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목어(熱目魚), 여항어(餘項魚), 이항어( 項魚)는 연어과의 민물고기이다. 시베리아·몽골·만주·한반도의 차갑고 깨끗한 강물에서 살며. 한반도가 서식의 남방한계선이다.
몸은 옅은 황갈색이며 크기는 100cm까지도 자라나 보통 20cm 가량이 대부분이다. 곤충을 잡아먹으며 3~4월에 알을 낳는다.
대한민국에서는 강원도 정선군 정암사의 열목어 서식지와 경상북도 봉화군 석포면에 있는 열목어 서식지를 각각 천연기념물 73호와 74호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특히 경상북도의 열목어 서식지는 열목어가 살 수 있는 남쪽 한계지인데, 열목어가 멸종되었다가 지역 주민들이 강원도로부터 종자를 들여와 되살렸다. 열목어는 설악산과 오대산 천연보호구역에서도 보호받고 있다.
그리고 경기도와 충청북도의 한강수계 계류와 전라북도의 섬진강수계 계류와 경상북도의 낙동강수계 계류와 한강으로 흐르는 가평과 청평의 최상류 계류에 고루 서식했으나 현재는 거의 절멸된 상태다.
1996년 1월부터 환경부가 특정보호어종으로 지정하여 열목어를 허가없이 채취, 포획, 가공, 유통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또 열목어(熱目魚 ; lenok)는 대형종으로 전체길이가 30∼50㎝의 개체들은 흔하고 때로는 60cm 이상 되는것도 있다. 모양새는 유난히 길고 납작하며 기름지느러미가 있는것이 특징이다. 몸빛깔은 옅은금빛 바탕에 불규칙한 크고 작은 검은 반점들이 많이 흩어져 있다.
치어때는 송어의 치어처럼 8∼12개 의 흑갈색 가로띠가 선명하게 나타나 있다. 산란기인 4∼5월이 되면 몸체는 짙은홍색을 지느러미는 무지개빛을 띄는 혼인색으로 변한다. 대표적 1급수 냉수성 어류로서 여름에는 차갑고 흐름이 있는 계류에서 살며 늦은가을과 겨울에는 얼음밑이나 계곡 하류쪽의 깊은 소 에서 생활한다. 강원도 정선군 정암사와 경상북도 봉화군 석포면 대현리 백천계곡의 서식지를 각각 천연기념물 제73호, 제74호(1962년)로 지정하여 보존에 힘쓰고 있으며 또한 1996년 1월에는 환경부에 의해 특정보호어종으로 지정된 소중한 어종이다.
강원도 민통선 일부에서는 김일성이 즐겨 먹었다 해 "김일성물고기"라고도 불리운다.
진상품관련근거
여항어(餘項魚), 열목어, 이항어는 강원도(강릉대도호부, 금성현, 금화현, 낭천현, 안협현, 양구현, 영월군, 원주목, 이천현, 인제현, 정선군, 춘천도호부, 평강현, 평창군, 홍주, 홍천현, 회양도호부, 횡성현) 평안도(강계도호부, 개천군, 평안도, 덕천군, 맹산현, 삭주도호부, 영원군, 운산군, 위원군, 이산군, 창성도호부, 희천군, 갑산도호부, 북청도호부, 삼수군, 안변도호부, 영흥대도호부, 함흥부)에서 대전, 왕대비전, 혜경궁, 중궁전, 세자궁에 진상하였다는 기록이 신증동국여지승람, 여지도서, 춘관통고, 공선정례에 기록되어있다.
