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래
가물치
가지
간재미
갈근
갈치
감자
감태
감초
감홍로주
강활
강황
게장
고구마
고등어
고본
고사리
고슴도치
고추
고추장
곤쟁이
골풀
곰취
곱돌
과루인
곶감
과메기
곽향
광어
구기자
구리
국수
국화차
굴비
금불초
기장
김치
꼬막
꼴뚜기
꽃게
꿀풀
나물
나전칠기
낙죽장도
낙지
냉이
노루
녹두
녹용
녹차
농어
뇌록
누치
느룹나무
느타리버섯
다시마
다람쥐
다래
다슬기
닥나무
단감
단목
달래
담비
담쟁이
당귀
대게
대구
대나무
대발
대추
더덕
더덕주
도라지
도루묵
도마뱀
도미
도자기
돈육
돈차
돌미역
돔배기
동래파전
동백기름
동충하초
돚자리
돼지
된장
두꺼비
두릅
두충
딸기
들기름
마늘
마뿌리
만화석
막걸리
망둥어
매생이
매실
맥문동
맨드라미
머루
머루주
메밀차
멸치
명란젓
명설차
명태
모과
모란
모래무지
모시
모자
목기
목화
무명
무우
문배주
문어
미나리
미역
민속주
민어
밀랍
박하
방풍
백랍
백련잎차
백렴
백미
백반
백부자
백조어
백하수오
백합
밴댕이
뱅어
벼루
병어
법주
보골지
보리
복령
복분자
복숭아
복어
부들
부자
부채
부추
붉나무
붕어
비빔밥
비자
뽕나무
사과
사슴
산나물
산삼
삼림욕
산수유
살구
삼릉
삼배
삼치
상합
상황버섯
새우
새우젓
생강
석결명
석곡
석류
석영
석이버섯
석청
석창포
소금
소라
소주
속새
송어
송이버섯
송화가루
수달
수박
수정
숙주
순채
숭어
승검초
식해
안동포
안식향
앵두
야콘
야콘잎차
약쑥
양귀비
어란
어리굴젓
어육장
엄나무
연밥
연어
연엽주
열목어
염전
엽삭젓
오가피
오미자
오곡
오골계
오정주
오죽
오징어
옥돔
옥로주
옹기
옻칠
왕골
용문석
우무
우황
울금
웅어
위어
유기
유자
유자차
유황
육포
은어
은행
이강주
이스라지
익모초
인삼
인삼주
잉어
자단향
자두
자라
자라돔
자연동
자하젓
작설차
작약
장군풀
장아찌
전모
전복
전어
전어젓
전통주
젓갈
젓새우
정어리
조개
조기
조홍시
좁쌀
종어
종이
주꾸미
죽렴장
죽로차
죽순
죽순채
죽염멸치
죽엽청주
죽피
죽합
준치
중국차
지라돔
지치
질경이
찐빵
참가사리
참게
참기름
참죽나물
참외
찹쌀
창출
천궁
천남성
천문동
청각
청국장
청란석
청목향
청자
초콜릿
초피나무
초하주
추성주
취나물
치자
칠선주
콩잎
토마토
토끼
토사자
토주
토파즈
토하젓
파전
패랭이
편두
포도
포도주
표고버섯
표범
하늘타리
학슬
한과
한라봉
한우
한지
해구신
해달
해삼
해파리
해홍나물
향나무
호도
호로파
호두
홍삼
홍삼절편
홍시
홍어
홍주
홍합
화개차
화문석
황기
황률
황벽나무
황어
황옥
황진이주
황태
회양목
후박
후추
흑돼지
흑염소
흑한우
로그인 l 회원가입

e8ccf7afdd6c52258b6fbe6c00a9fd6a_1443601259_4273.jpg
 
 영양각[羚羊角],영양,麢羊(영양), 麙羊(암양), 九尾羊(구미양)
 

영양각[羚羊角]의 다른이름은 羚羊(영양)으로 전신은 갈황색 또는 밤색이다. 콧구멍이 큰 것이 다른 종에 비해 특이하다. 몸길이는 1~1.4m, 몸 키는 70~85cm 정도이며 뿔의 뿌리는 갈황색이나 상부는 황백색을 나타내며 뽀족하고 10~20여개의 윤기가 나는 돌기가 있다. 긴 원추형이며 활 모양으로 약간 구부러져 있다. 중국 신장성 지방에 분포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밖에도 산양, 소영양, 영양, 황양 등의 뿔도 대용한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사용한다

진상품관련근거
영양각은 강원도(감영, 삼척, 춘천, 회양) 전라도(구례현, 남원도호부) 충청도(영춘현, 제천현, 옥천군, 황간현)에서 진상하였다는 기록이 신증동국여지승람, 여지도서 기록되어있다,

