 목적에 따라 여러 가지 방법으로 법제하여 쓴다. 즉 기병(氣病)에는 약간 볶아서 쓰고 하초(下焦)의 병에는 소금물에, 어혈(瘀血)에는 술에, 적취(積聚)에는 식초에 각각 축여 볶아서 쓴다.]
참고문헌 및 출처
여지도서-보유편, 제주대정정의읍지, 역주 탐라지, 세종실록지리지, 역주 탐라지, 신증동국여지승람, 약초전문가 정동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