열목어의 다른 이름
'동국여지승람'과 '전어지'에는 열목어를 '여항어(餘項魚)' 또는 '이항어( 項魚)'라고 기재하고 있으며, 한국어도보(정문기, 1977)에는 '열목어'로 기재되어 있다. 열목어는 '눈에 열이 있는 물고기'란 뜻으로 함경도에선 열목어의 눈에 열이 많아서 붉게 보이며 그 열을 식히려고 차가운 계곡으로 올라간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 전해진다(어류 박물지에서). 그 외 '연목어(蓮目魚)', '산치', '졸티', '고드라치' 등의 방언(대개 북한지방)이 있다. 영어권에서는 'manchurian trout', 일본에선 'kyokuchi-masu', 중국에서는 비늘이 작은 고기 라 하여 '(細鱗魚)'라 부르고 있다.
방언은 이두문화한 열목어의 별명이다. 또 별명을 ‘연목어(蓮目魚)’라고도 기록한다.
북만주에서는 열목어를 ‘細鱗魚’, 송화강 상류 지방의 소련 사람들은 ‘레노크’라고 부른다. 장진강(長津江) 연안지방 사람들은 열목어의
눈에 열이 많아서 적색으로 보인다고 하면서 그 눈의 열을 식히려고 상류 냉수가 흐르는 계곡으로 올라간다는 뜻에서 열목어란 어명이
생겼다고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열목어의 눈이 적색임은 선천적으로 눈 동공에 붉은 줄이 나타나 있기 때문이다. 이 붉은 줄에는 열이
없는 것을 알지 못하고 오인된 체 전해져 내려오는 말이다. 열목어는 산지와 크기에 따라서 여러 가지 방언이 있다.
함경남도 장진강과 평안북도 압록강 유역과 청천강 상류 지방에서는 열목어의 어린새끼를 ‘펭펭이’ 또는 ‘팡팡이’라고 하고, 펭펭이 보다
약간 큰 놈을 ‘고도라지’, 고도라지보다 약간 큰 놈(30cm)을 ‘산치’, 산치보다 큰 놈을 ‘열목이’ 또는 ‘열묵이’라고 부른다.
두만강 상류지방에서도 25cm 내외인 놈을 산치라고 부른다. 강원도 오대산 지방에서는 열목어 새끼를 ‘댓잎(竹葉)’이라고 부른다.
(魚類博物誌(鄭文基 저, 一志社, 1974.).
열목어의 특징
열목어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눈이 붉은 색을 띤다 (실제 실물을 보면 빨간 색이 아니고 주홍색 또는 주황색으로 보인다. 이는 눈에 열이 있어서가 아니고, 열목어 눈의 홍채의 색이다). 전체적인 형태는 날씬한 편이고 산란기에는 체색이 전체적으로 붉은 빛이 강해져 매우 아름 다운 물고기라 할 수 있으며, 보통 때에는 황갈색 바탕에 작은 검은 점이 산재해 있다. 물 속에서 보면 아래턱이 하얗게 보이는 것이 매우 특징적이다. 열목어가 계곡의 큰 바위 밑에 숨어 있을 때에도 어두운 물 속에서 희미한 흰색 턱을 볼 수 있을 정도이다. 열목어의 날씬 한 체형·체색은 다른 연어·송어류와는 또 다른 귀족적인 분위기를 풍기고 있어, 조선시대 에는 우리 나라의 빼어난 자연경관을 상징하는 물고기로 귀하게 취급되었었다.
대부분의 연어·송어류의 새끼들에서 볼 수 있는 체측의 막대모양무늬(PARR무늬)가 어린 열목어에서도 나타나며 성장함에 따라 없어진다. 등지느러미에는 13∼14개, 뒷지느러미에는 12개의 줄기가 있으며 등지느러미와 꼬리지느러 미 사이에는 육질 돌기인 '기름 지느러미'가 있다. 크기는 20∼30cm급이 흔하지만 큰놈은 60∼70cm급도 있다. 어미로 알을 갖는 크기는 정확 히 조사되지 않았지만 대개 30cm정도이면 성숙한 알을 받을 수 있으며, 크기가 작은 개체 의 경우 인공채란을 하면 수백 개의 알을 받을 수 있다. 크기가 큰 개체일수록 알 수는 많 으며 한 마리가 약 2∼3천개의 알을 갖는다.