약재의 효능
평간(平肝):(간기(肝氣)가 몰리거나 치밀어 오르거나 간양(肝陽)이 왕성(旺盛)할 때 간기를 화평(和平)하게 해주는 방법임) 
익기(益氣):정풍(定風)  (온열병(溫熱病) 후기의 허풍내동(虛風內動)에 대한 치료법임.) 
서근(舒筋):(근육을 이완시키는 효능임) 
진경(鎭驚):(발작 등의 증상을 진정시키는 효능임) 
안신(安神):(담기허(膽氣虛) 또는 담열(膽熱)로 인하여 발생되는 양기조동(陽氣躁動), 심계(心悸), 실면(失眠), 경간(驚癇), 광망(狂妄), 번조이노(煩躁易怒) 등의 병증이 있을 때, 정신을 안정시키는 방법임.) 
청간(淸肝):(간(肝)의 열(熱)을 식혀주는 효능임) 
명목(明目):(눈을 밝게 하는 효능임) 
산혈(散血):(혈(血)을 흩뜨리는 효능임) 
해독(解毒):(독성(毒性)을 풀어주는 효능임) 
벽악(辟惡):(몸에 나쁜 영향을 미치는 악기(惡氣)를 몰아내는 효능임) 
살충(殺蟲):(기생충을 없애는 효능임) 
안심(安心):(심기(心氣)를 안정시키는 효능임) 
경신(輕身):(몸을 가볍게 하는 효능임) 

영양각의 효능과 특징
중풍으로 힘줄이 가드라드는 것[中風筋攣], 열독풍(熱毒風)이 치미는 것과 중악으로 정신이 혼미한 것을 치료하는데 마음을 안정시키고 놀란 것처럼 가슴이 두근거리는 것[驚悸]을 멎게 한다. 그리고 언제나 가위에 눌리지 않게 하고 눈을 밝게 하며 고독(蠱毒)과 악귀(惡鬼)를 없애고 열독리(熱毒痢)와 혈리(血痢)를 낫게 한다[본초].
○ 이 뿔은 마디가 많고 쭈굴쭈굴한 테두리가 많으며 사람 손가락만큼 가늘고 길이는 4-5치 정도 된다. 쭈굴쭈굴한 테두리가 가는 것일수록 좋은데 아무 때나 잘라서 쓴다[본초].
○ 영양은 밤에 잘 때 뿔을 나뭇가지에 걸고 땅에 닿지 않게 하고 잔다. 뿔굽 가운데가 깊이 패이고 예리하며 딴딴하고 가늘며 걸었던 자리가 있는 것이 좋은 것이다[본초].
○ 영양각은 궐음경(厥陰經)의 약이다. 궐음경으로 들어가는 기운이 아주 빠른데 간기(肝氣)를 좋게 한다[단심].
○ 진짜 뿔은 귀에 대고 있으면 ‘윙윙’ 소리가 나는데 이런 것이라야 좋다[본초].

약재사용처방
고본환정환(固本還睛丸) /  예막차정(藝膜遮睛) , 난현풍(爛弦風) 
구미청심원(九味淸心元) /  상초열(上焦熱) 
당귀산(當歸散)[1] /  부인요혈(婦人尿血) 
대명부광산(大明復光散) /  예막(翳膜) , 내장(內障) 
밀몽화산(密蒙花散)[1] /  내장(內障) 
보간산(補肝散)[1] /  내장(內障) 
생지황산(生地黃散) /  안피물타당(眼被物打撞) 
서각산(犀角散) /  추정안(墜睛眼) 
선저산(蟬猪散) /  두후생예막(痘後生瞖膜) 
승마탕(升麻湯)[2] /  열비(熱痺) 
영양각(羚羊角) /  근급(筋急) 
영양각산(羚羊角散)[1] /  녹풍내장(綠風內障) 
영양각산(羚羊角散)[2] /  검경정동(瞼硬睛疼) 
영양각산(羚羊角散)[3] /  해정(蟹睛) 
영양각산(羚羊角散)[4] /  빙예(氷翳) 
영양각원(羚羊角元) /  고주리(蠱疰痢) 
영양각탕(羚羊角湯)[1] /  근비(筋痺) 
영양각탕(羚羊角湯)[2] /  자간(子癎) 
영양각환(羚羊角丸) /  녹풍내장(綠風內障) 
온제두두방(溫臍兜肚方) /  유정(遺精) , 백탁(白濁) , 적백대하(赤白帶下) 
우황청심원(牛黃淸心元)[1] /  전광(癲狂) 
우황청심원(牛黃淸心元)[2] /  졸중풍(卒中風) 
육혼단(育魂丹) /  정충(怔忡) , 전간(癲癎) 
이각음(二角飮) /  두창흑함(痘瘡黑陷) 
인삼형개산(人蔘荊芥散)[2] /  혈풍(血風) 
자설(紫雪) /  적열(積熱) 
자수해어탕(資壽解語湯) /  중풍불어(中風不語) 
홍설통중산(紅雪通中散) /  중설(重舌) , 구창(口瘡) 
화벽여신산(化癖如神散) /  적취(積聚) , 비괴(痞塊) 
환정환(還睛丸)[3] /  안병(眼病) 

영양육(羚羊肉)
살코기는 보하는 성질이 있다. 또한 냉로(冷勞)와 산람장기로 학질이나 이질이 생긴 것을 치료한다. 또한 뱀한테 물린 것[蛇咬瘡]과 악창(惡瘡)을 낫게 한다[본초].

익생양술 효능
고혈압, 뇌일혈, 두풍, 발열, 보간·청간, 수막염, 암, 자궁암, 중독, 진정, 창종, 해열, [소아질환]경풍
문헌근거(본초강목)

주치증상
"<本經(본경)>: 눈을 밝게 하고 기운을 돋우며 성기능을 좋게 한다. 惡血(악혈)이 하체에 고인 것을 제거하고 蠱毒(고독)과 惡鬼(악귀) 등 상서롭지 못한 것을 물리치고 수면중에 가위눌리지 않게 한다.
<別錄(별록)>: 邪氣(사기)를 제거하고 무서운 꿈을 꾸지 않게 한다. 미쳐서 날뛰고 헛소리를 하는 것을 치료하고 傷寒(상한)과 전염병의 寒熱往來(한열왕래)를 치료한다. 熱邪(열사)가 피부에 침범한 것과 뼈 속에 熱毒(열독)이 잠복한 것을 치료하며 음식이 체해서 내려가지 않는 것을 제거한다. 오랫동안 복용하면 근골을 튼튼하게 하고 몸을 가볍게 하며 성기능을 좋게 하고 기운을 북돋는다.
孟詵(맹선): 中風(중풍)으로 인한 근육경련, 뼛속이 아픈 증상을 치료한다. 가루를 내어 꿀로 복용하면 갑작스럽게 가슴이 답답하고 열이 나는 증상 및 熱毒(열독)으로 출혈을 일으키는 痢疾(이질)과 심한 하복통을 치료한다. 물에 갈아서 종기로 붓고 아픈 곳에 바른다.
<藥性(약성)>: 모든 熱毒(열독)이 침범한 증상을 치료하고 나쁜 기에 감촉되어 갑자기 정신을 잃고 인사불성인 것을 치료한다. 출산 후 어혈이 역상하여 가슴이 뛰고 답답하며 열나는 증상을 치료하는데, 태워서 가루를 내어 술로 복용한다. 소아의 경련성 질환과 깊은 산속의 음산한 기운에 감촉되거나 목이 막힌 것을 치료한다.
陳藏器(진장기): 가슴이 두근거리고 답답하면서 열나는 증상을 치료하며 가슴에 나쁜 기운이 울체된 것을 없앤다. 임파선염과 잘 낫지 않는 종기와 물가에서 옮아온 피부병을 치료한다.
李時珍(이시진): 肝氣(간기)를 평정하고 근육을 풀고 風病(풍병)을 안정시키고 魂(혼)을 편안하게 하고 어혈을 제거하고 下氣(하기)시키며 惡氣(악기)를 피하고 毒(독)을 해독하는 효능이 있다. 임신중독에 의한 경련성 질환을 치료한다."

약물이름의 기원
"영양의 이명으로는 麢羊(영양), 麙羊(암양), 九尾羊(구미양)이 있다.
李時珍(이시진): 王安釋(왕안석)의 <字說(자설)>에서는 羚羊(영양)은 사슴과 비슷하며 둥근 뿔이 바깥으로 나있어서 자신을 방어하고, 麢羊(영양)은 혼자 살고 머리에 달린 뿔이 나무에 상하지 않기 때문에 신령스럽다고 할만하다. 그러므로 鹿(록)과 靈(영)을 간단하게 쓴 글자가 합쳐진 것이다. 후인들은 羚(영)이라고 썼다. 許愼(허신)의 <說文(설문)>에서는 麙(암)은 山羊(산양)으로 몸집이 크고 뿔은 가늘다고 하였다. <山海經(산해경)>에서는 羬(겸)이라고 하였으며, 양과 비슷하게 생겼지만 꼬리가 말과 비슷하다고 하였다. 費信(비신)의 星槎勝覽(성사승람)에서는 阿丹國(아단국)의 羚羊(영양)은 가슴에서부터 꼬리까지 아홉 줄이 나있기 때문에 九尾羊(구미양)이라고 한다고 했다."

참고자료
(문화콘텐츠닷컴 (문화원형백과 한의학 및 한국고유의 한약재), 2004, 한국콘텐츠진흥원), 한글동의보감, 익생의 자연건강 컨텐츠, 여지도서, 신동국여지승람, 고사촬요, 세종실록지리지

로고_임금님진상품_카페용150.jpg 

   

                                            크기변환_13333.jpg