열목어의 알은 노랑색(또는 옅은 노랑, 옅은 주황색)을 띠며, 크기는 어미에 따라 조금씩 다 르지만 지름이 4∼5mm로 물고기의 알치고는 상당히 큰 편이다(대부분의 연어·송어류는 비교적 큰 알을 낳는다). 수정후 발생속도는 대개 수온에 따라 달라지는데, 수온 5∼8˚C에서 약 한달 만에 부화하였 다. 갓 부화한 열목어 새끼는 배에 커다란 난황을 달고 바닥에 누워지내는 데 길이는 1.4∼ 1.5mm이다. 태어난 후 난황을 흡수함에 따라 점차 운동력이 활발해지고 부화 후 7일이 지 나면 난황을 거의 흡수하고 바닥에서 수면이나 증층으로 떠오르며 이때부터는 먹이를 먹기 시작한다. 부화했을 때는 몸이 거의 투명하지만 성장함에 따라 흑갈색, 흑색점이 발달하여 부상할 때쯤이면 등쪽이 흑회색을 띤다.
열목어 새끼는 대부분의 다른 연어류와 마찬가지로 체측에 막대모양의 무의 즉, PARR무늬 가 나타나며 이 무늬는 무지개송어나 산천어에 비하면 가늘고 긴 막대모양으로 5cm급이면 8∼12개가 보인다. 7∼8cm급의 새끼는 PARR무늬를 제외하면 체형, 체색, 지느러미(주황, 주홍색)등 대부분 특징이 어미와 비슷하게 갖추어진다.
어린 열목어는 계곡 약간 후미진 여울이나 흐름이 늦은 나무그늘아래 여울에 흩어져 살아가 며 수서 곤충의 어린 애벌레 등을 먹고산다. 열목어는 자기 새끼도 잡아먹기 때문에, 어린 새끼들은 자신을 잡아먹으려는 다른 생물(어류뿐만 아니라 조류 등도 포함)로부터 자신을 보호해야 할 뿐 아니라 같은 종인 열목어 큰놈으로부터도 자신을 보호해야 하는 어려움을 극복하면서 어린 시기를 지낸다.
차가운 수온환경 하에 비교적 풍부하지 못한 먹이(어류종류)사이에서 오랜 세월동안 진화해 온 결과, 열목어는 자신이 낳은 새끼들 일부를 먹이로 사용하면서 차갑고 어려운 환경에서 살아 남는 습성을 획득한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열목어의 식성과 성장
열목어는 강한 육식성을 나타내는 종으로, 수서 곤충, 작은 물고기뿐만 아니라 육상곤충, 작은 동물 등을 잡아먹는다. 비교적 적은 수량, 낮은 수온, 풍부하지 못한 먹이 생물 환경 속에서 일생을 자라는 열목어지만 큰놈은 60∼70cm로 성장하는 육식성 어종이므로 큰 몸집으로 자라고 또 그 몸집을 유지하기 위한 강한 포식성을 갖고 있다. 특히, 자신의 새끼를 위 속에서 자주 볼 수 있음은 이들이 부족한 먹이를 보충하기 위하여, 동족을 잡아먹는 습성을 오래 전부터 획득하여 왔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동족포식식성은 먹이대상 생물상이 단순하고, 만날 확률이 적은 외양에서 살아가는 가다랑어, 참치 류에서도 볼 수 있다. 열목어는 성장이 비교적 늦은 편으로 1년만에 15∼18cm, 2년만에 25∼30cm로 자란다. 인공 적인 환경에서는 좀더 빠른 성장이 기대된다.
분포 및 분류
열목어는 연오목(目, Salmoniformes), 연어과(科, Salmonidae)에 속하며 ('한국어도보'에는 극지송어科, Coregonidae에 포함시키고 있어 최근 분류학적 재 검토가 되고 있음.), 우리 나라 연어형 어류에는 총 12∼13종이 기재되어 있으나 많은 종들이 북한에만 서식하고 있다. 남한에서 볼 수 있는 종은 열목어를 비롯하여, 연어·곱사연어·산천어(시마연어)·무지개송 어·은연어(양식/도입종)정도이며 우레기·자치·홍송어·사루기·곤들매기 등은 북한지역 에 서식하고 있다. 최근 서식지를 넓혀가고 있는 무지개송어와는 날씬한 체형, 황갈색 몸, 점 없는 꼬리지느러 미 등으로 구별된다
열목어는 우레기(B.coregonoides)와 함께 Brachymystax속(열목이속)에 속하며, 유럽이나 북 미대륙에선 볼 수 없고, 시베리아·북만주 등 아시아에서도 북부의 추운 지방에만 서식하는 특산종이다. 우리 나라에서도 남부지방에선 볼 수 없으며 압록강·청천강·대동강·한강·장진강·두만 강·성천강·함남강·낙동강 등의 상류 지역에 서식하고 있다. 따라서 우리 나라는 열목어 의 남쪽 한계 분포수역이라 할 수 있으며 특히, 낙동강 상류지역인 경북 봉화군 석포리·대 천리·고선리 부근수역은 이들이 서식하고 있는 수역중 가장 남쪽 수역이라 할 수 있다('한 국어도보'(1977)에는 섬진강 상류지역인 전북 지안군 백운면 임하리, 팔공산 서쪽 계곡에도 열목어가 서식하고 있다고 기재되고 있으나 필자가 직접 확인해 보지 못했다.)
열목어의 서식분포를 보면 우리 나라가 고대에 북만주와 함께 냉수대(冷水帶)에 포함되어 있었음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어 학술적으로 귀중한 자료를 제공해 주고 있다 한다(어류박 물지). 지금은 강이나 하천의 상류에서만 볼 수 있지만 아마 그 당시 큰 강의 넓은 수역을 지배하고 있었던 포식자중의 하나였음에 틀림없을 것이다.
열목어의 생태
열목어는 다른 연어류와는 달리 바다로 회유하지 않고 일생을 담수에 지낸다. 차가운 물을 좋아하는 냉수성 어종이기 때문에 항상 찬물이 풍부히 흐르는 계곡의 소(沼)·여울에 서식한다. 수온이 상승하는 여름에는 수목이 우거져 그늘이 지고 차가운 계곡수가 흐르는 계곡, 상류수역에 서식하다가 겨울철이 되어 수온이 하강하고 얼음이 얼면 상당히 하류쪽으로 멀리 이동하여 내려온다.
오대산 수계의 열목어는 겨울이면 금강연 하류의 수계까지 내려오며 이른봄이면 상류로 이 동하기 시작하여 여름에는 깊은 소(沼) 바위 밑이나 그늘진 곳에서 지낸다고 한다. 강원도 인제군 현리의 진동계곡에 서식하는 열목어도 여름에는 최상류 수역으로 이동하여 지내다가 겨울에 계곡이 얼고 수온이 하강하면 내린천 부근까지 이동해 내려온다고 한다. 열목어는 얼음 밑에서 지내면서 배속의 알을 키워서, 봄이 되어 얼음이 녹기 시작하면 상류 의 산란 장으로 이동한다. 열목어의 산란장은 수심이 30∼70cm정도이고 바닥에 모래자갈이 섞인 곳으로 물살이 너무 세차지 않는 곳이다.
산란기는 지역에 따라 상당한 차이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필자가 지난 몇 년간 다녔던 강원도 인제 진동계곡이나 경북 봉화 수역은 대개 3∼4월이 산란 성기에 해당되었다(올해 경북 봉화에선 4월중에 건강하게 성숙된 알을 모두 채란할 수 있었다).
관련문헌 및 출처
신증동국여지승람, 여지도서, 춘관통고, 공선정례,(魚類博物誌(鄭文基 저, 一志社, 1974.). 동국여지승람, 한국어도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